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67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67B1
KR101483767B1 KR20080104176A KR20080104176A KR101483767B1 KR 101483767 B1 KR101483767 B1 KR 101483767B1 KR 20080104176 A KR20080104176 A KR 20080104176A KR 20080104176 A KR20080104176 A KR 20080104176A KR 101483767 B1 KR101483767 B1 KR 10148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tap
spring portion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122A (ko
Inventor
정성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0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3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스위치하우징(31)은 단자안착부(31a)와 결합부(31b)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1b)에는 상대 플러그(110)에 구비되는 탭터미널(113)이 삽입되도록 탭터미널삽입공(39)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부(31a)에는 상기 탭터미널삽입공(39)과 연통되는 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2)의 일측에는 제1단자(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32)의 타측에는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져 상기 탭터미널(113)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제2단자(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단자(50)는 제1단자(4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1단자(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단자(40)와 분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단자가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제1단자와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스위치의 두께가 작아져 상기 스위치가 장착되는 장치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단자와 제1단자의 단락 상태가 잘 유지되어 스위치의 사용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스위치, 단자, 탄성변형

Description

스위치{A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적용 제품에 실장되고 제품의 기능 테스트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대 플러그와 결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위치에 상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1)의 외관과 골격을 스위치하우징(2)이 형성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은 결합공(3')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공(3')을 통해서는 후술할 탭터미널(13)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공간(3)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탭터미널(13)의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제1단자(4)와 제2단자(6)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단자(6)의 일측에는 스프링부(7)가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부(7)는 상기 제2단자(6)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분이 기저부가 되고, 그 선단이 상기 상기 결합공(3')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부(7)의 일측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1단자(4)와 접촉되어 있다가 상기 탭터미널(13)이 내부공간(3)에 삽입되면 상기 탭터미널(13)과 결합됨과 동시 에 상기 제1단자(4)와는 분리되는 접촉부(8)가 형성된다.
한편, 스위치(1)와 결합되는 상대물인 상대플러그(10)가 구비된다. 상기 상대플러그(10)는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플러그몸체(11)와 상기 플러그몸체(11)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접촉부(8)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탭터미널(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1)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부(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8)가 상기 제1단자(4)에 접촉되어 상기 제1단자(4)와 제2단자(6)가 연결되다가, 상기 상대플러그(10)와 결합되면 상기 탭터미널(13)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7)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접촉부(8)가 상기 제1단자(4)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탭터미널(13)과 접촉되어 상기 탭터미널(13)과 상기 제2단자(6)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제1단자(4)와 제2단자(6)가 상기 탭터미널(13)의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스위치(1)의 두께(T)가 두꺼워진다. 이로 인해 스위치(1)가 적용 제품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적용 제품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탭터미널(13)이 상기 내부공간(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탭터미널(13)이 상기 스프링부(7)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7)가 탄성변형되는 방식으로, 상기 탭터미널(13)의 삽입방향과 상기 스프링부(7)의 탄성변형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된다. 그러나, 상기 탭터미널(13)이 상기 스프링부(7)의 정확한 위치를 지지하지 못하여, 상기 스프링부(7)의 탄성변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단자의 형상과 배치를 달리하여 스위치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제2단자의 탄성변형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제2단자의 탄성변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 플러그에 구비되는 탭터미널이 삽입되는 탭터미널삽입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내부에 상기 탭터미널삽입공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단자안착부로 구성되는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단자와 연결이 단락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자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탭터미널이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진 상기 스프링부를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의 반대쪽에 돌출된 부분이 안착되도록 요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는, 납작한 판형상의 제1단자몸체, 상기 제1단자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단자몸체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설치되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리드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2단자는, 납작한 판형상의 제2단자몸체, 상기 제2단자몸체의 선단에서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탭터미널이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단, 상기 제2단자몸체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설치되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리드부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몸체 및 제2단자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단자를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을 둘러 감싸는 쉴드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쉴드커버의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부분을 둘러서는 상기 상대 플러그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부가 상대 플러그의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져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단락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의 간격이 종래 보다 좁아지더라도, 상기 제2단자는 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제1단자와 단락될 수 있게 되어, 스위치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가 장착되는 적용 제품의 크기도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의 누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변형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탭터미널과 상기 제2단자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단락상태가 잘 유지되어 스위치의 사용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적용 제품의 일예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과정이나 A/S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성능 테스트가 필요할 때, 테스트장치에 구비되는 상대 플러그를 상기 스위치와 결 합시켜, 상기 테스트장치가 상대 플러그와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0)의 외관과 골격을 스위치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31)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3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단자안착부(31a)와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일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1b)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2)에는 스토퍼(37)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7)는 후술할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지는 스프링부(54)를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부(5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37)의 일측에는 요입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38)은 후술할 탭터미널삽입공(3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31b)의 내부에는 탭터미널삽입공(39)이 형성된다. 상기 탭터미널삽입공(39)은 상기 내부공간(32)과 대략 직교하게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32)을 외부와 연통시킨다. 상기 결합부(31b)의 선단에는 입구부(39')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39')는 후술할 탭터미널(11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일측에는 제1단자(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단자(40)는 대략 납작한 판형상의 제1단자몸체(41)와, 상기 제1단자몸체(41)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공간(32)으로 노출되는 제1접촉부(45), 상기 제1단자몸체(41)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 에 솔더링되어 고정되는 제1리드부(4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단자몸체(41)의 양측에는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3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단자(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편(47)(도 2참고)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단자몸체(41)와 제1접촉부(45)는 상기 탭터미널(113)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타측에 상기 제1단자(40)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2단자(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단자(50)는 대략 납작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저부가 되는 제2단자몸체(51), 상기 제2단자몸체(51)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탭터미널(113) 삽입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54), 상기 스프링부(54)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접촉부(45)와 접촉되는 접촉단(57), 그리고 상기 제2단자몸체(51)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고정되는 제2리드부(5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단자몸체(51)의 양측에는 상기 단자안착부(31a)의 타측에 형성된 장착홈(35)에 삽입되어 상기 제2단자(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편(59)(도 2참고)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단자몸체(51)는 상기 탭터미널(113)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54)는 상기 탭터미널삽입공(39)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탭터미널삽입공(39)에 삽입되는 탭터미널(113)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진다. 상기 스프링부(54)에서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지는 위치에는 안착홈(5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6)의 요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탭터미널(113)의 선단이 안착된다. 이는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스프링부(54)의 정확한 위치 를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56)의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스토퍼(37)의 요입홈(38)에 안착되는데, 이는 상기 스토퍼(37)가 상기 스프링부(54)의 탄성변형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54)는 상기 제2단자몸체(51)의 선단에서 상기 제1접촉부(45)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부(54)는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져 상기 스토퍼(37)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탭터미널(113)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54)가 복원되면, 상기 접촉단(57)이 상기 제1접촉부(45)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접촉단(57)은 평상시에 상기 제1단자(40)의 제1접촉부(45)에 접촉되어 있다가,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스프링부(54)를 눌러줌에 의해 상기 제1접촉부(45)와 분리된다. 상기 접촉단(57)이 상기 제1단자(40)의 제1접촉부(45)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단자(40)와 제2단자(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스위치(30)와 결합되면,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제2단자(50)를 눌러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는 단락되고, 상기 탭터미널(113)과 상기 제2단자(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하우징(31)의 외면을 둘러서는 쉴드커버(60)가 형성된다. 상기 쉴드커버(60)는 전자파방해(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쉴드커버(60)의 일측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중 일측과 연결되어 접지를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쉴드커버(60)의 상기 결합부(31b)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쉴드커버(60)의 외주연을 둘러 결합홈(66)이 형성된다. 상기 결 합홈(66)은 후술할 상대 플러그(110)의 결합돌기(115)가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돌기(115)가 상기 결합홈(66)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스위치(30)와 상대 플러그(1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상대 플러그(110)는 플러그몸체(111)와 상기 플러그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탭터미널(113)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몸체(111)의 선단 내주면을 둘러서는 상기 결합홈(66)에 걸어지는 결합돌기(115)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에 상대 탭터미널이 결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상대 탭터미널(113)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설명한다. 즉, 제1리드부(46)와 제2리드부(58)는 각각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솔더링 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자(50)의 접촉단(57)이 상기 제1단자(40)의 제1접촉부(45)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신호전달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30)에 상대 탭터미널(113)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스위치(30)의 탭터미널삽입공(39)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39'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113)의 삽입이 안내된다.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탭터미널삽입공(39)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탭터미널(113)의 선단이 상기 제2단자(50)의 스프링부(54)를 눌러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 게는 상기 탭터미널(113)은 상기 탭터미널(113)의 선단이 상기 스프링부(54)에 형성된 안착홈(56)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프링부(54)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54)가 눌러짐에 따라 상기 스토퍼(37)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단(57)이 상기 제1접촉부(45)에서 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탭터미널(113)과 스위치(30)의 결합은 상기 탭터미널(113)을 둘러 감싸는 플러그몸체(111)의 선단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5)가 상기 쉴드커버(60)의 외주면을 둘러 형성되는 결합홈(66)에 안착됨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탭터미널(113)이 스위치(30)에 결합되면,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는 단락되고, 상기 탭터미널(113)과 제2단자(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탭터미널(113)과 제2단자(50) 사이에 신호가 전달된다.
한편, 상기 탭터미널(113)이 상기 스위치(30)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제2단자(50)의 스프링부(54)가 상기 스토퍼(3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접촉단(57)이 상기 제1접촉부(45)와 다시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가 상기 탭터미널(113)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54)가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져 상기 탭터미널(113)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1단자(40)와 상기 제2단자(50)가 단락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 사이의 간격이 종래 보다 좁아지더라도, 상기 제2단자(50)의 스프링부(54)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40)와 단락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30)에 있어서, 특히 단자안착부(31a)의 두께(t)(도 3참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30)가 장착되는 적용 제품의 크기도 경박단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54)가 상기 탭터미널(113)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스프링부(54)의 탄성변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상기 탭터미널(113)과 상기 제2단자(5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1단자(40)와 제2단자(50)의 단락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위치에 상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에 상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스위치 31: 스위치하우징
31a: 단자안착부 31b: 결합부
33, 35: 장착홈 37: 스토퍼
38: 요입홈 40: 제1단자
41: 제1단자몸체 46: 제1리드부
45: 제1접촉부 50: 제2단자
51: 제2단자몸체 58: 제2리드부
54: 스프링부 56: 안착홈
57: 접촉단 60: 쉴드커버
66: 결합홈 110: 상대플러그
113: 탭터미널 115: 결합돌기

Claims (8)

  1. 상대 플러그에 구비되는 탭터미널이 삽입되는 탭터미널삽입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내부에 상기 탭터미널삽입공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단자안착부로 구성되는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단자와 연결이 단락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단자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탭터미널이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탭터미널에 의해 눌러진 상기 스프링부를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부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의 반대쪽에 돌출된 부분이 안착되도록 요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납작한 판형상의 제1단자몸체,
    상기 제1단자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단자몸체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설치되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리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납작한 판형상의 제2단자몸체,
    상기 제2단자몸체의 선단에서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 로 연장되고 상기 탭터미널이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단,
    상기 제2단자몸체의 후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이 설치되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리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몸체 및 제2단자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단자를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을 둘러 감싸는 쉴드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쉴드커버의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부분을 둘러서는 상기 상대 플러그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20080104176A 2008-10-23 2008-10-23 스위치 KR10148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176A KR101483767B1 (ko) 2008-10-23 2008-10-23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176A KR101483767B1 (ko) 2008-10-23 2008-10-23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122A KR20100045122A (ko) 2010-05-03
KR101483767B1 true KR101483767B1 (ko) 2015-01-16

Family

ID=4227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176A KR101483767B1 (ko) 2008-10-23 2008-10-23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68A (ja) * 1996-06-12 1998-01-06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KR20030033110A (ko) * 2001-10-18 2003-04-3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JP2007141665A (ja) 2005-11-18 2007-06-07 Hirose Electric Co Ltd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968A (ja) * 1996-06-12 1998-01-06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KR20030033110A (ko) * 2001-10-18 2003-04-3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JP2007141665A (ja) 2005-11-18 2007-06-07 Hirose Electric Co Ltd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122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9562B1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1458063B1 (ko)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JP4287107B2 (ja) プリント回路板を相互接続する同軸コネクタ
JP4945596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375039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5413988B2 (ja) 同軸コネクタ
US6368156B1 (en) Audio jack conveniently and reliably mounted on a circuit board
JP2018186056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CN109782034B (zh) 一种多通道探针
WO2008050665A1 (en) Connector
JP2011243332A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KR20080103537A (ko) 커넥터
TW201322568A (zh) 連接器及包括該連接器的性能板、母板、半導體測試裝置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US7547220B1 (en) Memory card connector
KR101483767B1 (ko) 스위치
US11769966B2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and plug
US615277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y secured shield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H1012342A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200403108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2842814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