KR20140030567A - 재활 기구 - Google Patents

재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567A
KR20140030567A KR1020120096892A KR20120096892A KR20140030567A KR 20140030567 A KR20140030567 A KR 20140030567A KR 1020120096892 A KR1020120096892 A KR 1020120096892A KR 20120096892 A KR20120096892 A KR 20120096892A KR 20140030567 A KR20140030567 A KR 2014003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mechanism
scaffolding
exercis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제
최명덕
송윤섭
Original Assignee
조형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제 filed Critical 조형제
Priority to KR102012009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567A/ko
Publication of KR2014003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장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상, 하방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방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 관절 및 골반, 하지를 용이하게 재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전문의의 관리가 제공되어 재활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활 기구{A MOVEMENT MACHINE FOR REHABILITATION MEDICAL CURE}
본 발명은 재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 하지, 골반의 재활을 돕는 재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재활 의학이 발달되어 감에 따라 등록특허 제10-0285023호의 다리 재활 운동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재활 운동 장치가 개발되어 상체나 하체의 재활 운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재활 운동 장치 중에서 하체의 재활 운동에 사용되는 하체 재활 운동 장치는 다리 부분, 즉, 고관절이나 무릎 관절의 재활 운동을 그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므로, 발목을 재활 운동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발목을 다친 사람의 경우, 하체 재활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발목의 재활 운동을 하게 되므로, 재활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발목관절을 다친 사람 뿐 아니라 뇌졸중과 같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발목기능 제한이 있어 하체의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람 중에서 많은 경우 발목에 대한 재활 운동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발목 관절을 재활 운동하기 적합한 재활 운동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 관절 및 골반, 하지를 재활 운동시킬 수 있는 재활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에 장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상, 하방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방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써 결합되는 재활 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판상의 둘레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저면 또는 가이드벽체의 측면에는 이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띠 형태의 직물 또는 합성수지 또는 밸크로가 형성된 벨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발판부의 저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는,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모터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제 1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쌍의 크랭크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의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체결부에 핀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크랭크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크랭크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가 동일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쌍의 크랭크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가 상이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전, 후방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스핀들 브라켓과; 상기 스핀들 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의 대향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는 상기 지지암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의 전, 후방 이송력을 제공하는 전후방이송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이송부재는,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암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핀들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암의 외부면 일부분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암의 내부면 중 상기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한 스핀들암의 정, 역회전에 의해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의 연동으로 상기 슬라이드부가 전,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에 구동에 따른 발판부의 구동각 및 발판부의 운동량을 제어 및 저장하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된 발판부의 운동량,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조작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 기구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상이한 제어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에 연동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 관절 및 골반, 하지를 용이하게 재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전문의의 관리가 제공되어 재활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 상하방운동부재, 베이스부재, 전후방이송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의 구동을 도시한 제1측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의 구동을 도시한 제2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베이스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 상하방운동부재, 베이스부재, 전후방이송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의 구동을 도시한 제1측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발판부의 구동을 도시한 제2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의 베이스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는, 한 쌍의 발판부(100)와 상하방운동부재(200)와 베이스부재(300)와 전후방이송부재(400)와 제어부(500)와 조작부재(600)가 수용 및 설치되는 하우징(7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100)는 환자의 발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판상의 둘레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10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판상의 둘레 일부를 따라 가이드벽체(110)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상의 둘레 전부를 따라 가이드벽체(11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벽체(110)는 재활 운동 중 환자의 발을 지지하여 발이 발판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가이드벽체(110)의 전방 부분은 발판부(100)의 상, 하방 운동을 원할하게 구현시키기 위하여 일부분 절개되어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100)의 저면 또는 가이드벽체(110)의 측면에는 환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30)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띠 형태의 직물 또는 합성수지 또는 밸크로가 형성된 벨트로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120)에 삽입되어 지그재그 방식 또는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환자의 발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100)의 저면에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발판부(100)의 저면 중심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설계에 따라 발판부(100)의 저면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40)가 발판부(100)의 저면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경우,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발판부(100)의 저면에서 일정 범위 내로 변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하방운동부재(200)의 상, 하방 구동력이 상기 발판부(100)의 상, 하방 운동과 좌, 우방 운동의 합력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에 의해 발판부(100)의 단순한 상, 하방 구동이 아닌 상, 하방 구동과 좌, 우방 구동이 합성된 타원궤도 형태로 발판부(100)의 구동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는, 상기 발판부(100)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부(100)에 상, 하방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제 1 모터(210)와; 상기 제 1 모터(210)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제 1 모터(2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쌍의 크랭크(220)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220)의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체결부(140)에 핀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크랭크암(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모터(210)는 속도 조절 가능한 A.C 중공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크랭크(220)가 회전되고, 상기 크랭크(220)에 결합된 크랭크암(230)이 상기 발판부(100)에 체결되어 제 1 모터(210)의 회전력이 상기 발판부(100)의 상, 하방 운동력으로 전환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크랭크(220)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210)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100)가 동일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한쌍의 크랭크(220)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210)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100)가 상이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한쌍의 크랭크(220)에 결합되는 각각의 크랭크암(230)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발판부(100)가 동시에 상, 하방 운동을 수행하거나, 상이한 상, 하방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70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300)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전후방이송부재(400)와의 결합에 의해 제어에 따라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를 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300)는, 하우징(70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310)와; 상기 베이스부(310)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310)의 일부면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320)와; 상기 슬라이드부(320)의 상면에 설치되며 통공(332)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스핀들 브라켓(330)과; 상기 스핀들 브라켓(330)에 형성된 통공(332)의 대향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통공(332)에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암(34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는 상기 지지암(340)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320)는 후술할 전후방이송부재(400)와의 연동으로 상기 베이스부(310) 상면을 따라 전, 후방 이송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슬라이드부(320)가 전, 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320)에 설치된 스핀들 브라켓(330) 및 지지암(340)과 상기 지지암(340) 상부에 지지되는 상하방운동부재(200)가 최종적으로 전, 후방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가 전, 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연동된 상기 발판부(110)의 운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의 전, 후방 이송력을 제공하는 전후방이송부재(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후방이송부재(400)는, 제 2 모터(410)와; 상기 제 2 모터(4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통공(332)을 통하여 상기 지지암(3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핀들암(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모터(410)는 정역 브레이크 모터로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연동된 상기 스핀들암(42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암(420)의 외부면 일부분에는 숫나사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암(340)의 내부면 중 상기 숫나사부(42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암나사부(342)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모터(410)의 정, 역회전에 의한 스핀들암(420)의 정, 역회전에 의해 상기 숫나사부(422)와 암나사부(342)의 연동으로 상기 슬라이드부(320)가 전,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전후방이송부재(400)를 제어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전후방이송부재(400)에 구동에 따른 발판부(100)의 구동각 및 발판부(100)의 운동량을 제어 및 저장하는 제어부(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활 기구는,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700)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610) 및 상기 제어부(500)에서 측정된 발판부(100)의 운동량,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620)를 포함하는 조작부재(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610) 전면으로 각종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공간을 설치하여 환자의 소지품 등을 수용시켜 기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 기구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상이한 제어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연동되는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기록 매체 안에,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전후방이송부재(400)의 상이한 제어 정보가 다양하게 미리 저장되며, 사용자 또는 조작자는 전문의가 처방한 재활 프로그램에 따라 컨트롤러(610)를 조작하여 해당 재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증상에 대한 재활을 범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방운동부재(200)와 전후방이송부재(400)는 내부 부품이 모듈화되어 일체로 마련된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모듈화 전 각 부품을 열처리하여 각 부품의 결합으로 마련되는 모듈화된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700)의 외관 및 발판부(100)의 노출부분을 목재로 마련하여 환자에 대해 심미적 안정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발판부(100)를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온도 편차에 대한 거부 반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 기구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목 관절 및 골반, 하지를 용이하게 재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전문의의 관리가 제공되어 재활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판부 110 : 가이드벽체
120 : 개구부 130 : 고정수단
140 : 체결부 200 : 상하방운동부재
210 : 제 1 모터 220 : 크랭크
230 : 크랭크암 300 : 베이스부재
310 : 베이스부 320 : 슬라이드부
330 : 스핀들 브라켓 332 : 통공
340 : 지지암 342 : 암나사부
400 : 전후방이송부재 410 : 제 2 모터
420 : 스핀들암 422 : 숫나사부
500 : 제어부 600 : 조작부재
610 : 컨트롤러 620 : 디스플레이
700 : 하우징

Claims (18)

  1. 하우징에 장착되는 한 쌍의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상, 하방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방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판상의 둘레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저면 또는 가이드벽체의 측면에는 이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띠 형태의 직물 또는 합성수지 또는 밸크로가 형성된 벨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발판부의 저면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는,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모터의 양측부에 설치되며, 제 1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쌍의 크랭크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의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체결부에 핀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크랭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크랭크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동일선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가 동일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크랭크는 측부에 베어링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한쌍의 발판부가 상이한 상, 하방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전, 후방으로 이송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통공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스핀들 브라켓과;
    상기 스핀들 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의 대향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는 상기 지지암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의 전, 후방 이송력을 제공하는 전후방이송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이송부재는,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암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핀들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암의 외부면 일부분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암의 내부면 중 상기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한 스핀들암의 정, 역회전에 의해 상기 숫나사부와 암나사부의 연동으로 상기 슬라이드부가 전, 후방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상하방운동부재와 전후방이송부재에 구동에 따른 발판부의 구동각 및 발판부의 운동량을 제어 및 저장하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는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된 발판부의 운동량,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조작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기구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 운동각도, 운동속도, 운동량에 대한 상이한 제어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에 연동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기구.
KR1020120096892A 2012-09-03 2012-09-03 재활 기구 KR20140030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92A KR20140030567A (ko) 2012-09-03 2012-09-03 재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892A KR20140030567A (ko) 2012-09-03 2012-09-03 재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567A true KR20140030567A (ko) 2014-03-12

Family

ID=5064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92A KR20140030567A (ko) 2012-09-03 2012-09-03 재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5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34B1 (ko) 2015-07-31 2016-09-3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발목재활기구
US9466517B2 (en) 2012-09-12 2016-10-11 Kabushiki Kaisha Toshiba Microwave anne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09846680A (zh) * 2019-03-13 2019-06-07 泰山医学院 一种脚踝康复外骨骼装置
CN113730880A (zh) * 2021-07-09 2021-12-03 合肥工业大学 一种训练组件及关节运动康复训练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6517B2 (en) 2012-09-12 2016-10-11 Kabushiki Kaisha Toshiba Microwave anne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1661534B1 (ko) 2015-07-31 2016-09-3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발목재활기구
CN109846680A (zh) * 2019-03-13 2019-06-07 泰山医学院 一种脚踝康复外骨骼装置
CN113730880A (zh) * 2021-07-09 2021-12-03 合肥工业大学 一种训练组件及关节运动康复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42Y1 (ko) 마사지 의자
TWI449522B (zh) 按摩椅
CN103892987B (zh)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KR101486187B1 (ko) 마사지 의자
WO2009081935A1 (ja) 運動補助装置
KR20150119783A (ko) 곡형 레일을 갖춘 마사지 의자
US20100248922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WO2009084560A1 (ja) 立位で使用される他動運動機器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528562B1 (ko) 회전근개 재활운동 장치
KR20140030567A (ko) 재활 기구
JP2008264320A (ja) 運動補助装置
JP2003126191A (ja) 訓練装置
JP2005013534A (ja) 動力補助機構付き長下肢装具
KR101489945B1 (ko)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JP4450367B2 (ja) 他動運動装置
JP6867717B2 (ja) マッサージ機
TWI536979B (zh) 一種可傾倒的按摩椅
TWM604195U (zh) 自動式復健按摩椅
JP2829593B2 (ja) ベッドにおける手摺装置
CN215915113U (zh) 一种骨科用复位固定骨科矫形器
CN215840432U (zh) 一种脚部按摩仪
CN219983354U (zh) 自动化踝泵锻炼装置
CN217960685U (zh) 一种消化内科辅助老年患者胃肠蠕动装置
JP7351722B2 (ja) フットマッサー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