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515A - 차량용 실내 조명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조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515A
KR20140027515A KR1020147002023A KR20147002023A KR20140027515A KR 20140027515 A KR20140027515 A KR 20140027515A KR 1020147002023 A KR1020147002023 A KR 1020147002023A KR 20147002023 A KR20147002023 A KR 20147002023A KR 20140027515 A KR20140027515 A KR 2014002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vehicle interior
housing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고 치바
타카시 와카스기
쇼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트림에 형성된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차량 실내 조명기(11)로서, 도어 트림의 객실측에 배치된 외장부(15) 및 도어 트림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기능부(17)를 포함한다. 기능부(17)는 하우징(43) 및 광원 보호부(37)를 포함하고, 하우징(43)은 객실측으로 개방된 개구와, 벌브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광원 수용부를 구비하고, 광원 보호부(37)는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43)에 배치되고, 광원이 외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진 광통과 구멍(7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원 보호부를 포함한 차량용 실내 조명기{VEHICLE INTERIOR LIGHT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PROTECTIVE POR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차량에는 전방 윈도우에 근접하여 천장에 실내 조명기가 배치된다. 실내 조명기는 천장의 중앙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돔형 램프와는 별도로 배치되고, 필라멘트를 채용하는 벌브(전구)가 종종 실내 조명기의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콤팩트형 화장 거울인 배너티 미러(vanity mirror)가 설치되고 역광을 차단하기 위한 선바이저(sun visor)가 또한 지금까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밤 시간에 배너티 미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최근 실내 조명기는 배너티 미러 부근에 배치되며, 배너티 미러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가진 선바이저가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배너티 미러는 고부가가치의 고급 차량, 객실 램프가 구조적으로 설치될 수 없는 컨버터블(convirble) 승용차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실내 조명기(501)는 외장부(511), 광원(필라멘트)(513), 및 기능부(515)를 구비하며, 외장부(511)는 하우징(507)에 렌즈(509)를 고정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하우징(507)은 재료가 장착되는 차량의 일부로서 작용하는 천장면 같은 내벽 부재(503)의 개구(505)에 장착될 수 있고; 광원(513)은 기설정 색도(chromaticity)에 광을 방출하고; 기능부(515)는 외장부(511)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내벽 부재(503)의 배면에 배치된다. 기능부(515)는 외장부(511)에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차량용 실내 조명기(501)는 공장에서 조립되고; 단일 단위체로서 장착될 차량으로 운반되고; 차량의 내벽 부재(503)에 장착된다. 차량용 실내 조명기(501)의 운반 중에 광원(513)은 외부 부재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지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의 경우, 운반되기 전에는 외장부(511)와 기능부(515)가 상호 분리되어 미조립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부(515)가 설치된 광원(513)을 전용 광원 보호 커버(517)로 덮어서, 광원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부(515)가 통합된 형태로 외장부(511)에 조립될 때 광원 보호 커버(517)는 너무 커서 조립작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운반 이후 제거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부서지기 쉬운 광원(513)이 보호기능의 제거로 노출된 상태에서 차량용 실내 조명기(501)가 차량의 내벽 부재(503)의 개구(505)에 장착된다. 따라서, 광원(513)은 어떤 물체에 접촉하여 손상을 받거나, 천장과 같이 위로부터 물방울 또는 먼지 덩어리에 의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서,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는 운송 중에 이러한 손상이 광원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내면에 장착된 이후 광원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가 제안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들은 각각 기능부와 외장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능부는 광원을 수용하고 이 기능부에 광원 보호용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장부는 기능부가 장착될 하우징을 구비하여 내벽 부재의 개구에 장착된다. 커버를 가진 기능부와 외장부는 함께 조립되며, 이에 따라서 기능부와 외장부는 내벽 부재의 개구에 일체로 장착된다.
JP-A-2010-179837 JP-A-2010-173593
특허문헌1에 기술된 차량용 실내 조명기의 커버는 종축을 따라서 원통을 절단하여 획득되는 실질적 반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커버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는 기능부에 의해 지지되고, 광원은 커버에 수용된다. 에지들 사이에 협지된 커버의 영역은 개방되어 있다. 광원은 하향으로 노출되는 한편 개구가 하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운송 중에 커버의 개구 내부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대해서는 광원이 보호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2에 기술된 램프 유닛(차량용 실내 조명기)의 광원 보호 부재(커버)는 커버 본체 및 덮개부를 포함하며, 커버 본체는 연속적으로 광원 구동부(기능부)에 연결되어 광원의 둘레를 덮고, 덮개부는 커버 본체에 배치되고 광원 구동부가 외장부재(외장부)에 장착될 때 광원이 객실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광원 구동부가 외장부재에 장착될 때, 개폐 가능하게 커버 본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도어로 이루어진 덮개부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도어의 각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클로우(claw) 등의 결합부가 벽면 또는 외장부재와 결합한 상태에서 광원 구동부가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원 보호 부재는 조립작업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 중에 또는 차량에 광원을 조립할 때 외력으로부터 광원을 보호하고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구성(1), (2) 및 (3)에 의해 달성된다.
(1) 차량의 내벽부재에 형성된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차량 실내 조명기로서, 상기 차량용 실내 조명기는:
상기 내벽부재의 객실측에 배치된 외장부; 및
상기 내벽부재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기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하우징 및 광원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객실측으로 개방된 개구와, 광원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광원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보호부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보호부는 광원이 외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진 광통과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실내 조명기.
상기 구성(1)과 관련하여 설명된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있어서는, 객실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의 개구가 광원 보호부로 덮이고, 이 광원 보호부는 광원이 외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진 광통과 구멍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장부가 미장착된 상태에서 기능부가 운반될 경우, 손가락, 손 등과 같은 다른 부재 또는 외부부재가 광원과 접촉할 수 없다. 외장부가 미장착된 상태로 내벽부재의 램프 장착 구멍 내로 기능부만이 조립될 때, 광원 보호부가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능부가 램프 장착 구멍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손가락이나 손이 모두 광원에 접촉하지 않는다.
(2) 상기 구성(1)과 관련하여 설명된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있어서, 상기 광통과 구멍을 형성하는 광원 보호부의 내주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선에 정렬되는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
상기 구성(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있어서, 광원 수용부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광원 수용부에서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광원 보호부의 광통과 구멍을 통과할 때의 필요성 이상으로 광통과 구멍을 형성하는 광원 보호부의 내주벽에 의해 단절(차단)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광통과 구멍의 내주벽이 조사된 광의 광선에 정렬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통과 구멍을 가진 광원 보호부의 존재로 인해 광사용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상기 구성(1) 또는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부는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에 대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
상기 구성(3)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있어서, 광원 보호부는 힌지에 의해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부품의 개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이 저렴해진다. 광원의 조립작업 및 교체 중에, 광원 보호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는 운송 중에 또는 광원이 차량에 조립될 때 외력으로부터 광원을 보호할 수 있고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하기에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이하 "실시예"라 함)를 통해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기능부로부터 외장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차량용 실내 조명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기능부의 광원 보호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능부의 광원을 장착한 이후에 이용되는 조립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기능부의 광원 보호부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관한 조립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능부에 전선을 접속하기 전에 이용되는 조립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기능부의 전선이 램프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차량의 와이어 하네스에 접속된 이후 이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램프 부착 구멍에 장착된 기능부에 외장부가 장착된 이후 이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한 차량용 실내 조명기를 조립하기 직전에 이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도 8b에 도시한 A-A방향으로 볼 때, 내벽 부재에 장착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0a는 종래 차량용 실내 조명기가 내벽 부재의 개구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광원 보호 커버가 장착되기 전에 획득되는 기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11)는 차량의 내벽 부재인 도어 트림(door trim)(35)에서 개방되는 램프 장착 구멍(13)(도 6 참조)에 장착되는 코터시 램프(courtesy lamp)이다. 차량용 실내 조명기(11)는 외장부(15)와 기능부(17)로 구성된다. 외장부(15)는 도어 트림(15)의 객실측에 배치되고, 렌즈(19)(도 7 참조), 잠금부(21)(도 7 참조),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도 7 참조)를 구비한다.
렌즈(19)는 광투과성 투명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실질적 사각판을 그 일면측으로 굴곡하여 획득된 형상이 된다. 도 9a에 도시한 한 쌍의 차단편(19a)이 렌즈(19)의 오목부측(실외측)에서 돌출한다. 광차단편(19a)은 광원인 벌브(63)로부터 발원하는 광이 램프 장착 구멍(13)과 차량용 실내 조명기(11) 사이의 장착 클리어런스로부터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렌즈(19)에는 광발산 수단(27)이 형성된다.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의 렌즈 컷팅, 엠보싱 표면 등이 광발산 수단(27)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렌즈(19)의 오목면측 상에는 한 쌍의 병렬형 탄성 결합편으로서 잠금부(21)가 돌출하여 배치된다. 잠금부(21)는 기능부(17)의 양측에 배치된 결합부(74)에 탄성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렌즈(19)에 배치된 잠금부(21)가 기능부(17)의 결합부(74)에 결합됨에 따라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부(15)는 기능부(17)에 일체로 조립된다.
렌즈(19)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오목면측에는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가 돌출하여 배치된다.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는 띠형 탄성판(31)의 선단에 위치하는 결합 클로우(33)를 구비하여 도어 트림(35)의 배후와 결합한다(8a, 도 8b 참조). 광원 보호부(37)(후술함)의 결합 리브(39)(도 5 참조)와 협력하여,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는 외장부(15)와 기능부(17)가 함께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11)가 도어 트림(35)의 램프 장착 구멍(13)과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경우 렌즈(19)는 도어 트림(35)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평면이 된다.
기능부(17)는 도어 트림(35)의 실외측에 배치되어 램프 장착 구멍(13)에 장착된다. 램프 장착 구멍(13)은 도어 트림(35)에 형성된 오목형 에지(41)로 형성된다(도 6 참조). 기능부(17)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하우징(4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3)은 도출 배선부(45), 버스바 수용부(47), 광원 수용부(49), 및 반사기(51)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순차적으로 일단부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다. 단자(29)에 접속된 전선(53)은 도출 배선부(45)로부터 도출된다. 단자(29)는 버스바 수용부(47)에 수용되는 버스바(55)의 전기접점(57)에 접속된다. 도출 배선부(45)에 제공되는 랜스(미도시)를 통해 전기접점(57)에 접속되는 단자(29)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버스바(55)에는 벌브(63)에 접속되는 벌브 접점(59)이 형성된다. 버스바(55)에 압접 블레이드(56)가 형성되어 광원회로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이오드(61)에 대해 가압성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버스바(55)에는 다이 바 컷팅부가 형성되고, 버스바(55)는 다이바 컷팅부를 컷팅하여 다이오드(61)의 존부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광원은 필라멘트를 구비한 벌브(63)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벌브(63)는 광원 수용부(49)에 장착되고, 버스바(55)와 다이오드(61)로 이루어진 광원 회로에 전선(53)을 통해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광을 방출한다.
반사기(51)는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면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증착에 의해 반사기의 내주측 위에 형성된다. 벌브(63)는 반사기(51)의 중앙에 배치된다. 반사기(51)는 오목형 반사면을 가지고 벌브(63)로부터 발원하는 외향광을 높은 효율을 가지고 반사기 개구(65)를 향하여 반사한다. 벌브(63)의 광이용 효율을 강화하는 것 외에도, 도어 트림(35)의 배후에 일시적으로 누설된 광이 객실측으로 감싸 들어오는 광누설의 발생도 방지한다. 반사기(51)는 또한 전선(53)이 벌브(63)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선(53)의 용융도 방지한다.
한편,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구비한 광원 보호부(37)가 얇은 힌지(67)에 의해 객실측에 개방된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하우징(43)에 결합된다. 광원 보호부(37)는 얇은 힌지(67)에 의해 하우징(43)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원 보호부(37)는 얇은 힌지(67)에 의해 하우징(43)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 부품의 개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부품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또한, 기능부(17)의 조립 또는 벌브(63)의 교체 시에 광원 보호부(37)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 보호부(37)에는 도 1b에 도시한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구비한 그리드 형상부(71)가 형성된다. 광원 보호부(37)가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를 폐쇄할 때 반사기 개구(65)를 덮도록 그리드 형상부(71)가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사각형 광통과 구멍(73)으로 이루어진 그리드 형상부(71)는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된 크로스피스(75)로 인해 형성되어 반사기 개구(65)를 덮고, 그에 따라서 벌브(63)가 손, 손가락과 같은 다른 부재 또는 외부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드 형상부(71)의 광통과 구멍(73)의 각 영역은 손가락 또는 손이 구멍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수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조립작업 중에 실수로 손가락이 벌브(6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 보호부(37)는 원형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광원 보호부와 스태거형(staggered)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광원 보호부를 포함한다. 광통과 구멍(73)의 경우, 각각 작은 폭을 가진 복수의 슬릿형 개구가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예를 들면, 원형 광통과 구멍(73)이 엇갈려 배치되는 펀치가공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통과 구멍(73) 각각의 내주벽(89)은 조사된 광의 광선(77)(도 9a, 도 9b 참조)에 정렬된 테이퍼 면(79)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기 개구(65)의 단부를 폐쇄하는 수직 폐쇄판(81)이 광원 보호부(37)의 그리드 형상부(71)에 형성된다. 광원 보호부(37)가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를 폐쇄할 때, 수직 폐쇄판(81)은 기능부(17)의 선단측 상에서 반사기 개구(65)의 단부를 폐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보호부(37)는 버스바 수용부 폐쇄판(83)을 구비하며, 이 버스바 수용부 폐쇄판(83)은 연속하여 수직 폐쇄판(8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그리드 형상부(71)가 버스바 수용부 폐쇄판(83)과 수직 폐쇄판(81) 사이에 협지된다. 버스바 수용부 폐쇄판(83)에는 한 쌍의 병렬 클로우(85)가 돌출하여 배치된다. 클로우(85)는 하우징(43)의 양측에 배치된 각 결합 프레임(87)에 결합되고, 그에 따라서 광원 보호부(37)가 폐쇄된 형태로 하우징(43)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버스바 수용 폐쇄판(83)의 표면에는 한 쌍의 병렬로된 결합 리브(39)가 배치된다. 결합 리브(39)와 버스바 수용부 폐쇄판(83) 사이에는 결합 공간이 존재한다. 이 결합 공간에서 결합 리브(39)는 도어 트림(35)의 램프 장착 구멍(13)의 에지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 리브(39)는 램프 장착 구멍(13)의 일단측과 결합하고,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는 램프 장착 구멍(13)의 타단측에 결합하여, 차량용 실내 조명기(11)가 도어 트림(35)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의 운반 이전에, 기능부(17)가 조립된다. 기능부(17)를 조립하기 위해, 버스바(55)가 먼저 도 2에 도시한 버스바 수용부(47)에 가압 장착된다. 버스바(55)에는 적절하게 다이 바 컷팅 가공이 시행된다. 다이오드(61)가 버스바 수용부(47)에 수용된 버스바(55)에 가압 장착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63)가 광원 수용부(49)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보호부(37)는 얇은 힌지(67)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결과 클로우(85)가 각 결합 프레임(87)에 결합된다. 이 때문에,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가 광원 보호부(37)에 의해 폐쇄된다. 그 결과, 반사기 개구(65)가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그리드 형상부(71)로 덮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29)에 접속된 전선(53)이 하우징(43)에 접속되며, 이 하우징에서 반사기 개구(65)는 광원 보호부(37)에 의해 보호된다. 이에 따라서 기능부(17)의 조립이 완성되어 차량용 실내 조명기(11)가 운반가능하게 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축된 기능부(17)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와 관련하여, 외장부(15)가 아직 장착되지 않은 기능부(17)가 도어 트림(35)의 램프 장착 구멍(13)에 장착된다. 램프 장착 구멍(13)에 장착되는 기능부(17)에 있어서, 도어 트림(35)의 배후에서 차량(미도시)의 와이어하네스에 도출전선(53)이 접속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차 부재로서 렌즈(19)를 포함하는 외장부(15)가 결합부(21)에 의해 기능부(17)에 장착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부(17)에 일체로 외장부(15)가 장착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의 경우, 기능부(17)의 결합 리브(39)(도 4 참조)는 램프 장착 구멍(13)의 일단부에서 에지와 결합된다. 이어서, 외장부(15)의 내벽부재 결합 클로우(23)가 램프 장착 구멍(13)의 타단부에서 에지와 결합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장착된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에 있어서, 외장부(15)가 램프 장착 구멍(13)에 장착되고, 그 결과 렌즈(19)가 실질적으로 도어 트림(35)의 표면과 일표면이 되도록 양호한 외관을 가지고 램프 장착 구멍(13)을 폐쇄한다. 따라서 도어 트림(35)에 차량용 실내 조명기(11)를 조립하는 것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의 경우, 미장착된 상태의 외장부(15)와 함께 기능부(17)가 운반될 때,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가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광원 보호부(37)로 덮이며, 그에 따라서 손가락 또는 손 등의 다른 부재 또는 외부부재가 벌브(63)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외장부(15)가 미장착 상태에서 도어 트림(35)의 램프 장착 구멍(13)에 기능부(17)만이 장착될 때, 기능부(17)는 램프 장착 구멍(13)에 장착될 수 있는 한편 광원 보호부(37)는 하우징(43)의 객실측 개구(69)에 장착 상태로 남게 되며, 그 결과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손가락 또는 손 등이 벌브(63)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보호부(37)에서 그리드 형상부(71)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통과 구멍(73) 각각의 내주벽(89)(크로스 피스(75)의 각 외벽)은 벌브(63)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선(77)에 정렬하는 테이퍼 면(79)을 구비한다. 따라서, 광원 보호부(37)가 객실측 개구(69)에 장착된 상태에서 벌브(63)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 통과 개구(73)를 통과하여도, 광통과 구멍(73)의 각 내주벽(89)이 조사된 광의 광선(77)에 정렬된 테이퍼면(79)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벌브(63)에 의해 조사된 광이 광통과 구멍(73)들 사이에 존재하는 크로스피스(75)에 의해 필요범위를 벗어나 단절(차단)되지 않는다. 그 결과, 광원 수용부(49)의 객실측 개구(69)에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광원 보호부(37)의 존재로 인한 광이용 효율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렌즈(19)에는 광발산 수단(27)이 설치된다. 광발산 수단(27)은 벌브(63)로부터의 외향광을 발산(또는 분산)시켜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구성하는 광원 보호부(37)의 크로스피스(75)의해 야기될 수 있는 그림자가 조사(된) 광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11) 에 있어서, 벌브(63)는 운반 중이나 차량에 차량용 실내 조명기(11)를 조립하는 중에 부여되는 외력으로부터 벌브(63)를 보호하고 조립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내벽부재, 외장부, 기능부, 하우징, 광원 보호부 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기(11)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용 실내 조명기(11)는 일예로서, 도어 트림(35)에 형성되는 램프 장착 구멍(13)에 커터시 램프(courtesy lamp)가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조명기는 돔형 램프, 맵(map) 램프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실내 조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통과 구멍(73)을 가진 광원 보호부(37)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단일의 광통과 구멍이 형성된 광원 보호부 역시 예를 들면 스포트 라이트를 방출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11. 08. 02.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169566호를 기초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11. 차량용 실내 조명기
13. 램프 장착 구멍
15. 외장부
17. 기능부
35. 도어 트림(내벽 부재)
37. 광원 보호부
43. 하우징
49. 광원 수용부
63. 벌브(광원)
67. 얇은 힌지부
69. 객실측 개구
71. 그리드 형상부
73. 광통과 구멍
75. 크로스피스
77. 광선
79. 테이퍼면
89. 내주벽

Claims (3)

  1. 차량의 내벽부재에 형성된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차량 실내 조명기로서, 상기 차량용 실내 조명기는:
    상기 내벽부재의 객실측에 배치된 외장부; 및
    상기 내벽부재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기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하우징 및 광원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객실측으로 개방된 개구와, 광원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광원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 보호부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보호부는 광원이 외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진 광통과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실내 조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과 구멍을 형성하는 광원 보호부의 내주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선에 정렬되는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보호부는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에 대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기.
KR1020147002023A 2011-08-02 2012-08-01 차량용 실내 조명기 KR20140027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9566A JP2013032118A (ja) 2011-08-02 2011-08-02 車両用室内照明灯
JPJP-P-2011-169566 2011-08-02
PCT/JP2012/070133 WO2013018923A1 (en) 2011-08-02 2012-08-01 Vehicle interior light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protective po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515A true KR20140027515A (ko) 2014-03-06

Family

ID=4672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023A KR20140027515A (ko) 2011-08-02 2012-08-01 차량용 실내 조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40086A1 (ko)
JP (1) JP2013032118A (ko)
KR (1) KR20140027515A (ko)
CN (1) CN103732449A (ko)
DE (1) DE112012003204T5 (ko)
WO (1) WO20130189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608A (en) * 1905-12-18 1906-11-13 Western Electric Co Cap for signal-lamps.
ES162742Y (es) * 1970-10-27 1971-07-16 Amp, Incorporated Un conjunto de lampara electrica.
US4899263A (en) * 1984-11-02 1990-02-06 Casco Products Corporation Lamp fixture for illuminating interior of cigar lighter socket
FR2684495B1 (fr) * 1991-12-03 1996-09-06 Valeo Vision Prise de cou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628755A1 (de) * 1996-07-17 1998-01-22 Abb Patent Gmbh Beleuchtungseinsatz
JP2001294082A (ja) * 2000-04-14 2001-10-23 Yazaki Corp 車両の室内照明装置
US6888723B2 (en) * 2001-12-26 2005-05-03 Toyoda Gosei Co., Ltd. LED lamp apparatus
DE10211620B4 (de) * 2002-03-15 2007-08-30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Leuchtmittelmodul mit integriertem Leuchtmittel
DE102009041866C5 (de) * 2009-09-17 2013-08-22 Armin Harecker Kochgefäßaufsatz zum Verhüten des Überkochens von Flüssigkeiten
JP5576671B2 (ja) 2010-02-22 2014-08-2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冷却装置
KR101449490B1 (ko) * 2012-12-06 2014-10-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0086A1 (en) 2014-05-22
WO2013018923A1 (en) 2013-02-07
CN103732449A (zh) 2014-04-16
JP2013032118A (ja) 2013-02-14
DE112012003204T5 (de)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3076A1 (en) Vehicular lamp and window unit
US8534882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vehicle room illumination lamp
JP5906050B2 (ja) 車両用灯具
US9016918B2 (en) Lighting device
US7665869B2 (en) Light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JP2006027597A (ja) カバーを有する車両の終端領域
JP2015063230A (ja) 車両用内装材
CN106979493B (zh) 跨过封闭间隙的照明源
KR200469049Y1 (ko) 차량 도어 스피커의 무드램프
US7946742B2 (en) In-vehicle illuminating device
JPWO2015076113A1 (ja) 車輌用灯具
JP5339946B2 (ja) 車両室内照明灯の組付構造
KR20140027515A (ko) 차량용 실내 조명기
US913276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l backlight for an automotive
KR101822525B1 (ko) 램프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선바이저
US11480310B2 (en) Vehicular lamp body
CN115610201A (zh) 一种使用柔性光导和外置光源的发光外水切
KR101305782B1 (ko) 차량용 비상표시장치
JP2011170550A (ja) 車載通信装置
JP2005125869A (ja) 室内照明灯
MXPA06013498A (es) Pestaña de montaje de lampara reflectorizada.
US8425095B2 (en) Mirror assembly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KR101477789B1 (ko) 헤드램프
JP7394693B2 (ja) 照明装置付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