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735A -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735A
KR20140026735A KR1020120092179A KR20120092179A KR20140026735A KR 20140026735 A KR20140026735 A KR 20140026735A KR 1020120092179 A KR1020120092179 A KR 1020120092179A KR 20120092179 A KR20120092179 A KR 20120092179A KR 20140026735 A KR20140026735 A KR 2014002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loop detection
road
sealing lay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경
백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알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알엠텍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2009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735A/ko
Publication of KR2014002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고속국도, 터널 및 지방도로 등과 같은 각종 도로에 매립되어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 검지 센서인 루프 검지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봉합층과 중간층 및 2차 봉합층이 형성되는 루프 검지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Installing structure for loop type detecting sens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고속국도, 터널 및 지방도로 등과 같은 각종 도로에 매립되어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 검지 센서인 루프 검지 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봉합층과 중간층 및 2차 봉합층이 형성되는 루프 검지 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고속국도, 터널 및 지방도로 등과 같은 각종 도로에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 검지 센서가 매립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검지 센서는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교통량(Volume), 속도(Speed), 점유율(Occupancy) 및 차량 길이 등의 정보를 수집하려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차량 검지 매체에 따라서 루프식, 영상식, 레이더 방식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이중, 루프식의 검지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도 1 은 종래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를 나타낸 시공 상태 단면도이다.
루프 검지 센서 매립 구조는 도로 포장재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구간으로 구분하나, 통상 루프 검지 센서 매립 구조는 동일하며, 또한 아스팔트 포장재를 사용한 도로가 다수이므로 대표적인 아스팔트 포장 도로에 대한 루프 검지 센서 매립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아스팔트 구간의 루프 검지 센서는 도로(1)를 환형, 사각형, 팔각형 등의 모양으로 커팅하여 대략 폭(w) 10 mm ~ 12 mm, 깊이(d) 127 mm(콘크리트의 경우는 75 mm) 정도의 슬롯(2)을 형성하고, 형성된 슬롯(2)에 루프검지센서(3) 케이블을 매설한 후, 도로봉합제를 용융시킨 후 용융된 도로봉합제를 슬롯(2) 내부에 장입 및 응고시켜 형성된 도로봉합층(4)에 의하여 슬롯(2)을 마감처리하여 도로(1)을 복구함으로써 루프검지센서(3)의 매설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도로봉합층(4)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로봉합제는 접착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이때, 루프검지센서(3)와 도로봉합층(4)은 함께 응고된 상태의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외부적인 환경 변화(차량진동, 충격에 의한 도로면 파손 및 균열 발생 등)로 인한 노면 복구를 위하여 도로면(1)의 평삭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루프검지센서(3) 자체가 도로봉합층(4)과 결합되어 부분적인 해체가 불가능하므로, 일체형 구조로 매설된 도로봉합층(4)과 루프검지센서(3)가 함께 파손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도로봉합층(4) 만이 부분적으로 파손될 경우에도 불가피하게 시공된 루프검지센서(3) 전체를 재시공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루프검지센서(3)의 시공 시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전체적으로 증가되어 관련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로의 파손이나 외부 환경 변화로 발생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단선 및 파손에 의해 루프검지센서의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별도의 도로면의 커팅을 실시하지 않고도, 초기에 설치된 위치에 추가적으로 재시공하거나 부분적으로 재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루프 검지센서 매립구조는 도로면에 매설된 루프검지센서의 보호 및 루프검지센서가 매설된 도로 커팅부분을 마감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로봉합층과 루프검지센서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하여 도로봉합층와 루프검지센서 사이에 상호간 분리된 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루프검지센서와 2차 봉합층 사이에 충진된 중간층에 의하여 루프검지센서와 2차 봉합층 사이의 분리층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도로 노면 평삭 작업시 발생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단선을 방지하게 되므로, 매설된 루프검지센서의 보호가 한층 강화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외부 환경요인에 의한 2차 봉합층의 파손 및 도로 차선의 확장으로 인한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 매설된 루프검지센서를 전체적으로 교체할 필요없이 중간층 상부에 형성된 2차 봉합층 부분만을 별도 제거하고 시공하는 부분적인 재시공이 가능하므로, 루프검지센서의 운용상의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관련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고, 도로의 보수에 필요한 공기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 루프검지센서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루프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루프검지센서 매립 구조의 시공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검지센서 매립 구조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1)의 표면상에서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하방으로 수직 형성된 슬롯(2)에 매설되는 루프검지센서(10)와, 상기 루프검지센서(10)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검지센서(10) 주위로 장입되어 응고된 1차 봉합층(20)와, 상기 1차 봉합층(20) 상부에 충진된 중간층(30)와, 상기 슬롯(2)을 마감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층(30)의 상부에 장입되어 응고된 2차 봉합층(40)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슬롯(2)의 폭(w)은 대략 10 ~ 12 mm, 상기 슬롯(2)의 전체 깊이(d1)는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127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75 mm로 형성한다.
슬롯(2)의 전체 깊이 길이중 상기 1차 봉합층(20)이 형성된 구간의 길이(d2)는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32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20 mm로 형성한다.
중간층(30)이 형성된 구간의 길이(d3)는 10 mm, 2차 봉합층(40)이 형성된 구간의 길이(d4)는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85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45 mm로 형성한다.
상기 1차 봉합층(20) 및 2차 봉합층(40)는 접착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 재질이면 임의의 재질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에폭시 수지를 용융시켜 상기 슬롯(2) 내부에 장입한 후 응고시켜 상기 1차 봉합층(20) 및 2차 봉합층(40)을 형성한다.
상기 1차 봉합층(20)과 2차 봉합층(40) 사이에 충진된 중간층(30)은 슬롯(2)의 봉합을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루프검지센서(10)와 2차 봉합층(40) 사이의 분리층을 조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층(30)에 의하여 루프검지센서(10)와 2차 봉합층(40) 사이에 일체형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진동, 충격 및 도로 노면 평삭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루프검지센서(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2차 봉합층(40)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 파손된 부분의 2차 봉합층(40)만을 제거하고, 제거된 해당 2차 봉합층(40) 부분만을 다시 재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일체화된 루프검지센서와 도로봉합층을 모두 제거하지 않고도 부분적인 재시공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중간층(30)의 형성 구간은 도로(1)의 표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85 mm ~ 95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45 mm ~ 55 mm 깊이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국내 도로에서 노면 평삭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대부분 50mm 깊이 이내에서 평삭 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95 mm ~ 127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55 mm ~ 75 mm 깊이에 매설된 루프검지센서(10)를 보호할 수 있는 매설 깊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간층(30)의 형성 구간은 10mm 를 초과하지 않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중간층(30) 하부에 형성되는 1차 봉합층(20) 및 루프검지센서(1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 중간층(30)의 재질은 도로줄눈이나 도로의 균열 보수에 사용되는 충진제 수지인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도로면에 형성되는 원형, 사각형 등의 슬롯(2)의 모양 등을 고려하여, 형상의 제약없이 형태 가공성이 우수하고, 탄성, 기밀성, 접착성 유지가 가능한 임의의 재질도 채용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루프검지센서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로상에서 루프검지센서(10)의 매설을 위한 시공 위치를 선정한 후(단계 S 10), 해당 시공 위치의 도로(1)면을 커팅하여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진 슬롯(2)을 형성한다(단계 S 20).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 슬롯(2)의 폭은 대략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10 mm ~ 12 mm, 깊이는 127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깊이는 75 mm 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롯(2)이 형성된 도로면과 슬롯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단계 S 30).
이어서, 상기 슬롯(2) 내부에 루프검지센서(10)를 매립하고(단계 S 40), 도로봉합제를 용융시켜 상기 매립된 루프검지센서(10) 주위로 장입시킨 후 이를 일정시간 동안 응고시켜 1차 봉합층(20)을 형성한다(단계 S 50).
상기 1차 봉합층(20)은 상기 슬롯(2) 내부에 매립된 루프검지센서(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1차 봉합층(20)이 형성된 구간의 길이는 대략 아스팔트 도로의 경우 32 mm, 콘크리트 도로의 경우 20 mm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1차 봉합층(20)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접착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1차 봉합층(20)의 응고가 완료되면, 상기 1차 봉합층(20) 상부에 중간재를 용융시켜 충진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응고시켜 중간층(30)을 형성한다(단계 S 60).
이때, 상기 중간층(30)의 형성 구간은 대략 10m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층(30)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중간재로서, 형태 가공성, 탄성, 기밀성,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중간층(30)은 상기 루프검지센서(10)와 중간층(30) 상부에 형성되는 2차 봉합층(40) 사이에서 분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간층(30)에 의하여 루프검지센서(10)와 2차 봉합층(40) 사이에 일체형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 충격 및 도로 노면 평삭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루프검지센서(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2차 봉합층(40) 파손시 부분적인 재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층(30)의 응고가 완료되면, 상기 중간층(30)의 상부로 도로봉합제를 용융시켜 장입시킨 후 이를 일정시간 동안 응고시켜 2차 봉합층(40)을 형성하여 도로(1)면에 형성된 슬롯(2)을 완전하게 봉합시켜(단계 S 70), 본 발명의 루프검지센서의 시공을 완료한다(단계 S 80).
이때,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2차 봉합층(40)을 형성하는 재질로서, 상기 1차 봉합층(20)과 마찬가지로 접착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도로 2: 슬롯
10: 루프검지센서 20: 1차 봉합층
30: 중간층 40: 2차 봉합층

Claims (5)

  1. 도로에 매립되어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표면상에서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지고 형성된 슬롯에 매설되는 루프검지센서와,
    상기 루프검지센서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검지센서 주위로 장입되어 응고된 1차 봉합층와,
    상기 1차 봉합층 상부에 충진된 중간층과,
    상기 슬롯을 마감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층의 상부에 장입되어 응고된 2차 봉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매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45 mm ~ 95 mm 깊이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매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검지센서의 매립구조.
  4. 도로에 매립되어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루프검지센서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루프검지센서의 매설을 위한 시공 위치가 선정되는 단계;
    해당 시공 위치의 도로를 커팅하여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진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롯이 형성된 도로와 슬롯 내부를 청소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슬롯 내부에 루프검지센서를 매립하고, 도로봉합제를 용융시켜 상기 매립된 루프검지센서 주위로 장입시킨 후 응고시켜 1차 봉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봉합층 상부에 중간재를 용융시켜 충진시키고 응고시켜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의 상부로 도로봉합제를 용융시켜 장입시킨 후 응고시켜 2차 봉합층을 형성하여 도로에 형성된 슬롯을 봉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검지센서의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검지센서의 시공 방법.
KR1020120092179A 2012-08-23 2012-08-23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26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79A KR20140026735A (ko) 2012-08-23 2012-08-23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79A KR20140026735A (ko) 2012-08-23 2012-08-23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35A true KR20140026735A (ko) 2014-03-06

Family

ID=5064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79A KR20140026735A (ko) 2012-08-23 2012-08-23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7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1319A (zh) * 2018-01-04 2018-06-29 程刚 地感线圈及其施工工艺、基于地感线圈的车辆检测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1319A (zh) * 2018-01-04 2018-06-29 程刚 地感线圈及其施工工艺、基于地感线圈的车辆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8425B (zh) 一种快速更换桥梁伸缩缝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CN203625801U (zh) 地感安装结构
KR101761476B1 (ko)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CN204185728U (zh) 轨道道床整治修复结构
CN102575439B (zh) 道路修复块体
JP2010189875A (ja) プレート状の車道用の舗装体ブロックと車道用舗装道路
KR20140026735A (ko) 루프 검지센서 매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17841B1 (ko) 도로표지병
US20160362846A1 (en) Fishplate comprising a protective strip
KR20090043631A (ko) 콘크리트도로의 줄눈보수시공방법
KR101205553B1 (ko) 도로 가포장용 재생고무매트
CN103952950B (zh) 一种可拆卸结构的埋入式轨道
JP5893577B2 (ja) 境界ブロック
KR101485442B1 (ko) 열선수용부가 형성된 항공용 도로 보수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항공용 도로 보수방법
CN211713556U (zh) 一种节能环保水泥再生沥青混凝土路面结构
JP2012248131A (ja) ループコイルの敷設方法、緩衝部材、ループコイル式車両感知システム
JP3173280U (ja) 道路境界部の防草構造
CN111101539A (zh) 密集建成区平交口倒边施工方法
CN208250853U (zh) 一种道路缝隙填充修补结构
KR102378715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강장치 및 보수공법
KR20130047094A (ko) 과속방지 도로블록
KR102376748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수용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956888B1 (ko) 포장도로보수용 밴드
KR200413607Y1 (ko) 타이어 재생품을 이용한 측구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