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074A -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074A
KR20140025074A KR1020120091198A KR20120091198A KR20140025074A KR 20140025074 A KR20140025074 A KR 20140025074A KR 1020120091198 A KR1020120091198 A KR 1020120091198A KR 20120091198 A KR20120091198 A KR 20120091198A KR 20140025074 A KR20140025074 A KR 20140025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tunnel
tunnel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현
방극남
Original Assignee
태성이엔씨(주)
에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이엔씨(주), 에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20091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074A/ko
Publication of KR2014002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터널에서 골조 설치 시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에 있어서, 제 1수평지의 종 방향 웨브에 홀을 가공한 후 간격조절 볼트(13-1)를 삽입하여 너트(13-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간격조절 볼트(13-1)에 너트(13-5)를 고정시킨 반대 길이 방향으로 턴버클(13-2)을 회전시킴으로써 결합하도록 하고 제 1수평지주와 종 방향으로 대칭 대응되는 제 2 수평지주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간격조절 볼트(13-1), 너트(13-5), 턴버클(13-2)을 결합함으로써 상호 대칭 대응되도록 한 후 상기 제 1수평지주 및 제 2수평지주의 대응되는 방향의 턴버클(13-2) 사이에 최적의 간격으로 재단된 인장케이블(13-4)을 양 단부에 경첩볼트(13-3)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부의 회전만으로도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현장서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방음터널의 종 방향 빔의 비대했던 자재를 간소화 할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상기 방음터널 설치 시 불필요하게 비대했던 종 방향 빔(12-1)을 대처하였기에 많은 비용이드는 자재를 간소화 함으로써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터널에서 문제시 되는 종 방향 빔(12-1)의 간격 조절의 유효길이를 확대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용의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SOUND BARRIER TUNNEL LOGITUDINAL DISTAN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방음시설 중 방음터널 지붕 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간격 조절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방음터널 지붕 부에서 수평지주(10)와 수평지주(10)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상용되는 빔(12-1), 브라켓(12-2), 볼트/너트(12-3) 부재를 대신하여 간격조절 볼트(13-1), 턴버클(13-2), 경첩볼트(13-3), 인장케이블(13-4), 너트(13-5)를 사용하여 자재 절감과 별도의 용접과 중장비 사용을 절감함으로서 공기단축과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레저생활의 활동 및 산업발전에 따른 반제품, 완제품, 자연물 등 각종 물품의 물동량에 의하여 교통량이 대폭 증가되고 있으며, 모든 차량의 증가에 의하여 도로 주변의 교통 소음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 소음의 공해를 차단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부각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멘구조 또는 아치형상 구조의 방음터널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방음터널은 통상적으로 도로의 양측에 일정높이의 콘크리트 기초부를 타설 양생시키고,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의 수직지주(11)를 입설시키며, 도로의 횡단방향으로 대향된 수직지주(11)의 상부에 수평지주(1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지주(11)의 사이와, 수평지주(10)의 사이에 방음판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방음판에 의해 도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음터널에서는 상부에 수평지주(10)와 종 방향 으로 떨어저있는 수평지주(10) 사이에 간격 조절을 하는 종 방향 빔(12)을 설치하는데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부재가 아님에도 단면이 비대하기에 운반과 설치에 취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현장 시공상에서 종 방향 빔(12)이 별도의 조절기능이 없으므로 간격을 조절하기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상기 방음터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에 취약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 웨브(WEB)와 프랜지(FLANGE) 사이에 방음터널 설치 전 고정용접 해야하는 브라켓(12-2)과 현장 시공상 발생 할 수 있는 간격 조절 한계를 해결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에 기여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자재를 간소화 하고 불필요한 중장비 사용 절제에 있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현장 시공상에서 종 방향 빔(12)을 재단하기 취약한 상태이며 별도의 조절기능이 없고 유효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에 간격조절 볼트를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장케이블이 현장 재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방음터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방음터널 이용에 있어 차 후 발생할수 있는 유지보수에 있어서 매우 취약한 부분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 웨브에 방음터널 설치 전 홀(HOLE) 가공을 하여 설치 후 간격조절 볼트(13-1)를 홀에 삽입 후 너트(13-5)를 결합하고, 간격조절 볼트(13-1)의 길이 방향으로 턴버클(13-2)을 회전시켜 결합한다.
맞은편 상부 수평지주(10)에도 설치 전 홀 가공을 하여 같은 방법으로 간격조절 볼트(13-1)를 홀에 삽입 후 너트(13-5)를 결합하고, 간격조절 볼트(13-1)의 길이 방향으로 턴버클(13-2)을 회전시켜 결합 함으로써 용접과정과 중장비 사용을 절감시키는 특징이 있다.
설치 후 경첩볼트(13-3)가 결합된 인장케이블(13-4)을 이용하여 양 쪽의 턴버클(13-2)에 연결시킴으로서 비대했던 자재를 간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시공시 현장서 간격조절 볼트(13-1)와 인장케이블(13-4)로 인하여 간격조절의 유효길이를 최대화 하며, 현장 설치시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차 후 방음터널 이용시에도 최소한의 장비만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상기 방음터널 설치 시 종방향 빔이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부재가 아님에도 자재가 비대하였으나 본 발명을 통하여 자재를 최소화 하여 운반이 용이 해지고 불필요한 공정을 줄이고 현장 시공시 문제점을 최소화 할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음터널에서 구성하는 종 방향 빔(12)에 본 발명을 적용 함으로써 간격조절의 유효길이를 최대화 할수 있으며, 신설 또는 유지보수시 교체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음터널 설치상태의 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방음터널 설치상태의 종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방음터널 종 방향 빔 설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방음터널 종 방향 빔 설치 입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방음터널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음터널 종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장케이블 타입 설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장케이블 타입 설치상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강봉 또는 파이프 타입 설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강봉 또는 파이프 타입 설치상태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외관을 도시한 입면도와 종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간격 조절장치(13)는 상부 수평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다수가 설치되어 방음터널의 종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 하는 뼈대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7에서 설치 사시도와 같이,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에 간격조절 볼트(13-1)와 너트(13-5)를 부착 결합하며, 반대편 수평지주(10)에 부착시킨 간격조절 볼트(13-1)와 너트(13-5)를 턴버클(13-2)과 인장케이블(13-4)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인장케이블(13-4) 재단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10 : 수평지주
11 : 수직지주
12 : 종 방향 빔
12-1 : 빔
12-2 : 브라켓
12-3 : 볼트/너트
13 : 간격 조절 장치
13-1 : 간격조절 볼트
13-2 : 턴버클
13-3 : 경첩볼트
13-4 : 인장케이블
13-5 : 너트
13-6 : 강봉 또는 파이프

Claims (2)

  1. 방음터널 상부에 종 방향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주(10)에 있어서, 제 1 수평지주의 종 방향 웨브에 홀을 가공한 후 간격조절 볼트(13-1)를 삽입하여 너트(13-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간격조절 볼트(13-1)에 너트(13-5)를 고정시킨 반대 길이 방향으로 턴버클(13-2)을 회전시킴으로써 결합하도록 하고 제 1 수평지주와 종 방향으로 대칭 대응되는 제 2수평지주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간격조절 볼트(13-1), 너트(13-5), 턴버클(13-2)을 결합함으로써 상호 대칭 대응되도록 한 후 상기 제 1수평지주 및 제 2수평지주의 대응되는 방향의 턴버클(13-2)사이에 최적의 간격으로 재단된 인장케이블(13-4)을 양 단부에 경첩볼트(13-3)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부의 회전만으로도 방음터널 상부 수평지주(10)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의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력만을 저항하는 인장케이블 및 경첩볼트를 대신하여 인장 및 압축력에 대해 동시에 저항하는 강봉 또는 파이프(1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의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KR1020120091198A 2012-08-21 2012-08-21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KR20140025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98A KR20140025074A (ko) 2012-08-21 2012-08-21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98A KR20140025074A (ko) 2012-08-21 2012-08-21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74A true KR20140025074A (ko) 2014-03-04

Family

ID=5064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198A KR20140025074A (ko) 2012-08-21 2012-08-21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50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0706A (zh) * 2016-09-22 2017-02-15 同济大学 一种适应伸缩缝变位的穿插式风障结构
KR20220018127A (ko) * 2020-08-05 2022-02-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인장력 보강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US11377804B2 (en) * 2019-10-31 2022-07-05 Phoenix Foam Manufacturing, LLC Highway sound barrier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0706A (zh) * 2016-09-22 2017-02-15 同济大学 一种适应伸缩缝变位的穿插式风障结构
CN106400706B (zh) * 2016-09-22 2019-01-25 同济大学 一种适应伸缩缝变位的穿插式风障结构
US11377804B2 (en) * 2019-10-31 2022-07-05 Phoenix Foam Manufacturing, LLC Highway sound barrier system
KR20220018127A (ko) * 2020-08-05 2022-02-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인장력 보강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9717B (zh) 一种可调节式拼装胎架
KR101705318B1 (ko)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20140025074A (ko) 방음터널 종 방향 간격 조절 장치
KR10148984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6111922B2 (ja) 柱脚補強方法及び装置
CN106930401A (zh) 一种装配式产业化钢结构住宅
JP2014136956A (ja) 屋根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403125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JP6095925B2 (ja) 耐力壁フレーム
JP5612353B2 (ja) 建物
JP2010043435A (ja) 構造物における補強部材の取付構造
KR101479313B1 (ko) 이동식 교량 부재 현장 파쇄 작업장치
CN102913007B (zh) 钢筋加工棚及其施工方法
JP5807958B2 (ja) 防護柵
JP2015101894A (ja) 移動制限具及び移動制限具の施工方法
CN210827835U (zh) 一种梁柱刚接结构
JP3725818B2 (ja) 既存柱における免震装置の設置方法
KR101880630B1 (ko) 건축물의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JP2009084809A (ja) 建物の構造
KR20160030746A (ko)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534269B1 (ko) 마찰 접합 정착단을 이용한 강선보강 구조
JP5668167B1 (ja) Pc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建物構造
CN104234181B (zh) 一种钢材建筑产品及其组合方法
KR101216127B1 (ko)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