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9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95B1
KR102521995B1 KR1020170177448A KR20170177448A KR102521995B1 KR 102521995 B1 KR102521995 B1 KR 102521995B1 KR 1020170177448 A KR1020170177448 A KR 1020170177448A KR 20170177448 A KR20170177448 A KR 20170177448A KR 102521995 B1 KR102521995 B1 KR 10252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se
refrigerator
door
pu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671A (ko
Inventor
김동정
이희준
권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힌지축을 구비하는 힌지 기구; 및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푸시 부재;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푸시 부재로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힌지 축과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의 제1면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랙 기어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대상물을 저장실에 넣거나 저장실에서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스켓이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록 냉기 누설 방지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켓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도어의 개방 시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에는 오토 클로징 기능이 구현된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조금 열려 있을 때 자동적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냉장고가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근에 제공되는 냉장고는 이전의 냉장고에 비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서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393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푸시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로드에는 상기 다수의 기어 중 일 기어와 결합될 수 있도록 랙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메인 힌지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과, 제1면에 반대면에 위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제2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푸시로드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된다.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면 상기 랙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푸시로드가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푸시로드의 제2면을 볼 수 있는데, 선행문헌의 경우, 상기 푸시로드의 제2면에 랙이 형성되므로,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면 사용자 측으로 상기 푸시로드의 랙이 노출되어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푸시로드가 이동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다수의 기어 중 일 기어가 연결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다수의 기어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개구가 연통되므로, 상기 다수의 기어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기어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어에는 윤활제가 도포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기어와 푸시 로드가 함께 수용되므로, 상기 다수의 기어에 도포된 윤활제가 상기 푸시로드에 묻게 되고, 윤활유가 묻은 푸시로드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미감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 로드에 구비되는 랙 기어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어의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이 케이스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어에 도포된 윤활제가 케이스 외부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 장치를 포함하고, 도어 개방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푸시 부재;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푸시 부재로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냉장고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 축과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부재의 제1면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랙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냉장고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랙 기어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될 수 있어, 동력 전달부의 소음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 기어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될 수 있어,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된 푸시 부재가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전달 기어가 안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연결 기어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윤활을 위한 윤활제가 상기 개구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푸시 로드의 양측면 중에서 힌지 축과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에 랙 기어가 구비됨에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푸시 로드가 케이스에서 돌출되어도 랙 기어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전달기어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푸시 로드는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구동 기어 및 전달기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케이스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기어 및 전달 기어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푸시 로드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푸시 로드와 연결되므로, 구동 기어 및 전달 기어에 도포된 윤활제가 케이스 외부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측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가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도어 개방 장치의 커버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배치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기어와 푸시 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푸시 부재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도 14에서 푸시 부재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측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가 캐비닛의 상측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일 예로 힌지 커버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 개방 장치의 커버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단일의 도어이거나 복수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아우터 도어(122)와, 인너 도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힌지 기구(125)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가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가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10)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101)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의 상측벽(10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힌지 기구(125)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70)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의 기본 구조>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2)를 푸시하는 푸시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70)가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 커버(70)에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7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푸시 부재(340)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도, 본 명세서에서 푸시 부재(340)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2)의 개방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기 푸시 부재(340)의 위치(도 14의 푸시 부재의 위치임)를 도어 개방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도록 곡선 형태의 푸시 로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푸시 부재(3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320)와, 상기 구동 모터(320)의 동력을 상기 푸시 부재(34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341)는 상기 구동 모터(32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랙 기어(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342)는 복수의 기어 중 일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341)는 일 예로 상기 힌지 기구(125)의 힌지 축(126)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341)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양측면 중 일 측면에 상기 랙 기어(34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푸시 로드(341)는, 상기 힌지 축(126)과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341a)과, 상기 제1면(341a)의 반대면인 제2면(3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341a)은 상기 힌지 축(126)에 대해서 제1반경을 가지는 내주면일 수 있고, 상기 제2면(341b)은 상기 힌지 축(126)에 대해서 상기 제1반경 보다 큰 제2반경을 가지는 외주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푸시 로드(341)가 이동할 때, 상기 랙 기어(342)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랙 기어(342)가 상기 푸시 로드(341)의 제1면(341a)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푸시 로드(341)가 호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푸시 로드(341)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힌지 축(126)과 가까운면에 상기 랙 기어(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2)와 접촉하는 제1단부(343)와, 상기 제1단부(34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단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부(343)가 상기 냉장고 도어(12)와 직접 접촉되거나, 상기 푸시 로드(341)에 랙 커버(347)가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2)에 상기 랙 커버(347)가 접촉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일 예로 랙 커버(347)가 상기 푸시 로드(341)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랙 커버(347)가 상기 푸시 로드(34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푸시 부재(340)의 제1단부(343)는 상기 랙 커버(347)의 전면부이고, 상기 제2단부(344)는 상기 푸시 로드(341)의 단부일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단부(343)와 상기 제2단부(344)의 길이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부재(340)의 길이가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부재(340)가 곡선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단부(343)와 상기 제2단부(344)의 상기 냉장고(1)의 전후 방향으로의 수평 거리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부재(340)가 후술할 케이스(300)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캐비닛(10)의 측면벽(103)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부(3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부(343)는 상기 제2단부(344) 보다 상기 냉장고 도어(1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단부(344)는 상기 제1단부(343) 보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의 측면벽(10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동력 전달부(322)를 수용하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하부 케이스(301)와, 상부 케이스(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301)를 제1케이스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310)를 제2케이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동력 전달부(322)가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300)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 모터(320)가 상기 동력 전달부(322)를 구성하는 일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의 상세 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배치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322)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구동 모터(320)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323)와, 상기 구동 기어(323)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와, 상기 푸시 로드(341)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3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구동 모터(320)의 회전 속도를 줄이기는 감속 기어 역할을 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전달 기어(324, 325, 326, 327)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320)의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기어 중에서 상기 구동 기어(323)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상기 연결 기어(328)의 속도가 가장 느리다.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322)가 안착되는 안착부(30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부(302)는, 상기 구동 기어(323)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302a)와,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302b)와, 상기 연결 기어(328)가 안착되는 제3안착부(30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02)는 상기 하부 케이스(301)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302b)에는 복수의 제1샤프트(306)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안착부(302c)에는 제2샤프트(30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는 상기 제1샤프트(30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연결 기어(328)는 상기 제2샤프트(307)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안착부(302c)에는 상기 제2샤프트(307)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3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305)는 상기 제3안착부(302c)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307)는 일 예로 상기 샤프트 결합부(305)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305)가 상기 제3안착부(302c)의 상방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제3안착부(302c) 자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상기 제2샤프트(307)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01)는, 상기 랙 커버(347)가 위치할 수 있는 제1랙 커버 수용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랙 커버 수용부(303)는 일 예로 상기 하부 케이스(301)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320)는 상기 하부 케이스(301)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 기어(32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320)는 모터 커버(33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330)는 상기 하부 케이스(301)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320)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모터(320) 측으로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하부 케이스(30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동력 전달부(322)를 커버한다.
상기 푸시 로드(341)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제1안착부(302a) 및 제2안착부(302b)를 커버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기어(323) 및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는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위치된다. 반면, 상기 푸시 로드(341)는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 상기 푸시 로드(341)가 위치되므로, 상기 구동 모터(320)의 동력을 상기 푸시 로드(341)가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연결 기어(32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푸시 로드(34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기어(328)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는 상기 연결 기어(328)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315)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기어(328)의 일부는 상기 제3안착부(302c)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개구(315)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연결 기어(328)는 하부 기어(328a)와 상기 하부 기어(328a)의 일체로 연장되는 상부 기어(32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어(328a)를 제1기어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기어(328b)를 제2기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어(328a)의 둘레에 제1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기어(328b)의 둘레에 제2기어 이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기어(328b)의 직경은 상기 하부 기어(328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315)의 직경은 상기 상부 기어(328b)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하부 기어(328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기어(328b)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315)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는 상기 연결 기어(328)의 일부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기어(328)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케이스(300)의 외측에 위치된 푸시 로드(341)가 상기 연결 기어(328)(구체적으로는 상부 기어(328b))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고속 회전하는 구동 기어(323) 및 전달 기어(324, 325, 326, 327)가 상기 케이스(300) 내에 위치되고, 상기 푸시 로드(341)는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기어 들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322) 중에서 상기 구동 기어(323) 및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에 윤활제가 도포되는 경우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에 접촉하는 상기 연결 기어(328)의 하부 기어(328a)에도 윤활제가 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연결 기어(328a)의 상부 기어(328b)는 하부 기어(328a)의 상측에 위치되고, 직경이 상기 연결 기어(328a)와 다르므로, 하부 기어(328a)에 윤활제가 묻더라도 상기 상부 기어(328b)에는 윤활제가 묻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기어(328b)와 연결된 푸시 로드(341)에 윤활제가 묻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어 중에서 상기 연결 기어(328)의 회전 속도가 가장 느리므로, 상기 푸시 로드(341)와 연결되는 상부 기어(328b)에 윤활제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푸시 로드(341)가 수용되는 로드 수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수용부(312)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랙 커버(347)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랙 커버 수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랙 커버 수용부(314)는 상기 로드 수용부(312)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랙 커버 수용부(303)와, 상기 제2랙 커버 수용부(314)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상기 하부 케이스(301) 중 하나 이상에는 방진 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방진 부재(40)가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방진 부재(4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진 부재(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 부재(40)는,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가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방진 부재(40)는 상기 캐비닛(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는 상기 방진 부재(4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319)가 구비되고, 상기 방진 부재(40)의 둘레에는 상기 결합 리브(319)가 결합되기 위한 슬롯(40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로드(341)의 단부에는 랙 커버(347)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46)는 상기 푸시 로드(341)의 단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랙 커버(347)는 상기 결합부(346)에 샤프트(348)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348)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랙 커버(347)에 상기 결합부(346)가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48)가 상기 랙 커버(347) 및 상기 결합부(346)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수동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방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 감지부는, 자석(349)과, 리드 스위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상기 자석(349)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서 온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자기장의 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온되고, 상기 자기장의 센서가 일정 크기 미만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자석(349)은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석(349)은 상기 푸시 로드(341)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341)에 랙 커버(347)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석(349)은 상기 푸시 로드(341)의 단부 또는 상기 랙 커버(34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349)과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상기 자석(349)이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349)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어서, 한 쌍의 리드가 접합된 상태가 된다(온 상태라고 할 수 있음).
반면, 상기 리드 스위치(123)로부터 상기 자석(349)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리드 스위치(123)는 상기 자석(349)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인식할 수 없게 되어, 한 쌍의 리드가 이격된 상태가 된다(오프 상태라고 할 수 있음).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는 상기 리드 스위치(123)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수동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드 스위치(123)가 오프 상태가 되면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는, 상기 케이스(300)의 외측에 위치된 상기 푸시 부재(34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 부재(3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케이스(300)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 부재(300)는 상기 케이스(300)에 안착된 상기 푸시 부재(34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푸시 로드(34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연결 기어(328)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푸시 부재(340) 및 상기 연결 기어(328)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연결 기어(328)를 커버하는 기어 커버부(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커버부(356)에는 상기 제2샤프트(308)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3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는 상기 랙 커버(347)를 수용하기 위한 제3랙 커버 수용부(3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결합되면, 상기 제3랙 커버 수용부(354)는 상기 제2랙 커버 수용부(314)와 상하로 정렬된다.
<도어 개방 장치의 조립 과정>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샤프트 들(306, 307)을 설치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동력 전달부(322)를 설치한다. 일 예로 상기 구동 기어(323)를 제1안착부(302a)에 안착시키고, 전달기어(324, 325, 326, 327)를 상기 제2안착부(302b)에 안착시키고, 상기 연결 기어(328)를 상기 제3안착부(302c)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11과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동력 전달부(322)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310)를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시킨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 케이스(310)는 상기 구동 기어(323) 및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어(328)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315)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 다음, 도 12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상측에 상기 푸시 부재(340)를 안착시킨다.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연결 기어(328)의 상부 기어(328a)와 맞물리게 된다.
도 12와 같이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안착되면, 상기 푸시 부재(340)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구동 기어(323) 및 전달 기어(324, 325, 326, 327)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연결 기어(328)가 위치된다.
상기 푸시 부재(340)의 제1면(341a)과 상기 힌지 축(126) 사이에는 냉장고 도어에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미도시)가 위치되어 상기 제1면(341ㅁ)과 상기 힌지 축(126)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상기 푸시 부재(3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320)나, 구동 기어 (323) 및 전달 기어(324, 325, 326, 327)는 상기 푸시 부재(340)의 제2면(341b)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부재(340)의 제1면(341a)에 랙 기어(342)가 위치되므로, 상기 연결 기어(328)는 상기 제1면(341a) 측에서 상기 랙 기어(342)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와 상기 연결 기어(328)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전달 기어(324, 325, 326, 327)의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최종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상기 커버 부재(350)를 결합시키면,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커버 부재(350)가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부재(350)가 상기 푸시 부재(340)와 상기 연결 기어(328)를 커버하게 한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350)에 의해서 상기 연결 기어(328)의 외부 노출은 방지된다.
반면,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랙 커버(347)는 외부로 노출된다.
일 예로, 상기 랙 커버(347)가 상기 케이스(300) 및 상기 커버 부재(350)의 랙 커버 수용부(303, 314, 35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랙 커버(347)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 커버 수용부(303, 314, 354)는 상기 랙 커버(347)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구를 제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기어와 푸시 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기어(328) 중에서 하부 기어(328a)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기어(328b)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기어(328a)에는 윤활제가 묻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기어(328a)에 묻은 윤활제가 상기 상부 기어(328b)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는 차단 리브(3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단 리브(317)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315)의 주변에서 상기 개구(3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단 리브(317)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 리브(317)는 상기 하부 기어(328a)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리브(317)는 상기 하부 기어(328a)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리브(317)가 윤활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상기 링 형태의 차단 리브(317)의 직경은 상기 하부 기어(328a)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상기 하부 기어(328a)에 윤활제가 묻어 있더라도 상기 차단 리브(317)에 의해서 윤활제가 상기 개구(315)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는 상기 푸시 부재(3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350)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 부재(3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3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가이드(313)는 일 예로 상기 푸시 로드(341)의 하측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 부재(350)의 가이드는 상기 푸시 로드(341)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의 작동>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푸시 부재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에서 푸시 부재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의 전원이 온되면,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는 도어의 개방명령의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어 개방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푸시 부재(340)를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32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320)를 제어한다.
상기 구동 모터(32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322)가 상기 구동 모터(320)의 제1방향 회전력을 상기 푸시 부재(340)로 전달하여,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냉장고 도어(12)를 밀어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모터(320)의 제1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모터(320)의 누적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구동 모터(320)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동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개방되는 과정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개방된 후 상기 구동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수동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320)를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곡선 형태의 푸시 부재(340)가 캐비닛(10)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푸시 부재(340)에 의한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 모터(320)가 정지된 시점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동 모터(320)가 정지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푸시 부재(3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모터(320)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푸시 부재(3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모터(320)를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케이스(300)에서 돌출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도어(12)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도어(12)와 부딛히는 것이 방지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14를 기준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좌측방에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푸시 부재(340)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푸시 부재(340)를 A 방향에서 바라보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푸시 부재(340)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힌지 축(126)과 가깝게 위치되는 면에 랙 기어(342)가 구비되므로,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케이스(300)에서 돌출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푸시 부재(340)를 바라보더라도 상기 푸시 부재(340)의 랙 기어(342)가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푸시 부재(340)의 랙 기어(342)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상기 랙 기어(342)는 상기 푸시 로드(341)의 제1면(341a)에서 상기 제1면(341a)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랙 기어(342)의 높이가 상기 제1면(341a)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342)의 상단은 상기 제1면(341a)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342)이 하단은 상기 제1면(341a)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30)가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통의 성인은 상기 푸시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푸시 부재를 바라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 기어(342)의 높이가 상기 제1면(341a)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되, 상기 랙 기어(342)의 상단은 상기 제1면(341a)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랙 기어(342)이 하단은 상기 제1면(341a)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좌우 길이를 3등분하여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힌지 축(126)이 연결되는 부분을 제1영역이라 하고, 힌지축과 거리가 가장 먼 영역을 제3영역이라 하며, 제1영역과 제3영역의 사이 영역을 제2영역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 도어(12)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푸시 부재(34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제2영역(중간 영역임)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제2영역을 가압하는 경우에 필요한 상기 구동 모터(320)의 토크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제1영역을 가압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동 모터(320)의 토크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제2영역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푸시 부재(340)의 길이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제1영역을 가압할 때의 상기 푸시 부재(34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푸시 부재(340)가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제2영역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개방을 위한 구동 모터(320)의 토크는 줄어들도록 하였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 기어(328)가 하부 기어(328a)와 상부 기어(328b)를 포함하되, 하부 기어(328a)와 상부 기어(328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부 기어(328a)와 상부 기어(328b)가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하부 기어(328a)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310)를 상기 하부 케이스(301)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 기어(328b)를 상기 하부 기어(328a)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2: 냉장고 도어
30: 도어 개방 장치
300: 케이스 320: 구동 모터
322: 동력 전달부 330: 모터 커버
340: 푸시 부재 341: 푸시 로드
342: 랙 기어 350: 커버 부재
40: 방진 부재

Claims (13)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힌지축을 구비하는 힌지 기구; 및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푸시 부재;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푸시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힌지 축과 가깝게 위치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의 제1면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랙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푸시 부재의 제2면 측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푸시 부재의 제2면 측에서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푸시 부재의 제1면 측에서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 기어로 전달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시 부재의 제2면 측에 위치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전달 기어가 안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연결 기어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푸시 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전달 기어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어는 상기 전달 기어와 연결되기 위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어는 상기 전달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푸시 부재의 랙 기어와 연결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상기 푸시 부재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결 기어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기어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상기 연결 기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기 위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기어 커버부 각각에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 및 상기 커버 부재 각각에는 상기 푸시 부재의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는 냉장고.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윤활을 위한 윤활제가 상기 개구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리브가 구비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리브는 상기 개구의 주변에서 링 형태로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70177448A 2017-12-21 2017-12-21 냉장고 KR10252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48A KR102521995B1 (ko) 2017-12-21 2017-12-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48A KR102521995B1 (ko) 2017-12-21 2017-12-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71A KR20190075671A (ko) 2019-07-01
KR102521995B1 true KR102521995B1 (ko) 2023-04-17

Family

ID=6725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448A KR102521995B1 (ko) 2017-12-21 2017-12-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694A (zh) * 2019-12-24 2020-04-21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自动开关门装置及基于其的冰箱
KR20230027665A (ko) * 2021-08-19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1786A (ja) 2014-06-30 2016-01-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用扉開閉装置
KR101797105B1 (ko) * 2016-08-25 2017-11-13 최수진 자동 개폐식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0673B2 (en) *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1786A (ja) 2014-06-30 2016-01-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用扉開閉装置
KR101797105B1 (ko) * 2016-08-25 2017-11-13 최수진 자동 개폐식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71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1671B2 (en) Refrigerator
KR102368377B1 (ko) 냉장고
EP3489599B1 (en) Refrigerator
KR101972785B1 (ko) 냉장고
KR102579885B1 (ko) 냉장고
KR102494128B1 (ko) 냉장고
KR20230013190A (ko) 냉장고
KR10253069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21995B1 (ko) 냉장고
KR10240303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25367B1 (ko) 냉장고
CN113154772A (zh) 一种冰箱及冰箱自动关门方法
CN108991943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门体缓冲装置
WO2018116707A1 (ja) 開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102567057B1 (ko) 냉장고
KR102442380B1 (ko) 냉장고
KR102492945B1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
KR20240072974A (ko) 가전기기,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