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490B1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90B1
KR101449490B1 KR1020120140712A KR20120140712A KR101449490B1 KR 101449490 B1 KR101449490 B1 KR 101449490B1 KR 1020120140712 A KR1020120140712 A KR 1020120140712A KR 20120140712 A KR20120140712 A KR 20120140712A KR 101449490 B1 KR101449490 B1 KR 10144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signal
touch sensor
noi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667A (ko
Inventor
박홍준
이상수
여동희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90B1/ko
Priority to US14/346,230 priority patent/US20150293636A1/en
Priority to PCT/KR2013/011138 priority patent/WO2014088304A1/ko
Priority to JP2014551217A priority patent/JP5847333B2/ja
Priority to CN201380003137.6A priority patent/CN103988157B/zh
Priority to DE112013005869.3T priority patent/DE112013005869T5/de
Publication of KR2014007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식센서(capacitive sensor)나 인덕티브센서(inductive sensor) 등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을 인식하되, 사용자 동작 또는 물체 동작 변화속도에 비해 비교적 고주파의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time periodic)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에는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 센서소자에서 유기되는(induced) 노이즈가 센서회로 수신부의 최종출력신호에 나타나는 영향을 줄임으로써, 비교적 작은 진폭의 입력신호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신호대잡음비(SNR)를 확보하기 위한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소자에서 유기된 노이즈가 센서회로 최종출력에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하였다.
(1) 센서소자의 복수의 출력전압을 조합한 피드백 신호를 센서소자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회로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2) 구동신호생성회로는 주기신호생성회로 출력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조합한 후, 이 조합된 신호를 공진주파수가 주기신호생성회로 출력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회로(resonator)를 통과시키고, 이 공진회로(resonator) 출력신호를 센서소자 구동신호로 사용한다.
(3) 상기 두 가지 방식을 네거티브 피드백 회로로 결합함으로써, 센서소자에 유기된 노이즈 성분 중에서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주기신호생성회로 출력신호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근접한 주파수 성분은 크게 감쇄되어 센싱 장치의 최종출력신호에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해, 본 발명을 액정표시장치(LC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에 적용하였다. 즉, 본 발명을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의 교차하는 두 전극 사이의 상호(mutual) 커패시턴스(정전용량)의 터치 동작에 따른 변화값을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는 노이즈에 둔감하게 추출하도록 한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에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디스플레이와,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위치하거나(on-cell) 내부에 내장되는(in-cell) 터치센서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센서에 있어서,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time periodic) 신호들을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110),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센서패널을 구동하는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부(120),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20) 출력신호를 제 1 방향 전극들 중 한 개 또는 복수 개에 인가하고 제 2 방향 전극들을 제1수신부(150) 입력단에 연결하는 터치센서패널,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제 2 방향 전극들에 대해 각각 전하증폭기를 연결하고 전하증폭기의 출력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수신부(150), 상기 제 1수신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 중에서 일부를 입력으로 받아 상호정전용량 또는 그 차이값에 비례하는 저주파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들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인 피드백신호를 상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생성부(120)에 인가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다음의 세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자체 생성 노이즈(VCOM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자체 생성 노이즈의 상기 출력신호(상기 제 2 수신부 출력신호)에 대한 영향을 네거티브 피드백 동작을 이용하여 감소시켰다. 즉, 터치센서패널에서 인가되는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자체 노이즈(VCOM 노이즈)가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로 나타나는데 이를 구동신호생성부(120)로 보내어 구동신호생성부(120)에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자체 노이즈 성분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에 평판디스플레이 자체 노이즈 영향이 최소화된다.
둘째,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20)에 공진주파수가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회로(resonator) 회로(resonator circuit)를 두고,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조합하여 생성한 신호를 공진회로(resonator) 회로에 인가하고, 제2 수신부에 곱셈기 또는 쵸퍼회로를 두어 제 1수신부 출력신호와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를 곱하고 그 곱한 결과 신호를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Low pass filter)를 통과시켜 상기 제 2 수신부의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제2 수신부 출력신호에,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는 감쇄되지 않고 그대로 나타나는데 비해 터치센서패널에서 인가되는 평판디스플레이 자체생성 노이즈(VCOM 노이즈)는 크게 감쇄되어 나타난다. 이로써 제2 수신부 출력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를 크게 향상시킨다.
셋째, 전하증폭기를 대역통과(band pass) 구조로 변경하고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 주파수 및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를 전하증폭기의 통과대역 범위에 포함시켰다. 이로써 평판디스플레이의 공통전극(VCOM) 노이즈에 의해 전하증폭기에 사용된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의 포화현상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세 가지 방식 등을 이용하여 터치센서 회로의 신호대잡음비(SNR)를 향상시킴으로써 터치센서 칩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고전압 구동회로를 제거하여 터치센서 칩 제작 가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센싱 장치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전식센서(capacitive sensor)나 인덕티브센서(inductive sensor)와 같이 센싱하려는 사용자 동작 또는 물체 동작의 변화속도에 비해 비교적 고주파인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time periodic)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에 있어서, 센서소자에서 유기되는(induced) 노이즈가 수신부의 최종출력신호에 나타나는 영향을 줄임으로써, 비교적 작은 진폭의 입력신호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신호대잡음비(SNR)를 확보하기 위한 센서회로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해, 본 발명의 내용을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이하 LCD라 약칭한다)와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약칭한다)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터치센서에 적용하였다.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어 터치센서패널에 유기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비교적 작은 진폭의 입력신호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신호대잡음비(SNR)를 확보하는 터치 센싱 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보였다.
정전식센서(capacitive sensor)나 인덕티브센서(inductive sensor)는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식센서와 인덕티브센서에서 센서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동작 또는 물체 동작의 변화속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주파수인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한다. 이는 인가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비교적 높아야만 센서장치에서의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또는 자기적(magnetic) 커플링(coupling) 현상을 통해 비교적 큰 값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센서장치에서 유기되는 노이즈 성분도 센서회로의 출력신호에 나타나므로 충분한 신호대잡음비(SNR)를 얻기 위해서는 센서장치에 입력되는 구동신호의 진폭을 크게 증가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하여, LCD와 OLED 등의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터치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센서회로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다.
최근 휴대폰이나 태블릿(tablet) PC 등에서 LCD와 OLED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센서패널을 부착하고 이를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한 터치동작을 통해 입력장치로 사용한다.
초기의 터치센서패널에서는 저항식(resistive, 감압식) 터치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터치센싱을 위해서는 기계적 움직임이 전달되어야 하므로, 이 장치들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기계적 움직임을 제거한 정전식(capacitive) 터치센서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은 평판디스플레이 위에 터치센서패널용 유리판(glass plane)을 위치시키고 그 위에 강화유리를 붙인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강화유리 위에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터치하더라도 강화유리 아래에 위치한 터치센서패널용 유리판과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계적 움직임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은 반복적인 터치동작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감소하는 단점이 없다.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용 유리판에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서 서로 교차하는 전극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극들은 보통 투명전극(Indium Tin Oxide)이나 나노 와이어 등으로 구현한다.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은 자체(self)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과 상호(mutual)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자체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동시에 터치하는 개수가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호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이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자체(self) 커패시턴스는 각 도선과 기준노드 사이의 커패시턴스이고 상호(mutual) 커패시턴스는 교차하는 두 도선 사이의 커패시턴스이다. 자체(self) 커패시턴스의 기준 노드(그라운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경우에는 LCD 공통전극(VCOM) 단자에 해당하고 OLED에서는 공통 캐소드(cathode)단자에 해당한다.
그런데 상호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정전식 터치방식에서는 LCD나 OLED 등의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는 공통전극(VCOM) 노이즈로 인해 신호대잡음비(SNR)가 상당히 작다. 여기서 공통전극(VCOM)노이즈는 LCD공통전극(VCOM)노이즈와 OLED공통 캐소드(cathode)전극 노이즈를 통칭한다. 따라서 이 정전식 터치 방식에서는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는 공통전극(VCOM)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인 사상을 설명하기에 앞서 LCD의 구조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OLED에서도 LCD에서와 유사한 메카니즘에 의해 공통전극(VCOM)노이즈가 발생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LCD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는 대체로 VA(vertical alignment) 방식과 IPS(in-plane switch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VA 방식이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전극(VCOM) 노드가 평면(plane) LCD를 구성하는 두 개의 유리기판 중에서 LCD의 백라이트에서 멀리 위치한 LCD의 상단 유리기판에 위치하므로 정전식 터치센서패널 전극으로부터 거리가 가깝다.
IPS 방식에서는, 도 1b에 보인대로, 공통전극(VCOM) 노드가 백라이트에서 가까이 위치한 LCD의 하단 유리기판에 위치하므로 정전식 터치센서패널 전극으로부터 거리가 멀다. 그런데 IPS 방식에서는 터치센서패널과 LCD 사이에 비교적 저항값이 큰 정전기 방지막을 제외하면 도전(conductive) 평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터치센서패널 전극이 TFT나 소스 드라이버가 구동하는 비디오 신호(analog Gray scale 신호)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LCD의 픽셀은 두 개의 전극과 이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liquid crystal) 및 컬러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 전극들은 유리판 위에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구성된 투명전극으로 제작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전극 가운데 한 개의 전극에는 소스드라이버로부터 TFT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가 인가된다. 다른 한 개의 공통 노드에는 모든 픽셀에 공통으로 DC 5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공통 노드를 공통전극(VCOM) 노드라고 부른다.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은 보통 터치센서패널 자체로는 그라운드 또는 기준 전극이 없고, 바로 LCD 장치 위에 부착되므로 LCD 공통전극(VCOM) 노드가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의 기준전압 노드로 작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LCD에서 각 행(row)에 해당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G1~G3)은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에는 매우 많은 개수(full HD 경우 약 6000개)의 TFT 스위치의 게이트 노드가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 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에는 수십 pF의 비교적 큰 커패시턴스가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신호는 오프(off)시 -5V 정도, 온(on)시 +25V 정도의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 신호의 상승(rising) 에지 및 하강(falling) 에지 시간에는 짧은 시간 동안 상당히 큰 전압 변동이 발생하므로 (CdV/dt)로 표시될 수 있는 상당한 크기의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 IN(t)가 TFT의 게이트커패시턴스(CGD)와 액정커패시턴스(CLC)를 통하여 LCD 공통전극(VCOM) 노드로 흘러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의 구동신호에 의한 공통전극(VCOM) 노이즈 발생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변위전류 IN(t)가 투명전극으로 구성된 공통전극 면(VCOM plane)을 통과한 후 LCD 공통전극(VCOM) 구동회로(driver)의 출력저항(RO)을 통하여 흐르므로 LCD 공통전극(VCOM) 파형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 시각에 임펄스(impulse)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신호는 순차적으로 다음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으로 이동하는데 모든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에서 게이트 드라이버 신호의 상승에지와 하강에지 구간마다 공통전극(VCOM) 노이즈는 임펄스 형태의 파형을 가지게 된다.
정전식 터치 방식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체(self)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과 상호(mutual)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자체 커패시턴스는, 터치할 경우에 사람 신체와 지구(earth)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더해져서 그 값이 증가하므로 이 현상을 이용하여 터치 유무를 판단한다. 또 자체 커패시턴스는 그 값이 20 pF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비교적 큰 커패시턴스 값을 가지므로 LCD 공통전극(VCOM) 노이즈에 비교적 둔감하다.
그런데 정전식 터치 방식에서, 동시에 터치하는 위치의 개수가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호(mutual) 커패시턴스를 측정해야 한다. 터치동작이 있을 경우에 터치되는 위치에서 교차하는 두 전극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 값은 감소한다. 그런데 상호 커패시턴스는 보통 1pF 정도의 값을 가지는데, 터치동작에 의해 상기 상호 커패시턴스 값이 10%∼20% 정도 감소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도 8에 보인대로 상기 상호커패시턴스(CMi,j)의 한 쪽 전극(X[j])은 전하증폭기의 inverting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 (Y[i])은 구동신호생성부(120)에 연결된다. 상기 CM.i,j는 i번째 Y전극(Y[i])과 j번째 X전극(X[j])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이다. 상기 Y[i]전극과 상기 X[j]전극이 교차하는 위치에 터치 동작이 발생하면, CM.i,j값이 10%∼20% 정도 감소하여 전하증폭기 출력 전압 진폭도 감소한다. 이는 전하증폭기의 출력전압진폭이 CM.i,j변화와 같은 비율로 구동신호전압 진폭에 CM.i,j/CF 값을 곱한 값과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하증폭기의 inverting 입력단자에 연결된 터치센서패널전극(X[j])과 공통노드(VCOM)전극 사이의 자체(self) 커패시턴스(CSXj)를 통하여 공통노드 노이즈(VCOM noise) 전압에 CSXj/CF를 곱한 전압이 전하증폭기 출력전압에 더해진다.
비록 공통전극(VCOM) 노이즈 진폭은 터치센서패널 구동 신호의 진폭보다 작지만 자체(self) 커패시턴스(CSXj)가 상호 커패시턴스(CM.i,j)보다 보통 20배 또는 그 이상이 되므로, 전하증폭기 출력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가 1보다 작은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호 커패시턴스 측정방식의 터치센서에서 LCD 공통전극(VCOM) 노이즈를 극복하고 터치 유무를 안정적으로 판정하려면, 노이즈 감소 방식의 터치센서가 필수적이다.
상호 커패시턴스 측정 방식의 터치센서에서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는 공통전극(VCOM)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서 상기 전하증폭기 출력전압의 신호대 잡음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1) Chopper 방식,
(2)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방식,
(3)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식,
(4) 평판디스플레이가 동작하지 않은 시간구간에만 터치센서패널을 동작시키는 방식.
첫째, 초퍼(chopper) 방식은,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에 인가하는 구동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수신회로부에 인가하고, 수신회로부의 전하증폭기 출력신호와 상기 구동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초퍼 회로에서 서로 곱한 후, 그 출력신호를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low-pass filter)를 통과시킴으로써,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 출력에서 공통전극(VCOM)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둘째,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방식은, 수신회로부 출력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를 1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방식이다.
셋째,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식은, 공통전극(VCOM) 노이즈의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 노이즈 크기가 작은 주파수를 찾아내고 구동신호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에 맞추는 방식이다. [미국특허공개 US 2008/0157882]
넷째, 평판디스플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구간에만 동작시키는 방식은, 평판디스플레이에서 1프레임의 화면전송이 완료되고 다음 프레임의 화면전송이 시작되기까지의 시간구간인 VBLANK구간에서는 공통전극(VCOM)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VBLANK 구간에서만 터치센서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식이다. [미국특허공개 US 2009/0009483]
상기 전하증폭기 출력전압의 신호대잡음비(SNR)를 1보다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신호의 peak-to-peak전압 값이 20V 이상이었으나 최근에는 상기한 해결책 중에서 몇 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5V 정도로 낮아졌다. 그런데 5V는 여전히 최근 반도체 칩의 공급전압보다 훨씬 크므로 추가적인 VCOM 노이즈 감소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구동신호의 peak-to-peak 전압값을 3V 또는 1V 정도로 낮추게 되면 별도의 공급전압을 추가하지 않고 현재 사용하는 반도체 칩의 공급전압을 구동신호 발생부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에서 입력신호의 진폭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유지하면서도 센서소자에서 유기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센서회로의 최종출력신호 신호대잡음비(SNR)를 비교적 큰 값으로 유지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정전식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에 적용하여 입력신호의 진폭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유지하면서도 평판디스플레이의 자체 생성 노이즈에 둔감하게 터치의 유무 및 터치된 위치를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소자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센서는,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time periodic) 신호들을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110),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센서소자(130)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부(120),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20) 출력단자에 센서소자(130)의 입력단자가 위치하며 제1수신부(150) 입력단자에 상기 센서소자(130)의 출력단자가 위치하는 센서소자(130), 상기 센서소자(130)의 출력단자에 전하증폭기를 연결하고 전하증폭기의 출력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수신부(150), 상기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와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 중에서 일부를 입력으로 받아 센서소자(130) 또는 그 차이값에 비례하는 저주파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들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인 피드백신호를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20)에 인가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소자(130)를 측정하는 본 발명을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의 터치센서패널에 적용하는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디스플레이와,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위치하거나(on-cell) 내부에 내장되는(in-cell) 터치센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회로는 센서소자에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진폭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유지하면서도 센서소자에서 유기된 노이즈의 영향이 센서회로의 최종출력신호에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센서회로의 최종출력신호 신호대잡음비(SNR)를 비교적 큰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장치 칩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고전압 구동회로를 제거하여 센싱 장치 칩 제작 가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을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에 적용시키는 경우,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된 공통전극(VCOM) 노이즈의 영향이 터치 센싱 장치의 최종출력신호에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디지털 신호레벨로 유지할 수 있어서 센싱 장치 칩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고전압 구동회로를 제거하여 센싱 장치 칩 제작 가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블랭크(VBLANK) 시간 구간뿐만 아니라 평판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모든 시간영역에서 센싱 장치 내의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센싱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VA(Vertical Alignment) 방식의 LCD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IPS(In Plane Switching) 방식의 LCD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의 순차적 구동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의 구동신호에 의한 공통전극(VCOM) 노이즈 발생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보인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센서소자를 측정하려는 물리량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가변센서소자(131)와 상기 물리량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고정센서소자(133)로 분리하여 구현한 센싱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수신부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수신부에 전하증폭기가 연결된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기존(conventional)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사상을 정전식 터치에 적용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신부의 실시 예 가운데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도10a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 실시 예 가운데 하나이다.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신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수신부의 증폭기를 대역통과필터 형태로 실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수신부의 증폭기를 보다 더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파형을 보인 것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증폭기의 출력전압의 특성을 보인 것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증폭기의 출력전압의 또 다른 특성을 보인 것이다.
도 13은 기존(conventional)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와 본 발명의 센싱 장치의 제1수신부(150)의 출력전압을 주파수 영역에서 비교한 도면이다.
도 14는 상호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제2 수신부의 저역통과기(LPF) 출력파형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이란 본 발명의 센싱 장치가 적용된 기기를 동작시키는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또는 물체를 통하여 하는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정전변화(capacitive coupling)을 유도하기 위해, 자기식(magnetic)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자기변화(inductive coupling)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의 몸체 일부,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구 등을 통하여 패널을 터치하는 동작, 패널에 근접하는 동작 등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당연하지만 본 발명의 센싱 장치는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에 의해 제기되는 정전변화, 자기변화, 광량의 변화, 주파수나 전압 또는 기타의 변화는 사용자의 의도된 입력으로 인식한다.
또한 당연하지만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이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센싱 장치가 포함된 기기를 동작하기 위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비의도적 동작은 포함되지 않는다. 예컨대 주위온도, 기압, 습도 등의 자연스러운 변화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는 정전식(capacitive) 센싱 장치와 인덕티브(inductive) 센싱 장치 등, 센서 소자의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측과 출력신호를 얻는 출력측을 커플링시키기 위해 센싱하려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환경변화의 속도에 비해 비교적 고주파의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periodic)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에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센싱 장치로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적 커플링(electrical coupling) 현상을 이용하는 각종 정전식 센싱 장치와 자기적 커플링(magnetic coupling) 현상을 이용하는 각종 자기센싱 장치를 포함한다. 기존(conventional) 센싱 장치는 도 4의 구동신호생성부(120)와 피드백신호생성부(140) 없이 입력신호를 그대로 구동신호로 사용하므로, 센서소자(130)에서 유기되는 노이즈가 감쇄되지 않고 제2수신부(160) 최종출력신호에 그대로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도 4에 보인 본 발명에서는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를 피드백신호생성부(140)에 인가하여 피드백신호생성부(140) 출력신호와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를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구동신호생성부(120), 센서소자(130), 제1수신부(150)와 피드백신호생성부(140)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피드백회로 동작에 의하여, 제2수신부(160) 최종출력신호에 센서소자(130)에서 유기되는 노이즈가 감쇄되어 나타난다. 센서소자(130)란 터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패널을 내장하고 있는 LCD이거나 OLE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대한 센싱 장치(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구동신호생성부(120)는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에서 피드백신호생성부(140) 출력신호(VFB)를 뺄셈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공진회로(resonator)를 통과시킨 신호를 구동신호생성부(120) 출력신호(VSTM)로 출력한다. 센서소자(130)는, 측정하려는 물리량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가변센서소자(131)(Csens)와 상기 물리량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고정센서소자(133)(Cfix)로 분리하여 구현한다. 제1수신부(150)는 상기 가변센서소자(13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회로와 상기 고정센서소자(13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회로로 분리하여 구현하며, 각각의 전달함수는 동일하다. 상기 제1수신부(150)의 가변센서소자(131)의 증폭된 출력신호(Vsens)는 제2수신부(160)의 입력신호로 사용하고, 상기 제1수신부(150)의 가변센서소자(131)의 증폭된 출력신호(Vsens)와 상기 제1수신부(150)의 고정센서소자(133)의 증폭된 출력신호(Vfix)는 모두 피드백신호생성부(140)의 입력신호로 사용한다. 피드백신호생성부(140)는 상기 두 입력신호의 평균값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신호(VFB)로 출력한다.
도 5에서 제1수신부(150)의 가변센서소자(131)의 증폭된 출력신호(Vsens)는 수학식1로 표시된다. VN은 센서소자(130)에서 유기된 노이즈이고 A(s)는 공진회로(resonator)(123)의 전달함수이고 B(s)는 제1수신부(150)의 내부에 있는 증폭기의 전달함수 이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1
도 5에서 공진회로(resonator)의 전달함수 A(s)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2
여기서 s는 jω와 동일하다(단,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3
). 따라서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 ω0 또는 ω0에 가까운 신호 주파수(ω)에서는 A(jω)값이 1보다 매우 크고 ω값이 ω0에서 멀어질 경우에는 A(jω)값이 1보다 작아진다. 도 5에서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VS) 주파수가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ω0)와 같을 때는 제1수신부(150)의 가변센서소자(131)의 증폭된 출력신호(Vsens)는 수학식3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가변센서소자(131)의 전달함수(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4
)와 고정센서소자(133)의 전달함수(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5
)를 같게하면, 센서소자(130)에서 유기된 노이즈가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Vsens)에 상쇄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6
도 5에서 구동신호생성부(120) 출력신호(VSTM)은 수학식4로 표시되고,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 주파수가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ω0)와 같을 때는 수학식5로 표시된다. 수학식5의 경우 센서소자(130)에 유기된 노이즈(VN)이 서로 상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신호생성부(120) 출력신호(VSTM)에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7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8
도 5에서 제1수신부(150)를 구성하는 증폭기의 전달함수 B(s)는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1수신부(150)를 구성하는 증폭기의 출력단자전압이 상기 센서소자(130)에서 유기된 노이즈(VN)로 인해 포화(saturation)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일반적인 센서에 적용한 내용을 보였다. 즉,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센싱 장치이기만 하면, 그것이 정전식이든, 자석식(magnetic)이든 모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액정표시장치(LC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터치센서에 적용하였다. 터치 센싱 장치는 시간에 대해 주기적인 신호, 예컨대 사인파(sine wave) 또는 펄스파(pulse wave)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터치센서에 적용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자체 생성되어 터치센서패널에 유기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줄여서 비교적 작은 진폭의 입력신호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신호대잡음비(SNR)를 확보하였다.
본 발명을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의 터치센서패널에서 적용하면 도 6의 그림과 같이 된다. 도 7은 도 6의 수신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는 정전식(mutual capacitance measuring) 터치 센싱 장치(10)는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110), 터치센서패널에 인가할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부(120), 터치센서패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수신부(150),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하고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140)와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와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수신부(16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센서패널(171)은 평판디스플레이(170)의 상부에 부착된다. 그러나 실제 본 발명은 터치센서패널이 평판디스플레이 상부에 위치하는(on-cell) 형태 외에 터치센서패널이 평판디스플레이 내부에 내장되는(in-cell) 형태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터치센서패널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으로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Y[i] 계통의 전극라인, 장차 수신부 또는 제1 수신부로 연결되는 신호인 X[j]계통의 전극라인 및 이들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 CM이 잘 나타나 있다.
도 9는 기존(conventional)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로서, 상기 정전식 터치센서패널에 터치센서 회로를 연결하여 교차하는 두 도선 사이의 상호(mutual) 커패시턴스(CM)를 측정함으로써 터치의 유무 및 위치를 알아낸다. 도 9에서 X[j] 전극에 연결된 자체(self) 커패시턴스 CSXj와 Y[i] 전극에 연결된 자체 커패시턴스 CSXj와 Y[i]전극에 연결된 자체 커패시턴스 CSYi는 각각 도 8의 X[j]전극과 Y[i]전극이 LCD경우에 LCD 공통전극(VCOM) 단자와 형성하는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도 9의 상호 커패시턴스 CM.i,j는 도 8의 Y[i]전극과 X[j]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로서, 상기 Y[i]전극에 구동신호(VS)를 인가하고 X[j]전극을 제 1수신부(150)의 입력단자에 연결한다. 도 9에서, 구동신호는 그 주파수와 진폭이 시간에 대해 일정한 값을 가지는 사인(sine)파형 또는 펄스(pulse)파형 신호이고, 제1수신부(150)는 전하증폭기로 구성된다.
도 9에서 전하증폭기(charge amplifier)에 사용된 연산증폭기의 이득을 무한대로 가정하였을 때,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 VO.j(s)는 s-도메인 영역에서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09
도 10a에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를 보였다. 도 9의 기존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와 다른 점은, 도9의 터치센서 구동신호(VS)는 그 주파수와 진폭 값이 각각 시간에 대해 일정한 상수(constant)값을 유지하는데 비해, 도 10a의 터치센서 구동신호(VSTM)는 그 주파수와 진폭 값이 각각 시간에 대해 변하는 점이다. 도 10a에서 구동신호생성부(120), 터치센서패널과 제1수신부(150)가 하나의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negative feedback loop)를 형성함으로써 터치센서패널에서 인가되는 노이즈(VCOM 노이즈 등)가 (1+루프게인)배 만큼 감소되어 출력단에 나타난다. 제1수신부(150)를 구성하는 전하증폭기(charge amplifier)에 사용된 연산증폭기의 이득을 무한대로 가정하였을 때,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VO.j(s))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0
도 10a에서 구동신호생성부(120)는 합산기(adder)와 주파수선택소자(frequency selective element)로 구성되는데, 주파수선택소자는 신호주파수에 따라 그 전달함수(A(s))값이 변하는 소자이다. 도 10a에서 전하증폭기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이 무한대인 경우에는, 그 루프게인 값은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1
로 주어진다.
상기 주파수선택소자(A(s))는 공진회로(resonator)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s는 jω와 동일하다(단,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2
). 따라서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 ω0 또는 ω0에 가까운 신호 주파수(ω)에서는 A(jω)값이 1보다 매우 크고 ω값이 ω0에서 멀어질 경우에는 A(jω)값이 1보다 작아진다. 도10a의 구동신호생성부(120)의 입력신호 VS(s)의 주파수를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 ω0와 같게 하는데, 수학식8에 이 경우의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 VO.j의 식을 보였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3
보통 터치센서패널에서 상호 커패시턴스 CM.i,j는 1pF 정도이고, 자체 커패시턴스 CSXj는 20pF 또는 그 이상의 값을 가지고, 전하증폭기의 CF도 CM.i,j보다 큰 값을 가진다. 수학식6과 수학식8을 비교하면, 본 발명(수학식 8)에서는 입력신호 VS에 대한 이득값은 CM.i,j/CF에서 1로 증가하고 VCOM 노이즈에 대한 이득 값은 A(jω0)배 만큼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터치센서 회로에서는, 입력신호 VS의 주파수를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 ω0와 같게 하거나 ω0에 가까운 값으로 할 경우에, VCOM 노이즈가 제1수신부 출력전압(VO,j)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수학식 8에서는 출력신호 VO,j에 측정하려는 상호 커패시턴스 CM.i,j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도 10a에서 구동신호생성부 입력신호로, 한 개의 전하증폭기 출력신호(VO,j) 만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전하증폭기 출력신호들의 평균값에 비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10c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수신부(160)는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 VO,j를 입력으로 받아 DC 또는 저주파신호를 최종출력신호로 출력시킨다.
제2수신부(160)를 구현하는 실시 예 가운데 하나는, 도 10b에 보인대로, 곱셈기(또는 쵸퍼)다음에 저역통과필터(LPF)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VS신호의 주파수 또는 이 주파수에 가까운 신호성분만을 추출한 신호(VOL,j)를 만든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하여 디지털(VOD,j) 신호로 만드는 것이다. 도 10b의 제2수신부(160)는 기존 터치센서에서도 주로 사용한다. 도 10a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회로에 도 10b의 제2수신부(160) 회로를 사용한 경우와 도9의 기존 터치센서 회로와 도 10b의 제2수신부(160) 회로를 직렬로 연결한 경우를 비교하면, 최종출력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가 본 발명에 따른 경우가 크게 증가한다. 수학식 9와 수학식 10에 각 경우의 신호대 잡음비를 보였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4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5
수학식9에서 기존 터치센서 회로에서 SNR값을 증가시키려면 상기 입력신호 VS의 진폭을 증가시켜야 함을 알 수 있다. 수학식9와 수학식10을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라 SNR 값이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6
[dB]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공진회로(resonator) 이득 A(jω0)값을 증가시키면 상기 입력신호 VS의 진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충분히 큰 SNR값을 얻을 수 있다.
도 10a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에서는, M×N 터치센서패널을 사용할 경우에 N개의 전하증폭기 출력가운데 한 개의 출력(VO.j)만을 사용하여 구동신호(VSTM)를 생성하였는데, 실제로는 N개의 출력신호를 모두 사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도 10c에 보인대로, N개의 전하증폭기 출력신호 (VO.1, VO.2, ... , VO.N)를 모두 사용하여 구동신호 생성부에 사용하는 피드백신호인 VFB를 생성하기 위해, 피드백신호생성부(140)를 추가하였다. 또, 도 10c에 보인대로, 구동신호생성부(120)의 출력신호인 VSTM을 순차적으로 M개의 터치센서패널 전극 가운데 하나에 인가하기 위해 1-to-M MUX를 사용한다. 도 10c에서는 M개의 터치센서패널 전극 가운데 하나인 i-번째 전극인 Y[i]에 VSTM을 인가하고 Y[i]와 수직방향으로 달리는 N개의 전극(X[1], X[2], ... X[N])을 각각 한 개 씩의 전하증폭기 입력에 연결한 경우를 보였다. Y[i] 전극과 X[j] 전극은 상호커패시턴스 CM.i,j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140)의 출력신호 VFB는 N개의 입력신호(전하증폭기 출력신호)의 평균(averaging)값에 비례하게 생성한다. 이는, 피드백신호생성부(140)가 j번째에 해당하는 1개의 제1수신부(150)의 출력을 이용하여 피드백신호(VFB)를 생성하게 되면 수학식8과 같이 제1수신부(150)의 출력(VO.j)에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ω0)에서 측정하려는 j번째의 상호커패시턴스(CM.i,j)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드백신호생성부(140)는 N개의 제1수신부(150) 출력값들을 평균하여 피드백신호(VFB)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X[j] 전극을 입력으로 하는 제1수신부(150)의 출력전압(VO.j(s))는 수학식11와 같고,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ω0)에서의 출력전압(VO.j(jω0))는 수학식12와 같이 되어, j번째 상호커패시턴스(CM.i,j)의 변화가 입력신호 VS(jω0)에 곱해져서 제1수신부(150)의 출력전압(VO.j(jω0))에 나타나므로, j번째 상호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12에서 보면,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ω0)와 같을 경우는, 자체커패시턴스(CSXk)가 모든 k값(k = 1, 2, ... ,N)에서 같은 값을 가지고 상호커패시턴스(CM,i.j)가 모든 j값 (j = 1, 2, ... , N)에서 같은 값을 가지면, VCOM 노이즈가 제1수신부(150) 출력전압(VO.j(jω0))에 나타나지 않는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7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8
상기 도 10c 제2수신부(160)는 상기 제1수신부(150)의 출력신호(VO.1, VO.2, ... , VO.N)와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VS)를 입력으로 하고 최종출력신호(VOD)를 생성한다. 제2수신부(160)를 구현하는 상세 회로의 다른 예를 도 10d에 보였다. N개의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VO.1, VO.2, ... , VO.N) 각각에 대해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VS)를 곱셈기(multiplier) 또는 쵸퍼(chopper)회로(161)를 이용하여 서로 곱한 후에 저역통과필터(LPF : low pass filter)(163)를 통과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 성분 중에서 주기신호생성부(110) 출력신호(VS)와 주파수와 위상이 서로 같은 성분만 LPF 출력신호로 출력되고 터치센서패널 등에서 인가되는 노이즈로 인한 성분은 LPF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다. 도 10d의 N개의 LPF출력(VOL.1, VOL.2, ... , VOL.N)은, DC에 가까운 느린 신호이므로, 보통 N개의 LPF출력신호를 디멀티플렉서(DEMUX, 167)를 통과시켜 한 개의 ADC(165)로 time multiplexing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도 10a에 보인 제1수신부(150) 전하증폭기의 출력전압(VO.j)는 -(CM.i,j/CF)*VSTM와 -(CSXj/CF)*VCOM의 합으로 주어진다. 그런데 터치센서패널의 자체커패시턴스(CSXj) 값은 보통 수십 pF 이고 상호커패시턴스(CM.i,j) 값은 1 pF 정도 이고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VSTM)와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진폭은 대체로 유사한 값을 가지므로, -(CSXj/CF)*VCOM값이 -(CM.i,j/CF)*VSTM보다 훨씬 크게되어 전하증폭기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을 포화시키기 쉽다. 이 경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VSTM)가 전하증폭기의 출력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값으로 나타나지 못하게 되어 전하증폭기 출력신호의 SNR값이 줄어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0a에 보인 전하증폭기를 도 11에 보인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형태로 바꾸었다. 도 10a에 보인 기존 전하증폭기는 연산증폭기, CM.i,j 와 CF 등으로 구성되어 선형증폭기(gain stage)로 동작한다. 이에 비해, 도 11에 보인 대역통과필터 형태의 전하증폭기는 대역통과선형증폭기(band pass amplifier)로 동작한다. 상기 대역통과선형증폭기는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를 통과대역에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주파수 성분 가운데 상기 대역통과선형증폭기의 통과대역에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 성분은 상기 대역통과선형증폭기의 출력전압에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주파수 성분 가운데 상기 대역통과선형증폭기의 통과대역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 가운데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에 가까운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0a에 보인 구동신호생성부(120), 터치센서패널과 제1수신부(150)가 이루는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negative feedback loop)의 동작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대역통과선형증폭기의 출력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역통과필터 형태의 전하증폭기를 사용하면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 성분이 전하증폭기 출력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대역통과필터 형태의 전하증폭기를 사용하면, 연산증폭기의 포화현상을 감소시켜 전하증폭기 출력전압의 SNR값을 증가시킨다.
그런데, 도 11의 대역통과선형증폭기 회로에서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VO.j)는 구동신호(VSTM)와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에 대해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지만,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VC.j)는 상기 VSTM과 VCOM에 대해 고역통과(high pass)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고역통과 특성으로 인해 상기 VCOM의 고주파성분은 감쇄되지 않고 증폭되어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VC,j)에 여전히 나타남으로 연산증폭기 출력단자 전압을 포화시킬 수 있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VC,j와 VO,j의 상기 VSTM과 VCOM에 대한 전달함수를 각각 수학식 13와 14에 보였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19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0
보다 실제적인 단일 폴(single pole)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연산증폭기를 사용할 경우에 대해, 상기 VC,j와 VO,j의 상기 VSTM과 VCOM에 대한 전달함수를 각각 수학식 15와 16에 보였다. 여기서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을 GBW/s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s는 라플라스 변수이고 GBW는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 값이 1이 되는 각주파수 이다. 연산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에 의해 VC,j의 전달함수가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VCOM의 고주파 성분이 감쇄되어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에 나타나므로 연산증폭기 출력단자 전압을 포화시키지 않는다. 수학식 15와 16에 사용된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1
와 댐핑팩터(damping factor)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2
를 각각 수학식 17와 18에 보였다.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3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4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5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6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15에 보인대로 RF, CF, RL, CL 값들을 조절하여 상기 제1수신부(150) 출력신호(VO,j)의 전달함수가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게 하고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
Figure 112012101165191-pat00027
)가 상기 VO,j 전달함수의 통과대역에 놓이게 한다. 또, 연산증폭기의 이득-대역폭 곱(gain bandwidth product) GBW값을 조절하여 상기 VO,j의 전달함수 뿐만 아니라 상기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VC,j)의 전달함수도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VCOM의 고주파 성분에 의한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전압(VC,j)의 포화현상을 방지한다.
도 11b는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VC,j)의 포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c에 보인 N개의 제1수신부(150) 전하증폭기를 각각 도 11에 보인 대역통과선형증폭기로 대체한 회로이다.
도 12a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파형을 보였다. 이 파형은 실제 LCD 패널의 도 5에 보인 VCOM 단자에서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였다. 연산증폭기 출력단자 전압의 포화현상에 대한 도 11에 도시된 대역통과선형증폭기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 10a의 대역통과 기능이 없는 전하증폭기의 출력단자(VO.j) 파형 및 도 11의 대역통과 기능을 추가한 전하증폭기의 연산증폭기 출력단자(VC,j) 파형을 도 12b와 도 12c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2b에서는 연산증폭기를 이득이 무한대인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로로 가정하였고, 도 12c에서는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이 유한하고 단일폴 특성을 가지며 대역폭이 1.3 kHz이고 이득-대역폭 곱(GBW)이 1.3 MHz로 가정하였다. 도 12b의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의 최대값은 2.36 V이고 최소값은 -3.11 V이다. 도 12c의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의 최대값은 1.01 V이고 최소값은 -1.28 V이다. 도 12b와 도 12c의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의 peak-to-peak값은 각각 5.47 V와 2.29 V이다. 따라서, 도 12c에서와 같이 대역통과 기능이 있는 전하증폭기를 사용할 경우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전압이 포화되는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기존(conventional) 정전식 터치 센싱 장치(도 9)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 출력신호(도 11의 제1수신부(150) 출력전압(VO,j))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도 13에서 점선과 실선은 각각 기존 회로(도 9)와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11)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여기서,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영향만 관찰하기 위해 도 9의 구동신호생성부(120)의 출력(VS)과 도 10a의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VS)을 모두 0으로 하였다. 도 11의 구동신호생성부(120)의 공진주파수는 213 kHz로 설정하였다. 도 10d에 보인 제2수신부(160)의 저역통과여파기(LPF) 대역폭(bandwidth)을 3 kHz로 가정할 경우, 제1수신부(150) 출력전압은 [210 kHz, 216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영향이 작아야 한다. 도 13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회로(도 11)는 기존 터치센서 회로(도 9)에 비해 제1수신부(150) 출력전압에서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의 영향을 40 dB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14에, 본 발명에 따른 도 11b의 터치 센싱 장치에서 터치센서패널의 Y[1] 전극에만 구동신호(VSTM)를 인가하고 각각 X[1] 전극과 X[2] 전극에 연결된 수신회로(제1수신부(150) + 제2수신부(160))의 제2수신부(160) 저역통과여파기 출력신호(도 10d의 VOL.1, VOL.2)파형을 보였다. 상기 터치센서패널에서 Y[1] 전극과 X[1] 전극의 교차점에서만 터치동작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하고, Y[1] 전극과 X[1] 전극 사이의 상호커패시턴스(CM.1,1) 값은 1.35 pF 이고 Y[1] 전극 X[2] 전극 사이의 상호커패시턴스(CM.1,2) 값은 1.5 pF 로 설정하였다. X[1] 전극과 X[2] 전극의 자체커패시턴스(도 12의 CSX.1, CSX.2) 값은 모두 20 pF 로 설정하였다. 도 11b의 평판디스플레이 노이즈(VCOM) 파형으로는 도 12a에 보인 파형을 사용하였고, 구동신호생성부(120)의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는 213 kHz 이고, 주기신호생성부(110)의 출력신호(VS)는 주파수가 213 kHz 이고 진폭이 0.2 V 인 사인파(sine wave)를 사용하였고, 제2수신부(160)의 저역통과여파기(LPF)의 대역폭은 3 kHz로 설정하였다. 상기 제2수신부(160) 저역통과여파기 출력전압(VOL.1, VOL.2)이 안정된 후, VOL.1의 크기는 105 mV 이고 VOL.2의 크기는 94 mV 로서 상호 커패시턴스가 감소한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감소하여 터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상, 사용자의 동작 가운데서 터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터치 센싱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였다. 다시 언급하거니와 본 발명은 터치 방식의 센싱 장치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입력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사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장치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사실이므로 이러한 적용은 본 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커패시턴스의 변화, 인덕턴스의 변화 등 물리량의 변화를 인식하는 센싱 장치에도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본 발명의 회로를 이루는 여러 구성요소들, 예컨대, 주기신호생성부(110), 구동신호생성부(120), 수신부, 피드백신호생성부(140) 가운데 그 어떤 구성요소라도 회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여러 개의 집적회로 칩에 적절하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위배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연구자들에 의하면, 최근의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기술의 수준과 이에 기반하여 회로동작을 시뮬레이션해 보았을 때, 이 집적회로 칩은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4V 이하에서 무리없이 동작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집적회로 칩 내부에서 별도의 승압회로없이도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그렇다면 이 집적회로 칩만 가지고서도 터치센서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도 검증하였다.
한편, 상기 주기신호생성부(110)가 생성하는 주기신호는 사인파(sine wave) 외에도 구형파(square wave) 또는 삼각파(triangle wav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주기신호 생성부 120 구동신호 생성부
130 센서소자 140 피드백신호 생성부
150 제1수신부 160 제2수신부
170 평판 디스플레이 171 터치센서패널
10 센싱 장치

Claims (40)

  1. 사용자의 동작 또는 물체의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소자;
    상기 센서소자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 및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에 연결되어 센서소자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신호는 사인파형, 펄스파형 및 삼각파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신부는 상기 센서소자에 유기되는 노이즈의 영향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 곱셈기 또는 쵸퍼회로 가운데 최소한 하나 이상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생성부는 공진회로(reson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부는 전하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증폭기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소자 구동신호는 상기 센서소자로부터 피드백된 신호와, 상기 주기신호의 합성에 의해 상기 센서소자에서 유기된 노이즈 신호 성분 가운데 일부가 서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소자에서 유기되는 노이즈의 주파수 성분 가운데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성분은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동작에 의하여 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소자는, 상기 센서소자 구동신호를 인가 받아 센싱하고자 하는 물리량에 따라 그 값이 변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수신부의 입력신호로 전달하는 가변센서소자(131)와, 상기 센서소자 구동신호를 인가 받아 센싱하고자 하는 물리량에 무관하게 그 값이 일정한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수신부의 입력신호로 전달하는 고정센서소자(133)를 포함하고,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가변센서소자(131)의 전달함수 크기와 상기 고정센서소자(133)의 전달함수 크기의 차이가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센서소자(131)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정센서소자(133)의 출력신호는 각각에 유기되는 노이즈에 대한 주파수특성 및 시간영역특성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부는 상기 가변센서소자(131)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정센서소자(133)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가변센서소자(131)의 출력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출력신호와 상기 고정센서소자(133)의 출력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제 2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제2수신부의 입력신호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출력신호와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입력신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부는 그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의 주파수 특성이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소자 구동신호는 상기 센서소자에서 유기되는(induced) 노이즈 신호 성분 가운데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신부는,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들 중 일부와 상기 주기신호생성부 출력신호를 서로 곱하는 곱셈 회로; 및
    상기 곱셈 회로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연결된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low-pass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곱셈 회로는 곱셈기(multiplier) 또는 쵸퍼(chopper)회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4. 터치동작을 인식하는 정전방식의 터치센서패널을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에 연결되어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제1방향의 도선과 제2방향의 상기 도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은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와 더불어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요소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구동하는 상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는, 상기 피드백신호 생성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주기신호를 합성한 신호로서 상기 터치센서패널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생성부는 공진회로(reson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신호생성부는 사인파형 또는 펄스파형 또는 삼각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터치센서패널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상기 수신부 내의 증폭기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주기신호를 상기 수신부 내에서 서로 곱하는 곱셈기 또는 쵸퍼(chopper) 회로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곱셈기 또는 상기 쵸퍼회로 중 구비된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low-pass filter)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내 상기 증폭기는 전하증폭기이며, 그 출력신호가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입력신호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3. 삭제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회로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주파수가 상기 공진회로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값으로 변동할 경우에는 그 전달함수 값이 커지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전달함수 값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공진주파수의 두 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가 조합하여 생성된 신호가 상기 공진회로(resonator)에 인가되고, 상기 공진회로의 출력신호는 상기 터치센서패널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는 상기 터치센서패널에서 유기되는(induced) 노이즈 신호 성분 가운데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는 상기 터치센서패널에서 유기되는(induced) 노이즈 신호 성분 가운데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는 평판디스플레이의 공통전극(VCOM) 노이즈가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통하여 상기 수신부로 입력되는 노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노이즈 전달함수(NTF: noise transfer function)는, 상기 수신부의 출력인 최종출력신호의 주파수가 특정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로 변동할 때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전달함수 값이 작아지고, 상기 주파수가 상기 특정주파수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상기 전달함수 값이 점차 커지는 band-reject 필터 특성을 가지며,
    상기 노이즈 전달함수는
    상기 공통전극(VCOM) 노이즈에 대한 상기 최종출력신호가 가지는 노이즈 성분의 비율인 센싱 장치.
  31.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위치하거나(on-cell) 내부에 내장되는(in-cell) 정전방식의 터치센서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센싱 장치에 있어서,
    주기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신호생성부;
    터치동작을 인식하는 상기 정전방식의 상기 터치센서패널을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 및 상기 주기신호생성부의 출력이 모두 입력되어 최종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수신부;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피드백신호생성부;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에 연결되어 터치센서패널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입력단자에 입력하는 구동신호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들을 입력받고,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들의 평균값에 비례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피드백신호를 상기 구동신호생성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부는 전하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증폭기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부는,
    상기 제1수신부의 출력신호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주기신호를 서로 곱하는 곱셈 회로; 및
    상기 곱셈 회로의 출력신호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적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곱셈 회로는 곱셈기(multiplier) 또는 쵸퍼(chopper)회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적분 필터는 적분기 또는 저역통과여파기(low-pass filter)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5.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증폭기는 상기 터치센서패널의 제1방향 전극과 제2방향 전극 사이의 상호커패시턴스 및 제2방향 전극과 평판디스플레이의 공통전극(VCOM) 사이의 자체커패시턴스를 포함한 전달함수의 주파수 특성이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6. 제5항,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증폭기는 그 전달함수의 주파수 특성이 대역통과(band pass) 특성이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전하증폭기에 사용된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전압이 포화(saturation)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7. 제5항,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증폭기는 상기 연산증폭기의 자체 고주파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전압이 포화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8. 제5항,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증폭기는 그 전달함수 통과대역(pass band) 범위에 상기 주기신호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9. 제5항,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증폭기는 그 전달함수 통과대역(pass band) 범위에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40. 제2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의 공통전극(VCOM) 노이즈에 대한 주파수 성분 가운데 공진회로(resonator)의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90% 내지 110% 범위를 갖는 주파수 성분은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동작에 의하여 감쇄되어 상기 최종출력신호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KR1020120140712A 2012-12-06 2012-12-06 센싱 장치 KR10144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12A KR101449490B1 (ko) 2012-12-06 2012-12-06 센싱 장치
US14/346,230 US20150293636A1 (en) 2012-12-06 2013-12-04 Sensing apparatus
PCT/KR2013/011138 WO2014088304A1 (ko) 2012-12-06 2013-12-04 센싱 장치
JP2014551217A JP5847333B2 (ja) 2012-12-06 2013-12-04 センシング装置
CN201380003137.6A CN103988157B (zh) 2012-12-06 2013-12-04 传感装置
DE112013005869.3T DE112013005869T5 (de) 2012-12-06 2013-12-04 Abtast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12A KR101449490B1 (ko) 2012-12-06 2012-12-06 센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67A KR20140073667A (ko) 2014-06-17
KR101449490B1 true KR101449490B1 (ko) 2014-10-14

Family

ID=5088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712A KR101449490B1 (ko) 2012-12-06 2012-12-06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93636A1 (ko)
JP (1) JP5847333B2 (ko)
KR (1) KR101449490B1 (ko)
CN (1) CN103988157B (ko)
DE (1) DE112013005869T5 (ko)
WO (1) WO2014088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0680B2 (en) 2021-11-03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nd touch sensing device including touch control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501A (ja) 2008-10-30 201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センシング感度を向上させたタッチスクリーンコントローラ、タッチスクリーンコントローラ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駆動回路、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3032118A (ja) * 2011-08-02 2013-02-14 Yazaki Corp 車両用室内照明灯
JP2016009213A (ja) * 2014-06-20 2016-01-18 ホシデン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KR102249651B1 (ko) * 2014-07-23 2021-05-10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터치패널 센싱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CN104571715B (zh) * 2015-02-02 2018-0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和驱动方法、显示装置
CN104834421B (zh) * 2015-04-17 2018-06-0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感应系统及其信号调整方法、电容触摸屏终端
TWI545482B (zh) * 2015-06-03 2016-08-11 敦泰電子股份有限公司 避免顯示雜訊的觸控偵測系統及方法
CN106249970B (zh) * 2015-06-05 2020-11-27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噪声抑制的电容传感器
KR101755831B1 (ko) 2015-08-28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제어 방법
CN106557210B (zh) * 2015-09-30 2019-06-28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驱动装置、触控驱动方法与触控显示系统
US9743170B2 (en) * 2015-12-18 2017-08-22 Bose Corporation Acoustic noise reduction audio system having tap control
US9870025B1 (en) * 2016-07-10 2018-01-16 Emotive Digital, LP Display case
US11054942B2 (en) * 2018-04-05 2021-07-06 Synaptics Incorporated Noise suppression circuit
US10908750B1 (en) 2019-11-26 2021-02-02 Synaptics Incorporated Minimizing latency for resonant input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11481076B2 (en) * 2021-01-05 2022-10-25 Synaptics Incorporated Transimpedance amplifier (TIA)-based global coarse baseline correction (GCBC) for capacitive sen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897A (ko) * 2009-06-29 2011-01-06 소니 주식회사 터치 센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20095376A (ko) * 2009-10-08 2012-08-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수의 구동 주파수 및 최대 우도 추정을 갖는 멀티-터치 터치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726A (ja) * 1985-08-10 1987-02-18 Fujitsu Ltd 座標検出装置
EP0463883B1 (en) * 1990-06-28 1998-08-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vable head position controlling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US7413547B1 (en) * 2004-11-08 2008-08-19 Transoma Medical, Inc. Reference sensor correction for implantable sensors
JP4346572B2 (ja) * 2005-03-23 2009-10-21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ノイズ除去のため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装置
WO2007135663A1 (en) * 2006-05-19 2007-11-29 N-Trig Ltd. Variable capacitor array
KR101040925B1 (ko) * 2009-09-08 2011-06-1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 회로부
KR101657215B1 (ko) * 2009-09-08 2016-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플링 노이즈 제거 방법
US9036650B2 (en) * 2009-09-11 2015-05-19 Apple Inc. Automatic low noise frequency selection
US8223986B2 (en) * 2009-11-19 2012-07-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digital noise cancellation and digital audio path
JP5740104B2 (ja) * 2010-05-13 2015-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式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付き機器
US20120013565A1 (en) * 2010-07-16 2012-01-19 Perceptive Pixel Inc. Techniques for Locally Improving Signal to Noise in a Capacitive Touch Sensor
US8963852B2 (en) * 2010-08-20 2015-02-24 Innolux Corporation Touch panel, driving method for the touch panel, program for getting touch information, and memory media
JP5268118B2 (ja) * 2010-08-20 2013-08-21 群創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接触情報取得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62870B1 (ko) * 2010-08-24 2012-07-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원 방식의 정전 용량 측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 용량 측정 회로
JP5257481B2 (ja) * 2011-03-29 2013-08-07 Smk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20130106759A1 (en) * 2011-10-27 2013-05-02 Einar Fredriksen Narrow-Band Touch De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897A (ko) * 2009-06-29 2011-01-06 소니 주식회사 터치 센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20095376A (ko) * 2009-10-08 2012-08-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수의 구동 주파수 및 최대 우도 추정을 갖는 멀티-터치 터치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0680B2 (en) 2021-11-03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nd touch sensing device including touch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67A (ko) 2014-06-17
CN103988157A (zh) 2014-08-13
JP2015502625A (ja) 2015-01-22
JP5847333B2 (ja) 2016-01-20
DE112013005869T5 (de) 2015-08-20
CN103988157B (zh) 2017-02-08
US20150293636A1 (en) 2015-10-15
WO2014088304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490B1 (ko) 센싱 장치
CN106598363B (zh) 驱动触摸传感器的方法和电路以及使用这种电路的显示装置
KR101318447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더블 샘플링 방법
KR101341924B1 (ko) 정전식 터치센서
US9524054B2 (en) Integrator and touch sens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146359B2 (en) Common electrode auto-compensation method
CN103456267B (zh) 触控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101778731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70031507A1 (en) In-cell multi-touch display panel system
CN106648194B (zh) 触摸传感器驱动装置和包括该触摸传感器驱动装置的显示装置
KR102087332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EP2503435A2 (en)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03738A (ko)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및 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052750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CN104423763B (zh) 触摸屏驱动设备
US201403756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capable of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KR101697733B1 (ko) 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KR102489286B1 (ko)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1771078B1 (ko) 터치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2393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
KR102058705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951942B1 (ko) 터치 센싱 장치
KR101920491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의 snr 향상방법
KR101878980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노이즈 필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