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958B1 - 렌치 연장 키트 - Google Patents

렌치 연장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958B1
KR101869958B1 KR1020160163903A KR20160163903A KR101869958B1 KR 101869958 B1 KR101869958 B1 KR 101869958B1 KR 1020160163903 A KR1020160163903 A KR 1020160163903A KR 20160163903 A KR20160163903 A KR 20160163903A KR 101869958 B1 KR101869958 B1 KR 10186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b
housing
wrench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757A (ko
Inventor
임성진
조혁진
서희준
박성욱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05Handle constructions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with additional levers, e.g. for increas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25G1/043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렌치가 결합되며, 제1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체결되는 렌치 연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렌치 연장 키트{Wrench extension k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렌치 연장 키트에 관한 것이다.
렌치(wrench)는 볼트나 너트를 죄고 푸는데 사용되는 도구로써, 렌치의 손잡이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볼트나 너트를 죄거나 푸는 작업을 가능케 하는 도구이다.
이때, 실제로 볼트 또는 너트를 잡는 렌치의 홀더와, 사용자에 의한 힘이 가해지는 손잡이 부분과의 거리가 멀수록 더 큰 토크(torque)가 볼트 또는 너트에 가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치의 손잡이는 그 길이가 설계된 대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렌치의 길이가 충분하지 못하여 렌치의 홀더가 접근하기가 어려운 곳에 위치하는 볼트나 너트에 대해서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렌치의 손잡이 부위의 길이를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렌치 연장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렌치가 결합되며, 제1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체결되는 렌치 연장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제1 서브지지부와 제2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1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1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1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2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2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2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제1 절단면의 면적과 제2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브지지부와 제2 서브지지부는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제3 서브지지부와 제4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3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3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3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4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4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4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제3 절단면의 면적과 제4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서브지지부와 제4 서브지지부는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제1 서브지지부와 제2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제2 지지부는 제3 서브지지부와 제4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1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1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1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2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2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2 절단면으로 정의하며, 제1 방향을 따라 제3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3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3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제4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제4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4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제1 절단면의 면적, 제2 절단면의 면적, 제3 절단면의 면적 및 제4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직경은 제2 하우징의 직경보다 크고, 제1 결합부의 내주면과 제2 결합부의 외주면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렌치의 손잡이 부위에 연결하여 간단히 렌치의 손잡이 부위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렌치 연장 키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렌치에 적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렌치 연장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치 연장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렌치 연장 키트의 제1 하우징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렌치 연장 키트의 제1 하우징에 렌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에 렌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치 연장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렌치 연장 키트(1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가운데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110)은 일종의 파이프(pipe)로써, 후술하겠으나 가운데의 빈 공간에 렌치(wrench)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렌치는 제1 지지부(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 하우징(110)의 단면이 원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의 단면은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1)는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제1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제1 서브지지부(111a)와 제2 서브지지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지지부(111a)는 제1 높이(H1)를 갖고, 제2 서브지지부(111b)는 제2 높이(H2)를 가지며,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서브지지부(111a)와 제2 서브지지부(111b)가 상이한 높이를 갖는 구조에 따라,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렌치의 단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방향을 따라 제1 서브지지부(111a)를 절단할 경우, 제1 서브지지부(111a)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0)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1 절단면으로 정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을 따라 제2 서브지지부(111b)를 절단할 경우, 제2 서브지지부(111b)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0)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2 절단면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절단면과 제2 절단면은 각각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렌치의 단면적일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10)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치는 제1 서브지지부(111a)와 제2 서브지지부(111b)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서브지지부(111a)와 제2 서브지지부(111b)는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서브지지부(111a) 또는 제2 서브지지부(111b)에 삽입되는 렌치는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하우징(120) 또한 가운데가 빈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우징(120) 또한 일종의 파이프로써, 가운데의 빈 공간에 렌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제2 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렌치는 제2 지지부(1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2 하우징(120)의 단면이 원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20)의 단면은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121)는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제2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1)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제3 서브지지부(121a)와 제4 서브지지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서브지지부(121a)는 제3 높이(H3)를 갖고, 제4 서브지지부(121b)는 제4 높이(H4)를 가지며, 제4 높이(H4)는 제3 높이(H3)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3 서브지지부(121a)와 제4 서브지지부(121b)가 상이한 높이를 갖는 구조에 따라, 제2 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렌치의 단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방향을 따라 제3 서브지지부(121a)를 절단할 경우, 제3 서브지지부(121a)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120)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3 절단면으로 정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을 따라 제4 서브지지부(121b)를 절단할 경우, 제4 서브지지부(121b)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120)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4 절단면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3 절단면과 제4 절단면은 각각 제2 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렌치의 단면적일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20)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치는 제3 서브지지부(121a)와 제4 서브지지부(121b)에 의해 정의되는 제2 하우징(120)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서브지지부(121a)와 제4 서브지지부(121b)는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3 서브지지부(111a) 또는 제4 서브지지부(111b)에 삽입되는 렌치는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10)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120)의 양단부에는 제2 결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결합부(112)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내부 길이(ID)는, 제2 하우징(120)의 외부 길이(OD)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제2 하우징(120)의 외주면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의 결합 길이(L3)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전체 길이(L1+L2-L3)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1) 및 제2 지지부(121)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은 육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렌치가 육각 렌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렌치는 육각 렌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사각 렌치, 별 모양 렌치 등 그 절단면이 다각형인 렌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는 렌치 연장 키트(100)가 두개의 하우징,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렌치 연장 키트(100)는 복수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뿐만 아니라, 제3 하우징(미도시)과 제4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는 어느 특정한 숫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렌치 연장 키트(100)는 상이한 규격의 렌치를 양단부에 각각 삽입하여 그 손잡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상이한 규격을 갖는 네개의 렌치를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렌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렌치 연장 키트의 제1 하우징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부(211)를 포함하되, 제1 지지부(211)는 각각 하나의 제1 서브지지부(211a)와 제2 서브지지부(21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지지부(111)는 각각 두 개의 제1 서브지지부(111a)와 제2 서브지지부(111b)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제1 지지부(211)가 형성됨으로써, 렌치가 제1 서브지지부(111a) 또는 제2 서브지지부(111b)로 삽입될 경우 안정적으로 렌치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렌치 연장 키트(100)에 실제로 렌치가 삽입되는 모습을 예시로써 도시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렌치 연장 키트의 제1 하우징에 렌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렌치 연장 키트에 렌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에는 양단부에 각각 하나의 렌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좌측의 제1 서브지지부(111a)를 통해서는 제1 렌치(W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우측의 제2 서브지지부(111b))를 통해서는 제2 렌치(W2)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지지부(111a)의 제1 높이(H1)는 제2 서브지지부(111b)의 제2 높이(H2)보다 낮으므로, 제1 서브지지부(111a)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렌치(W1)는 제2 서브지지부(111b)를 통해 삽입되는 제2 렌치(W2)보다 그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단면을 기준으로, 제1 렌치(W1)의 제1 규격(S1)은 제2 렌치(W2)의 제2 규격(S2)보다 큰 규격일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제1 렌치(W1)의 제1 규격(S1)은 10mm일 수 있으며, 제2 렌치(W2)의 제2 규격(S2)은 8mm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하우징(미도시)의 제3 서브지지부(미도시)와 제4 서브지지부(미도시)에는 각각 제3 규격을 갖는 제3 렌치(미도시)와 제4 규격을 갖는 제4 렌치(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렌치(W1)와 제2 렌치(W2), 제3 렌치 및 제4 렌치는 각각 10mm, 8mm, 6mm, 4mm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는 각각 양단부에 하나의 상이한 규격을 갖는 렌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렌치(W1) 또는 제2 렌치(W2)가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1 렌치(W1) 또는 제2 렌치(W2)의 손잡이 부분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렌치(W1)가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손잡이의 길이를 E1이라고 하면, 제1 렌치(W1)의 손잡이 부위를 제1 하우징(110)에 결합시킨 경우 제1 렌치(W1)의 손잡이의 길이는 E2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기존 제1 렌치(W1)의 손잡이의 길이(E1)에서, 제1 하우징(110)의 길이(L1)에서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제1 렌치(W1)의 길이(L3)만큼을 뺀 만큼의 길이(L1-L3)가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렌치(W1)는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제1 하우징(110)은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의 결합에 의해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렌치(W1)의 손잡이 부분의 길이(E1)는 E2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기존 제1 렌치(W1)의 손잡이의 길이(E1)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길이를 합한 길이(L1+L2)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를 통해 결합되는 길이(L3) 및 제1 렌치(W1)가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된 길이(L4)를 뺀 만큼의 길이(L1+L2-L3-L4)를 연장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렌치 연장 키트(100)를 이용하면, 기존의 렌치의 손잡이 부분의 길이를 간단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렌치 연장 키트(100)는 복수개의 상이한 규격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하우징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렌치 연장 키트 120: 제2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121: 제2 지지부
111: 제1 지지부 122: 제2 결합부
112: 제1 결합부

Claims (11)

  1.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및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렌치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체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서브지지부와 제2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1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1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2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2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절단면의 면적과 상기 제2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한, 렌치 연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지지부와 상기 제2 서브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렌치 연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렌치 연장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제3 서브지지부와 제4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3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3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4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4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3 절단면의 면적과 상기 제4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한, 렌치 연장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지지부와 상기 제4 서브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렌치 연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서브지지부와 제2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제3 서브지지부와 제4 서브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1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1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2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2 절단면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3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3 절단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서브지지부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제4 서브지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빈 공간의 면적을 제4 절단면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절단면의 면적, 상기 제2 절단면의 면적, 상기 제3 절단면의 면적 및 상기 제4 절단면의 면적은 상이한, 렌치 연장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직경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면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렌치 연장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탈착 가능한, 렌치 연장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렌치 연장 장치.
KR1020160163903A 2016-12-02 2016-12-02 렌치 연장 키트 KR10186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03A KR101869958B1 (ko) 2016-12-02 2016-12-02 렌치 연장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03A KR101869958B1 (ko) 2016-12-02 2016-12-02 렌치 연장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57A KR20180063757A (ko) 2018-06-12
KR101869958B1 true KR101869958B1 (ko) 2018-07-19

Family

ID=6262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03A KR101869958B1 (ko) 2016-12-02 2016-12-02 렌치 연장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86Y2 (ja) * 1990-07-06 1994-05-18 株式会社若穂囲製作所 レンチ回動用パイプハンドル
KR200277314Y1 (ko) * 2002-03-16 2002-06-03 만 중 김 라쳇 렌치
KR200373204Y1 (ko) * 2004-10-26 2005-01-15 안치권 엘형 렌치의 지지용 툴
KR20140020956A (ko) * 2011-03-11 2014-02-19 쇼트 코포레이션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JP2014213438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若穂囲製作所 レンチ回動用工具に付設される調整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786Y2 (ja) * 1980-11-13 1985-06-06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86Y2 (ja) * 1990-07-06 1994-05-18 株式会社若穂囲製作所 レンチ回動用パイプハンドル
KR200277314Y1 (ko) * 2002-03-16 2002-06-03 만 중 김 라쳇 렌치
KR200373204Y1 (ko) * 2004-10-26 2005-01-15 안치권 엘형 렌치의 지지용 툴
KR20140020956A (ko) * 2011-03-11 2014-02-19 쇼트 코포레이션 전기 전도성 히트 싱크를 구비한 발광 막대기
JP2014213438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若穂囲製作所 レンチ回動用工具に付設される調整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57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398B2 (en) Tool assembly
JP2020508887A (ja) マルチグリップ・ソケットビット
TWI613045B (zh) 棘輪扳手和棘爪機構
US20160207189A1 (en) Hex key wrench system
US20060272140A1 (en) Positioning pin removing tool for vehicles
KR101869958B1 (ko) 렌치 연장 키트
JP5285039B2 (ja) 組立式工具保持装置
KR20140062780A (ko) 스패너
AU2016206218B2 (en) Reservoir cap socket
JP5981261B2 (ja) ねじ回し工具用のアタッチメント
TWI750719B (zh) 多夾持點套筒起子頭
BR102012016534A2 (pt) Parafuso para aperto de precisão
JP3171573U (ja) いたずら防止を目的とした特殊リセスねじ
CN103953632A (zh) 一种方便拆装的螺丝
TWI579111B (zh) Star screwdriver system
US20150266166A1 (en) Compact Socket
JP3148481U (ja) ナット
CN212803895U (zh) 一种内梅花螺丝
CN203330937U (zh) 一种组合式扳手
TWM459075U (zh) 工具用於螺接部件的結合構造
JP3182674U (ja) レンチ
JP2007170088A (ja) 鉄筋用ナット
TW201823598A (zh) 防鬆螺絲
JP3177052U (ja) 星型レンチ構造
CN204604193U (zh) 带多个扳头的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