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000A -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000A
KR20180135000A KR1020187033117A KR20187033117A KR20180135000A KR 20180135000 A KR20180135000 A KR 20180135000A KR 1020187033117 A KR1020187033117 A KR 1020187033117A KR 20187033117 A KR20187033117 A KR 20187033117A KR 20180135000 A KR20180135000 A KR 2018013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il
voltage
circu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957B1 (ko
Inventor
유키노리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60L11/1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지상측의 송전 코일(12)로부터 차량측의 수전 코일(22)에 급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수전 코일(22)의 위치를 검출하는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이며,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53)의 출력단은, 구동 회로(50) 및 배터리(2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류 회로(53)의 출력단과, 배터리(27) 사이에는, 릴레이 스위치(2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릴레이 스위치(26)가 온일 때에는, 정류 회로(53)의 전단에 마련된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일 때에는, 정류 회로(53)의 후단에 마련된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한다.

Description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본 발명은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배터리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급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지상에 마련된 송전 코일과, 차량에 탑재한 수전 코일을 대향하여 배치하고, 송전 코일을 여자하고, 수전 코일에 전력을 급전한다. 이러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수전 코일이 송전 코일에 대향하도록, 수전 코일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고, 종래부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송전 코일을 통상의 급전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여자하고, 수전 코일에서 수전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수전 코일이 송전 코일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84919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예는, 배터리 및 구동 회로의 전단에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고, 수전 코일의 위치 결정을 행할 때에는, 수전 코일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검출하기 위해서 릴레이를 오프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위치 결정 시에 릴레이를 전환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수전 코일을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은, 수전 코일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및 해당 정류 회로에 접속된 구동 회로와, 배터리의 사이에 마련된 릴레이 회로가 온일 때에는, 정류 회로의 전단에서 검출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릴레이 회로가 오프일 때에는, 정류 회로의 후단에서 검출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수전 장치는, 송전 코일이 여자된 때에, 수전 코일에서 수전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는 코일 위치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코일 위치 검출 회로는, 릴레이 회로가 온일 때에는, 정류 회로의 전단에서 검출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고, 릴레이 회로가 오프일 때에는, 정류 회로의 후단에서 검출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결정 시에 릴레이 회로를 전환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수전 코일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이 채용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이 채용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정류 회로 및 그의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의, 급전 장치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의,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의 수전 장치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의,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의 수전 장치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전압계의 설치 위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전압계의 설치 위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전압계의 설치 위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전압계 혹은 제2 전압계로 전압을 검출할 때에, 검출 전압을 분압하는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전압계 혹은 제2 전압계로 전압을 검출할 때에, 검출 전압을 분압하는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이 채용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비접촉 급전 시스템(1)은, 지상측 유닛인 급전 장치(100)와, 차량측 유닛인 수전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비접촉 급전 시스템(1)은, 급전 스탠드 등에 배치된 급전 장치(100)로부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 등의 차량(10)에 탑재된 수전 장치(200)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 탑재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다.
급전 장치(100)는, 급전 스탠드 근방의 주차 스페이스(2)에 배치된 송전 코일(12)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수전 장치(200)는, 차량(10)의 저면에 설치된 수전 코일(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전 코일(22)은,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의 소정 위치(후술하는 급전 가능 위치)에 정차했을 때 송전 코일(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전 코일(12)은, 도전선을 포함하는 1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수전 코일(22)에 전력을 송전한다. 또한, 수전 코일(22)은, 동일하게 도전선을 포함하는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고, 송전 코일(12)로부터의 전력을 수전한다. 양쪽 코일간에 있어서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송전 코일(12)로부터 수전 코일(22)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가 가능해진다.
지상측의 급전 장치(100)는, 전력 제어부(11)와, 송전 코일(12)과, 무선 통신부(13)와, 제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전력 제어부(11)는, 교류 전원(110)으로부터 송전되는 교류 전력을 고주파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 코일(12)에 송전하기 위한 회로이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11)는, 정류부(111)와, PFC 회로(112)와, DC 전원(114)과, 인버터(113)를 구비하고 있다.
정류부(111)는, 교류 전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교류 전원(11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회로이다. PFC 회로(112)는, 정류부(111)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을 정형함으로써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이며, 정류부(111)와 인버터(11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113)는, IGBT 등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PWM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 코일(12)에 공급한다. DC 전원(114)은,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상세는 후술함)로 할 때의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3)는, 차량(10)측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23)와 쌍방향의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14)는, 급전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며, 인버터 제어부(141)와, PFC 제어부(142)와, 시퀀스 제어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4)는,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에 주차할 때에,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PFC 제어부(142)는 송전 코일(12)의 여자 전력 명령을 생성하고, 인버터 제어부(141)는 여자 전력의 주파수 명령이나 듀티를 생성하여 인버터(11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14)는, 주차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전력을 송전 코일(12)로부터 수전 코일(22)에 송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 혹은 약 여자(모두, 통상의 충전시보다도 약한 여자)로 함으로써 주차 위치 판정용 전력을 송전한다. 또한, 시퀀스 제어부(143)는, 무선 통신부(13)를 통하여 수전 장치(200)와 시퀀스 정보를 주고 받는다.
한편, 차량(10)측의 수전 장치(200)는, 수전 코일(22)과, 무선 통신부(23)와, 충전 제어부(24)와, 정류부(25)와, 릴레이 스위치(26)(릴레이 회로)와, 배터리(27)와, 인버터(28)와, 모터(29)와, 통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수전 코일(22)은, 차량(10)을 주차 스페이스(2)의 소정의 정지 위치에 주차하면, 송전 코일(12)의 바로 위에 정면으로 대향하여, 송전 코일(12)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값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무선 통신부(23)는, 급전 장치(100)측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13)와 쌍방향의 통신을 행한다.
충전 제어부(24)는, 배터리(27)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며, 전압 판정부(241)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충전 제어부(24)는,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에 주차할 때에,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전압 판정부(241)는,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력을 감시한다. 그리고, 송전 코일(12)을 여자했을 때의 수전 코일(22)에서의 수전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코일(22)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충전 제어부(24)는, 송전 코일(12)이 여자된 때에,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수전 코일(22)의 위치를 검출하는 코일 위치 검출 회로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24)는, 무선 통신부(23), 통지부(30), 릴레이 스위치(26) 등을 제어하고 있으며, 충전을 개시한다는 취지의 신호를, 무선 통신부(23)를 통하여 급전 장치(100)의 제어부(14)에 송신한다.
정류부(25)는 수전 코일(22)에 접속되고, 해당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정류하고, 배터리(27), 혹은 인버터(28)에 출력한다. 정류부(25)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릴레이 스위치(26)는, 충전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가 전환된다. 또한, 해당 릴레이 스위치(26)를 오프로 함으로써, 배터리(27)와 정류부(25)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배터리(27)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접속하여 구성되며, 차량(10)의 전력원이 된다.
인버터(28)는, IGBT 등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PWM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27)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29)에 공급한다.
모터(29)는, 예를 들어 삼상의 교류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며, 차량(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된다.
통지부(30)는, 경고 램프,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충전 제어부(24)의 제어에 기초하여, 유저에 대해 광이나 화상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접촉 급전 시스템(1)은,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해 비접촉 상태로 고주파 전력의 송전 및 수전을 행한다. 즉, 송전 코일(12)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에 자기적인 결합이 발생하고, 송전 코일(12)로부터 수전 코일(22)에 전력이 공급된다.
[미약 여자 및 약 여자의 설명]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1)은, 차량(10)을 주차 스페이스(2)에 주차하여 비접촉 급전을 행할 때에, 차량(10)이 급전 가능한 주차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송전 코일(12)에 의한 송전 전력을 수전 코일(22)로 수전하여 배터리(27)에의 급전이 가능한 주차 위치를 「급전 가능 위치」라고 칭한다. 즉,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의 급전 가능 위치에 주차한 경우에는,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이 대향하는 위치가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의 결합 계수가 일정한 결합 계수(이것을, 「허용 결합 계수」라 함)에 도달한다. 여기서, 「결합 계수」라 함은 송전 코일(12)이 여자되어 출력되는 자속 중, 수전 코일(22)에 쇄교하는 자속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이 정면으로 대향한 때에 결합 계수가 최대가 된다. 또한, 「허용 결합 계수」는, 비접촉 급전을 실시할 때의, 최저한의 결합 계수를 나타낸다.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에서는,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접근하고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 송전 코일(12)에 판정용 전력으로서 미약 전력을 공급하여,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 한다. 또한,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 하고 있을 때, 수전 코일(22)로 수전되어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 전압 Vth1을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미약 전력보다도 큰 약전력을 송전 코일(12)에 공급하고, 송전 코일(12)을 약 여자로 한다. 예를 들어,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의 급전 가능 위치에 접근함으로써 수전 코일(22)의 일부가 송전 코일(12)에 중복되고, 수전 코일(22)에 전압이 발생되고, 이 전압이 제1 임계값 전압 Vth1에 도달한 경우에,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한다. 또한, 차량이 정지하여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전압이 제3 임계값 전압 Vth3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송전 코일(12)을 약 여자로 한다. 제1 전압계(51)와 제2 전압계(52)를 구분지어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송전 코일(12)을 약 여자로 한 후에,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전압 Vth2를 상회했을 때,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바꾸어 말하면,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의 결합 계수가 허용 결합 계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차량이 정지하여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전압이 제4 임계값 전압 Vth4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차 스페이스(2)의 적소에 설치되는 송전 코일(12)에 인간이 접근하거나, 송전 코일(12)의 근방에 금속제의 이물이 놓일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송전 코일(12)이 여자된 때에, 인체나 이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가능한 한 송전 코일(12)의 여자를 약하게 할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 한다.
한편, 송전 코일(12)이 미약 여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전 코일(22)에서의 수전 전력, 즉, 검출되는 전압은 매우 낮은 전압이 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렴한 검출 기기에서는, 수전 코일(22)에 생기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고기능을 갖는 검출 기기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수전 전압이 제1 임계값 전압 Vth1에 도달한 경우에는,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함으로써, 고기능을 갖는 검출 기기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를 회피한다. 또한,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할 때에는, 차량(10)은, 주차 스페이스(2)의 급전 가능 위치에 접근하고 있으므로, 인간이 다가가는 것이나 금속제의 이물이 놓인다는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은 낮아진다.
[수전 전압의 측정에 관한 설명]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회로도를 참조하여, 수전 코일(22)로 수전한 전압의 측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류부(25) 및 그 주변 기기의 상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25)는, 정류 회로(53)와, 콘덴서 C1 내지 C3과, 제1 전압계(51)와, 제2 전압계(52)를 구비하고 있다. 수전 코일(22)은, 콘덴서 C1, C2를 통하여 정류 회로(53)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 회로(53)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며,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또한, 정류 회로(53)의 입력단(전단)에는,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계(5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정류 회로(53)의 출력단(후단)에는, 해당 정류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계(5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정류 회로(53)의 출력단에는, 평활 콘덴서 C3이 접속되고, 또한, 릴레이 스위치(26)를 통하여 배터리(2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26)의 전단에는, 구동 회로(50)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회로(50)는, 도 1의 인버터(28), 모터(29)에 상당한다. 제1 전압계(51)의 검출 데이터 및 제2 전압계(52)의 검출 데이터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전압 판정부(241)에 출력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전 코일(12)이 미약 여자, 혹은 약 여자로 되어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실시할 때에 제1 전압계(51) 및 제2 전압계(52)를 전환하여 전압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10)이 정지하여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인 경우에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한 전압(직류 전압)을 사용한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26)가 온으로 되어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전압계(51)로 검출한 전압(교류 전압)을 사용한다.
이하, 차량(10)의 주행시와 정지시에, 제1 전압계(51)와 제2 전압계(52)를 전환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0)의 주행 시에는, 구동 회로(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릴레이 스위치(26)가 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전압계(52)에는, 배터리(27)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송전 코일(12)이 미약 여자 혹은 약 여자로 되고,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전압을 제2 전압계(52)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배터리(27)의 전압에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전압이 가산되게 된다.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은, 배터리(27)의 출력 전압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제2 전압계(52)에서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검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정류 회로(53)의 전단에 마련된 제1 전압계(51)에는,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전압만이 발생하고 있으며, 배터리(27)의 출력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전압 판정부(241)는, 릴레이 스위치(26)가 온으로 되어 있을 때는, 제1 전압계(51)로 검출된 전압을 측정하고, 이 전압을 사용하여,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한편, 차량(10)의 정지 시에는,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므로, 배터리(27)는, 제2 전압계(5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방전 장치에 의해, 평활 콘덴서 C3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은 방전된다. 따라서, 송전 코일(12)이 미약 여자 혹은 약 여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전 코일(22)로 수전된 전압을 제2 전압계(52)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정지 시에는,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고, 또한, 평활 콘덴서 C3이 방전되므로, 정류부(25)의 입력단에 생기는 전압은, 콘덴서 C1, C2의 충전 상태나, 정류 회로(53)에 사용되는 다이오드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이 안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전 코일(22)의 수전 전압을 제1 전압계(51)에 의해 측정하면, 정확한 전압을 측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차량(10)이 정지하고,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어 있을 때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의 주행시(릴레이 스위치(26)의 온 시)와 차량(10)의 정지시(릴레이 스위치의 오프 시)에, 제1 전압계(51), 및 제2 전압계(52)를 전환하여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전압 검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주차 위치의 판정 처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의 설명]
다음에,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지상측에 마련되는 급전 장치(100)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도 5는, 차량(10)에 마련되는 수전 장치(200)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차량 주행 시의 처리 수순, 도 5는 차량 정지 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급전 장치(100)의 처리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의 제어부(14)는, 미약 여자 요구 신호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약 여자 요구 신호를 취득한 경우에는, 통신을 개시한다. 미약 여자 요구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에 접근했을 때, 수전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통신을 개시한 경우에는(스텝 S11에서 "예"),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송전 코일(12)에 미약 여자의 전력을 공급하고, 해당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 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차량(10)의 수전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전 코일(22)에 의해 수전되는 전압이 전술한 제1 임계값 전압 Vth1에 도달한 경우에, 무선 통신부(23)로부터 차량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스텝 S13에서 "아니오"), 스텝 S1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3에서 "예"),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송전 코일(12)을 약 여자로 한다. 즉, 수전 코일(22)로 검출되는 전압이 제1 임계값 전압 Vth1에 달했다는 것은, 송전 코일(12)에 대해 수전 코일(22)의 일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와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수전 장치(200)로부터 차량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후술하는 도 4의 S33 참조). 그리고, 차량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 내의 충전 가능 위치(결합 계수가 허용 결합 계수가 되는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수전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검출 OK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가능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5에서 "아니오"), 스텝 S1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도달한 경우에는(스텝 S15에서 "예"), 스텝 S1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6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수전 장치(200)로부터, 차량 검출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 검출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16에서 "예"), 스텝 S1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 내로 충전 가능 위치에 접근하고 있지만, 충전 가능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약 여자를 계속한다. 또한, 차량 검출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에서 "아니오"), 스텝 S20에 있어서, 약 여자를 정지하고 스텝 S1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주차 스페이스(2)를 변경하는 경우나 비접촉 급전을 행하지 않는 경우로서,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로부터 멀어졌을 경우이며, 약 여자를 정지한다.
스텝 S17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 내의 충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비접촉 급전을 개시하기 위해, 수전 장치(200)에 대해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는, 차량(10)에 대해, 인버터(28) 및 모터(29)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요구 신호이다.
스텝 S18에 있어서, 제어부(14)는, 수전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충전 개시 요구 신호(후술하는 도 4의 S41)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충전 개시 요구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스텝 S18에서 "예"), 스텝 S19에 있어서, 충전을 개시한다. 즉, 제어부(14)는, 송전 코일(12)을 여자하여 비접촉 급전용 전력을 급전한다.
한편, 충전 개시 요구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8에서 "아니오"), 스텝 S21에 있어서, 수전 장치(200)로부터 정지 요구 신호(후술하는 도 4의 S42)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1에서 "아니오"), 스텝 S1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정지 요구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는(스텝 S21에서 "예"), 스텝 S22에 있어서 처리를 정지한다.
이와 같이, 급전 장치(100)에서는, 차량(10)과 주차 스페이스(2)의 위치 관계에 따라, 미약 여자 및 약 여자를 전환하고, 또한, 차량(10)이 충전 가능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을 개시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차량(10)이 주행하여 주차 스페이스(2) 내의 충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의, 수전 장치(200)에 의한 처리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스텝 S31에 있어서, 수전 장치(200)의 충전 제어부(24)는, 지상측의 급전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고, 해당 급전 장치(100)에 미약 여자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 통신은,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부(23)와 무선 통신부(13) 사이에 실행된다. 이 때, 통신 개시의 트리거는,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 자동 주차 시스템의 기동, 수전 장치(200)에 의한 서치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전 코일(12)은 미약 여자로 된다(도 3의 S12 참조).
스텝 S32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의 전압 판정부(241)는,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1을 취득한다. 수전 전압 V1은, 수전 코일(22)에 발생되는 교류 전압이다. 그리고, 수전 전압 V1이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 전압 Vth1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전 전압 V1이 제1 임계값 전압 Vth1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32에서 "아니오"), 처리를 복귀시킨다. 수전 전압 V1이 제1 임계값 전압 Vth1보다도 높은 경우에는(스텝 S32에서 "예"), 스텝 S33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주차 스페이스(2) 내에서 차량(10)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차량 검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송전 코일(12)은,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된다(도 3의 S13, S14 참조).
스텝 S34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차량 속도가 임계값 속도 v0을 하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속도는, 도시 생략된 차속 센서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서, 임계값 속도 v0은, 차량(10)을 주차 스페이스(2) 내의 소정의 위치에 맞추기 위해 주행할 때의 매우 느린 속도이다. 또한, 차량(10)의 시프트 포지션이 파킹에 넣어진 것을 검출하여, 임계값 속도 v0을 하회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속도가 임계값 속도 v0을 하회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34에서 "아니오"), 스텝 S33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차량 속도가 임계값 속도 v0을 하회한 경우에는(스텝 S34에서 "예"), 스텝 S35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무선 통신부(23)로부터 차량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스텝 S36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1이, 제2 임계값 전압 Vth2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전 전압 V1이 제2 임계값 전압 Vth2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36에서 "아니오"), 스텝 S43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수전 전압 V1이 미리 설정한 소정 전압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 전압」이란, 송전 코일(12)이 약 여자로 되고, 또한, 수전 코일(22)이 송전 코일(12)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중복된 때에 수전 코일(22)에 생기는 최저한의 전압이다. 소정 전압보다도 높은 경우에는(스텝 S43에서 "예"), 스텝 S33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소정 전압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43에서 "아니오"), 차량(10)은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44에 있어서, 차량 검지 NG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32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수전 전압 V1이 상기 소정 전압을 하회했다는 것은,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로부터 멀어졌다는 것이고, 주차 스페이스(2)를 변경하거나, 혹은 급전의 의사가 없어진 것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검지 NG 신호를 송신한다.
스텝 S37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차량(10)이 주차 스페이스(2) 내의 충전 가능 위치에 정차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위치 검지 OK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무선 통신부(23)로부터 무선 통신부(13)(도 1 참조)로부터 위치 검지 OK 신호가 송신된다(도 3의 S15 참조).
스텝 S38에 있어서, 급전 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가 송신되고, 이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 3의 스텝 S17의 처리에서,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스텝 S38에서 "아니오"), 스텝 S33으로 처리를 되돌리고, 구동력 오프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3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39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릴레이 스위치(26)를 오프로 하고, 또한, 평활 콘덴서 C3(도2 참조)을 방전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제2 전압계(52)에는, 배터리(27)의 전압 및 평활 콘덴서 C3의 전압은 인가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스텝 S40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의 전압 판정부(241)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2를 취득한다. 수전 전압 V2은, 수전 코일(22)에 발생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 회로(53)로 정류한 후의 직류 전압이다. 그리고, 수전 전압 V2가 미리 설정한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전 전압 V2가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높은 경우에는(스텝 S40에서 "예"), 차량(10)은 주차 스페이스(2) 내의 충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고 있고, 비접촉 급전이 가능하므로, 스텝 S41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급전 장치(100)에 충전 개시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도 3의 S18 참조). 한편, 수전 전압 V2가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40에서 "아니오"), 예를 들어 탑승원이 하차함으로써,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의 갭이 넓어진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을 행할 수 없으므로, 스텝 S42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정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도 3의 S21 참조).
이와 같이, 차량(10)이 비접촉 급전을 행하기 위한 주차 스페이스(2)에 접근할 때에 있어서,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릴레이 스위치(26)가 온인 경우)에는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1을 사용하여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차량(10)이 정지하여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에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2를 사용하여,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고,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고 있음을 고정밀도로 검출하여 비접촉 급전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의, 수전 장치(200)에 의한 처리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는, 미리 차량이 주차 스페이스(2) 내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 이 차량(10)에 대해 비접촉 급전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26)는 오프로 되어 있다.
먼저, 도 5의 스텝 S51에 있어서, 수전 장치(200)의 충전 제어부(24)는, 지상측의 급전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고, 해당 급전 장치(100)에 미약 여자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 처리는, 도 4의 S31과 동일하다.
스텝 S52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의 전압 판정부(241)는, 제2 전압계(52)에 의한 수전 전압 V2를 취득한다. 수전 전압 V2는, 정류 회로(53)의 후단 전압이며, 직류 전압이다. 또한, 이 수전 전압 V2가 미리 설정한 제3 임계값 전압 Vth3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전 전압 V2가 제3 임계값 전압 Vth3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52에서 "아니오"), 스텝 S57에 있어서, 정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수전 전압 V2가 제3 임계값 전압 Vth3보다도 높은 경우에는(스텝 S52에서 "예"), 스텝 S53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차량(10)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차량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차량 검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송전 코일(12)은, 미약 여자로부터 약 여자로 전환된다(도 3의 S14 참조).
스텝 S54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2가,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낮은 경우에는(스텝 S54에서 "아니오"), 스텝 S57에 있어서, 정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즉,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2가 제3 임계값 전압 Vth3보다도 낮은 경우(S52에서 "아니오") 및 제4 임계값 전압 th4보다도 낮은 경우(S54에서 "아니오")에는, 현재의 차량(10)의 정지 위치에서는 비접촉 급전을 실시할 수 없으므로, 정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차량(10)을 주차 스페이스(2)의 충전 가능 위치에 정지시킨 후, 무언가의 이유로 차량이 이동한 경우나, 탑승원이 하차함으로써 송전 코일(12)과 수전 코일(22) 사이의 갭이 넓어졌을 경우 등에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수전 전압 V2이 제4 임계값 전압 Vth4보다도 높은 경우에는(스텝 S54에서 "예"), 스텝 S55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위치 검출 OK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56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24)는, 충전 개시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 충전 개시 요구 신호를 받고, 전술한 도 3의 스텝 S18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비접촉 급전이 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차량(10)이 비접촉 급전을 행하기 위한 주차 스페이스(2)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수전 전압 V2를 사용하여,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고, 차량(10)이 급전 가능 위치에 정지하고 있음을 고정밀도로 검출하여 비접촉 급전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와 같이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1)에서는, 차량(10)이 정지하여 릴레이 스위치(26)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류 회로(53)의 후단에 마련된 제2 전압계(52)로 검출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류 회로(53)의 전단에 마련된 제1 전압계(51)로 검출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전압을 검출한다. 그래서, 송전 코일(12)이 미약 여자, 혹은 약 여자로 되어 있을 때, 릴레이 스위치(26)를 전환하지 않고 수전 코일(22)에 생기는 전압을 고정밀도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차량(10)의 위치 정렬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변형예의 설명]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회로(53)에 2개의 입력단에 제1 전압계(51)를 마련하고, 정류 회로(53)에 2개의 출력단에 제2 전압계(52)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측의 전압 및 출력측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면, 이들 위치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 코일(22)에 2개의 단자간(부호 P1)이나 콘덴서 C1의 양단(부호 P2)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 코일(22)에 3개의 콘덴서 C11, C12, C13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콘덴서 C11의 양단(부호 P3), 콘덴서 C12의 양단(부호 P4)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콘덴서 C21, C22, C23, C24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각 콘덴서 C21 내지 C24의 양단(부호 5 내지 P8)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회로(53)에 2개의 입력단 사이에 제1 전압계(51)를 마련하고, 2개의 출력단 사이에 제2 전압계(52)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송전 코일(12)을 미약 여자로 한 경우와 약 여자로 한 경우에, 수전 코일(22)로 수전되는 전압은 변화된다. 따라서, 도 9,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압 저항을 삽입하여 각 여자 상태에서의 수전 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모선에 대해 저항 R1, 및 저항 R2와 R3의 직렬 접속 회로를 삽입한다. 그리고, 미약 여자의 경우에는, 저항 R1의 양단에 생기는 전압을 검출하여 RMS 변환 회로(62)에 의해 RMS 변환한다. 또한, 약 여자의 경우에는 저항 R2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하여 RMS 변환 회로(61)에서 RMS 변환한다. 그리고, 각RMS 변환 회로(61, 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멀티플렉서 회로(63)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과 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이 상이한 경우에도, 출력 전압을 어느 범위의 레벨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이, 미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에 대해 10배의 수치인 경우에는, 저항 R3의 저항값을, 저항 R2의 저항값 10배 정도로 하면 된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전압 판정부(241)에서의 전압 검출 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모선에 대해 저항 R4, R5의 직렬 접속 회로를 삽입한다. 이 때, 저항 R4의 저항값이 저항 R5의 저항값과 비교하여 작은 값으로 한다. 즉, R4 <R5로 한다. 그리고, 미약 여자의 경우에는 저항 R5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약 여자의 경우에는 저항 R4의 양단 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멀티플렉서(64)를 통하여 송신하고, 그 후, RMS 변환 회로(65)에서 RMS 변환을 행한다. 예를 들어, 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이, 미약 여자 시에 검출되는 수전 전압에 대해 10배의 수치인 경우에는, 저항 R5의 저항값을, 저항 R4의 저항값 10배 정도로 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전술한 도 9에 나타낸 회로와 마찬가지로, 전압 판정부(241)에서의 전압 검출 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정류 회로(53)의 전단에, 서로 다른 2 이상의 분압비를 갖는 분압 회로를 설치하고, 송전 코일(12)의 여자 변화에 따라, 분압비를 전환하여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전압 판정부(241)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를 도시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부의 구성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1: 비접촉 급전 시스템
2: 주차 스페이스
10: 차량
11: 전력 제어부
12: 송전 코일
13: 무선 통신부
14: 제어부
22: 수전 코일
23: 무선 통신부
24: 충전 제어부
25: 정류부
26: 릴레이 스위치(릴레이 회로)
27: 배터리
28: 인버터
29: 모터
50: 구동 회로
51: 제1 전압계
52: 제2 전압계
53: 정류 회로
61, 62, 65: RMS 변환기
63, 64: 멀티플렉서
100: 급전 장치
110: 교류 전원
111: 정류부
112: PFC 회로
113: 인버터
114: DC 전원
141: 인버터 제어부
142: PFC 제어부
143: 시퀀스 제어부
200: 수전 장치
241: 전압 판정부
C3: 평활 코일

Claims (3)

  1. 지상측의 송전 코일로부터 차량측의 수전 코일에 급전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상기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는 코일 위치 검출 방법이며,
    상기 수전 코일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및 해당 정류 회로에 접속된 구동 회로와, 배터리의 사이에 마련된 릴레이 회로가 온일 때에는, 상기 정류 회로의 전단에서 검출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릴레이 회로가 오프일 때에는, 상기 정류 회로의 후단에서 검출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코일 위치를 검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의 전단에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분압비를 갖는 분압 회로가 마련되고, 상기 송전 코일의 여자 변화에 따라, 분압비를 변경하여 전압을 검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3. 지상측의 송전 코일로부터 송전되는 교류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수전 코일과,
    상기 수전 코일에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접속된 구동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서 정류된 직류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와,
    상기 정류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사이에 마련된 릴레이 회로와,
    상기 송전 코일이 여자된 때에, 상기 수전 코일에서 수전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는 코일 위치 검출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위치 검출 회로는, 상기 릴레이 회로가 온일 때에는, 상기 정류 회로의 전단에서 검출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릴레이 회로가 오프일 때에는, 상기 정류 회로의 후단에서 검출되는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수전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장치.
KR1020187033117A 2016-05-18 2016-05-18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KR102035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4750 WO2017199374A1 (ja) 2016-05-18 2016-05-18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コイル位置検出方法及び受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000A true KR20180135000A (ko) 2018-12-19
KR102035957B1 KR102035957B1 (ko) 2019-10-23

Family

ID=6032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17A KR102035957B1 (ko) 2016-05-18 2016-05-18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91054B2 (ko)
EP (1) EP3460954B1 (ko)
JP (1) JP6566129B2 (ko)
KR (1) KR102035957B1 (ko)
CN (1) CN109155539B (ko)
CA (1) CA3024826C (ko)
MX (1) MX367761B (ko)
MY (1) MY173094A (ko)
RU (1) RU2695781C1 (ko)
WO (1) WO2017199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7654B2 (ja) 2018-03-30 2021-12-08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6965808B2 (ja) 2018-03-30 2021-11-10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CN112389248B (zh) * 2020-11-30 2022-02-18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电动汽车非接触供电定位方法、系统及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9190A (ko) 1971-10-20 1973-07-11
JP2003262369A (ja) * 2002-03-07 2003-09-19 Kyodo Kumiai Hanshin Seimitsu Kogyo Center 空気清浄装置
KR20060004629A (ko) * 2005-12-25 2006-01-12 권대웅 자외선엘이디를 이용한 광촉매 공기정화센서등
KR20140022921A (ko) * 2011-06-03 2014-02-25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JP2014057458A (ja) * 2012-09-13 2014-03-27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5116023A (ja) * 2013-12-11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装置
JP2015126658A (ja) * 2013-12-27 2015-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2016067149A (ja) * 2014-09-25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8855B2 (ja) * 2007-01-17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152338B2 (ja) * 2008-09-19 2013-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非接触受電装置
BRPI0823235B1 (pt) 2008-11-07 2019-04-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stema de alimentação de energia para veículo e veículo eletricamente ativado.
JP4905571B2 (ja) * 2010-03-10 2012-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駐車支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5810632B2 (ja) * 2011-05-27 2015-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CN202190128U (zh) * 2011-07-04 2012-04-11 东南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节点的移动式无线充供电装置
JP5899490B2 (ja) * 2011-07-20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264632B2 (ja) * 2013-05-22 2018-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達装置の機器検知方法及び非接触電力伝達装置
JPWO2015015771A1 (ja) * 2013-07-31 2017-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送電装置
RU2015102924A (ru) * 2014-02-07 2016-08-20 СИКАМ С.р.л. Шиномонтажный станок
JP6160504B2 (ja) * 2014-02-20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
JP2016007107A (ja) * 2014-06-20 2016-01-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9190A (ko) 1971-10-20 1973-07-11
JP2003262369A (ja) * 2002-03-07 2003-09-19 Kyodo Kumiai Hanshin Seimitsu Kogyo Center 空気清浄装置
KR20060004629A (ko) * 2005-12-25 2006-01-12 권대웅 자외선엘이디를 이용한 광촉매 공기정화센서등
KR20140022921A (ko) * 2011-06-03 2014-02-25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JP2014057458A (ja) * 2012-09-13 2014-03-27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5116023A (ja) * 2013-12-11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装置
JP2015126658A (ja) * 2013-12-27 2015-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2016067149A (ja) * 2014-09-25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957B1 (ko) 2019-10-23
MY173094A (en) 2019-12-25
WO2017199374A1 (ja) 2017-11-23
MX2018013903A (es) 2019-03-21
JPWO2017199374A1 (ja) 2019-03-22
EP3460954A1 (en) 2019-03-27
RU2695781C1 (ru) 2019-07-26
CA3024826A1 (en) 2017-11-23
CA3024826C (en) 2019-12-31
EP3460954A4 (en) 2019-04-17
EP3460954B1 (en) 2020-03-04
CN109155539B (zh) 2020-03-27
US20190296592A1 (en) 2019-09-26
MX367761B (es) 2019-09-05
US10491054B2 (en) 2019-11-26
JP6566129B2 (ja) 2019-08-28
CN109155539A (zh)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827B2 (en) Non-contact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ing station, and vehicle
KR101560964B1 (ko) 비접촉 급전 장치
US10305334B2 (en) Wireless power-supplying system, power-receiving device, and power-transmitting device
KR101774727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비접촉 수전 장치
KR102035957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수전 장치
EP3467999B1 (en) Coil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CN110234534B (zh) 停车辅助方法以及停车辅助装置
JP2019180221A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8207656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による異物検知方法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