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738A -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738A
KR20140020738A KR1020130078809A KR20130078809A KR20140020738A KR 20140020738 A KR20140020738 A KR 20140020738A KR 1020130078809 A KR1020130078809 A KR 1020130078809A KR 20130078809 A KR20130078809 A KR 20130078809A KR 20140020738 A KR20140020738 A KR 2014002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oor
worm
sliding surfa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521B1 (ko
Inventor
다이치로 야마시타
마코토 아시다
가즈후미 사사무라
아키 나카야마
겐이치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7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614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0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55701A/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기구의 박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설치할 때에 공간 절약이 되는 문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37)를 갖는 구동 기구(27)와, 구동 기구(27)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상케이스(59), 하케이스(60))와, 모터(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36)와, 회전 부재(36)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29)를 구비한 문 개방 장치(24)에 있어서, 수납 부재의 제1면(94)과, 제1면(94)과 대향한 제2면(95)의 간격은 모터(31)의 외형보다도 작고, 제1면(94)으로부터 돌출한 모터(37)를 덮는 모터 수납부(38)를 구비하고, 회전 부재(36)는 제1면(9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모터 수납부(38)는 회전 부재(36)보다도 제1면(94)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동등 또는 작다.

Description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DOOR OPEN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모터의 정회전으로 문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 개방 부재와, 모터의 역회전으로 문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 폐쇄 부재와, 구동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제한 수단을 구비한 문 개폐 장치에 있어서, 웜 기어(worm gear)를 사용하여 회전축의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폐 기구를 박형(薄型)으로 하는 것과, 냉동실문 등과 같은 인출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장치를 구비한 회전 구동 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단차(段差)를 구비한 단차부를 갖는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회전 부재의 단차부에서 연결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여 문을 개폐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웜 기어를 사용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장치를 구비한 회전 구동 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동력 전달부가 설치된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부재를 설치하고, 동력 전달부는 대략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한 평면부를 갖고, 연결 부재는 복수의 계단 형상의 단차부를 가져 평면부와 단차부가 면 접촉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14356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1733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86192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웜 기어가 수평인 구성밖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웜 기어가 회전 구동했을 때에, 웜 휠(worm wheel)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스러스트 부하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또한, 문 개폐 장치와 냉장고 본체의 단열재나 진공 단열재의 배치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웜 기어를 사용했을 경우의 모터나 구동 기어의 배치 구성이나, 구동 기구를 박형화하기 위한 구성, 혹은 단열 칸막이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배설(配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구동 기구를 박형화하는 구성이나, 단열 칸막이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배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구동 기구의 박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설치시에 공간 절약이 되는 문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문 개방 장치를 구비했을 때, 단열벽 두께의 감소를 억제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모터를 갖는 구동 기구와, 당해 구동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당해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 문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제1면과, 당해 제1면과 대향한 제2면의 간격은 상기 모터의 외형보다 작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모터를 덮는 모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상기 모터 수납부는 상기 회전 부재보다 상기 제1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동등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기구의 박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설치시에 공간 절약이 되는 문 개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 장치를 구비했을 때, 단열벽 두께의 감소를 억제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 본체를 전방(前方)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E-E선 단면 개념도.
도 3은 냉장고의 고(庫)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동실문과 야채실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도 5의 A 방향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회전 부재와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 5의 A 방향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 5의 B 방향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5의 A 방향 투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와 단열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5의 C-C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와 단열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4의 D-D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웜 기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4의 F-F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크 제한 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크 제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열림 동작시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문 개방 장치의 닫힘 동작시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및 모터 지지 수단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를 케이스에 합체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크 제한 수단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7과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서의 토크 제한 수단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장고 본체(1)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에서의 E-E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며, 냉기 덕트나 분출구의 배치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 본체(1)는, 상방으로부터, 냉장실(2), 제빙실(3) 및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을 갖는다. 일례로서, 냉장실(2) 및 야채실(6)은, 일례로서 약 3∼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은, 일례로서 약 -18℃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장실(2)은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여닫이문(소위 프렌치형)의 냉장실문(2a, 2b)을 구비하고 있다.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은, 각각 인출식 제빙실문(3a), 상단 냉동실문(4a), 하단 냉동실문(5a), 야채실문(6a)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문(2a, 2b), 제빙실문(3a), 상단 냉동실문(4a), 하단 냉동실문(5a), 야채실문(6a)을, 단순히 문(2a, 2b, 3a, 4a, 5a, 6a)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는, 문(2a, 2b, 3a, 4a, 5a, 6a)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문 센서(도시 생략)와, 각 문이 개방해 있다고 판정된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분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도시 생략)과, 냉장실(2)의 온도 설정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온도 설정을 하는 조작 패널(10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문(5a) 및 문(6a)에는 문 개방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문 개방 장치(24)를 동작하는 신호를 입력한다.
한편, 각 저장실 및 문의 배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및 국외에서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레이아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 스위치(23)는, 문(5a), 문(6a)에 설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문(5a), 문(6a)의 손잡이부(도시 생략)에 설치하는 구성, 후술하는 조작 패널(101)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문 개방 스위치(23)를 설치하지 않고, 냉장고 본체(1)와는 별체의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냉장고 본체(1)에서 수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고 외와 고 내는, 내부 상자(10a)와 외부 상자(10b) 사이에 발포 단열재(25)(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상자체(1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의 단열 상자체(10)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18)를 실장하고 있다.
고 내는, 단열 칸막이벽(12a)에 의해 냉장실(2)과, 상단 냉동실(4) 및 제빙실(3)(도 1 참조, 도 2 중에서 제빙실(3)은 도시 생략)이 분리되고, 단열 칸막이벽(12b)에 의해,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이 이격되어 있다.
문(2a, 2b)의 고 내측에는 복수의 문 포켓(14)이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냉장실(2)은 복수의 선반(13)에 의해 종 방향으로 복수의 저장 스페이스로 구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은, 각각의 저장실의 전방에 구비된 문(4a, 5a, 6a)의 후방에, 수납 용기(4b, 5b, 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문(4a, 5a, 6a)의 손잡이부(도시 생략)에 손을 대고 앞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수납 용기(4b, 5b, 6b)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제빙실(3)에도 마찬가지로, 문(3a)과 일체로, 수납 용기(도 2 중 (3b)로 표시)가 설치되고, 문(3a)의 손잡이부(도시 생략)에 손을 대고 앞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수납 용기(3b)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적당히 도 3 참조), 냉각기(7)는 하단 냉동실(5)의 대략 배부(背部)에 구비된 냉각기 수납실(8) 내에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의 상방에는, 송풍기(9)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에서 열교환하여 차가워진 공기(이하, 냉각기(7)에서 열교환한 저온의 공기를 「냉기」라고 함)는, 송풍기(9)에 의해 냉장실 송풍 덕트(11), 야채실 송풍 덕트(17), 제빙실 송풍 덕트(40),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41) 및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도시 생략)를 통해, 냉장실(2), 야채실(6),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의 각 저장실로 보내진다. 각 저장실에의 송풍은 냉장실 냉각 댐퍼(20)와 냉동실 냉각 댐퍼(21)의 개폐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에서, 냉장실 냉각 댐퍼(20)는 2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소위 트윈 댐퍼이며, 제1 개구(20a)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에의 송풍을 제어하고, 제2 개구(20b)는 야채실 송풍 덕트(17)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냉장실(2),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에의 각 송풍 덕트는,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각 저장실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 냉각 댐퍼(20)의 제1 개구(20a)가 열림 상태,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거쳐 다단으로 설치된 분출구(2c)로부터 냉장실(2)로 보내진다. 냉장실 냉각 댐퍼(20)의 제2 개구(20b)가 열림 상태,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야채실 송풍 덕트(17)를 거쳐, 분출구(6c)로부터 야채실(6)로 보내진다.
한편, 냉장실(2)을 냉각한 냉기는, 예를 들면, 냉장실(2)의 하면에 설치된 복귀구(2d)로부터 냉장실 복귀 덕트(16)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예를 들면, 우측 하부로 돌아간다. 또한, 야채실(6)로부터의 복귀 공기는, 복귀구(6d)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로 돌아간다.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열림 상태일 때,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 된 냉기가 고 내 송풍기(9)에 의해 제빙실 송풍 덕트(40)나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도시 생략)를 거쳐 분출구(3c, 4c)로부터 각각 제빙실(3), 상단 냉동실(4)에 송풍된다. 또한,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41)를 거쳐 분출구(5c)로부터 하단 냉동실(5)에 송풍된다. 이 때문에, 냉동실 냉각 댐퍼(21)는, 후술하는 송풍기 커버(56)의 상방에 부착되어, 제빙실(3)에의 송풍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을 냉각한 냉기는, 하단 냉동실(5)의 깊이 하방에 설치된 냉동실 복귀구(42)를 통해, 냉각기 수납실(8)로 돌아간다.
도 4에서, 분출구(3c, 4c, 5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칸막이(54)이다. 이 칸막이(54)는 상단 냉동실(4), 제빙실(3) 및 하단 냉동실(5)과, 냉각기 수납실(8) 사이를 구획한다.
송풍기(9)는, 송풍기 부착부(55)에 부착되어 있다. 송풍기 부착부(55)는 냉각기 수납실(8)과 칸막이(54) 사이를 구획하고 있다.
56은 송풍기 커버로, 송풍기(9)의 전면(前面)을 덮고 있다. 송풍기 커버(56)와 칸막이(54) 사이에는,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 커버(56)의 상부에는,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설치되어 있고, 분출구(56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송풍기(9)의 전면에 정류부(56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분출하는 냉기가 일으키는 난류를 정류하여,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칸막이(54) 사이에 송풍기(9)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분출구(3c, 4c, 5c) 등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40), 제빙실 송풍 덕트(도시 생략), 및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4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송풍기(9)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냉장실 냉각 댐퍼(20)측에 송풍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즉, 송풍기 커버(56)에 설치된 냉동실 냉각 댐퍼(21)측으로 흐르지 않는 냉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덕트(15)를 경유하여 냉장실 냉각 댐퍼(20)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냉동 온도대실(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제빙실(3))과, 냉장 온도대실(냉장실(2) 및 야채실(6))의 양쪽 다른 온도대의 저장실에 냉각기(7)를 거친 냉기를 보낼 때에는, 대부분이 냉동실 냉각 댐퍼(21)측으로 보내져, 나머지의 다른 냉기는 이 냉장실 냉각 댐퍼(20)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 덕트(15)로 유도된 냉기는, 냉장실 냉각 댐퍼(20)의 제1 개구(20a)만이 개구해 있을 경우에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로 유도되고, 제2 개구(20b)만이 개구되어 있을 경우에는 야채실 송풍 덕트(17)로 유도되며, 제1 개구(20a)와 제2 개구(20b)의 양쪽이 개구되어 있을 경우에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와 야채실 송풍 덕트(17)의 양쪽으로 유도된다.
한편, 상기의 냉장실 냉각 댐퍼(20)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의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기(7)의 하방에는 제상(除霜) 수단인 제상 히터(46)가 설치되어 있고, 제상 히터(46)의 상방에는, 제상수가 제상 히터(46)에 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커버(47)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 및 그 주변의 냉각기 수납실(8)의 벽에 부착된 성에의 제상(융해)에 의해 발생한 제상수는,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구비된 통(43)에 유입(流入)된 후에, 배수관(27)을 통해 후기하는 기계실(19)에 배치된 증발 접시(44)에 이르러, 후기하는 압축기(45)나 응축기(도시 생략)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또한, 냉각기(7)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 상부에는 냉각기에 부착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2)에는 냉장실 온도 센서(33), 하단 냉동실(5)에는 냉동실 온도 센서(34), 제빙실(3)에는 제빙실 온도 센서(도시 생략)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각각 냉각기(7)의 온도(이하, 「냉각기 온도」라고 함), 냉장실(2)의 온도(이하, 「냉장실 온도」라고 함), 하단 냉동실(5)의 온도(이하, 「냉동실 온도」라고 함), 제빙 접시(도시 생략) 근방의 온도(이하, 「제빙 온도」라고 함)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야채실(6)에도 야채실 온도 센서(33a)를 배치해도 되고, 각 저장실의 온도 제어를 보다 세밀하게 행할 수 있다.
단열 상자체(10)의 하부 배면측에는, 기계실(19)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19)에는, 압축기(45) 및 응축기(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있으며, 고 외 송풍기(도시 생략)에 의해 응축기의 열이 제열(除熱)된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소부탄을 냉매로서 사용하고, 냉매 봉입량은 약 80g으로 소량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 본체(1)의 천정벽 상면측에는, 제어 수단으로서, CPU,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탑재한 제어 기판(31)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31)은, 상술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 온도 센서(33), 냉동실 온도 센서(34), 문(2a, 2b, 3a, 4a, 5a, 6a)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문 센서, 냉장실(2) 내벽에 설치된 온도 설정기(도시 생략), 하단 냉동실(5) 내벽에 설치된 온도 설정기(도시 생략) 등과 접속한다. 그리고, 상술한 ROM에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기(45)의 ON/OFF나 회전수의 제어, 냉장실 냉각 댐퍼(20) 및 냉동실 냉각 댐퍼(21)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각각의 구동 모터의 제어, 고 내 송풍기(9)의 ON/OFF나 회전 속도의 제어, 상기 고 외 송풍기의 ON/OFF나 회전 속도 등의 제어, 상술한 문 개방 상태를 알리는 알람의 ON/OFF 등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냉장실 냉각 댐퍼(20)가 닫힘 상태이며, 또한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열림 상태이고, 냉동 온도대실(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을 경우, 제빙실(3)에 제빙실 송풍 덕트(도시 생략)를 통해 송풍된 냉기 및 상단 냉동실(4)에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40)를 통해 송풍된 냉기는, 하단 냉동실(5)로 하강한다. 그리고, 하단 냉동실(5)에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41)(도 2 참조)를 통해 송풍된 냉기와 함께, 도 4 중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냉동실 복귀 공기와 같이 흐른다. 즉, 하단 냉동실(5)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 복귀구(42)를 경유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 전방으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에 유입되고, 냉각기 배관(7a)에 다수의 핀이 부착되어 구성된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덧붙여서, 냉동실 복귀구(42)의 가로폭 치수는, 냉각기(7)의 폭 치수와 거의 동등한 가로폭이다.
한편, 냉장실 냉각 댐퍼(20)가 열림 상태이며, 또한 냉동실 냉각 댐퍼(21)가 닫힘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냉장실 또는 야채실(6))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을 경우, 냉장실(2)로부터의 복귀 냉기는, 도 3 중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냉장실 복귀 공기와 같이, 냉장실 복귀 덕트(16)를 통해, 냉각기 수납실(8)의 측방 하부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에 유입되고,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한편, 냉장실 냉각 댐퍼(20)의 제2 개구(20b)를 경유하여 야채실(6)을 냉각한 냉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실 복귀구(6d)를 통해,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유입되지만, 풍량은 냉동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풍량이나 냉장실(2)을 순환하는 풍량에 비해 적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각 저장실에 송풍하는 냉기의 전환은, 냉장실 냉각 댐퍼(20) 및 냉동실 냉각 댐퍼(21) 각각을 적당히 개폐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이다.
<개폐 기구의 실장>
다음으로, 도 5를 사용하여 문 개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서의 E-E 단면도 중,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하단 냉동실(5)을 예로 상세를 설명한다. 한편, 야채실(6)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다.
하단 냉동실(5)의 문(5a)의 저장실측의 벽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지지 프레임(26)이 접속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6)은, 식품을 수납하는 용기(5b)가 현가(懸架)되어 있으며, 문(5a)을 인출하면, 지지 프레임(26)이 하단 냉동실(5)의 좌우 양측벽에 설치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이동하여, 용기(5b)도 함께 인출된다.
하단 냉동실(5)의 내부 저면(底面)에는 문 개방 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문 개방 장치(24)는, 냉장고 본체(1)측에 고정하여 설치된,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수단을 구비한 구동 기구(27)를 구비한다. 용기(5b)의 하면에는, 좌우의 지지 프레임(26)을 연결한 연결 보강 수단(28)과, 연결 보강 수단(28)의 저면에 연결 부재인 연결판(29)을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 기구(27)로부터 연결판(29)에 대하여 지지 프레임(26)의 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하단 냉동실(5)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구동 기구(27)와 연결판(29)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단 냉동실(5)의 정면측에는, 제2 문 검지 수단(30)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 냉동실(5)이 완전히 닫히지 않고, 근소하게 열린 반열림(반도어)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 회로에 그 신호를 보낸다.
하단 냉동실문(5a)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27)는, 단열 칸막이벽(12b)의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고, 야채실문(6a)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27)는 냉장고의 저면을 구성하는 냉장고 저벽(92)에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다. 단열 칸막이벽(12b) 및 냉장고 저면(92)은 내용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장고 외부로부터 내부에의 열 누설을 저감하여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단열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25)를 충전함과 함께, 열 누설을 저감하기 위해 진공 단열재(18)를 더 설치함으로써, 박벽화하면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가속 링크의 구성>
다음으로, 구동 기구(27)와 연결판(29)을 구비한 문 개방 장치(24)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문 개방 장치(24)는, 냉동실(5)의 예를 설명하지만, 야채실(6)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6은 연결판(29)과, 구동 기구(27)의 회전 출력축인 구동축(32)에 설치된 회전판(36)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구동 기구(27)를 동작하여 회전판(36)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판(29)에 작용하여 문(5a)을 여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는 구동 기구(27)를 동작하여 회전판(36)을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판(29)에 작용하여 문(5a)을 닫는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과 도 7에서, 화살표 G 방향이 냉장고 본체(1)의 정면측을 나타내고, 냉동실문(5a)은 화살표 G 방향으로 열린다. 구동 기구(27)의 상면에는 회전하는 구동축(32)이 돌출하고, 외주(外周)에 복수의 단차(48a∼48g)가 설치된 회전판(36)이 구동축(32)에 고정되어 있어, 구동축(32)이 회전하면 회전판(36)이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연결판(29)의 단차(48a∼48g)가 형성된 측에 회전판(36)이 배치되고, 단차(48a∼48g)와 반대측에 구동 기구(27)의 구동원인 모터(37)를 수납하는 돌출부(38)(모터 수납부)가 설치된다.
연결판(29)은, 지지 프레임(26)에 연결된 연결 보강 수단(28)에 고정된다. 회전판(36)을 회전하면, 회전판(36)의 외주의 단차(48a∼48g)와, 연결판(29)에 설치된 단차(49a∼49g)가 맞물리면서, 연결판(29)은 지지 프레임(26)을 따라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문(5a)이 열린다. 환언하면, 회전판(36)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판(36)의 가압부(단차(48a∼48g))가 연결판(29)의 피가압부(단차(49a∼49g))를 눌러, 문(5a)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연결판(29)은 회전판(36)과 모터 수납부(38) 사이에 끼워 배치된다.
도 7에서, 회전판(36)과 연결판(29)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판(36)에 설치된 단차(48a)는 구동축(3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R1까지의 범위에 설치되고, 제2 단차(48b)는 반경 R1로부터 반경 R2까지의 범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반경 R3의 범위의 제3 단차(48c)로부터, 반경 R7의 범위의 제7 단차(48g)에 이르기까지, 순차 반경이 커지는 위치에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R1<R2<R3<R4<R5<R6<R7이다. 제1 단차(49a)는, 회전판(36)의 제1 단차(48a)와 맞물리고, 제7 단차(49g)가 회전판(36)의 제7 단차(48g)와 맞물릴 때까지, 회전판(36)이 회전함에 따라서, 순차 각각 대응한 단차끼리 맞물리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가압부(48a∼48g)와 피가압부(49a∼49g)는, 동일한 로마자를 부여한 부호의 단차끼리 맞물리도록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판(36)은 하단 냉동실(5)을 개방할 때, 도 7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판(29)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6) 및 연결 보강 수단(28)을 통해 문(5a)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지지 프레임(26)과 함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7에서는, 도시하는 좌방향이 냉장고(1)의 정면측으로 하고 있으며, 연결판(29)이 좌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냉동실(5)은 열린다.
<회전판의 원점 위치>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낸 회전판(36)의 위치에서는, 회전판(36)의 단차(48)와, 연결판(29)의 단차(49) 모두 서로 당접(當接)하지 않는다. 그리고, 문(5a)을 손으로 열어서 연결판(29)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연결판(29)은 회전판(36)에 접하지 않고, 문(5a)을 개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7에 나타낸 회전판(36)의 위치를 원점 위치로 하고, 회전판(36)이 회전하여 문 개방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이 원점 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한다.
회전판(36)이 원점 위치에 있으면, 문(5a)을 손으로 닫았다고 해도 회전판(36)과 연결판(29)은 당접하지 않으므로, 원활하게 냉동실문(5a)을 닫을 수 있다.
회전판(36)의 일부에는, 제1 마그넷(50)이 설치되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원점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연결판(29)의 일부에는, 제2 마그넷(51)이 설치되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문(5a)의 폐쇄를 검출한다.
<문의 개방 동작>
다음으로, 도 8에 의해, 회전판(3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연결판(29)이 이동하여 냉동실문(5a)이 열리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a)는, 도 7과 같이 회전판(36)은 원점 위치에 있고, 문 개방 스위치(23)가 눌리면 구동 기구(27)에 통전되어, 회전판(36)이 도시하는 화살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도 8의 (b)는, 회전판(36)의 제2 단차(48b)가 연결판(29)의 제2 단차(49b)와 당접하여, 연결판(29)이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해서, 문(5a)이 열리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c)는, 회전판(36)이 더 회전하고, 제6 단차(48f)가 연결판(29)의 제6 단차(49f)와 당접하여, 연결판(29)이 화살표 G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있다.
도 8의 (d)는, 회전판(36)이 더 회전하고, 연결판(29)은 더 이동하여 제7 단차(48g)가 연결판(29)의 제7 단차(49g)와의 당접 상태로부터 벗어난 직후이다. 연결판(29)을 포함하는 문(5a)은, 도 8의 (a)의 상태로부터 도 8의 (d)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도시하는 좌방의 화살표 G 방향으로 가속되고, 도 8의 (d) 상태에서는, 화살표 G 방향으로 최대 속도가 되어 개방된다.
도 8의 (e)는, 문(5a)은 개방을 완료하고, 회전판(36)은 도시하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완료되어 도 7 내지 도 8의 (a)와 같은 원점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문의 폐쇄 동작>
하단 냉동실(5)을 닫았을 때에, 어떠한 이유로 마그넷 패킹(22)이 흡착될 때까지 냉동실(5)이 완전히 닫히지 않고, 마그넷 패킹(22)과 냉장고 본체(1) 사이에 틈이 생겨, 소위, 반열림(반도어)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반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의 문 개방 장치(24)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문 개방 장치(24)가 하단 냉동실(5)을 폐쇄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하단 냉동실(5)이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고, 연결판(29)의 도시하는 좌단이 인입 위치(52)보다도 열림량(53)만큼, 도시하는 좌방(문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회전판(36)을 구동축(32)의 둘레로 도시하는 화살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9의 (b)와 같이 선단부(57)가 연결판(29)의 당접부(58)에 당접하여 도시하는 우방향, 즉 문(5a)을 폐쇄하는 방향의 힘을 가한다. 그리고,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5a)을 완전히 닫는다. 그 후, 회전판(36)을 도시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점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하단 냉동실(5)이 완전히는 닫히지 않고, 소위, 반열림 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하단 냉동실(5)을 열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판(36)을 회전시킴으로써, 연결판(29)에 대하여 하단 냉동실(5)을 닫히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닫을 수 있으므로, 반열림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구동 기구>
다음으로, 구동 기구(27)의 구성의 일례를 도 10 내지 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도 10은 구동 기구(27)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은 구동 기구(27)를 도 10과는 반대측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 5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과 같은 구동 기구(27)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구동 기구(27)의 상면을 이루는 상케이스(59)를 투시하여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13은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C-C 단면도이며, 단열 칸막이벽(12b)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D-D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를 반대측으로부터 본 F-F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으로부터 연결판(29)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회전판(36)과 상케이스(59)의 일부에 설치된 모터 수납부(38)의 배치 관계를 명시하고 있다. 도 11과 함께 개략 구성을 설명하면, 모터(37)는 상케이스(59)에 설치된 모터 수납부(38)와 하케이스(60)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37)의 회전 출력축에는 웜(61)이 설치되며, 모터(37)의 회전에 의해 웜(61)이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케이스(59)의 모터 수납부(38)는, 모터(37)가 하케이스(6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실장할 수 있는 치수로 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구성을 설명하면, 제1 기어인 웜 휠(62)과, 웜 휠(62)과 일체로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3)(제2 기어)는, 웜 휠축(64)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제3 기어인 아이들러 기어(65)는, 아이들러축(66)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직경이 최대인 제4 기어인 출력 기어(67)는 구동축(32)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고, 또한 구동축(32)에는 회전판(36)이 나사(91)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2)은, 예를 들면 고무제의 시일재인 O자 형상 링(90)에 의해 상케이스(59)와의 사이에서 수밀(水密)하게 봉지되어, 물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출력 기어(67)가 회전하면, 회전판(36)이 회전하여 문(5a)이 개폐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다.
웜(61)은, 웜 휠(62)(제1 기어)과 맞물리고, 웜 휠(62)과 일체로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3)(제2 기어)는, 아이들러 기어(65)(제3 기어)와 맞물리며, 아이들러 기어(65)는 출력 기어(67)(제4 기어)와 맞물리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일례로서 웜 휠(62)의 감속비를 1/40, 피니언 기어(63)의 치수(齒數)와 출력 기어(67)의 치수의 비를 1/3이라고 하면, 웜(61)으로부터 출력 기어(67)까지의 감속비는 1/120이 된다. 출력 기어(67)와 구동축(32) 사이에는, 회전판(36)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제한하여,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토크 제한 수단(68)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웜(61), 웜 휠(62), 피니언 기어(63), 아이들러 기어(65), 출력 기어(67)는 모터(37)로부터의 출력을 감속하는 감속 수단(93)을 구성한다.
하케이스(60)의 일부에는, 상케이스(59)측에 가까워지는 오목부인 배선 공간(69)이 형성되어, 커넥터(70)나 배선 케이블(71)의 실장 스페이스로서 사용된다.
검지 기판(72)에는, 자력(磁力)을 검지하는 예를 들면 홀 IC 내지 또는 GMR(Giant Magnetoresistive; 거대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인 회전 검지 수단(73)과, 제1 문 검지 수단(74)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검지 수단(73)은, 회전판(36)에 설치된 제1 마그넷(50) 위치에 의해 회전판(36)이 원점 위치에 있음을 검지한다. 제1 문 검지 수단(74)은 연결판(29)에 설치된 제2 마그넷(51) 위치를 검지하여, 문(5a)이 폐쇄되었음을 검지한다. 회전 검지 수단(73)은, 회전판(36)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구동축(32)의 근방에 설치된다. 제1 문 검지 수단(74)은 연결판(29)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구동축(32)과 모터(37)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판(29)의 이동 경로의 범위 내에 설치된다.
<기본 배치>
다음으로, 모터(37), 검지 기판(72), 커넥터(70), 기어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기구(24)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케이스(60)와 상케이스(59)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볼 때 거의 정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도시하는 하측이 문(5a)의 측, 즉 냉장고 본체(1)의 정면측이며, 도시하는 상방이 깊이측이 된다. 구동 기구(24)의 도시하는 우하측에 구동축(32)을 구비한 출력 기어(67)를 배치하고, 회전판(3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판(29)을 도시하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문(5a)을 연다.
구동 기구(24)는, 수납 부재를 구성하는 상케이스(59)인 제1면(94)(상면)과, 하케이스(60)인 제2면(95)(하면)과, 제1면(94)과 제2면(95)을 잇는 제1 측면(96)과, 제1 측면(96)에 대향하는 제2 측면(97)과, 제1 측면(96)과 제2 측면(97)을 잇는 제3 측면(98)과, 제3 측면(98)에 대향하는 제4 측면(99)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케이스(60)의 제4 측벽(99)을 따라 모터(37)를 배치하고, 웜(61)이 정면측(제1 측면(96)측), 배선 케이블이 접속되는 모터 단자(75)를 배면측(제2 측면(97)측)에 배치한다.
출력 기어(67)는, 제1 측면(96)쪽이며 또한 제3 측면(98)쪽에 배치하고 있다.
출력 기어(67)와 웜(61) 사이에는, 웜 휠(62)과 아이들러 기어(65)를 배치하고, 모터(37)의 회전 토크를 웜(61), 웜 휠(62), 아이들러 기어(65)를 통해 출력 기어(67)에 전달한다. 웜 휠(62), 아이들러 기어(65)의 회전 중심은,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부(76)와, 출력 기어(67)의 구동축(32)을 연결한 직선의 근방에 배치되어, 감속 수단(93)을 구성하고 있다.
구동 기구(24)의 배면측(제2 측면(97)측)에는, 제어 기판(31)과 접속된 커넥터 리셉터클(77)과, 커넥터 리셉터클(77)에 접속된 케이블이 삽입되는 배선 공간(69)으로 하고 있다. 배선 공간(69)과 출력 기어(67) 사이에는, 배선 공간(69)을 따라 가로 길이에 대강 출력 기어(67)와 겹치는 위치에 검지 기판(72)이 배치되고, 검지 기판(72)의 일단(一端)은 모터(3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모터(37)에 근접하는 측에 배선 케이블(71)이 접속된다.
회전 검지 수단(73)은, 구동축(32)에 대하여 모터(37)와는 반대측(제3 측면(98)쪽)에 설치되어 있다. 검지 기판(72)은,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모터(37)로부터 벗어난 측, 즉 제3 측면(98)측에서 배선 공간(69)으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제1 측면(96)측)으로 굴곡하고 있으며, 제1 측면(96)쪽에 회전 검지 수단(73)이 설치된다.
제2 측면(97)쪽이며 또한 제4 측면(99)쪽에는, 커넥터(70)를 배치하고, 배선 공간(69)을 향한 측은 커넥터 리셉터클(77)에 삽입되는 단자측으로 하고, 배선 공간(69)의 반대측은 모터 단자(75)와 접속된 배선 케이블(71) 및 검지 기판(72)과 접속된 배선 케이블(71)과 접속된다.
여기에서, 도 13에서, 모터(37)의 모터 단자(75)로부터 커넥터(70)에 이르는 배선 케이블(71)과, 검지 기판(72)으로부터 커넥터(70)에 이르는 배선 케이블(71)은 모두, 감속 수단(93)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므로, 배선 케이블(71)이 감속 수단(93)을 구성하는 기어에 권입(卷入)되는 일 등이 없어 신뢰성이 높다. 또한, 모터(37)의 모터 단자(75), 검지 기판(72) 중 배선 케이블(71)이 접속된 일단은 커넥터(70)에 인접하여 배치했으므로, 배선 케이블(71)이 짧아도 되고, 배선이 용이하며, 신뢰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즉, 구동 기구(24)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상케이스(59), 하케이스(60)) 내에는, 이하와 같이 구성 부품이 배치된다. 회전 부재(36)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지 수단(73)과, 모터(37) 및 회전 검지 수단(73)을 구동 기구(24)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70)를 구비하고, 감속 수단(93)은, 회전 부재(36)와 연결한 출력 기어(67)와 웜(61)을 접속하는 기어열을 구비하고, 출력 기어(67)는, 제1 측면(96)쪽이며 또한 제3 측면(98)쪽에 배치하고, 모터(37) 및 웜(61)은, 제4 측면(99)쪽에서 웜이 제1 측면(96)에 근접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기어열은 제1 측면(96)쪽에 배치하고, 커넥터는 제2 측면(97)쪽에 배치한다.
<회전 방향>
도 13에 의해 웜(61)과 각 기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판(36)은 도시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문(5a)을 연다. 이때 출력 기어(67)는 회전판(36)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출력 기어(67)와 맞물리는 아이들러 기어(6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이들러 기어(65)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63)와 웜 휠(6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웜(61)은 모터(37)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치(齒)가 보내진다.
구동시의 반력은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 되기 때문에, 웜 휠(62)로부터 웜(61)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반력은 웜(61)을 모터(37)에 대하여 밀어붙이는 방향을 향한다. 이 경우, 축방향의 반력은 모터(37) 자체에 구비된 스러스트 베어링(도시 생략)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웜(61)이 모터(37)의 회전축에 대하여 덜컹거림(느슨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 회전이 안정되므로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이 안정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바람직하다.
<모터 돌출량>
도 14, 도 15에 의해, 단열 칸막이벽(12b)에 구동 기구(27)를 매립하여 배치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기구(27)는, 상케이스(59)의 전체 둘레에 시일재(78)를 통해, 물의 침입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단열 칸막이벽(12b)에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하단 냉동실(5)의 내용적 확대를 위해서는, 용기(5b)의 저면과 단열 칸막이벽(12b)의 틈 H7(도 14 참조)을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며, 회전판(36)과 연결판(29)의 맞물림 구동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틈 H7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회전판(36)은 구동 기구(27)로부터 높이 H1만큼 돌출하여 배치되므로, 용기(5b)의 저면에 대하여 (H7-H1)만큼의 틈이 확보된다. 한편, 연결판(29)은 문(5a)과 함께 열리므로, 용기(5b)의 저면에 근접해 있어도 되지만, 회전판(36)과의 맞물림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동 기구(27)에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틈 H7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구동 기구(27)를 단열 칸막이벽(12b)의 오목부에 배치하여 높이 H1을 저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열 칸막이벽(12b)은,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을 구분하는 것으로서, 냉동실(5)은 -18℃ 정도, 야채실(6)은 +3∼5℃ 정도로 온도차가 있다. 또한, 한편으로 내용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단열 칸막이벽(12b) 두께 H3을 얇게 하고자 한다. 그 때문에, 단열 칸막이벽(12b)은 얇게 하면서, 단열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한편,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25)를 충전함과 함께, 진공 단열재(18)를 전체 면에 배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구동 기구(27)를 배치한 부분은 단열 칸막이벽(12b)이 부분적으로 얇아지므로, 그 부분에는 진공 단열재(18)를 배설하면 단열 효과가 높다.
그래서, 단열 칸막이벽(12b)의 두께 H3을 저감하면서, 진공 단열재(18)의 두께 Hv를 두껍게 하면, 단열 성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구동 기구(27)의 하면측, 즉 단열 칸막이벽(12b)의, 오목부 두께 H4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단열재(18)는 유리 섬유를 내포한 기밀 봉지를 밀폐하여 내부를 진공으로 한 구성이므로, 뾰족해진 구조물의 찌름에 의해, 봉지의 기밀성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구동 기구(27)의 두께를 얇게 함과 함께, 하케이스(60)의 하면인 구동 기구(27)의 저면(95)은 돌기가 없이 플랫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진공 단열재(18)를 배치하여 단열 칸막이벽(12b)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효과적이다.
구동 기구(27)의 두께를 얇게 하는 한편, 모터(37)는 문(5a)을 여는 것만큼의 출력 토크가 필요하므로, 구동 기구(27)의 두께보다 모터(37)의 직경이 커진다. 이에 수반하여, 상케이스(59)의 상면(94) 또는 하케이스(60)의 저면(95)으로부터 모터(37)의 외형의 일부가 돌출하게 된다. 즉, 상면(94)과 저면(95)의 간격은, 모터(37)의 직경보다 작아지지만, 모터(37) 배치부만큼 돌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하케이스(60)의 저면(95)에는 돌기를 마련하지 않은 구성이 바람직하므로, 상면(94)에 모터 수납부(38)를 H2만큼 돌출시키는 것으로 하고, 또한 돌출량을 회전판(36) 부분의 두께 H1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작아지도록, H2≤H1로 구성하면, 하케이스(60)의 저면(95)은 플랫한 형상인 상태에서, 케이스 두께보다 외형이 큰 모터(37)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수납부(38)는 회전판(36)의 높이 H1보다 작아지므로, 용기(5b)의 저면은 모터 수납부(38)를 회피하기 위한 요철 등의 특단의 형상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단열 성능을 높임과 함께 용기(5b)의 용적을 저감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웜 휠 높이와 경사 배치>
다음으로, 도 14∼도 16을 사용하여, 모터(37), 웜(61), 및 웜 휠(62)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D-D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와 동일한 부분을 역방향으로부터 본 F-F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판(29)은 모터 수납부(38)와 회전판(36)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판(36)과 맞물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27)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모터 수납부(38)와 회전판(36) 사이에 배치되는 웜(61)으로부터 출력 기어(67)에 이르기까지의 감속 수단(93)은, 연결판(29)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웜 휠(62)은, 모터(37)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61)과 맞물려 있으므로, 모터(37)에 인접하여 회전판(36)측에 배치되고, 연결판(29)과 겹치는 위치가 된다(도 14 참조). 웜 휠(62)은 웜(61)과 맞물리므로, 모터(37)의 직경이 커질수록 웜 휠(62)의 위치는 도 14 중, 상케이스(59)측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웜 휠(62)은 상케이스(59)의 상면보다 돌출하여, 웜 휠 수납부(79)의 돌출량이 커진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웜 휠 수납부(79)의 형상이 되면, 연결판(29)의 위치를 웜 휠 수납부(79)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용기(5b)의 깊이가 얕아져 용적이 감소한다.
그래서, 웜 휠(62)의 높이 위치를 구동 기구(27)의 저면(95)측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성에 대해서 도 15와 도 16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에서, 모터(37)를 하케이스(60)의 저면에 근접시켜 배치하면, 모터(37)의 회전 중심(80)의 높이 Ha는 모터(37)의 반경, 즉 모터(37) 외형의 1/2에 거의 동등해진다.
여기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37)와 웜(61)을 웜(61)의 선단이 구동 기구(27)의 저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θ만큼 경사시키면, 모터(37)의 웜(61)측의 회전 중심(80)의 높이 Ha는 바뀌지 않지만,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부(76)의 높이는 Hb, 즉, Ha>Hb가 된다. 이에 따라, 웜 휠(62)을 모터(37)의 반경, 즉, 모터(37) 외형 치수의 1/2보다도 하케이스(60)측(저면(95)측)에 더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웜 휠 수납부(79)의 상방에의 돌출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모터(37)의 경사 각도 θ의 특히 바람직한 값에 대해서, 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웜(61)은, 나사와 동일한 바와 같이, 원통 표면에 기어의 치를 나선 형상으로 배치한 구성이며, 그 비틀림각을 리드각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웜(61)과 맞물리는 웜 휠(62)은, 웜(61)의 리드각과 동등한 비틀림각을 가진 헬리컬 기어(나선형 기어; helical gear)가 된다.
그런데,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부(76)에서, 웜 휠(62)의 비틀림각을 저감하는 방향으로 웜(61)을 경사시켜, 특히 웜(61)을 리드각과 동등해지도록 경사시키면, 리드각이 웜(61)의 경사에 의해 없어져, 웜 휠(62)과 맞물리는 기어 치근(齒筋)(81)이, 도시하는 연직 방향(상케이스(59)(제1면(94))와 하케이스(60)(제2면(95))를 연직으로 잇는 방향)을 향한다. 그러면, 웜 휠(62)의 헬리컬 기어의 비틀림각이 O도가 되어, 웜 휠(62)을 평(平) 기어로 할 수 있다. 평 기어는, 헬리컬 기어보다 가공이 용이하며 고정밀도를 얻기 쉬워, 수지 성형품의 기어로 할 경우에는, 헬리컬 기어와 같이 금형을 비틀면서 성형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금형도 단순하고 저렴해져, 성형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스러스트 부하>
일반적으로, 헬리컬 기어는 치가 나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토크를 전달할 때에 기어에 축 스러스트 방향의 분력(分力)이 발생한다. 이 스러스트 방향의 분력은, 헬리컬 기어의 회전 방향에 의해 정역(正逆)이 반전하고, 헬리컬 기어의 축방향 양단의 스토퍼에 각각 당접할 때까지 기어는 이동한다. 그 때문에, 헬리컬 기어는 덜컹거림(느슨해짐)에 의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베어링의 구조도 스러스트 부하를 허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스러스트 부하가 발생하면, 헬리컬 기어가 축방향의 스토퍼에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마찰 부하 토크가 더 발생하여, 회전 부하 토크가 커진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이 연직이고 헬리컬 기어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구성에서는, 웜(6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는, 헬리컬 기어는 부상(浮上)하는 방향의 스러스트 하중을 보이고, 스러스트 하중, 기어 자중(自重), 및 맞물림부의 마찰력과의 대소 관계에 따라, 회전과 함께 부상하거나, 하강을 반복할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헬리컬 기어는 상하로 진동하여, 소음의 원인이 된다.
또한, 헬리컬 기어의 위치가 상하로 변동하면, 치가 비틀어져 있기 때문에 웜(61)과의 맞물림 위치가 원주(圓周)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웜(61)이 일정 각속도로 회전했다고 해도, 헬리컬 기어인 웜 휠(62)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웜 휠(62)의 각속도가 변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웜 휠(62)의 회전 동작이 불안정해져,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같이 웜(61)을 리드각만큼 경사시킴으로써, 웜 휠(62)을 평 기어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웜 휠(62)에 스러스트 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 부하 토크가 적고, 또한 진동이나 소음, 회전 각속도의 변동도 적어, 안정된 기어의 맞물림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토크 제한 수단>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낸 토크 제한 수단(68)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도 17, 도 18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은 토크 제한 수단(68)을 포함하는 출력 기어(67)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도, 도 18은 토크 제한 수단(68)의 각 구성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구동축(32)의 일단은, 축방향에 원통 형상의 외주를 삭제한 평면부(82)를 갖고, 회전판(36)에 끼워맞춰 회전 구동한다. 구동축(32)의 타단은, 직경을 확대하여 외주를 제1 슬라이딩면(83)으로 하고, 제1 슬라이딩면(83)의 일단에 홈(85)이 마련되어 있다.
출력 기어(67)는, 외주에 기어의 치가 설치되고, 내주에는 원주를 복수의 슬릿(87)으로 구분하여 구성된 편(片) 형상부(88)가, 출력 기어(67)의 회전 중심 둘레에 입설(立設)되고, 그 내주는 제2 슬라이딩면(84)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슬라이딩면(84)의 일부는, 내측으로 돌출한 원주 형상의 스토퍼(86)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87) 내지 편 형상부(88)의 수는 6분할하고 있지만, 6분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축(32)을 유지하는 소정의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형상, 분할수이면 된다.
구동축(32)의 외주에 설치된 제1 슬라이딩면(83)은, 출력 기어(67)의 편 형상부(88)의 내주인 제2 슬라이딩면(84)에 끼워맞춰지고, 홈(85)에 스토퍼(86)가 끼워맞춰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 링 스프링(89)은, 편 형상부(88)의 외주를 단단히 죄면서 끼워맞춰진다.
여기에서, 제1 슬라이딩면(83)의 직경을 D1, 제2 슬라이딩면(84)의 내주를 D2, 편 형상부(88)의 외주를 D3, 링 스프링(89)의 내주를 D4로 하면, D1>D2로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면압(面壓)을 주고, D4<D3으로서 링 스프링(89)을 눌러 펼쳐 끼워맞춤으로써 편 형상부(88)를 내주측에 눌러 죄도록 하는 압축력을 부가시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소정의 압접력을 주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링 스프링(89)에 의해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걸리는 압축력을 F, 마찰 계수를 μ로 하면, 구동축(32)과 출력 기어(67)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토크 T는, T=Fμ(D1/2)가 된다. 이 T 이상의 토크가 구동축(32)과 출력 기어(67) 사이에 가해지면,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은 서로 미끄러지므로 토크 제한 수단(68)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링 스프링(89)에 의한 압축력 F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마찰 토크를 부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 형상부(88)를 출력 기어(67)와 일체로서 설치하고, 구동축(32)과 끼워맞춰 링 스프링(89)으로 단단히 죄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토크 제한 수단(68)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링 스프링(89)으로서 사용한 예에 의해 설명했지만, 코일 스프링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편 형상부(88)를 단단히 죄는 구성이면 되고, 원통 형상의 스프링의 일부에 축방향으로 슬릿을 넣은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7, 18에서 설명한 예로부터, 구동 기구의 박형화를 도모할 때에 신뢰성을 더 향상한 구성에 대해서, 도 24, 25에 의해 설명한다. 본 구성이 도 17, 18과 다른 점은, 직경 Dl, D2, D3, D4를 각각 크게 한 점, 편 형상부(88)의 수를 많게 한 점, 링 스프링(89)을 굵은 봉재(棒材)를 환 형상으로 만곡(灣曲)시킨 점이다. 한편, 도 17, 18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직경 D1, D2, D3, D4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축(32)의 회전판(36)과 반대측의 외주를 제1 슬라이딩면(83)으로 하고, 제1 슬라이딩면(83)의 외주 직경을 D1, 제2 슬라이딩면(84)의 내주 직경을 D2, 링 스프링(89)에 의해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걸리는 압축력을 F, 마찰 계수를 μ로 하면, 구동축(32)과 출력 기어(67)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토크 T는, T=Fμ(D1/2)가 된다. 여기에서, 마찰 토크 T를 소정의 크기로 하기 위해, 압축력 F를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기어(67)와 구동축(32)을 각각 수지로 일체 성형했을 경우, 허용 면압에는 한도가 있다. 이 경우에 압축력 F를 크게 하면,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에 큰 면압이 가해져, 수지로 구성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압축력 F를 작게 억제하면서, 마찰 토크 T를 크게 하기 때문에, 제1 슬라이딩면(83)의 직경 D1을 크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축(3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이 슬라이딩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a,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이 슬라이딩하는 위치로부터 치선까지의 거리 b로 했을 경우, a>b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압축력 F를 억제하면서 마찰 토크 T를 크게 할 수 있고, 구동 기구의 박형화를 도모한 구성에 있어서도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 형상부(8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기어(67)의 제2 슬라이딩면(84)은, 둘레 방향에 복수의 슬릿(87)으로 구분한 복수의 편 형상부(88)로 구성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편 형상부(88)는 슬릿(87)에 의해 12분할 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 형상부(88)의 수에 대해서 검토하면, 편 형상부(88)의 수가 적을 경우, 편 형상부(88)의 1개당 면적이 커지며, 또한 원호(圓弧) 형상이 되기 때문에, 강성(剛性)이 높아진다. 그러면, D1>D2로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면압을 주는 치수 관계로부터, 구동축(32)을 출력 기어(67)에 포함할 때, 편 형상부(88)가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한다. 또한, 편 형상부(88)가 변형되기 어려우면, 편 형상부(88)의 외주 직경을 D3, 링 스프링(89)의 내주 직경을 D4로 하여, D4<D3의 관계로부터, 편 형상부(88)의 외주에서 링 스프링(89)의 내주를 눌러 펼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링 스프링(89)으로 편 형상부(88)를 내주측으로 눌러 죄도록 하는 압축력이 작아져, 토크 제한 수단(68)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편 형상부(88)의 수를 많게 하여(예를 들면 12분할), 편 형상부(88)의 1개당의 면적을 작게 하며, 또한 평면에 근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링 스프링(89)에 의한 압축력 F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토크 제한 수단(68)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구동축(32)의 제1 슬라이딩면(83)의 높이 치수 H1을 조정함으로써, 압축력 F가 작용하는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 개방 장치(24)의 높이 방향의 두께를 감소시켜 박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 높이 치수 H1은 되도록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2 슬라이딩면(84)이 되는 편 형상부(88)의 합계 면적은, 원주의 길이(2πa)에 편 형상부(88)의 높이(H1)를 곱하여 구해져, 2πaH1로 표현된다. 편 형상부(88)의 한 개당의 면적은, 편 형상부(88)의 수를 n으로 했을 경우, 2πaH1/n(식 1)으로 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식 1)에서 산출할 수 있는 편 형상부(88)는, a가 커질수록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편 형상부(88)의 분할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압축력 F를 작게 억제하면서, 마찰 토크 T를 크게 하기 위해, 제1 슬라이딩면(83)의 직경 D1을 크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구동축(3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이 슬라이딩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a가 커진다. 그래서, 본 구성에 있어서는, 편 형상부(88)는 높이 치수 H1보다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치수를 억제한 편 형상부(88)여도, 링 스프링(89)에 의한 압축력 F에 의해 소정의 휨 변형을 하는 면적 및 분할수로 할 수 있고,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소정의 면압을 얻을 수 있어, 토크 제한 수단(68)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링 스프링(8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의 링 스프링(89)은, 환봉(丸棒)을 편 형상부(88)의 외주를 따르도록 환 형상으로 만곡시킨 구성이다. 링 스프링(89)은, 직선 형상의 환봉의 일단과 타단을 근접시킴으로써 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일단과 타단 사이는 약간 틈이 형성되거나 접촉해 있다. 이 구성의 링 스프링(89)의 내주에, 구동축(32)과 출력 기어(67)를 포함하면, D1>D2로 하여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면압을 주고, D4<D3으로서 링 스프링(89)을 눌러 펼쳐 끼워맞춤으로써 편 형상부(88)를 내주측으로 눌러 죄도록 하는 압축력을 부가시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소정의 압접력을 주고 있다.
링 스프링(89)은, 한 개의 굵은 금속제의 봉재를 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링 스프링(89)으로부터 편 형상부(88)의 외주에 대하여 균일하게 압축력을 부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 개방 장치(24)가 구동할 경우에는, 구동축(32)과 출력 기어(67)는 공회전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체로 회전한다. 한편,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등에 의해, 문 개방 장치(24)의 회전판(36)이 회전 도중에 정지했을 경우, 소정 이상의 힘을 부여함으로써, 구동축(32)에 대하여 출력 기어(67)가 공회전하여, 소정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문 개방 장치(24)가 도중에 구동 정지했을 경우에도, 문 개방 장치(24)를 구비한 문을 폐쇄 위치까지 움직이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그때에 문 개방 장치(24)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면(83)과 제2 슬라이딩면(84) 사이에 윤활제를 개재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의 거동을 안정화시켜, 토크를 안정시킬 수 있다.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 개방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기판(31)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 회로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의 직류 등을 생성하는 전원(100)과 접속된다. 또한, 예를 들면 온도 조정을 행하는 푸쉬 버튼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102)과, 예를 들면 점멸하는 LED 등의 표시 수단(103)을 구비한 조작 패널(101)과 접속된다. 또한, 온도 센서(33, 34, 35), 냉장실 냉각 댐퍼(20)와 냉동실 냉각 댐퍼(21), 압축기(45), 문 개방 장치(24) 등과 접속되어, 그들의 구동과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한편, 조작 패널(101)은 도 1에서, 냉장고 본체(1)의 전면, 일례로서 냉장실문(2a)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제(諸)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인할 경우에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제어계의 구성>
다음으로 도 19를 사용하여 문 개방 장치(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유저가 문 개방 스위치(23)를 눌렀을 때에 그 신호는 제어 기판(31)에 보내진다.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에 설치된 구동 기구(27)의 각각의 모터(37)와, 구동축(3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지 수단(73), 연결판(29)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문 검지 수단(74), 및 문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2 문 검지 수단(30)은, 제어 기판(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문 개방 장치(24) 및 제어 기판(3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은, 전원(100)으로부터 공급된다.
조작 패널(101)에는 문이 닫혀 있지 않고 열림 상태로 되어 있음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수단(104)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 알림 수단(104)의 일례는, 부저를 울리거나 램프를 점등 내지 점멸시킨다.
<열림 제어>
도 20을 사용하여, 하단 냉동실(5)을 개방할 때의 열림 제어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하단 냉동실(5)을 개방할 때의 열림 제어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열림 동작을 개시(블록 105)하면, 제어 기판(31)은 회전 검지 수단(73)의 상태를 감시하여, 구동 기구(27)의 회전판(36)이 동작을 개시하는 원점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블록 106)
만일, 회전판(36)이 원점에 없을 경우에는, 모터(37)에 통전(블록 107)하여, 회전판(36)을 회전시켜 회전 검지 수단(73)을 감시하여 원점으로 한다.
회전판(36)이 원점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저에 의해 문 개방 스위치(23)가 조작되었음을 제어 기판(31)이 검출(블록 108)하면 모터(37)를 통전(블록 109)하여, 회전판(36)을 회전시킨다. 이때의 회전판(36)의 회전 방향은,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서 하고 있으며, 회전판(36)이 회전하면 연결판(29)이 밀려 냉동실(5)이 열린다. 모터(37)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회전 검지 수단(73)에 의해 회전판(36)이 원점 위치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면(블록 110), 모터를 정지시켜(블록 111) 일련의 열림 동작을 종료한다(블록 112).
<닫힘 제어>
도 21을 사용하여, 냉동실(5)이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소위 반도어 상태로부터 냉동실(5)을 닫을 때의 제어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냉동실(5)을 닫을 때의 닫힘 제어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을 개시(블록 113)하고 나서 원점을 검출(블록 114)할 때까지 모터(37)를 통전할 때(블록 115)까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0의 블록 105 내지 블록 107과 동일하다.
제1 문 검지 수단(74)이 연결판(29)의 제2 마그넷(51)을 검출하고 있으면(블록 116), 하단 냉동실(5)의 문(5a)이 반열림(반도어) 상태가 아니라 폐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어 닫힘 동작을 완료한다(블록 117). 한편, 제2 문 검지 수단(30)이 열림일 경우(블록 118)에는 문(5a)이 열려 있으므로, 반도어인 것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알림 수단(104)을 울려 반도어라는 알람을 유저에게 알린다(블록 119).
제1 문 검지 수단(74)이 도어의 폐쇄를 검출할 수 없으며, 또한 제2 문 검지 수단(30)이 폐쇄를 검지하여 반도어임을 검출하면 모터(37)에 전류가 통전한다(블록 120). 이때의 회전 방향은, 도 9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이다. 또한, 이때에는 모터(37)에 인가하는 전압을, 예를 들면 정격 전압의 1/2 내지 1/3 정도로 낮게 함으로써, 회전판(36)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면, 회전판(36)이 저속도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급격히 문(5a)을 닫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모터(37)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시간, 예를 들면 3초간 통전하면(블록 121), 회전판(36)은 도 9의 (b)의 상태에 이르러 연결판(29)을 화살표 방향으로, 즉 문(5a)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단 냉동실(5)을 닫는다. 소정 시간 경과한 후, 모터(3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통전하여(블록 122),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판(36)이 원점 위치가 될 때까지 회전시켜, 회전 검지(73)의 신호에 의해 원점을 검출할 수 있으면(블록 123), 모터(37)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블록 124). 여기에서, 제1 문 검지 수단(74)이, 하단 냉동실(5)이 폐쇄되어 있음을 검출하면(블록 125), 하단 냉동실(5)은 완전히 폐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처리를 종료한다(블록 126). 만일, 제1 문 검지 수단(74)이 하단 냉동실(5)의 폐쇄를 검지할 수 없으면, 반도어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블록 120부터 블록 125까지의 처리, 즉 모터(37)에 전류가 통전하여 회전판(36)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단 냉동실(5)을 폐쇄시키는 동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한다(블록 127). 또한, 소정의 횟수, 예를 들면 3회 이 폐쇄 동작을 반복한 후에도 제1 문 검지 수단(74)의 폐쇄를 검지할 수 없으면, 하단 냉동실(5)을 폐쇄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 알림 수단(104)을 울려 반도어 상태라는 알람을 유저에게 알린다(블록 128).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인출문의 여는 힘을 저감하여 경쾌하게 문을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소위 반도어(반열림)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문을 폐쇄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과 효과를 대응시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로, 모터(37)를 갖는 구동 기구(27)와, 구동 기구(27)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상케이스(59), 하케이스(60))와, 모터(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36)(회전판)와, 회전 부재(36)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29)(연결판)를 구비한 문 개방 장치(24)에 있어서, 수납 부재의 제1면(94)과, 제1면(94)과 대향한 제2면(95)의 간격은 모터(31)의 외형보다 작고, 제1면(94)으로부터 돌출한 모터(37)를 덮는 모터 수납부(38)(돌출부)를 구비하고, 회전 부재(36)는 제1면(9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모터 수납부(38)는 회전 부재(36)보다 제1면(94)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동등 또는 작다.
이에 따라, 구동 기구(27)의 두께를 얇게 함과 함께, 하케이스(60)의 하면인 저면(95)(제2도)은, 돌기가 없이 플랫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동 기구(27)의 하면에 진공 단열재(18)를 배치하여 단열 칸막이벽(12b)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효과적이다.
또한, 상면에 모터 수납부(38)를 H2만큼 돌출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돌출량을 회전판(36) 부분의 두께 H1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작아지도록(H2≤H1) 구성함으로써, 하케이스(60)의 저면(95)은 플랫한 형상인 상태에서, 수납 부재 두께보다 직경이 큰 모터(37)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수납부(38)가 회전판(36)의 높이 H1보다 작으므로, 용기(5b)의 저면은 모터 수납부(38)를 회피하기 위한 특단의 형상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용기(5b)의 용적을 저감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둘째로, 모터(37)로부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수단(93)을 구비하고, 감속 수단(93)은, 모터(37)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웜(61)과, 웜(61)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 휠(62)을 구비하고, 모터(37)의 회전축 및 웜(61)의 회전축은, 제1면(94)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하여 설치되고, 웜(61)과 웜 휠(62)은,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부(76)의 접선이 제1면(94)과 제2면(97)을 연직으로 잇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했다.
즉, 모터(37)와 웜(61)을 웜(61)의 선단이 구동 기구(27)의 저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θ만큼 경사시킴으로써, 모터(37)의 웜(61)측의 회전 중심(80)의 높이 Ha는 바뀌지 않지만,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 위치(76)의 높이는 Hb가 되고, Ha>Hb의 관계가 되므로, 웜 휠(62)을 저면(95)에 더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웜 휠 수납부(79)의 상케이스(60)측에의 돌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셋째로, 웜 휠(62)은 평 기어이다. 즉, 웜(61)을 리드각만큼 경사시킴으로써, 웜 휠(62)을 평 기어로 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웜 휠(62)에 스러스트 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 부하 토크가 적고, 또한 진동이나 소음, 회전 각속도의 변동도 적어, 안정된 기어 맞물림을 실현할 수 있다.
넷째로, 제1면(94)으로부터 웜 휠(62)과 웜(61)의 맞물림 위치까지의 거리, 또는 제2면(95)으로부터 웜 휠(62)과 웜(61)의 맞물림 위치까지의 거리 중 어느 것은, 모터(37)의 외형의 1/2보다 작다. 이에 따라, 웜(61)과 웜 휠(62)의 맞물림부(76)의 높이 위치를, 모터(37)의 외형 치수의 1/2보다 하케이스(60)측(저면(95)측)에 더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웜 휠 수납부(79)의 상방에의 돌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다섯째로, 구동 기구(24)는, 제1면(94)(상면)과 제2면(95)(하면)을 잇는 제1 측면(96)과, 제1 측면(96)에 대향하는 제2 측면(97)과, 제1 측면(96)과 제2 측면(97)을 잇는 제3 측면(98)과, 제3 측면(98)에 대향하는 제4 측면(99)을 구비하고, 회전 부재(36)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지 수단(73)과, 모터(37) 및 회전 검지 수단(73)을 구동 기구(24)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70)를 구비하고, 감속 수단(93)은, 회전 부재(36)와 연결한 출력 기어(67)와 웜(61)을 접속하는 기어열을 구비하고, 출력 기어(67)는, 제1 측면(96)쪽이며 또한 제3 측면(98)쪽에 배치하고, 모터(37) 및 웜(61)은, 제4 측면(99)쪽에서 웜(61)이 제1 측면(96)에 근접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기어열은 제1 측면(96)쪽에 배치하고, 커넥터(70)는 제2 측면(97)쪽에 배치하고, 모터(37)와 커넥터(70)를 접속하는 배선 케이블(71)과, 회전 검지 수단(73)과 커넥터(70)를 접속하는 배선 케이블(71)은, 감속 수단(93)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배선 케이블(71)이 감속 수단(93)을 구성하는 각 기어에 권입되지 않아, 신뢰성이 높다. 또한, 모터(37)의 모터 단자(75), 검지 기판(72) 중 배선 케이블(71)이 접속된 일단은 커넥터(70)에 인접하여 배치했으므로, 배선 케이블(71)이 짧아도 되고, 배선이 용이하며, 신뢰성이 높다.
여섯째, 원주를 복수의 슬릿(87)으로 구분하여 구성된 편 형상부(88)를 출력 기어(67)의 내주와 일체로서 설치하고, 구동축(32)과 끼워맞춰 링 스프링(89)으로 단단히 죈다. 이에 따라, 저렴한 구성으로 토크 제한 수단(68)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구(27)를 냉동실(5b)과 야채실(6) 사이의 단열 칸막이벽(12b)에 설치하여 하단 냉동실(5)을 개폐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하단 냉동실(5)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 기구(27)는 최하단의 야채실(6)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냉장고 본체 저벽(92)에 배치한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모터와 웜의 고정 수단>
다음으로, 모터(37)와 케이스(상케이스(59), 하케이스(6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2와 도 23을 사용하여 더 설명한다. 도 22는 모터 및 모터 지지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모터를 케이스에 포함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모터(37)와, 모터(37)의 회전축에 연결한 웜(61)은, 모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동심축이 되도록 배치되고, 모터(37)는 모터 체결용의 체결 수단(107)(일례로서 나사)으로 모터 지지 부재(105)에 체결된다.
또한, 모터 지지 부재(105)의 웜(61) 설치부의 측부에는, 웜 휠 배치용의 웜 휠축부(110)를 설치하고, 웜 휠축부(110) 둘레로 웜 휠(62)이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모터 지지 부재(105)는, 도 23의 일점 쇄선으로부터 쇄선 방향으로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케이스(60)의 수평 방향(지면(紙面)상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모터(37) 및 웜(61)이 웜(61)의 리드각만큼 경사하도록 하여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모터(37) 및 웜(61)을 모터 지지 부재(105)에 미리 낀 상태로 하고 나서, 한데 모아 케이스(상케이스(59), 하케이스(60))에 배치한다. 한편, 원통부 웜 휠축부(110)는 하케이스(60)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연직 방향에 배치하고 있으며, 웜 휠(61)은 평치(平齒)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하케이스(60)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연직 상방을 향하여 원통부(108)를 배치하고, 상케이스(59)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연직 하방을 향하여 원통부(109)를 배치하고 있다. 원통부(108)와 원통부(109)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통부(108)와 원통부(109) 사이에 모터 지지 부재(105)의 체결 구멍(106)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케이스(59), 하케이스(60), 모터 지지 부재(105)의 3부품이, 체결 수단(111)(일례로서 나사)으로 체결된다. 한편, 체결 구멍(106)은 모터(37)의 전방부, 후방부 및 측면부의 3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모터(37)와 웜(61)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모터(37)의 회전축(웜(61)이 끼워맞춰진 회전축)은, 회전 부재(36)가 연결 부재(29)를 누르는 방향측이 낮아지도록 경사 배치하고, 모터(37)의 회전축의 반대측의 단부(端部)에 대향하는 상케이스(59)에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 개방 장치 전체의 높이 방향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37) 및 웜(61)이 회전 동작시에 축방향의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은, 상케이스(59)의 경사면에서 받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문 개폐 장치를 박형화했을 경우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력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의 하방에 원통부(108)와 원통부(109)가 배치되고, 상케이스(59), 하케이스(60), 모터 지지 부재(105)의 3부품이, 체결 수단(111)(일례로서 나사)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회전 부재(36)가 연결 부재(29)를 누르는 힘에 대한, 모터(37)가 회전축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반력을, 경사면, 원통부(108), 원통부(109) 및 체결 수단(111)으로 받는다. 이에 따라, 문 개방 장치의 높이 방향을 박형화한 구성이어도,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모터(37)를 모터 지지 부재(105)에서 케이스(상케이스(59), 하케이스(60))에 일체 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37)와 웜(61)을 하케이스(60)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킨 구성이어도, 위치 정밀도가 양호해지며, 조립도 용이해진다.
또한, 문 개폐시에 상케이스(59)에 배치한 모터 돌기부(38)의 측면에, 연결 부재(29)의 위치를 제어하는 볼록부를 설치하고, 회전 부재(36)와 연결 부재(29)를 접촉시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했을 때의 연결 부재(29)의 좌우의 위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 기기에의 적용>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 개방 장치(24)가 하단 냉동실(5) 내지 야채실(6)의 인출문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냉장실문(2)과 같은, 회전식 문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장고에 문 개방 장치를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문서류를 보관하는 파일 캐비닛이나, 앞측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개수대 포함형의 설겆이 건조기 등의 공지의 모든 인출식 기기에 적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냉장고 본체 5: 하단 냉동실
6: 야채실 12, 12a, 12b: 단열 칸막이벽
18: 진공 단열재 23: 문 개방 스위치
24: 문 개방 장치 25: 발포 단열재
26: 지지 프레임 27: 구동 기구
28: 연결 보강 수단 29: 연결판(연결 부재)
30: 제2 문 검지 수단 31: 제어 기판
32: 구동축 36: 회전판(회전 부재)
37: 모터 38: 모터 수납부(돌출부)
48: 단차(가압부) 49: 단차(피가압부)
50 제1 마그넷 51: 제2 마그넷
52: 인입 위치 53: 열림량
57: 선단부 58: 당접부
59: 상케이스(수납 부재) 60: 하케이스(수납 부재)
61: 웜 62: 웜 휠(제1 기어)
63: 피니언 기어(제2 기어) 64: 웜 휠축
65: 아이들러 기어(제3 기어) 66: 아이들러축
67: 출력 기어(제4 기어) 68: 토크 제한 수단
69: 배선 공간 70: 커넥터
71: 배선 케이블 72: 검지 기판
73: 회전 검지 수단 74: 제1 문 검지 수단
75: 모터 단자 76: 맞물림부
77: 커넥터 리셉터클 78: 시일재
79: 웜 휠 수납부 80: 회전 중심
81: 기어 치근 82: 평면부
83: 제1 슬라이딩면 84: 제2 슬라이딩면
85: 홈 86: 스토퍼
87: 슬릿 88: 편 형상부
89: 링 스프링 90: O자 형상 링
91: 나사(체결 수단) 92: 냉장고 저벽
93: 감속 수단 94: 상면(제1면)
95: 저면(제2면) 96: 제1 측면
97: 제2 측면 98: 제3 측면
99: 제4 측면 100: 전원
101: 조작 패널 102: 조작 수단
103: 표시 수단 104: 알림 수단
105: 모터 지지 부재 106: 체결 구멍
107: 체결 수단(나사) 108: 원통부
109: 원통부 110: 웜 휠축부
111: 체결 수단(나사)

Claims (11)

  1. 모터를 갖는 구동 기구와, 당해 구동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당해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 문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제1면과, 당해 제1면과 대향한 제2면의 간격은 상기 모터의 외형보다도 작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모터를 덮는 모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상기 모터 수납부는 상기 회전 부재보다도 상기 제1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동등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속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웜과, 당해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 휠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웜의 회전축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설치되고,
    상기 웜과 상기 웜 휠은, 당해 웜과 당해 웜 휠의 맞물림부의 접선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직으로 잇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웜 휠은 평(平)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웜 휠과 상기 웜의 맞물림 위치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웜 휠과 상기 웜의 맞물림 위치까지의 거리 중 어느 것은, 상기 모터의 외형의 1/2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잇는 제1 측면과, 당해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잇는 제3 측면과, 당해 제3 측면에 대향하는 제4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지 수단과,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 검지 수단을 상기 구동 기구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 수단은,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한 출력 기어와 상기 웜을 접속하는 기어열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기어는, 상기 제1 측면쪽이며 또한 상기 제3 측면쪽에 배치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웜은, 상기 제4 측면쪽에서 상기 웜이 상기 제1 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기어열은 상기 제1 측면쪽에 배치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측면쪽에 배치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배선 케이블과, 상기 회전 검지 수단과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배선 케이블은, 상기 감속 수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6. 전후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인출문과, 당해 인출문을 개방하는 문 개방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장치는,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모터를 갖는 구동 기구와, 당해 구동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인출문 또는 당해 인출문에 탑재되는 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부재의 제1면과, 당해 제1면과 대향한 제2면의 간격은 상기 모터의 외형보다도 작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모터를 덮는 모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상기 모터 수납부는 상기 회전 부재보다도 상기 제1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동등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모터와, 당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 문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기 회전 부재와 반대측의 외주를 제1 슬라이딩면으로 하고,
    당해 제1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딩면을 갖는 출력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이 슬라이딩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a,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이 슬라이딩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출력 기어의 치선(齒先)까지의 거리 b로 했을 경우, a>b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의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으로 구분한 복수의 편(片) 형상부로 구성하고, 당해 편 형상부는 높이 치수보다도 폭 치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봉재(棒材)를 상기 편 형상부의 외주(外周)를 따르도록 환 형상으로 만곡(灣曲)시킨 링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면의 외주 직경 D1,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의 내주 직경 D2,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의 외주 직경 D3, 상기 링 스프링의 내주 직경 D4로 했을 경우, D1>D2, D4<D3으로서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 사이에 압접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 사이에 윤활제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방 장치.
  11. 전후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인출문과, 당해 인출문을 개방하는 문 개방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장치는,
    모터와, 당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인출문 또는 당해 인출문에 탑재되는 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회전 부재와 반대측의 외주를 제1 슬라이딩면으로 하고,
    당해 제1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하는 제2 슬라이딩면을 갖는 출력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이 슬라이딩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a, 상기 제1 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 슬라이딩면이 슬라이딩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출력 기어의 치선까지의 거리 b로 했을 경우, a>b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078809A 2012-08-10 2013-07-05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 KR101595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7693A JP5961480B2 (ja) 2012-08-10 2012-08-10 冷蔵庫
JPJP-P-2012-177693 2012-08-10
JP2012200063A JP2014055701A (ja) 2012-09-12 2012-09-12 扉開放装置及び冷蔵庫
JPJP-P-2012-200063 2012-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38A true KR20140020738A (ko) 2014-02-19
KR101595521B1 KR101595521B1 (ko) 2016-02-18

Family

ID=5004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809A KR101595521B1 (ko) 2012-08-10 2013-07-05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5521B1 (ko)
CN (1) CN103575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6707A1 (ja) * 2016-12-21 2018-06-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開扉装置および冷蔵庫
CN108612410B (zh) * 2018-04-20 2024-04-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渐进式防水型抗台风端子箱门把手
JP7261444B2 (ja) * 2018-12-10 2023-04-20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09750926B (zh) * 2019-02-19 2023-08-04 南京中竞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离合机构的自动开门装置的冰箱及控制方法
EP4202327A1 (de) * 2021-12-21 2023-06-2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337A (ja) 1989-12-21 1992-04-17 Conoco Inc 中間のアルコールを除去しながら直列の反応器中でオレフィンをアルコールに気相水和する方法
JPH04143568A (ja) 1990-10-04 1992-05-18 Nippondenso Co Ltd 蓄冷式冷却装置
JP2001055863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Corp 貯蔵庫の扉開放装置
KR20080074017A (ko) * 2007-02-07 2008-08-1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4861926B2 (ja) 2007-08-02 2012-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3568B2 (ja) * 2004-05-12 2008-09-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の扉開閉装置または扉閉鎖装置
JP4384188B2 (ja) * 2007-02-09 2009-12-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247278B2 (ja) * 2007-02-09 2009-04-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247279B2 (ja) * 2007-02-09 2009-04-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117337B1 (ja) * 2007-07-27 2008-07-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扉開閉装置
KR101639405B1 (ko) * 2009-09-0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337A (ja) 1989-12-21 1992-04-17 Conoco Inc 中間のアルコールを除去しながら直列の反応器中でオレフィンをアルコールに気相水和する方法
JPH04143568A (ja) 1990-10-04 1992-05-18 Nippondenso Co Ltd 蓄冷式冷却装置
JP2001055863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Corp 貯蔵庫の扉開放装置
KR20080074017A (ko) * 2007-02-07 2008-08-1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4861926B2 (ja) 2007-08-02 2012-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75035A (zh) 2014-02-12
CN103575035B (zh) 2015-11-11
KR101595521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275B2 (en) Refrigerator
KR101592573B1 (ko) 냉장고
KR20140020738A (ko) 문 개방 장치 및 냉장고
US20230003073A1 (en) Refrigerator
US85620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866980B2 (en) Refrigerator
CN102362132A (zh) 冰箱和用于控制冰箱的方法
KR102579885B1 (ko) 냉장고
JP2015055437A (ja) 開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US11732952B2 (en) Refrigerator
JP5798991B2 (ja) 扉開放装置及び冷蔵庫
JP5961480B2 (ja) 冷蔵庫
JP4861927B2 (ja) 冷蔵庫
JP2011058694A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KR102521995B1 (ko) 냉장고
WO2018116707A1 (ja) 開扉装置および冷蔵庫
JP2014055701A (ja) 扉開放装置及び冷蔵庫
CN220931448U (zh) 冰箱
KR101598627B1 (ko) 냉장고
JP4589949B2 (ja) 冷蔵庫
KR20080035190A (ko) 냉장고
KR20040078962A (ko) 냉장고용 스텝핑모터의 리드와이어 고정구조
JP2010065886A (ja) 低温貯蔵庫
JP2011058682A (ja) ダンパ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8076009A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