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956A -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956A
KR20140020956A KR1020137026222A KR20137026222A KR20140020956A KR 20140020956 A KR20140020956 A KR 20140020956A KR 1020137026222 A KR1020137026222 A KR 1020137026222A KR 20137026222 A KR20137026222 A KR 20137026222A KR 20140020956 A KR20140020956 A KR 2014002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ght emitting
contact
distal end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888B1 (ko
Inventor
로버트 에프. 더피
Original Assignee
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2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8Devices for illuminating the head of the screw or the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9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using white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막대기가 핸드셋과 선택적이고 협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막대기는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막대기 몸체 중심측 단부 및, 발광 요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말단부 사이에 연장된다.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코어 부재가 중심측 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연장된다. 각 코어 부재는, 말단부에, 발광 요소의 개별적인 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광원 접촉부 및, 중심측 단부에, 전원의 개별적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접촉부를 구비한다. 코어 부재들은 상호 전기적 절연 상태에 놓이며, 전원 단자들과의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자체를 관통하여 전원 접촉부가 노출되는 전기절연성 물질로 피복된다. 전류 운반에 부가하여, 코어 부재들은 발광 요소의 열 출력을 소산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들로서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LIGHT-EMITTING WAND WITH ELECTRICALLY-CONDUCTIVE HEAT SINKS}
발광 막대기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치과 진료에 사용되는 감광성 화합물의 양생과 같은 수많은 산업에 걸친 다양한 적용들에서 확인된다. 전통적으로, 그러한 막대기는 백열성의 전구와 같은 발광 요소를 포함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들(이하, LED)이 백열 전구를 대체해왔다.
발광 막대기에 사용되는 발광 요소에 무관하게, 발광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열 제거 효율이, 다양한 성공의 대안적인 해결책들의 주제가 되어 왔던, 폭 넓게 인정되는 관심사이다. 일부 해결책은, 효과적이지만 막대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부피를 더하는 배열 형태로서, 발광 요소 근처에 팬들을 포함하는 것을 수반해 왔다.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변화 물질이 발광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열 전도성 용기 내에 밀폐되고, 제1 상에서 제2 상으로 변화하면서 열을 흡수한다. 수많은 대안적인 설계가 막대기 길이의 일부 부분을 따르는 열 전도성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수반해 왔다. 그러나, 전류를 발광 요소에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분리된 전기 부품들(예를 들어, 전선들)과 함께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원하지 않는 무게 및 요구되는 공간적 치수보다 더 큰 막대기를 만들어 왔다.
따라서, 더욱 공간적으로 효과적이고 및 무게 측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체의 말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발광 요소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및 발광 요소에 전류를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발광 막대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막대기는, 손잡이로서 역할을 하고 발광 막대기에 의해 구속되는 발광 요소에 전력을 제공하는, 핸드셋과의 선택적으로 협력적인 결합을 위해 구성된다. 발광 막대기는,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몸체의 중심측 단부 및 말단부 사이에서, 막대기 축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막대기 몸체를 구비한다. 말단부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 또는 백열 전구와 같은 발광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버전들(versions)에서, 발광 요소는 (i)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것 및 (ii)막대기의 말단부 내부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 중 하나이다.
예시적으로 구성되는 막대기의 몸체 내부에 포함되는 것은, 막대기의 중심측 단부 및 말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제1 및 제2 코어 부재이다. 전기 전도성 제1 코어 부재는, 말단부에, 발광 요소의 제1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광원 접촉부를 그리고, 중심측 단부에, 전원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원 접촉부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전기 전도성 제2 코어 부재는, 막대기의 말단부 및 중심측 단부 각각에, 발광 요소의 제2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광원 접촉부 및 전원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전원 접촉부를 포함한다.
막대기는 제1 및 제2 코어 부재를 상호 전기적 절연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코어 부재 사이에 전기절연성 격벽(electrically-insulative partition)이 배치된다.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지는 전기절연성 격벽을 포함하는 특정한 버전에서, 격벽은, 막대기 몸체 측벽을 한정하고 제1 및 제2 코어 부재 각각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하는, 전기절연성 피복(overmold)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예 각각에서, 막대기 몸체는 막대기 몸체의 중심측 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결합 베이스(coupling base)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결합 베이스는 핸드셋 내의 결합 소켓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전원 접촉부 및 피복은, 전원의 개별 단자로의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원 접촉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 따르면, 피복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은, 결합 베이스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고 부분적으로 결합 베이스를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 부분을 한정한다. 각각의 전원 접촉부는 피복 외부에 원통형 측벽 부분에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볼록 아치형 접촉 표면을 드러낸다.
전원과 발광 요소 사이에서 전류를 나르는 것에 부가하여, 코어 부재들은 발광 요소로부터 열을 끌어내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들로서 역할을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각각의 코어 부재는 구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많은 대안적인 물질이 코어 부재들의 구성에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다.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이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더욱 완전하게 설명되고 묘사된다.
도 1은 핸드셋과 협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막대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A는 서로 분리된 도 1의 발광 막대기 및 핸드셋을 묘사한 도면이며;
도 2는 발광 막대기만 별개로 오른쪽에서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2에 IIA로 지시되는 만곡된 평면으로 도시되는 도 2의 발광 막대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발광 막대기의 코어 어셈블리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A는 도 3의 조립된 상태의 코어 어셈블리를 오른쪽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3 및 도 3A의 조립된 상태의 코어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피복된 코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발광 막대기의 평면도이다.
다양하게 실시되는 발광 막대기들 및 이와 협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핸드셋들에 대한 뒤따르는 설명은 당연히 예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 및 그의 사용에 대한 응용을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개요 및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행들, 양태들, 버전들 및 실시예들은 당연히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 있는 비제한적인 예들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최대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시작으로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발광 막대기(100)는 핸드셋(200)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고 분리가능하다. 핸드셋(200)은 손잡이로서 역할을 하고 전력을 발광 막대기(100)에 전달한다. 비록 막대기(100)로의 궁극적인 전원은 특정의 결과가 없는 것이지만,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핸드셋(200)은 (i) 배터리와 같은 자가-보유 전원을 수용하거나 (ii) 전기 소켓 속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전원 코드와 같은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구비한다.
막대기(100)가 핸드셋(200)으로부터 분리된 도 1A 및 막대기만 별개로 오른쪽에서 도시하는 도 2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100)는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막대기 몸체의 중심측 단부(120)와 말단부(130) 사이에서 막대기 축(Aw)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막대기 몸체(110)를 구비한다. 말단부(130)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LED(142) 또는 2 이상의 LED(142)의 조립체와 같은, 발광 요소(140)를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각각 단면도 및 분해도인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막대기 몸체(110)는, 막대기 몸체의 중심측 단부(120)와 말단부(130) 사이에서 상호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의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를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제1 코어 부재(160)는, 말단부(130)에, 발광 요소(140)의 제1 극(144)에 전기적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광원 접촉부(162) 및, 중심측 단부(120)에, 전원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원 접촉부(166)를 구비한다. 제2 코어 부재(170)는, 말단부(130) 및 중심측 단부(120)에 각각, 전원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광원 접촉부(172)를 포함한다.
막대기(100)의 코어 어셈블리(150)는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를 상호 전기적 절연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A 및 도 3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전기절연성 격벽(180)이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예시된 버전에서, 격벽(180)은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사전형성되는 독립형의 부품이다. 격벽(180)은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코어 부재들(160, 170)은, 제1 코어 부재(160)가 격벽(180)의 제1 측면(182)과 맞물리도록 접촉하고 있고 제2 코어 부재(170)가 격벽(180)의 제2 측면(184)과 맞물리도록 접촉하고 있는, 도 3A 및 도 3B에 각각 오른쪽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어셈블리(150)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가압된다. 코어 어셈블리(150)는 이어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전에 참조한 도 2 및 도 2A 그리고 도 4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 몸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절연성 물질의 피복(186)으로 밀폐된다. 대안적인 버전에서, 코어 부재들(160, 170)은 틈이 이들 사이에 유지되도록 금형(미도시) 내에 위치하게 된다. 전기절연성 물질이 이어서, 단일 성형 단계에서 격벽(180) 및 피복(18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금형 속으로 삽입된다(예를 들어, 주입된다). 어느 경우든, 도 2, 도 2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은,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밀폐하는, 막대기 몸체 측벽(135)을 한정한다.
도 1A, 도 2 및 도 2A의 예시적인 도면들에서, 예를 들어, 피복(186)에 의해 한정되는 막대기 몸체 측벽(135)의 일 부분이, 막대기 몸체 중심측 단부(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결합 베이스(190)를 한정한다.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베이스(190)는 핸드셋(200) 내에 한정되는 결합 소켓(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및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1A, 도 2, 도 2A 및 도 4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복(186)과 제1 및 제2 전원 접촉부(166, 176)는, 핸드셋(200) 내의 전원(230)의 개별적인 단자로의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예를 들어, 단자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원 접촉부들(166, 17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들에 다양하게 묘사되는 실시예들에서, 피복(186)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은, 결합 베이스(190)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고 부분적으로 결합 베이스를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 부분(136)을 한정한다. 제1 및 제2 전원 접촉부(166, 176)는 각각 피복(186) 외부에, 원통형 측벽 부분(136)에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볼록 아치형 제1 및 제2 접촉 표면(167, 177)을 드러낸다. 볼록 아치형 제1 및 제2 접촉 표면(167, 177)은, 핸드셋(200)의 결합 소켓(220) 내부에 한정되며 도 1A 에 주로 투시도로 표시되는 전원(230)의 개별적인 제1 및 제2 단자(232, 234)를 구성하거나 개별적인 제1 및 제2 단자(232, 234)로 이끌리는, 상응하는 오목 아치형 제1 및 제2 전력전달 접촉부(267, 277)와 맞물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서, 전원(230)은 배터리(231)로 예시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230)은, 예를 들어, 벽 또는 바닥 소켓(미도시)과 같은 전원 코드 및 전기 콘센트를 통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전원(230)과 발광 요소(140) 사이의 전류 운반에 부가하여, 제1 및 제2 코어 부재(160, 170)는 각각, 발광 요소(140)의 열 출력을 소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히트 싱크(168, 178)로서 역할을 한다. 발광 요소(140)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한 각 코어 부재(160, 170)의 능력에 고려되는 것은, 코어 부재들(160, 170)의 형상, 질량, 비열, 및 열 전도성이다. 부가적으로, 각 코어 부재(160, 170)에 피복되는 양이 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그의 능력에 고려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버전에서, 각각의 코어 부재(160, 170)는 구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많은 대안적인 물질이 코어 부재들(160, 170)의 구성에서 구리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전기 전도성(아마도 온도의 함수로서의 전기 전도성)이 또한 코어 부재들(160, 170)을 제조하는 물질(들)을 선택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발광 요소(140)가 하나 이상의 LED(142)를 포함할 때, 열 출력이 상당할 수 있다. 도 2A의 버전에서, 예시적인 발광 요소(140)는 3개의 LED(142)를 포함하는 LED 엔진이다. LED 엔진의 확대 및 회전된 상세도가 도 2A의 막대기 몸체 말단부(130)에 인접하게 묘사된다.
상기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예시되도록 고려된다. 나아가, 다양한 양태들 및 실행들에 대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며, 상기한 것은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조들, 실행들 및 버전들에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막대기 몸체 중심측 단부 및, 발광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말단부 사이에서 막대기 축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막대기 몸체;
    중심측 단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말단부에서 발광 요소의 제1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광원 접촉부 및 중심측 단부에서 전원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원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1 전기 전도성 코어 부재;
    중심측 단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말단부에서 발광 요소의 제2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광원 접촉부 및 중심측 단부에서 전원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전원 접촉부를 구비하는 제2 전기 전도성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i) 막대기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코어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코어 부재를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절연성 격벽을 포함하며; 그리고
    (ii) 제1 및 제2 코어 부재는 각각 발광 요소로부터 열을 끌어내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인 것인, 발광 막대기.
  2. 제 1항에 있어서,
    막대기 몸체는, 막대기 몸체 측벽을 한정하고 제1 및 제2 코어 부재 각각의 길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밀폐하는, 전기절연성 피복을 포함하는 것인, 발광 막대기.
  3. 제 2항에 있어서, 피복은 상기 격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발광 막대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어 부재 각각의 전원 접촉부는, 전원의 개별적인 제1 및 제2 단자로의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막대기 몸체 측벽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인, 발광 막대기.
  5. 제 4항에 있어서,
    (i) 제1 및 제2 전원 접촉부가 피복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피복의 길이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원통형 측벽 부분을 한정하며, 그리고
    (ii) 각각의 상기 전원 접촉부는 상기 피복의 외부에 상기 원통형 측벽 부분과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볼록 아치형 접촉 표면을 드러내는 것인, 발광 막대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코어 부재 각각의 전원 접촉부는, 전원의 개별적인 제1 및 제2 단자로의 선택적인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몸체 측벽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인, 발광 막대기.
  7. 제 6항에 있어서,
    (i) 피복을 통해 제1 및 제2 전원 접촉부가 노출되는 상기 피복의 길이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은 원통형 측벽 부분을 한정하며, 그리고
    (ii) 각각의 상기 전원 접촉부는 상기 피복의 외부에 상기 원통형 측벽 부분과 들어맞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볼록 아치형 접촉 표면을 드러내는 것인, 발광 막대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촉부들은, 전원 접촉부들 중 하나의 접촉 표면이 다른 하나의 전원 접촉부의 접촉 표면보다 막대기 몸체의 말단부에 더 근접하도록, 서로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인, 발광 막대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촉부들은, 전원 접촉부들 중 하나의 접촉 표면이 다른 하나의 전원 접촉부의 접촉 표면보다 막대기 몸체의 말단부에 더 근접하도록, 서로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인, 발광 막대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요소는 LED를 포함하는 것인, 발광 막대기.
KR1020137026222A 2011-03-11 2012-03-08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KR101936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4930P 2011-03-11 2011-03-11
US61/464,930 2011-03-11
US13/411,885 US9144480B2 (en) 2011-03-11 2012-03-05 Light-emitting wand with electrically-conductive heat sinks
US13/411,885 2012-03-05
PCT/US2012/028331 WO2012125422A2 (en) 2011-03-11 2012-03-08 Light-emitting wand electrically-conductive heat sin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956A true KR20140020956A (ko) 2014-02-19
KR101936888B1 KR101936888B1 (ko) 2019-01-10

Family

ID=4679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222A KR101936888B1 (ko) 2011-03-11 2012-03-08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44480B2 (ko)
EP (1) EP2709514B1 (ko)
JP (1) JP5913384B2 (ko)
KR (1) KR101936888B1 (ko)
CN (1) CN103702605B (ko)
CA (1) CA2829083C (ko)
DE (1) DE112012000917B4 (ko)
GB (1) GB2504399B (ko)
TW (1) TWI577920B (ko)
WO (1) WO20121254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57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렌치 연장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0134B1 (en) 1998-01-20 2001-03-13 Ker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aterials with radiation
US9072572B2 (en) 2009-04-02 2015-07-07 Kerr Corporation Dental light device
US9066777B2 (en) 2009-04-02 2015-06-30 Kerr Corporation Curing light device
EP2815719B1 (en) * 2013-06-21 2018-10-03 Kerr Corporation Dental light curing device
CN109106318A (zh) * 2013-12-13 2019-01-01 集成内镜公司 使用导热透镜托架的医学成像设备
US20150230882A1 (en) * 2014-02-19 2015-08-20 Tidi Products, Llc Dental Curing Light Sleeve
WO2016044549A1 (en) 2014-09-17 2016-03-24 Garrison Dental Solutions, Llc Dental curing light
USD810293S1 (en) 2017-01-20 2018-02-13 Garrison Dental Solutions, Llc Dental instrument
EP3708115A1 (en) * 2019-03-11 2020-09-16 I-DENT Innovations for Dentistry SA Dental instrument
EP3937749A1 (en) 2019-03-11 2022-01-19 Integrated Endoscopy, Inc. Cordless disposable endoscop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012A (en) * 1980-01-21 1981-12-29 Richard Tamler Dental pulp vitality tester
DE4211230C2 (de) 1992-04-03 1997-06-26 Ivoclar Ag Wiederaufladbares Lichthärtgerät
US6783362B2 (en) 1999-09-24 2004-08-31 Cao Group, Inc. Dental curing light using primary and secondary heat sink combination
US6953340B2 (en) * 1999-09-24 2005-10-11 Cao Group, Inc. Light for use in activating light-activated materials, the light having a detachable light module containing a heat sink and a semiconductor chip
US7094054B2 (en) 1999-09-24 2006-08-22 Cao Group, Inc. Dental curing light
US6988891B2 (en) 1999-09-24 2006-01-24 Cao Group, Inc. Curing light
US6755648B2 (en) 1999-09-24 2004-06-29 Cao Group, Inc. Curing light
US6971875B2 (en) 1999-09-24 2005-12-06 Cao Group, Inc. Dental curing light
US6926524B2 (en) 1999-09-24 2005-08-09 Cao Group, Inc. Curing light
US7077648B2 (en) 1999-09-24 2006-07-18 Cao Group, Inc. Curing light
US6331111B1 (en) 1999-09-24 2001-12-18 Cao Group, Inc. Curing light system useful for curing light activated composite materials
US7086858B2 (en) 1999-09-24 2006-08-08 Cao Group, Inc. Semiconductor curing light system useful for curing light activated composite materials
US7320593B2 (en) 2000-03-08 2008-01-22 Tir Systems Ltd.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for curing dental composites
US6709128B2 (en) 2001-03-26 2004-03-23 Ocumed, Inc. Curing system
US6468077B1 (en) 2001-04-26 2002-10-22 New Photonics, Llc Compact device for curing dent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curing
US6692252B2 (en) 2001-12-17 2004-02-17 Ultradent Products, Inc. Heat sink with geometric arrangement of LED surfaces
US6702576B2 (en) 2002-02-22 2004-03-09 Ultradent Products, Inc. Light-curing device with detachably interconnecting light applicator
JP2005534201A (ja) * 2002-07-25 2005-11-10 ジョナサン エス. ダーム、 発光ダイオードを硬化用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4038759A2 (en) * 2002-08-23 2004-05-06 Dahm Jonathan S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light emitting diodes
US6994546B2 (en) 2002-12-18 2006-02-07 Ultradent Products, Inc. Light curing device with detachable power supply
US7192276B2 (en) * 2003-08-20 2007-03-20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curing light adapted to emit light at a desired angle
US7195482B2 (en) 2003-12-30 2007-03-27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curing device having a heat sink for dissipating heat
US20090233254A1 (en) 2004-07-02 2009-09-17 Robert Hayman Dental light devices having an improved heat sink
EP1776059A2 (en) * 2004-07-02 2007-04-25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Curing light having a reflector
US7056116B2 (en) 2004-10-26 2006-06-06 Ultradent Products, Inc. Heat sink for dental curing light compri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materials
TR201815693T4 (tr) * 2005-01-05 2018-11-21 Philips Lighting Holding Bv Termal olarak ve elektriksel olarak iletken aparat .
CN100358468C (zh) * 2005-10-25 2008-01-02 郭研 微型高亮度医用硬性内窥镜冷光源
JP2008277055A (ja) * 2007-04-26 2008-11-13 Toyoda Gosei Co Ltd 光源装置
CN102216671B (zh) * 2008-11-19 2015-09-02 罗姆股份有限公司 Led灯
US9066777B2 (en) * 2009-04-02 2015-06-30 Kerr Corporation Curing ligh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57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렌치 연장 키트
KR101869958B1 (ko) * 2016-12-02 2018-07-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렌치 연장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3199A (zh) 2013-01-16
DE112012000917T5 (de) 2014-01-09
CN103702605A (zh) 2014-04-02
EP2709514A2 (en) 2014-03-26
GB2504399A (en) 2014-01-29
CA2829083C (en) 2018-05-15
EP2709514B1 (en) 2018-11-07
US20120230017A1 (en) 2012-09-13
EP2709514A4 (en) 2015-01-28
GB201315902D0 (en) 2013-10-23
CA2829083A1 (en) 2012-09-20
JP2014510376A (ja) 2014-04-24
US9144480B2 (en) 2015-09-29
TWI577920B (zh) 2017-04-11
CN103702605B (zh) 2016-06-22
WO2012125422A3 (en) 2014-01-30
GB2504399B (en) 2016-04-20
DE112012000917B4 (de) 2015-05-21
WO2012125422A2 (en) 2012-09-20
KR101936888B1 (ko) 2019-01-10
JP5913384B2 (ja)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956A (ko)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KR101414649B1 (ko) 조명 장치
EP2400214B1 (en) Lighting device
JP5530040B2 (ja) Led電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9213A (ja) 発光装置
JP2006331801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JP6494578B2 (ja) 発光ダイオード光源及び電灯
US20120268941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120032587A1 (en) LED string light
TW201314112A (zh) 燈具
KR101418022B1 (ko) 발광 소자 모듈
KR200461514Y1 (ko) 살충 기능을 가지는 엘이디 램프
TW201219695A (en) A LED lamp
KR20080106259A (ko) 옥외용 고 파워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US20180087762A1 (en)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spec
JP2013065535A (ja) Ledランプ
KR200459377Y1 (ko) Led모듈 절연링을 가진 전구형 led램프
KR200468554Y1 (ko) Led 프로젝션 램프의 램프홀더
KR101229052B1 (ko) 엘이디 램프
TWI427238B (zh) 發光二極體球型燈泡
KR101021240B1 (ko) Led칩용 리드프레임 조립체
JP5923709B2 (ja) 照明器具
KR101668055B1 (ko) 원터치 조립 가능한 램프
TWM383198U (en) Lead frame structure of 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