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278B1 -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278B1
KR101932278B1 KR1020170094432A KR20170094432A KR101932278B1 KR 101932278 B1 KR101932278 B1 KR 101932278B1 KR 1020170094432 A KR1020170094432 A KR 1020170094432A KR 20170094432 A KR20170094432 A KR 20170094432A KR 101932278 B1 KR101932278 B1 KR 10193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unction box
contact
fixing ji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09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4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단자의 조립이 완료된 정션박스의 통전 검사시 조립 불량인 단자를 정션박스에서 분리시켜 단자의 조립불량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는 복수개의 단자가 조립된 정션박스이 수용되는 고정지그 및 상기 고정지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자 중 조립 불량인 단자를 상기 정션박스에서 분리하는 통전확인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POOR ASSEMBLING DETECTION DEVICE OF TERMINAL FOR JUNCTION BOX}
본 발명은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의 조립이 완료된 정션박스의 통전 검사시 조립 불량인 단자를 정션박스에서 분리시켜 조립 불량의 단자를 용이하게 검출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많은 전자부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의 발전으로 전자부품들이 더 추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전자부품의 원활한 전원공급과 제어를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 정션박스이다. 이때, 정션박스는 커버와 몸체가 결합되어 바디를 형성하고, 릴레이 및 퓨즈가 안착되는 기판이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때, 릴레이 및 퓨즈는 커버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기판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정션박스는 자동차의 엔진룸 일측에 설치되어 커넥터 등으로 자동차의 각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각 전자부품으로 분배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션박스는 전자부품들과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구비되는 단자를 내측에 탄성 결합하는데, 결합불량을 쉽게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13호(2011.02.25, 명칭: 컨베셔널 타입 박스의 단자 조립불량 검출기 및 단자 조립불량 검출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자의 조립이 완료된 정션박스의 통전 검사시 조립 불량인 단자를 정션박스에서 분리시켜 조립 불량의 단자를 용이하게 검출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를 제공한느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는 복수개의 단자가 조립된 정션박스이 수용되는 고정지그 및 상기 고정지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자 중 조립 불량인 단자를 상기 정션박스에서 분리하는 통전확인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전확인분리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상기 단자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단자를 가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시 상기 접촉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부재 및 상기 통전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출몰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통전부재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는 통전확인분리부의 이동시 이동방지부에 의해 정션박스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마주하는 양측에 돌출되고, 내측으로 이동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이동홈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지그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부 및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는 정션박스의 통전 검사시 통전확인분리부에 의해 조립 불량인 단자를 분리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 불량의 단자를 검출하기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불량인 단자와 통전되는 오류를 방지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정션박스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정션박스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정션박스에 완전하게 조립된 단자와 통전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정션박스에 조립 불량인 단자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이동방지부의 작동을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정션박스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 정션박스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정션박스에 완전하게 조립된 단자와 통전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정션박스에 조립 불량인 단자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에서 이동방지부의 작동을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는 고정지그(100) 및 통전확인분리부(200)를 포함한다.
고정지그(100)는 복수개의 단자(20)가 조립된 정션박스(10)가 수용된다.
이러한 고정지그(100)는 정션박스(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통전확인분리부(2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수용홈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10)에는 단자(2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부(11)가 형성되고, 삽입홀부(11)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탄성편(12)이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편(12)은 단자(20)가 삽입홀부(11)에 삽입되면 단자(20)의 일측에 수용되어 단자(2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편, 통전확인분리부(200)는 고정지그(100)에 구비되어 단자(20)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고, 단자(20) 중 조립 불량인 단자(20)를 정션박스(10)에서 분리한다.
즉, 통전확인분리부(200)는 정션박스(10)에 단자(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자(20)의 일측에 탄성편(12)이 수용될 경우 단자(20)의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단자(20)의 일측에 탄성편(12)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단자(20)의 통전이 불가능하도록 정션박스(10)에서 단자(20)를 분리한다.
이러한 통전확인분리부(200)는 이동부재(210) 및 프로브(220)을 포함한다.
이동부재(210)는 고정지그(100)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이때, 이동부재(210)는 고정지그(100)에 구비된 수용홈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에 단자(20)와 접촉되기 위한 프로브(220)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고정지그(100)의 수용홈부(110)에서 이동되기 위한 실린더(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프로브(220)는 이동부재(210)의 일측에 단자(20)와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이동부재(210)의 이동시 단자(20)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프로브(220)는 이동부재(210)에 의해 정션박스(10)에 조립된 단자(20)들과 일괄적으로 접촉되면 정션박스(10)에서 완전하게 조립된 단자(20)는 전원을 공급하고, 정션박스(10)에서 조립 불량인 단자(20)는 정션박스(10)에서 분리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정션박스(10)에서 완전하게 조립된 단자(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0)가 단자(20) 측으로 이동하면 탄성편(12)이 변형되면서 단자(20)의 이동을 고정하기 때문에 프로브(22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반면, 정션박스(10)에서 조립 불량인 단자(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0)가 단자(20) 측으로 이동하면 프로브(220)에 의해 이동부재(210)의 이동을 따라 이동되면서 탄성편(12)의 휨력에 의해 정션박스(10)에서 분리된다.
이로써, 단자(20)를 걸어서 고정하는 탄성핀(12)의 위치에 따라 조립 불량의 단자(20)를 쉽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불량인 단자(20)와 통전되는 오류가 방지되어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프로브(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1), 접촉부재(222), 통전부재(223) 및 탄성부재(224)를 포함한다.
하우징(221)은 이동부재(2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이동부재(210)의 이동시 단자(20)를 가압한다.
이러한 하우징(221)은 내부에 접촉부재(222), 통전부재(223) 및 탄성부재(224)를 수용하고, 양측에 일측개방홀부(221a)와 타측개방홀부(221b)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일측개방홀부(221a)는 접촉부재(222)의 이동을 안내하고, 타측개방홀부(221b)는 통전부재(223)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접촉부재(222)는 하우징(221)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단자(20)와 접촉된다.
이때, 접촉부재(222)는 일측개방홀부(221a)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하우징(221)에 수용되고, 통전부재(223)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정션박스(10)에 조립된 단자(20)의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접촉부재(222)는 하우징(221)의 내부로 삽입되면 단자(20)와 통전부재(223)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통전부재(223)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단자(20)와 통전한다.
반대로, 하우징(221)의 외부로 돌출되면 단자(20)와 통전부재(223)에 각각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통전부재(223)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단자(20)와 단전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222)는 이동부재(210)의 이동에 의해 정션박스(10)에 완전하게 조립된 단자(20)와 접촉되면 하우징(221)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통전부재(223)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단자(20)와 통전된다.
또한, 접촉부재(222)는 이동부재(210)의 이동에 의해 정션박스(10)에서 조립 불량인 단자(20)와 접촉되면 단자(20)와 일시적으로 접촉된 후에 하우징(221)의 가압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하우징(221) 외부로 돌출되어 단자(20)의 조립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전부재(223)는 하우징(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접촉부재(222)와 접촉시 접촉부재(22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통전부재(223)는 타측개방홀부(221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221)에 수용되고, 접촉부재(222)와 접촉시에만 외부의 전원을 공급한다.
탄성부재(224)는 통전부재(223)에 지지되어 접촉부재(22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접촉부재(222)와 통전부재(223)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24)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접촉부재(2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접촉부재(222)와 통전부재(223)를 상호 이격시켜 통전부재(223)에서 접촉부재(222)로 전달되는 전원이 단전되게 한다.
한편, 고정지그(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방지부(300)에 의해 통전확인분리부(200)의 이동시 정션박스(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방지부(300)는 고정지그(100)의 수용홈부(110)에 수용된 정션박스(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정션박스(10)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방지부(300)는 설치부재(310) 및 슬라이드부재(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부재(310)는 고정지그(100)의 마주하는 양측에 돌출되고, 내측으로 이동홈부(311)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이동홈부(311)는 슬라이드부재(32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320)는 이동홈부(3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지그(100)의 내측으로 출몰된다. 즉, 슬라이드부재(320)는 돌출시 고정지그(100)의 수용홈부(110)에 수용된 정션박스(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정션박스(10)를 구속하고, 삽입시 수용홈부(110)에 수용된 정션박스(10)를 분리 가능하게 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320)는 이동안내부(40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동안내부(400)는 가이드홀부(410) 및 파지돌기부(420)를 포함한다.
가이드홀부(410)는 설치부재(310)에 슬라이드부재(320)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홀부(410)는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돌기부(420)의 이동을 안내한다.
파지돌기부(420)는 가이드홀부(410)를 통과하도록 슬라이드부재(320)에 연결되어 가이드홀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부재(3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파지돌기부(420)는 작업자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20)를 이동시킬 수 있게 파지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치부재(3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파지돌기부(420)는 슬라이드부재(3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파지돌기부(420)를 설치부재(3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홀부(410)에서 슬라이드부재(320)가 돌출되고, 파지돌기부(420)를 설치부재(3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부재(320)가 가이드홀부(410)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정션박스 11: 삽입홀부
12: 탄성편 20: 단자
100: 고정지그 110: 수용홈부
200: 통전확인분리부 210: 이동부재
220: 프로브 221: 하우징
222: 접촉부재 223: 통전부재
224: 탄성부재 230: 실린더
300: 이동방지부 310: 설치부재
311: 이동홈부 320: 슬라이드부재
400: 이동안내부 410: 가이드홀부
420: 파지돌기부

Claims (5)

  1. 복수개의 단자가 조립된 정션박스이 수용되는 고정지그; 및
    상기 고정지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자 중 조립 불량인 단자를 상기 정션박스에서 분리하는 통전확인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확인분리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단자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지그에서 이동되도록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단자를 가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시 상기 접촉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전부재 및 상기 통전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재를 출몰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통전부재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통전확인분리부의 이동시 이동방지부에 의해 정션박스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마주하는 양측에 돌출되고, 내측으로 이동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이동홈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지그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슬라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부; 및
    상기 가이드홀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KR1020170094432A 2017-07-25 2017-07-25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KR10193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32A KR101932278B1 (ko) 2017-07-25 2017-07-25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32A KR101932278B1 (ko) 2017-07-25 2017-07-25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278B1 true KR101932278B1 (ko) 2018-12-27

Family

ID=6495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32A KR101932278B1 (ko) 2017-07-25 2017-07-25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2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3682B2 (ja) コンタクティング差込み接続装置
US6371796B2 (en) Waterproof half-fitting detection connector with waterproof cap
CN110537294B (zh) 具有连接器的连接器装置及组装方法
KR101595188B1 (ko)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32278B1 (ko)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JP5187282B2 (ja) リテーナ嵌合状態検査用装置
JPH07333283A (ja) 防水型コネクタの検査装置
KR20140021964A (ko) On/off 검출형 버클 스위치
WO1997018478A1 (fr) Outil d'inspection de la borne male d'un connecteur
KR20180092010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101820147B1 (ko) 커넥터의 접속 안내장치
CN107634379B (zh) 连接器
KR101019613B1 (ko)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단자 조립불량 검출기 및 단자 조립불량 검출방법
KR20190031470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20190031471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H08320355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3449119B2 (ja) 導通検査装置
JPH08236245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組付具
KR101780962B1 (ko) 커넥터의 접속 안내장치
KR101820150B1 (ko) 커넥터의 접속 안내장치
KR101820145B1 (ko) 커넥터의 접속 안내장치
JP3211671B2 (ja) コネクタ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5045580B2 (ja) ハーネス保持クリップの金属部検出装置
KR200474697Y1 (ko) 그로멧 브라켓 누락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