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921A -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921A
KR20140022921A KR1020137033783A KR20137033783A KR20140022921A KR 20140022921 A KR20140022921 A KR 20140022921A KR 1020137033783 A KR1020137033783 A KR 1020137033783A KR 20137033783 A KR20137033783 A KR 20137033783A KR 20140022921 A KR20140022921 A KR 20140022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electric
power transmiss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133B1 (ko
Inventor
신지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6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powe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차량(100)은, 차량(100)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유닛(110)과,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기기 급전 유닛(184)을 포함한다. 수전 유닛(110)이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유닛(220)으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거리는, 기기 급전 유닛(184)이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400)에 송전하는 거리보다도 크다. 차량(100)은,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150)와, 보조 기계 배터리(182)를 더 포함한다. 보조 기계 배터리(182)의 전압은, 메인 배터리(150)의 전압보다도 낮다. 기기 급전 유닛(184)은 보조 기계 배터리(182)로부터 전력을 받아 차내 전기 기기(400)에 송전을 행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VEHICLE AND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촉으로 송수전을 행하는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외부로부터 차량에 탑재된 축전 장치에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이 실용화되어 있다. 충전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나, 그것을 위해 주차 위치를 유도하는 기술도 검토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전화의 배터리의 충전 등을 위해, 차내 전기 기기에 대해, 차내에서 급전을 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요구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4868호 공보(특허문헌 1)는, 차내에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전자 유도에 의해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48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10412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0/052785호 공보 팜플렛
충전이나 급전시에 케이블이나 배선에 의해 접속을 해야만 하는 것은 번거로우므로, 차량의 배터리와 차내 전기 기기에 대해 비접촉으로 충전 또는 급전하는 것에 관한 요구가 있다.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4868호 공보에서는, 차량의 배터리에 대해 외부로부터 충전을 행하는 것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휴대 전화기와 차량의 배터리를 모두 비접촉으로 충전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구체적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차내 전기 기기에의 송전 방식과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방식에 대해서는, 각각의 특징을 고려해야만 효율적으로 송수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전자계 공명에 의한 비접촉 송수전이 검토되고 있지만, 차내 전기 기기와 차량의 배터리를 모두 전자계 공명을 이용하여 급전 또는 충전하면, 저출력의 차내 전기 기기에 영향을 미쳐 기기가 고장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이 가능한 동시에,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차량이며,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장치와,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송전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전력은, 송전 장치가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전력보다도 크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거리는, 송전 장치가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거리보다도 크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구동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배터리와, 주 배터리와는 별도로 설치된 보조 기계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보조 기계 배터리의 전압은, 주 배터리의 전압보다도 낮다. 송전 장치는 보조 기계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아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을 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은, 승무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동작 상태를 주행 가능 상태와 주행 불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주행 가능 상태에 있어서는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주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송전 장치로부터 차내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가한다. 제어부는, 주행 불가능 상태에 있어서는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주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송전 장치로부터 차내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금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장치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는, 차량이 움직임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된다. 한편, 차내 전기 기기와 송전 장치는, 차내 전기 기기를 승무원이 송전 장치의 소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송전 장치는, 차내 전기 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며, 차내 전기 기기를 놓는 기기 배치면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른 국면에서는, 전력 송수전 시스템이며, 차량과, 차량에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차외 송전 장치와,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차내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차량은, 차외 송전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장치와,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송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것과,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것을 서로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급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공명법에 의한 송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류원(자류원)으로부터의 거리와 전자계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수전 유닛(110)과 송전 유닛(220)의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차량과 급전 장치의 송수전에 관한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도 5에 도시한 차량(100)의 상세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차량측의 수전 유닛(110)과 급전 장치측의 송전 유닛(2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기기 급전 유닛(184) 및 차내 전기 기기의 수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기기 급전 유닛(184)의 차량에 있어서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차내 전기 기기의 코일과 기기 급전 유닛의 코일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제어 장치(180)가 실행하는 전력 송수전의 허가에 관련되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제어 장치(180)가 실행하는 전력 송수전의 허가에 관련되는 변형예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급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력 송수전 시스템(10)은, 차량(100)과, 급전 장치(200)를 포함한다. 차량(100)은, 수전 유닛(110)과, 통신 유닛(130)을 포함한다.
수전 유닛(110)은, 차체 바닥면에 설치되고, 급전 장치(200)의 송전 유닛(220)으로부터 송출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수전 유닛(110)은, 이후에 설명하는 자기 공진 코일을 포함하고, 송전 유닛(220)에 포함되는 자기 공진 코일과 전자장을 통해 공명함으로써 송전 유닛(220)으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한다. 통신 유닛(130)은, 차량(100)과 급전 장치(20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급전 장치(200)는, 고주파 전원 장치(210)와, 송전 유닛(220)과, 통신 유닛(240)을 포함한다. 고주파 전원 장치(210)는, 예를 들어 커넥터(212)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력을 고주파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 유닛(220)으로 출력한다. 또한, 고주파 전원 장치(210)가 생성하는 고주파 전력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수십㎒이다.
송전 유닛(220)은, 예를 들어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고주파 전원 장치(210)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차량(100)의 수전 유닛(110)으로 비접촉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송전 유닛(220)은, 자기 공진 코일을 포함하고, 이 자기 공진 코일이 수전 유닛(110)에 포함되는 자기 공진 코일과 전자장을 통해 공명함으로써 수전 유닛(110)으로 비접촉으로 송전한다. 통신 유닛(240)은, 급전 장치(200)와 차량(10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급전 장치(200)로부터 차량(100)에의 급전시에, 차량(100)을 급전 장치(200)로 유도하여 차량(100)의 수전 유닛(110)과 급전 장치(200)의 송전 유닛(220)의 위치 정렬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차량(100)은, 후술하는 차내 전기 기기와는 달리, 위치 정렬이 간단하지는 않다. 차내 전기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어올려 충전기 등의 급전 유닛의 적절한 위치에 놓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은, 사용자가 차량을 조작하기 적절한 위치에 차량을 정차시킬 필요가 있어, 손으로 들어올려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급전 장치(200)로부터 차량(100)에의 급전은, 위치 어긋남에 대해 허용도가 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유도 방식은, 송신 거리는 단거리이며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도 허용도가 작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전자 유도 방식을 차량에의 급전에 채용하고자 하면, 운전자의 정밀도가 높은 운전 기술이 요구되거나, 고정밀도의 차량 유도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것이 필요해지거나, 러프한 주차 위치에서도 대응 가능하도록 코일 위치를 이동시키는 가동부가 필요해질 가능성이 있다.
전자계에 의한 공명 방식은, 송신 거리가 수m이어도 비교적 대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도 전자 유도 방식보다도 일반적으로 크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송수전 시스템(10)에서는, 공명법을 이용하여 급전 장치(200)로부터 차량(100)에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 2는, 공명법에 의한 송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 공명법에서는, 2개의 음차가 공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2개의 LC 공진 코일이 전자장(근접장)에 있어서 공명함으로써, 한쪽의 코일로부터 다른 쪽의 코일로 전자장을 통해 전력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전원(310)에 1차 코일(320)을 접속하고, 전자 유도에 의해 1차 코일(320)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1차 자기 공진 코일(330)로 1M∼수십㎒의 고주파 전력을 급전한다. 1차 자기 공진 코일(330)은, 코일 자신의 인덕턴스와 부유 용량에 의한 LC 공진기이며, 1차 자기 공진 코일(330)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2차 자기 공진 코일(340)과 전자장(근접장)을 통해 공명한다. 그렇게 하면, 1차 자기 공진 코일(330)로부터 2차 자기 공진 코일(340)로 전자장을 통해 에너지(전력)가 이동한다. 2차 자기 공진 코일(340)로 이동한 에너지(전력)는, 전자 유도에 의해 2차 자기 공진 코일(340)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350)에 의해 취출되고, 부하(360)에 공급된다. 또한, 공명법에 의한 송전은, 1차 자기 공진 코일(330)과 2차 자기 공진 코일(340)의 공명 강도를 나타내는 Q값이, 예를 들어 100보다도 클 때에 실현된다.
또한, 도 1과의 대응 관계에 관해서는, 2차 자기 공진 코일(340) 및 2차 코일(350)이 도 1의 수전 유닛(110)에 대응하고, 1차 코일(320) 및 1차 자기 공진 코일(330)이 도 1의 송전 유닛(220)에 대응한다.
도 3은, 전류원(자류원)으로부터의 거리와 전자계의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자계는 3개의 성분을 포함한다. 곡선 k1은, 파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 성분이며, 「복사 전자계」라 칭해진다. 곡선 k2는, 파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 성분이며, 「유도 전자계」라 칭해진다. 또한, 곡선 k3은, 파원으로부터의 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한 성분이며, 「정전 자계」라 칭해진다.
이 중에서도 파원으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급격하게 전자파의 강도가 감소하는 영역이 있지만, 공명법에서는, 이 근접장(에베네슨트장)을 이용하여 에너지(전력)의 전송이 행해진다. 즉, 근접장을 이용하여,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한쌍의 공명기(예를 들어, 한쌍의 LC 공진 코일)를 공명시킴으로써, 한쪽의 공명기(1차 자기 공진 코일)로부터 다른 쪽의 공명기(2차 자기 공진 코일)로 에너지(전력)를 전송한다. 이 근접장은 먼곳으로 에너지(전력)를 전파하지 않으므로, 먼곳까지 에너지를 전파하는 「복사 전자계」에 의해 에너지(전력)를 전송하는 전자파에 비해, 공명법은, 보다 적은 에너지 손실로 송전할 수 있다.
도 4는, 수전 유닛(110)과 송전 유닛(220)의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수전 유닛(110)과 송전 유닛(220)의 사이의 거리 D1은, 전자 유도 방식의 전송 거리보다도 큰 거리이다. 이 거리 D1은, 공명 방식에 의해 송전이 가능한 거리이기도 하다. 또한, 이 거리 D1은 송전 유닛(220) 및 수전 유닛(110)의 자기 공진 코일의 형상이나 사이즈를 바꾸면 변경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차량과 급전 장치의 송수전에 관한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급전 장치(200)는, 송전 유닛(220)과, 고주파 전원 장치(210)와, 통신 유닛(240)을 포함한다. 차량(100)은, 통신 유닛(130)과, 수전 유닛(110)과, 정류기(140)와, 릴레이(146)와, 저항(144)과 수전 전압 계측부[전압 센서(190)]와, 도시하지 않은 축전 장치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장치[DC/DC 컨버터(142)]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240)과 통신 유닛(130)이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고, 수전 유닛(110)과 송전 유닛(220)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교환한다. 저항(144)을 일시적으로 릴레이(146)로 송전 유닛의 출력에 접속함으로써, 전압 센서(190)의 출력이 수전 조건을 충족하였는지의 여부의 전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전압 정보를 얻기 위한 미약 전력의 송전 요구가 통신 유닛(130, 240)을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급전 장치(200)에 전해진다.
도 6은, 도 1, 도 5에 도시한 차량(100)의 상세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차량(100)은, 메인 배터리(150)와,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와, 승압 컨버터(162)와, 인버터(164, 166)와,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와, 엔진(176)과, 동력 분할 장치(177)와, 구동륜(178)을 포함한다.
차량(100)은, 또한,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2차 코일(114)과, 정류기(140)와, DC/DC 컨버터(142)와,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와, 전압 센서(190)를 포함한다.
차량(100)은, 또한, 제어 장치(180)와, 차량 기동 버튼(120)과, 통신 유닛(130)과, 급전 버튼(122)을 포함한다.
이 차량(100)은, 엔진(176) 및 모터 제너레이터(174)를 동력원으로서 탑재한다. 엔진(176) 및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는, 동력 분할 장치(177)에 연결된다. 그리고 차량(100)은, 엔진(176) 및 모터 제너레이터(174)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주행한다. 엔진(176)이 발생하는 동력은, 동력 분할 장치(177)에 의해 2경로로 분할된다. 즉, 한쪽은 구동륜(178)으로 전달되는 경로이며, 다른 한쪽은 모터 제너레이터(172)로 전달되는 경로이다.
모터 제너레이터(172)는, 교류 회전 전기 기기이며, 예를 들어 로터에 영구 자석이 매설된 3상 교류 동기 전동기를 포함한다. 모터 제너레이터(172)는, 동력 분할 장치(177)에 의해 분할된 엔진(176)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예를 들어,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상태(「SOC(State Of Charge)」라고도 칭해짐)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낮아지면, 엔진(176)이 시동되어 모터 제너레이터(172)에 의해 발전이 행해지고, 메인 배터리(150)가 충전된다.
모터 제너레이터(174)도, 교류 회전 전기 기기이며, 모터 제너레이터(17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로터에 영구 자석이 매설된 3상 교류 동기 전동기를 포함한다. 모터 제너레이터(174)는, 메인 배터리(150)에 축적된 전력 및 모터 제너레이터(172)에 의해 발전된 전력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모터 제너레이터(174)의 구동력은, 구동륜(178)에 전달된다.
또한, 차량의 제동시나 내리막 경사면에서의 가속도 저감시에는, 운동 에너지나 위치 에너지로서 차량에 축적된 역학적 에너지가 구동륜(178)을 통해 모터 제너레이터(174)의 회전 구동에 이용되고, 모터 제너레이터(174)가 발진기로서 작동한다. 이에 의해, 모터 제너레이터(174)는, 주행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회생 브레이크로서 작동한다. 그리고 모터 제너레이터(174)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메인 배터리(150)에 축적된다.
동력 분할 장치(177)는, 선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 캐리어와, 링 기어를 포함하는 유성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선 기어 및 링 기어와 결합한다. 캐리어는, 피니언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엔진(176)의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된다. 선 기어는, 모터 제너레이터(172)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링 기어는 모터 제너레이터(174)의 회전축 및 구동륜(178)에 연결된다.
메인 배터리(150)는, 재충전 가능한 직류 전원이며,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 등의 2차 전지를 포함한다. 메인 배터리(150)는, DC/DC 컨버터(14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것 외에,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도 축적한다. 그리고 메인 배터리(150)는, 그 축적한 전력을 승압 컨버터(162)에 공급한다. 또한, 메인 배터리(150)로서 대용량의 캐패시터도 채용 가능하다. 메인 배터리(150)는, 급전 장치(200)(도 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나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로부터의 회생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전력을 승압 컨버터(162)에 공급 가능한 전력 버퍼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메인 배터리(150)와 승압 컨버터(162) 사이에 배치된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SE1이 활성화되면, 메인 배터리(150)를 승압 컨버터(16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신호 SE1이 비활성화되면, 메인 배터리(150)와 승압 컨버터(162) 사이의 전로를 차단한다. 승압 컨버터(162)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PWC에 기초하여, 정극선 PL2의 전압을 메인 배터리(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 승압한다. 또한, 이 승압 컨버터(162)는, 예를 들어 직류 쵸퍼 회로를 포함한다.
인버터(164, 166)는, 각각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인버터(164)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PWI1에 기초하여 모터 제너레이터(172)를 구동하고, 인버터(166)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PWI2에 기초하여 모터 제너레이터(174)를 구동한다. 또한, 인버터(164, 166)는, 예를 들어 3상 브릿지 회로를 포함한다.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은, 양단부가 스위치[릴레이(113)]를 통해 콘덴서(111)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릴레이(113)]가 도통 상태로 되었을 때에 급전 장치(200)의 1차 공진 코일과 전자장을 통해 공명한다. 이 공명에 의해 도 1, 도 5의 급전 장치(200)로부터 수전이 행해진다. 또한, 도 6에서는 콘덴서(111)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콘덴서 대신에 코일의 부유 용량에 의해 공진하도록, 1차 자기 공진 코일과의 조정을 해도 된다.
또한,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에 대해서는, 급전 장치(200)의 1차 자기 공진 코일과의 거리나, 1차 자기 공진 코일과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의 공명 강도를 나타내는 Q값(예를 들어, Q>100)이 커지고, 또한 그 결합도를 나타내는 κ가 작아지도록 그 권수가 적절히 설정된다.
2차 코일(114)은,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전자 유도에 의해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자기적으로 결합 가능하다. 이 2차 코일(114)은,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취출하여 정류기(140)로 출력한다. 또한, 2차 자기 공진 코일(112) 및 2차 코일(114)은, 도 1에 도시한 수전 유닛(110)을 형성한다.
정류기(140)는, 2차 코일(114)에 의해 취출된 교류 전력을 정류한다. DC/DC 컨버터(142)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PWD에 기초하여, 정류기(140)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메인 배터리(150)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메인 배터리(150)에 출력한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는, DC/DC 컨버터(142)와 메인 배터리(150) 사이에 배치된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는, 제어 장치(180)로부터의 신호 SE2가 활성화되면, 메인 배터리(150)를 DC/DC 컨버터(14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신호 SE2가 비활성화되면, 메인 배터리(150)와 DC/DC 컨버터(142) 사이의 전로를 차단한다. 전압 센서(190)는, 정류기(140)와 DC/DC 컨버터(142) 사이의 전압 VR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 장치(180)에 출력한다.
정류기(140)와 DC/DC 컨버터(142)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저항(144) 및 릴레이(146)가 설치된다. 릴레이(146)는, 차량(100)이 비접촉 급전을 행하는 경우에 차량 위치를 조정할 때에 제어 장치(180)에 의해 도통 상태로 제어된다.
제어 장치(180)는, 액셀레이터 개방도나 차량 속도, 그 외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승압 컨버터(162) 및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신호 PWC, PWI1, PWI2를 생성한다. 제어 장치(180)는, 생성한 신호 PWC, PWI1, PWI2를 각각 승압 컨버터(162) 및 인버터(164, 166)에 출력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 시, 제어 장치(180)는, 신호 SE1을 활성화하여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를 온하는 동시에, 신호 SE2를 비활성화하여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를 오프한다.
미약 전력을 송신하고 전압 VR에 기초하여 수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차량 유도 시스템은, 전압 VR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렬을 행한다.
차량의 위치 정렬이 완료되면, 제어 장치(180)는, 통신 유닛(130)을 통해 급전 장치(200)에 급전 지령을 송신하는 동시에, 신호 SE2를 활성화하여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를 온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80)는, DC/DC 컨버터(142)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PWD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신호 PWD를 DC/DC 컨버터(142)에 출력한다.
차량(100)은, 또한, 보조 기계 배터리(182)와, 전력선 PL1, NL과 보조 기계 배터리(182) 사이에 설치되고, 메인 배터리(150)의 전압을 강압하고 보조 기계 부하 및 보조 기계 배터리(182)에 공급하는 DC/DC 컨버터(181)와, 기기 급전 유닛(184)을 포함한다.
기기 급전 유닛(184)은, 보조 기계 부하의 하나이지만,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에 급전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급전 유닛(184)의 비접촉의 급전 방식은 전자 유도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대표예로서는, 차내 전기 기기는 휴대 전화이며, 기기 급전 유닛은 휴대 전화의 배터리에 충전을 행하는 유닛이지만, 반드시 차내 전기 기기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비접촉으로 급전이 행해지는 것이면 된다. 차내 전기 기기의 다른 예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음악 기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게임기, 무선 통신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한정되지 않지만, 휴대용의 소형의 것인 경우가 많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유닛(110)이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전력은, 기기 급전 유닛(184)이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전력보다도 크다. 또한, 차량의 메인 배터리(150)의 용량은, 차내 전기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용량보다도 훨씬 크다.
차량의 메인 배터리(150)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공명법을 채용하고, 차내 전기 기기에 급전하는 경우에는 전자 유도를 채용함으로써, 2개의 비접촉 송수전에 있어서 서로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차내 전기 기기와 차량의 배터리를 함께 공명법에 의해 급전하는 경우, 양쪽의 공명 주파수가 동일하면 저출력의 차내 전기 기기에 대해 영향을 미쳐 버릴 가능성이 생긴다. 그로 인해 차량의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은 공명법, 차내 전기 기기의 충전은 전자 유도와 서로 다른 충전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서로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다른 충전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공명법에서 이용하는 공명 주파수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명법의 시스템 설계의 자유도도 커진다.
공명부[수전 유닛(110)의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의 공진 주파수는, 코일 직경에 관계되는 수전 유닛의 인덕턴스 L과 코일에 접속하는 콘덴서의 용량 C에 의해 정해지는 LC 성분으로 결정된다. 휴대형 차내 전기 기기는, 차량만큼 사이즈가 크지 않으므로 차량측에 일반 차내 전기 기기에 탑재할 수 없는 정도의 인덕턴스 L을 탑재하면 된다.
도 7은, 차량측의 수전 유닛(110)과 급전 장치측의 송전 유닛(2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고주파 전원 장치(210)는, 고주파 교류 전원(213)과, 전원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저항(211)으로 나타내어진다.
송전 유닛(220)은, 고주파 전원 장치(210)에 접속되는 1차 코일(232)과, 전자 유도에 의해 1차 코일(232)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1차 자기 공진 코일(234)과, 1차 자기 공진 코일(234)의 양단부에 접속된 콘덴서(242)를 포함한다.
수전 유닛(110)은, 1차 자기 공진 코일(234)과 전자장을 통해 공명하는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2차 자기 공진 코일(112)의 양단부에 직렬로 접속되는 콘덴서(111) 및 릴레이(113)를 포함한다. 릴레이(113)는, 수전하는 경우에 도통 상태로 제어된다.
수전 유닛(110)은,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114)을 더 포함한다. 2차 코일(114)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은 정류기(140)에서 정류된다. 정류기(140)의 출력에는 콘덴서(C1)가 접속되어 있고, 차량과 급전 설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릴레이(146) 및 저항(144)이 콘덴서(C1)의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기(140)의 출력측에는 또한 충전기[DC/DC 컨버터(142)]가 접속되어 적절한 충전 전압으로 전압이 변환되고,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은 배터리[메인 배터리(150)]에 공급된다.
저항(144)은, 예를 들어 50Ω의 임피던스로 설정되어 있고, 이 값은 고주파 전원 장치(210)의 저항(211)으로 나타내어지는 임피던스와 매칭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전압 센서(190)는, 차량에 비접촉 급전이 행해질 때에 차량의 정지 위치를 조정할 때는 저항(144)의 양단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값 VR을 제어 장치(180)에 출력한다.
한편, 차량 위치의 조정이 완료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에 비접촉 급전에 의해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DC/DC 컨버터(142)에 대한 입력 전압을 검출값 VR로서 전압 센서(190)가 검출한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기기 급전 유닛(184) 및 차내 전기 기기의 수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차량의 송수전 시스템은, 전기 기기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에 삽입된 기기 급전 유닛(184)과, 기기 급전 유닛(184)에 의해 급전되는 차내 전기 기기(400)에 내장된 수전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내 전기 기기(40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PDA, 휴대형의 음악 플레이어, 그 외의 휴대형의 전기 기기이다.
기기 급전 유닛(184)은, 보조 기계 배터리(182)로부터 직류 전력을 받고,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 변환부(192)와, DC/AC 변환부(192)로부터 교류 전력을 받는 급전측 코일(194)을 포함한다.
보조 기계 배터리(182)에는 메인 배터리(150)로부터 DC/DC 컨버터(181)에 의해 충전 전력이 공급된다.
수전부(186)는 수전측 코일(404)과, 다이오드(406)와, 콘덴서(408)와, 제너 다이오드(410)와, DC/DC 컨버터(412)와, 다이오드(414)와, 배터리(416)를 포함한다.
수전측 코일(404)의 일단부는 다이오드(406)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다이오드(406)의 캐소드는, 콘덴서(408)의 일단부와 제너 다이오드(410)의 캐소드와 DC/DC 컨버터(4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전측 코일(404)의 타단부는 콘덴서(408)의 타단부와 제너 다이오드(410)의 애노드와 DC/DC 컨버터(412)에 접속되어 있다.
DC/DC 컨버터(412)는, 다이오드(414)를 통해 차내 전기 기기(400)의 배터리(416)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터리(416)의 마이너스 단자에도 접속되어 있다.
DC/DC 컨버터(412)는, 급전측 코일(194)과 수전측 코일(404)의 전자 유도에 의해 수전측 코일(404)측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416)를 충전시키기 위한 소정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다이오드(414)를 통해 배터리(416)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416)를 충전한다.
바람직하게는, DC/DC 컨버터(412)에 더하여, 기기 급전 유닛(184)에 대해 급전의 요구를 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기기 급전 유닛(184)은 급전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전자 유도에 의해 전력을 송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내 전기 기기(400)로서 배터리(416)를 내장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차내 전기 기기(400)에 반드시 배터리(416)는 필요한 것은 아니다. 차내 전기 기기(400)에 비접촉으로 급전을 행하는 것이면, 차내 전기 기기(400)에 배터리(416)를 내장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9는, 도 8의 기기 급전 유닛(184)의 차량에 있어서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기기 급전 유닛(184)은, 운전석(502)으로부터도 조수석(504)으로부터도 사용할 수 있는 차실내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센터 콘솔(506)의 트레이나 데쉬 보드의 포켓 등에 기기 급전 유닛(184)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위치로 하면, 도 1에 도시한 수전 유닛(110)으로부터도 멀기 때문에,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과 수전 유닛(110)에서의 수전이 서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아진다.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9에는 센터 콘솔(506)에 기기 급전 유닛(184)을 설치하고, 차내 전기 기기(400)를 놓는 트레이 바닥면을 기기 배치면(191)으로 한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차내 전기 기기의 코일과 기기 급전 유닛의 코일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차내 전기 기기(400)에 내장 또는 장착된 수전측 코일(404)은, 기기 급전 유닛(184)의 급전측 코일(194)과의 거리가 거리 D2로 되도록 차내 전기 기기(400) 및 기기 급전 유닛(184)의 케이스가 설계되어 있다. 거리 D2는 전자 유도로 전력이 송전 가능한 거리이며, 도 4에서 도시한 거리 D1보다도 작다.
기기 급전 유닛(184)은, 차내 전기 기기(400)와의 전기적인 접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며, 차내 전기 기기(400)를 놓는 기기 배치면(191)을 갖는다.
차내 전기 기기(400)는, 전기적으로는 기기 급전 유닛(184)과는 비접촉이지만,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는 케이스끼리가 접촉한다. 케이스에는 위치 정렬을 위한 요철이나 자석 등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차내 전기 기기(400)를 손으로 들어올려 기기 급전 유닛(184)의 기기 배치면(191) 상에 놓고 위치 조정을 손으로 행함으로써 위치 어긋남이 없는 상태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점이, 도 1의 송전 유닛(220)과 수전 유닛(110)의 위치 정렬과는 크게 다르다.
따라서 한쪽을 공명 방식에 의해, 다른 쪽을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해 급전하는 것이면, 차량 탑재 배터리를 공명 방식에 의해 충전하고, 차내 전기 기기를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해 급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수전부의 위치 정렬 정밀도가 엄격한 전자 유도 방식이어도, 차내라면 사용자 자신이 직접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효율로 차내 전기 기기에 비접촉 급전할 수 있다. 한편 차량 탑재 배터리의 충전에서는, 지상측에 설치한 송전 유닛과 차량측에 설치한 수전 유닛의 위치 정렬은, 사용자 자신이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차량 탑재 배터리에의 비접촉 충전은, 위치 정렬 정밀도가 전자 유도 방식보다도 엄격하지 않은 공명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정렬에 대한 번거로움을 경감하여 고효율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차내 전기 기기의 충전을 전자 유도 방식으로 함으로써, 시스템 설계가 용이하고 충전 장치 자체도 컴팩트하고, 또한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장치의 배치의 자유도도 증가한다.
또한, 차량 탑재 배터리에의 비접촉 충전과 차내 전기 기기에의 비접촉 급전을 다른 방식으로 함으로써, 양쪽 모두 공명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공명 주파수를 다르게 하는 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좋게 되고, 차량 탑재 배터리에의 비접촉 수전 장치의 공명 주파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제어 장치(180)가 실행하는 전력 송수전의 허가에 관련되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차량 제어의 메인 루틴으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또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마다 호출되어 실행된다.
도 6, 도 11을 참조하여, 우선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 장치(180)는, 스텝 S1에 있어서, 차량이 차량 주행 불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량이 차량 주행 불가능 상태(Ready-OFF 상태)인 경우에 차량 기동 버튼(120)을 한번 누름으로써 차량이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로 되고, 시프트 레인지를 드라이브 레인지로 설정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차량이 발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인 경우에 차량 기동 버튼(120)을 또 한번 누름으로써, 차량이 차량 주행 불가능 상태(Ready-OFF 상태)로 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도 차량이 발진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주행 가능 상태에서는 도 6의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도통하고 있고,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통전이 가능하여, 엔진(176)도 운전이 가능하다.
한편, 주행 불가능 상태에서는 도 6의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비도통이며,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통전이 금지되고, 엔진(176)도 운전이 금지되어 있다.
스텝 S1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 불가능 상태(Ready-OFF 상태)이면 스텝 S2로 처리가 진행되고, 차량이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이면 스텝 S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80)는, 메인 배터리(150)에 대해 충전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인 배터리(150)에 대한 충전 요구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조작하는 입력 장치[도 6의 급전 버튼(122) 등]로부터 공급되어도 되고, 도 1의 송전 유닛(220)과 수전 유닛(110)의 위치 결정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와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상태 SOC(State Of Charge)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80) 자신이 발생해도 된다.
스텝 S2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에 대한 충전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로부터 스텝 S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충전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2로부터 스텝 S5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3에서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가 온 상태로 되는 한편으로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스텝 S4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은 허가되는 한편,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은 금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메인 배터리(150)를 충전하는 중에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도 상정된다.
스텝 S5에서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및 SMR2)는 모두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및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은 모두 금지된다.
스텝 S1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이고, 스텝 S7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온 상태로 제어되고, 차량은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차내에 운전자가 머물러 있는 것이 상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컨이나 오디오 기기 등의 보조 기계류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8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에의 충전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8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에의 충전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S9로 처리가 진행되고, 충전 요구가 없었던 경우에는 스텝 S11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9에서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및 SMR2)는 모두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스텝 S10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및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은 모두 허가된다.
스텝 S11에서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2)가 오프 상태로 되는 한편,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는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스텝 S12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은 금지되는 한편,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은 허가된다.
스텝 S4, S6, S10, S12 중 어느 하나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는 메인 루틴으로 복귀된다.
도 12는, 도 6의 제어 장치(180)가 실행하는 전력 송수전의 허가에 관련되는 변형예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차량 제어의 메인 루틴으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또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마다 호출되어 실행된다.
도 6, 도 12를 참조하여, 우선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 장치(180)는, 스텝 S21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에 대해 충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중이 아니면 스텝 S24로 처리가 진행되고,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중이면, 스텝 S22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2에서는, 현재의 차량의 상태가 주행 불가능 상태(Ready-OFF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가 주행 불가능 상태이었던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주행 불가능 상태는 아니었던 경우, 즉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이었던 경우에는 스텝 S24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3에서는, 메인 배터리(150)가 충전 가능하고 차내 전기 기기에 대해 급전이 금지된 상태로 되도록, 제어 장치(180)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 DC/DC 컨버터(142), 기기 급전 유닛(184)을 제어한다.
한편, 스텝 S24에서는, 메인 배터리(150)에의 충전 요구가 접수 가능하고 차내 전기 기기에 대해 급전 요구를 접수 가능하도록, 제어 장치(180)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1, SMR2), DC/DC 컨버터(142), 기기 급전 유닛(184)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배터리(150)에 충전 중에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는, 그 전에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 불가능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내 전기 기기에의 급전이 금지됨으로써, 운전자 등의 승무원이 부재인 경우에 차내 전기 기기에 급전이 이루어져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배터리(150)의 충전 중에 운전자 등이 차량 내부에 대기하고 있어 냉난방을 작동시키거나 음향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승무원이 차실내에 있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차내 전기 기기에의 비접촉 급전도 허가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서 총괄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차량(100)은, 차량(100)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유닛(110)과,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기기 급전 유닛(18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유닛(110)이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전력은, 기기 급전 유닛(184)이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전력보다도 크다. 또한, 차량의 메인 배터리(150)의 용량은, 차내 전기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용량보다도 훨씬 크다.
바람직하게는, 수전 유닛(110)이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유닛(220)으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도 4에 나타내는 거리 D1(1㎝∼수m)은, 기기 급전 유닛(184)이 비접촉으로 차내 전기 기기(400)에 송전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거리 D2(<1㎝)보다도 크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100)은,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와, 모터 제너레이터(172, 174)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150)와, 메인 배터리(150)와는 별도로 설치된 보조 기계 배터리(182)를 더 포함한다. 보조 기계 배터리(182)의 전압은, 예를 들어 12∼14V이며, 메인 배터리(150)의 전압, 예를 들어 200V보다도 낮다. 기기 급전 유닛(184)은 보조 기계 배터리(182)로부터 전력을 받아 차내 전기 기기(400)에 송전을 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은, 기동 버튼(120) 등에의 승무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동작 상태를 주행 가능 상태(Ready-ON 상태)와 주행 불가능 상태(Ready-OFF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180)를 더 포함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80)는, 주행 가능 상태에 있어서는(스텝 S22에서 아니오) 수전 유닛(110)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메인 배터리(150)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기기 급전 유닛(184)으로부터 차내 전기 기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가한다. 또한, 제어 장치(180)는, 주행 불가능 상태에 있어서는(스텝 S22에서 예) 수전 유닛(110)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메인 배터리(150)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기기 급전 유닛(184)으로부터 차내 전기 기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금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하는 수전 유닛(110)과 차량 외부에 설치된 송전 유닛(220)은, 차량(100)이 움직임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차내 전기 기기(400)와 기기 급전 유닛(184)은, 차내 전기 기기(400)를 승무원이 기기 급전 유닛(184)의 소정 위치[기기 배치면(191)]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급전 유닛(184)은, 차내 전기 기기(400)와의 전기적인 접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며, 차내 전기 기기(400)를 놓는 기기 배치면(191)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 도 7 등에 1차 자기 공진 코일, 1차 코일, 2차 자기 공진 코일,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유도에 의해 2차 자기 공진 코일(112)과 2차 코일(114) 사이의 송전이나 1차 코일(232)과 1차 자기 공진 코일(234) 사이의 송전을 행하지 않는 것이어도 적용 가능하다. 즉, 차량의 수전이나 차량에의 송전에 공명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면 되고, 공명 방식의 송수전의 경로상에 전자 유도에 의한 송수전을 행하는 코일이 없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 전력 송수전 시스템
100 : 차량
110 : 수전 유닛
111, 242, 408, C1 : 콘덴서
112, 340 : 2차 자기 공진 코일
113, 146 : 릴레이
114, 350 : 2차 코일
120 : 차량 기동 버튼
122 : 급전 버튼
130, 240 : 통신 유닛
140 : 정류기
142, 181, 412 : DC/DC 컨버터
144, 211 : 저항
150 : 메인 배터리
162 : 승압 컨버터
164, 166 : 인버터
172, 174 : 모터 제너레이터
176 : 엔진
177 : 동력 분할 장치
178 : 구동륜
180 : 제어 장치
182 : 보조 기계 배터리
184 : 기기 급전 유닛
186 : 수전부
190 : 전압 센서
191 : 기기 배치면
192 : DC/AC 변환부
194 : 급전측 코일
200 : 급전 장치
210 : 고주파 전원 장치
212 : 커넥터
213 : 고주파 교류 전원
220 : 송전 유닛
232, 320 : 1차 코일
234, 330 : 1차 자기 공진 코일
310 : 고주파 전원
316, 416 : 배터리
360 : 부하
400 : 차내 전기 기기
404 : 수전측 코일
406, 414 : 다이오드
410 : 제너 다이오드
SMR1, SMR2 : 시스템 메인 릴레이

Claims (8)

  1. 차량(100)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장치(110)와,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송전 장치(184)를 구비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전력은, 상기 송전 장치가 비접촉으로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전력보다도 큰,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거리는, 상기 송전 장치가 비접촉으로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하는 거리보다도 큰,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172, 174)와,
    상기 구동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배터리(150)와,
    상기 주 배터리와는 별도로 설치된 보조 기계 배터리(18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기계 배터리의 전압은, 상기 주 배터리의 전압보다도 낮고,
    상기 송전 장치는 상기 보조 기계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아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송전을 행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승무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동작 상태를 주행 가능 상태와 주행 불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부(18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가능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상기 주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주행 불가능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전 장치에 의해 수전된 전력을 상기 주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금지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송전 장치는, 상기 차량이 움직임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되고,
    상기 차내 전기 기기와 상기 송전 장치는, 상기 차내 전기 기기를 승무원이 상기 송전 장치의 소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정렬이 실행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장치는,
    상기 차내 전기 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며, 상기 차내 전기 기기를 놓는 기기 배치면을 갖는, 차량.
  8. 차량(100)과,
    상기 차량에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차외 송전 장치(200)와,
    상기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차내 전기 기기(300)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차외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력을 전자계 공명에 의해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장치(110)와,
    상기 차내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하는 송전 장치(184)를 포함하는, 전력 송수전 시스템.
KR1020137033783A 2011-06-03 2011-06-03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KR101586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2816 WO2012164742A1 (ja) 2011-06-03 2011-06-03 車両および電力送受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921A true KR20140022921A (ko) 2014-02-25
KR101586133B1 KR101586133B1 (ko) 2016-01-21

Family

ID=4725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783A KR101586133B1 (ko) 2011-06-03 2011-06-03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81878B2 (ko)
EP (1) EP2716489B1 (ko)
JP (1) JP5692372B2 (ko)
KR (1) KR101586133B1 (ko)
CN (1) CN103561994B (ko)
BR (1) BR112013031037B1 (ko)
RU (1) RU2566161C2 (ko)
WO (1) WO201216474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468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69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67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70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20180135000A (ko) * 2016-05-18 2018-12-1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31015A2 (pt) 2011-06-03 2016-11-29 Toyota Motor Co Ltd veículo, dispositivo elétrico, e sistema de transmissão/recepção de energia
CN104271384B (zh) * 2012-05-09 2017-10-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RU2576668C1 (ru) * 2012-08-02 2016-03-1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арядо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6003696B2 (ja) * 2013-02-06 2016-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換ユニット
KR101943082B1 (ko) * 2014-01-23 2019-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5188344A1 (zh) * 2014-06-12 2015-12-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供电装置及飞行器
US9884751B2 (en) * 2015-09-17 2018-02-06 Gray Manufacturing Company, Inc. Battery operated vehicle lifts with wireless charging
US10363820B2 (en) * 2016-03-31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fer to a tailgate through capacitive couplers
US9912165B2 (en) * 2016-04-18 2018-03-06 uBeam Inc. Power receiver circuit
CN109153336A (zh) * 2016-05-31 2019-01-04 日本电产株式会社 移动体和移动体系统
US11110812B2 (en) * 2016-05-31 2021-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JP6332580B1 (ja) * 2016-10-27 2018-05-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494233B (zh) * 2016-12-14 2018-11-30 中车洛阳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车辆用的库电控制系统
EP3582988B1 (de) * 2017-02-20 2023-01-04 Jheeco E-Drive AG Achsantriebseinheit mit induktivem ladeempfänger, antriebsachse und kraftfahrzeug
WO2018195325A1 (en) 2017-04-19 2018-10-25 Chase Arnold Intelligent vehicle charging system
JP7091798B2 (ja) * 2018-04-13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車両充電システムの認証方法
US10988042B1 (en) 2018-10-12 2021-04-27 Arnold Chase Vehicle charging system
US11376977B2 (en) * 2018-12-30 2022-07-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train architecture for a vehicle utilizing an on-board charger
JP6573737B1 (ja) 2019-01-17 2019-09-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JP7227778B2 (ja) * 2019-02-05 2023-02-22 株式会社Subaru 車両
CN112706601A (zh) * 2020-12-16 2021-04-27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无线电池包组件、无线电池包车辆、无线电池包充电组件
US11485246B1 (en) 2021-04-05 2022-11-01 Arnold Chase Individualized vehicular charging m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412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7104868A (ja) 2005-10-07 2007-04-19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電気機器及び車両用非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0052785A1 (ja) 2008-11-07 2010-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給電システム、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設備
JP2010268660A (ja) * 2009-05-18 2010-11-25 Toyota Motor Corp 非接触電力伝達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電力伝達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3860B (en) * 2002-09-27 2006-02-15 Zap Wireless Technologie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retention of rechargeable devices
US7825543B2 (en) 2005-07-12 2010-1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CN102983639B (zh) 2005-07-12 2016-01-27 麻省理工学院 无线非辐射能量传递
CA2682284C (en) 2007-03-27 2016-08-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JP4453741B2 (ja) 2007-10-25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JP2009296780A (ja) * 2008-06-04 2009-12-17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載充電器
JP5238420B2 (ja) * 2008-09-11 2013-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JP2010183814A (ja) * 2009-02-09 2010-08-19 Toyota Industries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4911262B2 (ja) * 2009-03-12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CN102421628B (zh) 2009-05-14 2014-04-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充电装置
JP2011029799A (ja) * 2009-07-23 2011-02-10 Sony Corp 非接触給電通信装置、非接触受電通信装置、給電通信制御方法および受電通信制御方法
DE112009005181B4 (de) 2009-08-28 2018-08-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nergieversorgung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elektrisch angetriebenes Fahrzeug mit dem Energieversorgungssystem
BR112013031015A2 (pt) 2011-06-03 2016-11-29 Toyota Motor Co Ltd veículo, dispositivo elétrico, e sistema de transmissão/recepção de energia
US20130033228A1 (en) * 2011-08-05 2013-02-07 Evatra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ly transferring ac power between a charging unit and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412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7104868A (ja) 2005-10-07 2007-04-19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電気機器及び車両用非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0052785A1 (ja) 2008-11-07 2010-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給電システム、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設備
JP2010268660A (ja) * 2009-05-18 2010-11-25 Toyota Motor Corp 非接触電力伝達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電力伝達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000A (ko) * 2016-05-18 2018-12-1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KR101850468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69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67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1850470B1 (ko) * 2018-01-24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력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6489A4 (en) 2015-09-30
RU2013157906A (ru) 2015-07-20
BR112013031037B1 (pt) 2024-03-12
JP5692372B2 (ja) 2015-04-01
JPWO2012164742A1 (ja) 2014-07-31
EP2716489A1 (en) 2014-04-09
CN103561994A (zh) 2014-02-05
US20140077760A1 (en) 2014-03-20
CN103561994B (zh) 2016-09-14
WO2012164742A1 (ja) 2012-12-06
BR112013031037A2 (pt) 2016-11-29
KR101586133B1 (ko) 2016-01-21
EP2716489B1 (en) 2018-11-21
US9381878B2 (en) 2016-07-05
RU2566161C2 (ru)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133B1 (ko)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JP5768878B2 (ja) 車両
WO2013042229A1 (ja)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US8418823B2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101376241B1 (ko) 비접촉 수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차량
JP5700133B2 (ja) 非接触受電装置、非接触送電装置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EP2773018B1 (en) Non-contact power receiving apparatus,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EP2346142A1 (en) Noncontact receiv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device
EP2360049A1 (en) Electric vehicle
JP5304624B2 (ja) 給電装置、車両および車両給電システム
JP5287115B2 (ja) 車両の受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2015027224A (ja) 非接触受電装置
JPWO2013042229A1 (ja)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