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964A -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 Google Patents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964A
KR20140021964A KR1020130085331A KR20130085331A KR20140021964A KR 20140021964 A KR20140021964 A KR 20140021964A KR 1020130085331 A KR1020130085331 A KR 1020130085331A KR 20130085331 A KR20130085331 A KR 20130085331A KR 20140021964 A KR20140021964 A KR 20140021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ider
case
buckle switch
detec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로 데사키
히로후미 코이즈미
타카시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와 케이스를 공용 가능한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면에 설치된 기판 고정 부재와,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더 삽통구와, 케이스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부와, 기판고정부재를 우회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긴 방향이 계단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일단부에 절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가 케이스 내측면에 고정된 제1고정단자와, 지지부에 1개소가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가동단자와, 슬라이더 삽통구와 절결부를 관통해서 케이스 내부로 돌출하여, 아래방향으로 눌려 내려진 경우에 제1가동단자의 단부를 압하하는 단자압입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윗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가 있지 않은 경우에 제1고정단자와 제1가동단자가 전류를 도통 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진 경우에 제1고정단자와 제1가동단자가 이간되어서 절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ON/OFF DETECTION TYPE BUCKLE SWITCH}
본 발명은, 시트 벨트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의 버클 본체에의 착탈을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좌석에는, 충돌 등의 긴급 시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트 벨트 장치를 간단하고 쉽게 착탈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의 좌석에는 버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 장치는 텅 플레이트를 래치(latch)하는 래치부재를 래치방향으로 스프링 부세하는 동시에, 록부재에 의해 래치부재를 텅 플레이트와 버클 본체와의 래치상태로 유지하도록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텅 플레이트와 버클 본체가 래치 상태인 것을 램프로 표시하거나, 벨트 권취력 경감 기구 등을 작동 제어하거나, 혹은 에어백 ECU(전자 제어 유닛)에 시트 벨트의 착탈 정보를 전송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버클의 내부에는 래치 상태를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클 스위치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내는 특허 문헌 1 등이 존재하고 있다. 버클 스위치에는, 착탈시의 접점 도통/개방 상태만을 검출하는 타입의 스위치(이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라고 한다)와, 착탈시의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타입의 스위치(이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라고 한다)가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개소 63-104268호 공보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는, 필요한 부품이 적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한편,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는,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에 비하여, 부품 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써, 종래는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와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케이스를 공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와 케이스를 공용 가능한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는, 하우징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된 기판 고정 부재와,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더 삽통구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부와, 기판 고정 부재를 우회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긴 방향이 계단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일단부에 절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된 제1고정단자와, 지지부에 1개소가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가동단자와, 케이스의 슬라이더 삽통구 및 제1고정단자의 절결부를 관통해서 케이스 내부로 돌출하여, 아래방향으로 눌려 내려진 경우에 제1가동단자의 단부를 압하하는 단자압입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윗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가 있지 않은 경우에, 제1고정단자와 제1가동단자의 일부가 전류를 도통 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진 경우에 제1고정 단자와 제1가동단자가 이간되어 절연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에 의하면,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와 케이스를 공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3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사시도;
도 4는 슬라이더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슬라이더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자압입부와 제1고정단자의 절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슬라이더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스위치의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슬라이더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 1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슬라이더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실시예 1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의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슬라이더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자압입부와 프린트 기판의 절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3면도이다. 도 2a는 측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뚜껑(11a)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자압입부(122)와 제1고정단자(14)의 절결부(141)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이더(12)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뚜껑(11a)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는 직육면체 하우징 형상의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케이스(11)는 분리 가능한 뚜껑(11a)과, 뚜껑(11a)으로 개폐 가능한 개구부(11b5)를 구비한 수용부(11b)에 의해 구성된다. 뚜껑(11a), 수용부(11b)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수지제의 것이면 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b)의 뚜껑(11a)과 대향하는 측면을 긴 방향 측면이라고 칭하고, 뚜껑(11a)과 서로 인접한 2개의 측면을 짧은 방향 측면이라고 칭하며, 나머지의 면을 수용부 상면, 수용부 하면이라고 칭한다. 수용부(11b)의 수용부 상면 안쪽에는, 대략 사각형 통형상으로서 아랫방향과 2개의 측면이 개구된 스프링 수용부(11b1)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11b1)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위치 고정용 클로(claw)(11b1-A)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1b)의 짧은 방향 내측면의 1개에는 제1홈부(11b2)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1b)의 긴 방향 측면 안쪽의 중간 정도에는, 개구부를 홈으로 하는 사각형 통형상의 제2홈부(11b3)가 제1홈부(11b2)와 홈 끼리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홈부(11b2)와 제2홈부(11b3)는, 후술하는 프린트 기판(16)을 위치 결정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하, 제1홈부(11b2)와 제2홈부(11b3)를 동시에 기판고정부재라고도 칭한다. 또, 수용부(11b)의 긴 방향 내측면의 중간 정도, 제2홈부(11b3)의 약간 아래 쪽에, 후술하는 제1가동단자(15)를 지지하는 사각형 막대 형상의 지지부(11b4)가 긴 방향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1b)에는 슬라이더(12), 스프링(13), 제1고정단자(14), 제1가동단자 (15)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12)는, 대략 판형상의 텅 플레이트 접촉부(121)와, 텅 플레이트 접촉부(121)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대략 환봉 형상의 단자압입부(122)를 구비한다. 단자압입부(122)의 중간 정도에 플렌지(12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2)는, 예를 들면, POM(폴리옥시메틸렌)등의 미끄러지기 쉬운 수지제이면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b) 상면의 외측에는 사각형 통형상의 슬라이더 삽통구(11c)가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삽통구(11c)에는 슬라이더(12)의 단자압입부(122)가 삽통된다. 단자압입부(122)의 하단은, 슬라이더 삽통구(11c), 스프링 수용부(11b1)의 하단 개구부를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 쪽으로 돌출된다. 이때 스프링(13)은, 수용부(11b)의 스프링 수용부 (11b1)에 수용되어, 스프링(13)의 내강을 슬라이더(12)의 단자압입부(122)가 관통한다. 스프링(13)은 단자압입부(122)를 내포하는 위치에 스프링 수용부(11b1) 및 스프링 위치 고정용 클로(11b1-A)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슬라이더(12)가 눌려 내려가면, 스프링(13)은 플렌지(123)와 스프링 위치 고정용 클로(11b1-A) 사이에 낀 상태로 압축된다. 스프링(13)은 강재, 인청동 등의 금속제인 것이면 된다.
제1고정단자(14)는 가늘고 길며 두께가 얇은 판형상(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로서, 그 중간 정도가 제2홈부(11b3)를 피하도록 계단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제1고정단자(14)는 예를 들면, 황동, 인청동 등의 재질이면 된다. 제1고정 단자(14)의 한쪽의 단부는 아래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4a)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14a)는, 수용부(11b)의 제1홈부(11b2)가 설치된 짧은 방향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에 노출하도록 장착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단자(14)의 절곡부(14a)의 반대쪽의 단부에는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41)의 선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 가공되어 그 굴곡부(142)가 제1가동단자(15)와 접촉하고 있다. 제1가동단자(15)는, 제1고정단자(14)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길며 두께가 얇은 판형상(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로서, 그 중간 정도가 계단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제1가동단자(15)는 제1고정단자(1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황동, 인청동 등의 재질이면 된다. 제1가동단자(15)의 한쪽의 단부는 윗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5a)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15a)는, 절곡부(14a)와 동일한 측면의 외측에 노출하도록, 절곡부(14a)보다 약간 아래 쪽에, 제1고정단자(14)와 제1가동단자(15)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장착 고정되어 있다. 제1가동단자(15)는, 위에서 설명한 지지부(11b4)의 상면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가동단자(15)의 절곡부(15a)의 반대쪽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 가공되어 굴곡부(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굴곡부(151)가 제1고정단자(14)의 굴곡부(142)와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 슬라이더(12)가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져서 단자압입부(122)가 수용부(11b) 내에 깊게 돌출되었을 때, 단자압입부(122)는 제1고정단자(14)의 절결부(141)를 관통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2)가 밀어넣어져 있을 때, 단자압입부(122)는 제1고정단자(14)와 접촉하지 않고, 그 아래 쪽에 있는 제1가동단자(15)의 상면과 맞닿게 되어, 제1가동단자(15)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내린다. 이때 제1가동단자(1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b4)를 고정단부로 하고, 굴곡부(151)측의 단부를 자유단부로 하는 캔틸레버 스프링과 같이 기능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동단자(15)의 굴곡부(151)는 슬라이더(12)의 단자압입부(122)에 눌려 내려져서, 그 선단이 아래쪽으로 깊이 내려가기 때문에, 제1고정단자(14)의 굴곡부(142)와 제1가동단자(15)의 굴곡부(151)와는 이간된다.
예를 들면, 절곡부(14a)를 전원의 고전압 쪽, 절곡부(15a)를 전원의 저전압 쪽에 연결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검출용 신호를 흐르도록 해두면,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제1고정단자(14)의 굴곡부(142)와 제1가동단자
(15)의 굴곡부(151)가 접촉 상태에 있기 때문에 소정의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12)가 도시하지 않은 텅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 내려가서 래치상태로 있을 때, 제1고정단자(14)의 굴곡부(142)와 제1가동단자(15)의 굴곡부(151)가 이간되기 때문에, 전류값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류값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에 의해,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지 또는 래치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케이스(11)를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의 분해사시도이
다. 도 8은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의 뚜껑(11a)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더(12)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의 뚜껑(11a)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자압입부(122)와 프린트 기판(16)의 절결부(164)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는 위에서 설명한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와 케이스(11)를 공유하고 있으며, 케이스(11)의 수용부(11b)에는 슬라이더(12), 스프링(13),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이라고도 한다)(16), 제2고정단자(17), 제2가동단자(18), 제3고정단자(19)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12)는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경우와 같이, 그 단자압입부(122)가 슬라이더 삽통구(11c), 스프링 수용부(11b1)를 관통하여, 그 하단이 수용부(11b)내에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13)도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의 경우와 같이, 단자압입부(122)를 내포하여 스프링 수용부(11b1)에 수용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6)은, 두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그 긴 방향 단부에 긴 방향 1열로 2개의 단자접속구멍(165), (166)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접속구멍(165)은, 단자접속구멍(166) 보다 단부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접속구멍(165), (166)이 형성된 단부와 반대쪽의 단부에는, 단자접속구멍(167)이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6)의 바닥면에는, 위에서 설명한 단자접속구멍(165), (166), (167)을 연결하도록 선로(163)가 형성되어 있다. 선로(163)는 전기신호를 도통할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어, 동박 등이면 된다. 선로(163)의 중간 부근을 접촉부(163A)라고 칭한다. 접촉부(163A)는 후술하는 제2가동단자(18)의 만곡부(181)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선로(163)에는, 제1저항(161), 제2저항(162)이 접속되어 있다. 제1저항(161), 제2저항(162)은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16)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저항(161)은 단자접속구멍(166)과 접촉부(163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저항(162)은, 단자접속구멍(167)과 접촉부(163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16)의 긴 방향 단부는, 위에서 설명한 홈부(11b2),(11b3)에 끼워 넣어지며, 프린트 기판(16)(저항값 검출용 기판)은 수용부(11b)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16)의 중간 정도에는, 절결부(1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12)의 단자압입부(122)는, 아래방향으로 밀어 넣어졌을 경우에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16)과 접촉하지 않고 절결부(164)를 관통하여, 수용부(11b) 내부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제2고정단자(17)는 가늘고 길며 두께가 얇은 판형상(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로서, 그 중간 정도가 계단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제2고정단자(17)는 제1고정 단자(14) 등과 같이, 예를 들면, 황동, 인청동 등의 재질이면 된다. 제2고정단자 (17)의 한쪽의 단부는 아래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7a)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17a)는, 수용부(11b)의 제1홈부(11b2)가 설치된 짧은 방향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에 노출하도록 장착 고정되어 있다. 제2고정단자(17)의 절곡부 (17a)의 반대쪽의 단부는 윗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7b)의 선단에는 돌출부(17b-A)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7b-A)는, 프린트 기판(16)의 단자접속구멍(167)에 아래쪽으로부터 삽통되어, 고정되어져 있다. 제2가동단자(18)는, 제2고정단자(17)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길며 두께가 얇은 판형상(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로서, 그 긴 방향의 일단에 윗방향으로 부풀은 활 형상의 만곡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동단자(18)는 제1고정단자(14) 등과 같이, 예를 들면, 황동, 인청동 등의 재질이면 된다. 제2가동단자(18)의 만곡부(181)의 반대쪽의 단부는 윗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8b)의 선단에는 돌출부(18b-A)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8b-A)는, 프린트 기판(16)의 단자접속구멍(166)에 아래쪽으로부터 삽통되어, 고정되어져 있다. 제3고정단자(19)도 가늘고 길며 두께가 얇은 판형상(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로서, 긴 방향의 일단은 윗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9a)를 형성하고 있다. 제3고정단자(19)는 제1고정단자(14) 등과 같이, 예를 들면, 황동, 인청동 등의 재질이면 된다. 절곡부(19a)는, 절곡부(17a)와 같은 측면의 외측으로 노출하도록, 절곡부(17a) 보다 약간 아래 쪽에, 제2고정단자(17)와 제3고정단자(19)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장착 고정되어 있다. 제3고정단자(19)의 절곡부(19a)의 반대쪽의 단부는 윗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져, 절곡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9b)의 선단에는 돌출부(19b-A)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9b-A)는, 프린트 기판(16)의 단자접속구멍(165)에 아래쪽으로부터 삽통되어, 고정되어져 있다.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제2가동단자(18)의 만곡부(181)는 위에서 설명한 프린트 기판(16)의 선로(163)의 접촉부(163A)에 접촉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가 아래방향으로 밀어넣어져 단자압입부(122)가 절결부(164)를 통과하여, 수용부(11b) 내에 깊이 돌출되었을 때, 단자압입부(122)의 하단부는 아래쪽에 있는 제2가동단자(18)의 상면 중간 정도와 맞닿게 되어, 제2가동단자(18)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내린다. 이때, 제2가동단자(18)는, 돌출부(18b-A)를 고정단부로 하고, 만곡부(181) 쪽의 단부를 자유단부로 하는 캔틸레버 스프링과 같이 기능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동단자(18)는 슬라이더(12)의 단자압입부(122)에 눌려 내려져서, 그 만곡부(181)가 아래방향으로 깊이 내려가기 때문에, 프린트기판(16)의 선로(163)의 접촉부(163A)와 제2가동단자(18)의 만곡부(181)와는 이간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19b)는, 제3고정단자(19)와 다른 단자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절곡부(17a)를 전원의 고전압 쪽, 절곡부(19a)를 전원의 저전압 쪽에 연결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검출용 신호를 흐르도록 해두면,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만곡부(181)가 접촉부(163A)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용 전류의 경로는, 절곡부(17a) - 제2고정단자(17) - 절곡부(17b) - 단자접속구멍(167) - 선로(163) - 제2저항(162) - 접촉부(163A) - 만곡부(181) - 제2가동단자(18) - 절곡부(18b) - 단자접속구멍(166) - 단자접속구멍(165)- 절곡부(19b) - 제3고정단자(19) - 절곡부(19a)가 된다. 따라서, 이 경로에 있어서의 저항값은 제2저항(162)의 저항값과 근사한 값이 된다. 한편, 슬라이더(12)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만곡부(181)가 접촉부(163A)와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검출용 전류의 경로는, 절곡부(17a) - 제2고정단자(17) - 절곡부(17b) - 단자접속구멍(167) - 선로(163) - 제2저항(162) - 접촉부(163A) - 제1저항(161) - 단자접속구멍(165) -절곡부(19b) - 제3고정단자(19) - 절곡부(19a)가 된다. 따라서, 이 경로에 있어서의 저항값은, 제1저항(161)과 제2저항(162)의 합성 저항값과 근사한 값이 된다. 따라서 저항값을 측정해서, 해당 저항값이 제2저항(162)의 저항값에 근사하고 있는지, 제1저항(161)과 제2저항(162)의 합성 저항값에 근사하고 있는지에 의해서, 슬라이더(12)가 초기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래치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는, 저항값 검출용으로 이용하는 프린트 기판(16)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1홈부(11b2), 제2홈부(11b3)를 구비하고, 제2홈부(11b3)를 피하도록 제1고정단자(14)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케이스(11)를 공용해서 다른 일부의 부품(고정단자, 가동단자, 프린트 기판)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로 사양 변경할 수 있다. 또, 수용부(11b)가 제2홈부(11b3)의 약간 아래쪽에 지지부(11b4)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11b4)가 캔틸레버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제1가동단자(15)의 고정단부가 될 뿐만 아니라, 지지부(11b4)는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의 부품의 공용 관계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1)에 의하면,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2)와 케이스를 공용할 수 있다.
1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11 케이스
11a 뚜껑
11b 수용부
11b1 스프링 수용부
11b1-A 스프링 위치 고정용 클로
11b2 제1홈부
11b3 제2홈부
11b4 지지부
11b5 개구부
11c 슬라이더 삽통구
12 슬라이더
121 텅 플레이트 접촉부
122 단자압입부
123 플렌지
13 스프링
14 제1고정단자
14a 절곡부
141 절결부
142 굴곡부
15 제1가동단자
15a 절곡부
151 굴곡부
2 저항값 검출형 버클 스위치
16 프린트 기판(저항값 검출용 기판)
161 제1저항
162 제2저항
163 선로
163A 접촉부
164 절결부
165 단자접속구멍
166 단자접속구멍
167 단자접속구멍
17 제2고정단자
17a 절곡부
17b 절곡부
17b-A 돌출부
18 제2가동단자
181 만곡부
18b 절곡부
18b-A 돌출부
19 제3고정단자
19a 절곡부
19b 절곡부
19b-A 돌출부

Claims (1)

  1. 하우징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된 기판 고정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더 삽통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기판고정부재를 우회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긴 방향이 계단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일단부에 절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된 제1고정단자와,
    상기 지지부에 1개소가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제1가동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슬라이더 삽통구 및 상기 제1고정단자의 절결부를 관통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돌출하여, 아래방향으로 눌려 내려진 경우에 상기 제1 가동단자의 단부를 압하하는 단자압입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윗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가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고정단자와 상기 제1가동단자의 일부가 전류를 도통 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진 경우에 상기 제1고정단자와 상기 제1가동단자가 이간되어서 절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스위치.

KR1020130085331A 2012-08-13 2013-07-19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KR20140021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9270A JP5914250B2 (ja) 2012-08-13 2012-08-13 On/off検出型バックルスイッチ
JPJP-P-2012-179270 2012-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64A true KR20140021964A (ko) 2014-02-21

Family

ID=5026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331A KR20140021964A (ko) 2012-08-13 2013-07-19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16847B2 (ko)
JP (1) JP5914250B2 (ko)
KR (1) KR20140021964A (ko)
CN (1) CN104507347B (ko)
DE (1) DE112013004043T5 (ko)
TW (1) TW201418078A (ko)
WO (1) WO20140275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6686A (zh) * 2021-02-21 2021-06-18 淮南联合大学 一种电气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1754B2 (ja) * 2012-09-04 2016-03-01 ホシデン株式会社 On/off検出型バックルスイッチ
JP7340490B2 (ja)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077U (ko) * 1975-12-03 1977-06-04
JPS5275077A (en) 1975-12-17 1977-06-23 Hitachi Ltd Exhaust head
DE2648418A1 (de) * 1976-10-26 1978-04-27 Herbert Baumann Schaltvorrichtung im schloss eines sicherheitsgurtes in kraftfahrzeugen
JPS59105B2 (ja) 1977-06-03 1984-01-05 富士通株式会社 けい線用デ−タの管理方式
JPS54825U (ko) * 1977-06-04 1979-01-06
JPS5475077U (ko) * 1977-11-07 1979-05-28
JPH0247082Y2 (ko) * 1986-12-26 1990-12-11
US5970587A (en) * 1997-12-11 1999-10-26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buckle
DE20204318U1 (de) * 2002-03-19 2002-08-08 Eao Esa Elektro Zweigniederlas Schalter für ein Gurtschloß
DE10255324A1 (de) * 2002-11-27 2004-06-17 Cherry Gmbh Vorrichtung zur Abfrage des Verriegelungszustandes eines Gurtschlosses für Fahrzeuge
DE102005041029B4 (de) * 2005-08-23 2007-09-06 Prettl, Rolf Gurtschloss für Sicherheitsgurte
JP5832308B2 (ja) 2012-01-11 2015-12-1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
JP5769639B2 (ja) 2012-01-11 2015-08-2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
JP5769638B2 (ja) 2012-01-11 2015-08-2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
JP5871754B2 (ja) 2012-09-04 2016-03-01 ホシデン株式会社 On/off検出型バックル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6686A (zh) * 2021-02-21 2021-06-18 淮南联合大学 一种电气检测设备
CN112986686B (zh) * 2021-02-21 2022-03-11 淮南联合大学 一种电气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7723A1 (en) 2015-08-06
CN104507347B (zh) 2017-03-29
US9616847B2 (en) 2017-04-11
CN104507347A (zh) 2015-04-08
JP2014036718A (ja) 2014-02-27
WO2014027544A1 (ja) 2014-02-20
DE112013004043T5 (de) 2015-05-07
JP5914250B2 (ja) 2016-05-11
TW201418078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642B2 (ja) エアバッグコネクターシステム
EP2690713B1 (en) Wire-to-board connector
US9640342B2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CN105591220B (zh) 电路板接线端子和包括电路板接线端子的连接插座
KR20140021964A (ko)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US20140367234A1 (en) Dust and waterproof switch
KR20140031102A (ko)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US11233347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US8242773B2 (en) Vehicle switch
CN110364833B (zh) 电子装置和分流电阻固定结构
US10813414B2 (en) Buckle device
JP5354226B2 (ja) 圧接型コネクタ
US10249450B2 (en) Switch for a seat belt buckle
JP5600523B2 (ja) コネクタ構造
JP6613129B2 (ja) 金属端子
KR101932278B1 (ko)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US10332696B2 (en) Carrier and electric switch having said carrier
JP2014135196A (ja) コネクタ
CN115135047A (zh) 控制装置的壳体接触系统
TW201320487A (zh) 特別用於車輛控制裝置的直接插接元件
KR101483767B1 (ko) 스위치
JP2001233179A (ja) バックル装置
JP2010008267A (ja) ハーネス保持クリップの金属部検出装置
JP2012221584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1049044A (ja) コンタクト、中継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