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950A -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50A
KR20140017950A KR1020120084934A KR20120084934A KR20140017950A KR 20140017950 A KR20140017950 A KR 20140017950A KR 1020120084934 A KR1020120084934 A KR 1020120084934A KR 20120084934 A KR20120084934 A KR 20120084934A KR 20140017950 A KR20140017950 A KR 2014001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guide
plate
fixed
ligh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부
Original Assignee
전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부 filed Critical 전대부
Priority to KR102012008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950A/ko
Publication of KR2014001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폭방향 중앙이 일정크기로 절삭되고, 차광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선바이저본체의 하단에 끼워 고정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절삭된 폭 중앙에 삽입되고, 삽입된 공간 내부의 집게 양측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라이더; 상기 가이드슬라이더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안내돌기; 상기 회전안내돌기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면 상단이 절곡된 보조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부착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길이조절 및 상하이동이 편리하여 차광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바이저{SUNVISOR}
본 발명은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차광 기능을 수행하는 선바이저의 기능을 개선하여 차광폭을 효율적으로 넓히거나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차광판을 갖춘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계확보를 위하여 전후사방에 보호유리가 장착된다.
이러한 이유로 햇빛이 강한 날일 경우, 전후사방의 유리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직사광선 유입으로 인하여 눈이 부시게 되어 운행자의 운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강한 직사광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면에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전방을 주시할 때 직사광선에 의한 장애를 차단하기 위하여 선바이저(Sunvisor)를 차량에 설치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종래 선바이저(10)는 불투명차광막으로 형성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 전면창 상부에 부착하여 직사광선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햇빛의 방향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선바이저(10)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 차원에서 무한정 크게 할 수 없고,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한 크기를 갖도록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의 남중고도나 방향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선바이저(10)가 차광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운전을 방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문에, 등록실용 제0421946호를 비롯한 다수의 실용신안 및 특허 기술들에서는 선바이저(10)의 길이조절, 크기조절, 접이식 구현, 절첩식 구현, 차광막 보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보완하려는 노력들이 개시된 바 있다.
이들 중, 특히 공개특허 제1997-0034935호를 참고하면, 도 1과 같은 기본형 선바이저(10)의 우측, 즉 조수석을 향한 쪽과, 하측에 힌지식으로 별도의 보조선바이저를 더 두어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한 예가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를 포함하여 개시된 대부분의 개량형 선행기술들은 선바이저(10)의 폭과 길이를 넓히는 방식이 단순히 다른 차광판 하나를 덧대거나 이를 힌지고정하여 접었다 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따르고, 보조선바이저, 즉 보조차광판도 크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펼치거나 길이조절하였을 때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시야각까지 가리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았다.
다른 예로, 텔레스코픽 형태로 넣었다 뺄 수 있는 구조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구현하기 어렵고, 선바이저(10)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미관상으로 불리하였으며, 인테리어 효과 측면에서도 불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탈부착이 가능하고 길이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주행중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광기능을 쉽고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바이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는
폭방향 중앙이 일정크기로 절삭되고, 차광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선바이저본체의 일측면에 끼워 고정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절삭된 폭 중앙에 삽입되고, 삽입된 공간 내부의 집게 양측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라이더;
상기 가이드슬라이더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안내돌기;
상기 회전안내돌기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면 상단이 절곡된 보조차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선바이저는
차광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에 탈부착되는 선바이저본체;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일측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폭방향 중앙이 일정크기로 절삭되어 홈 형태의 공간을 갖는 집게;
상기 집게의 절삭된 폭 중앙에 삽입되고, 삽입된 공간 내부의 집게 양측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라이더;
상기 가이드슬라이더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안내돌기;
상기 회전안내돌기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면 상단이 절곡된 보조차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선바이저는
상기 선바이저의 선바이저본체 일측면에 고정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전면에 접지되는 선형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끼워지는 결합홈을 갖고, 상기 가이드에 끼워져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한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탈부착되는 보조차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선바이저는
상기 선바이저의 선바이저본체 일측면에 고정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전면에 접지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양단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되는 판상의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자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탈부착되는 보조차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부착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길이조절 및 상하이동이 편리하여 차광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선바이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예시적인 결합상태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를 구성하는 회전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3,4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선바이저 구조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데, 이를 테면 대부분의 차량에 기본형으로 장착된 선바이저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바이저본체(10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를 향해 회전가능함은 물론 한 쪽 축으로부터 분리된 후 다른 쪽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는 기본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이러한 기본 구조의 선바이저본체(100)에 보조선바이저로서, 보조차광판(200)을 더 설치한 구성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는 보조차광판(200) 및 이에 부속되어 보조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을 단품으로 별도 판매할 수 있고, 또 이들을 선바이저본체(100)와 결합한 상태로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거울 등의 악세서리는 기존과 같이 선바이저본체(100)에 그대로 구비될 수도 있고, 혹은 보조차광판(20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기존과 같이 선바이저본체(100)에 거울이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보조차광판(200)을 고정하는 후술될 집게(300)의 고정위치를 일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보조차광판(200)이 거울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이러한 악세서리에 있지 않고, 보조선바이저, 즉 보조차광판(200)을 더 구비한 것과, 그것의 작동구조에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보조적인 악세서리 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보조차광판(200)을 탈부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데, 도시와 같이 집게(300)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쉽고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집게(300)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형상을 예시하고 있는 바, 이를 테면 폭이 넓은 클립형상으로서 선바이저본체(100)의 하단에 끼워고정되며, 폭 중앙이 파여 대략 'ㅛ'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집게(300)는 도시상 전면 중앙이 일정폭에 걸쳐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 까지 대략 사각형상으로 절삭되어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절삭된 공간상에 판상의 가이드플레이트(GP)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GP)의 하단 양측 혹은 이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회전축(SH)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H)의 양단은 각각 상기 집게(300)의 전면 폭 중앙의 절삭된 공간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GP)는 상단을 잡고 당기게 되면 도 3의 (b)와 같이 회전되면서 폴딩다운(Folding down)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GP)에는 그 양단에 끼워진 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가이드슬라이더(GS)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슬라이더(GS)의 전면 일부에는 회전안내돌기(DT)가 돌출되는데, 상기 회전안내돌기(DT)는 도 2의 (b)에 도시한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대략 역(逆) 'ㄴ'형상으로 돌출되어 가이드슬라이더(GS)의 표면과 간격을 둔 부분이 생기게 하여 이 부분에 상기 보조차광판(200)의 상단 배면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안내돌기(DT)는 가이드슬라이더(GS)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차광판(200)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회전안내돌기(DT)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차광판(200)의 배면 상단이 안착되어 걸릴 때 그 안착면은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보조차광판(20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차광판(200)의 배면 상단에는 상기 회전안내돌기(DT)에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홈(GH)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GH)은 예시와 같이 보조차광판(200)의 두께 방향으로 요입되게 파서 형성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별도의 리브(Rid)를 돌출 절곡되게 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바, 이는 판매전략에 맞춰 얼마든지 변형시킬 수 있는 설계사항의 범주일 뿐이다.
나아가 회전안내돌기(DT)와 가이드홈(GH)의 형상을 원형으로 만들어서 보조차광판(200)도 상하 방향으로 폴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조차광판(200)을 선바이저본체(100)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차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 좌,우로 움직이면서 차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회전축(SH)을 기점으로 가이드플레이트(GP)를 회전시켜 폴딩시키고, 나아가 회전안내돌기(DT)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차광시킬 수도 있게 된다.
때문에, 상기 보조차광판(200)의 적소에 도 3의 (a)와 같이, 연락처기재판(N)을 구비한 상태에서 연락처를 기재해 둔 다음 운전자가 주차 후 이동시 이를 폴딩시켜 두면 외부, 즉 전면유리 쪽을 통해 외부에서 차량 운전자의 연락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이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연락처기재판(N)은 반드시 도 3의 (a)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차광판(200)를 단순히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선바이저본체(100)보다 더 아래로 내렸을 때 노출되는 면 상에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떼었다 붙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그러한 기능을 갖는 것이 중요할 뿐 그 위치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 2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보조차광판(200)이 선바이저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본 발명 제2실시예에 포함된 선바이저본체(10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이 경우에도 거울 등의 악세서리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연락처 알림이 기능을 구비하는 내용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도 보조차광판(200)을 탈부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데, 도시와 같이 집게(300)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쉽고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집게(300)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집게(300)는 그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선바이저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대략 T 형상의 가이드(4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400)는 철사 등과 같은 강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라인(Line)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휴대의 용이성, 조립설치시의 편의성 등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400)를 T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선바이저본체(100)와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부로 돌출된 부분을 특별히 안내부(410)로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400)에는 회전축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부재(50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원형, 사각형 등이 될 수 있는데, 반드시 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원형을 예로 들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5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이를 테면 도 5의 (a),(b)에 예시한 내부 원형점선까지 결합홈(510)이 요입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510)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400)의 안내부(410) 사이의 간격(D) 보다는 작아야 한다.
이는 상기 결합홈(510)에 상기 안내부(410)가 양쪽에서 끼워지기 때문이며, 상기 회전축부재(500)가 상기 가이드(400)의 안내부(410)를 따라 승하강 및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홈(510)의 폭은 상기 가이드(40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하여 억지끼움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부재(500) 설치시 상기 회전축부재(500)가 안내부(410)를 타고 자중에 의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5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조차광판(200)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차광판(200)은 상기 회전축부재(500)에 고정되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벨크로파스너(일명 '찍찍이') 혹은 기타 공지된 탈부착형 구조를 통해 떼고 붙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집게(300)를 이용하여 선바이저본체(100)의 상단 적소에 보조선바이저인 보조차광판(200)을 설치하게 되면 이중 선바이저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로 차광해야할 면적을 넓히고 싶을 때에는 보조차광판(200)을 하부로 당기거나 밀어 내리면 회전축부재(500)가 가이드(400)의 안내부(41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보조차광판(200)의 하단이 선바이저본체(100)의 하단보다 더 낮게 위치되어 폭넓은 차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차광판(200)을 어느 한 쪽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회전축부재(500)가 회전중심이 되면서 보조차광판(200)이 도시와 같이 회전되게 되므로 일부만 차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재(500)의 회전구조는 도 5의 (c)와 같이 결합홈(510)에 가이드(400)의 안내부(410)가 갇혀 있고 쉽게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보조차광판(200)을 좌우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집게(300)를 벌려 좌우로 이동하거나, 또는 가이드(400)를 좌우로 밀어서 이동한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바이저본체(100)의 배면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철사나 강철 로드나 막대, 봉 등과 같은 직선형 안내구(G, 도 8 참조)를 고정하고, 집게(300)의 후측면에 상기 직선형 안내구(G)의 직경보다 약간 큰 끼움홈(310)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집게(300)를 살짝 벌린 상태에서 밀기만 하여도 쉽게 좌우 이동이 가능하므로 좌우 방향 길이 조절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3, 실시예4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다른 예로서, 도 7의 (a)는 제3실시예를 보여 주면, 도 7의 (b)는 제4실시예를 보여 주며, 도 8은 제4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인 바, 이하 다른 변형예의 설명은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가 중공형이나 중실형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므로 중실형인 제4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7의 (a)에서 처럼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조된 플라스틱형 가이드(400') 혹은 도 7의 (b)에서 처럼 합성수지를 아예 판상으로 성형한 판형 가이드(400') 등이 그것인 바, 이하에서는 도 7의 (b)에 예시된 제4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변형예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과 구성이 공통된 부분이 많고, 작동관계도 동일 유사하므로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덧붙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는, 가이드(400")를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더(42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420)는 상기 가이드(400")의 안내부(410) 상단에 끼워진 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20)의 전면 중앙에는 자회전 가능한 회전축(430)이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축과 슬라이더는 각각 제1실시예의 회전안내돌기와 가이드슬라이더는 대응하므로, 여기에 기술된 내용은 적용가능한 범위내에서 제1실시예에도 적용될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430)에는 보조선바이저인 보조차광판(200)이 고정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보조차광판(200)은 상기 회전축(430)에 공지의 방법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8에서와 같이, 선바이저본체(100)의 배면 상단부에 직선형 안내구(G)를 고정하고, 상기 집게(300)의 후측면에 상기 직선형 안내구(G)에 끼웠다 뺄 수 있는 끼움홈(310)을 형성하여 상호 형합시키게 되면 상기 집게(300)의 좌우 이동을 훨씬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춘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보조차광판(200)을 선바이저본체(100)에 결합함으로써 원래 선바이저가 차광하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에 걸쳐 편리하고 쉽게 차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조차광판(200)의 상하, 좌우 길이 조절을 쉽게 함은 물론 회전에 의한 일부 차광 기능도 쉽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효율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은 저렴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당해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상기된 실시예에서는 집게가 선바이저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를 바꾸어서 상단, 하단, 측단과 같이 선바이저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100 : 선바이저본체 200 : 보조차광판
300 : 집게 310 : 끼움홈
400,400',400" : 가이드 410 : 안내부
420 : 슬라이더 430 : 회전축
500 : 회전축부재 510 : 결합홈

Claims (9)

  1. 폭방향 중앙이 일정크기로 절삭되고, 차광을 위해 차량에 장착된 선바이저본체의 일측면에 끼워 고정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절삭된 폭 중앙에 삽입되고, 삽입된 공간 내부의 집게 양측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라이더;
    상기 가이드슬라이더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안내돌기;
    상기 회전안내돌기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면 상단이 절곡된 보조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2. 차광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에 탈부착되는 선바이저본체;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일측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폭방향 중앙이 일정크기로 절삭되어 홈 형태의 공간을 갖는 집게;
    상기 집게의 절삭된 폭 중앙에 삽입되고, 삽입된 공간 내부의 집게 양측면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라이더;
    상기 가이드슬라이더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안내돌기;
    상기 회전안내돌기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배면 상단이 절곡된 보조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광판의 전면 혹은 후면에는 운전자의 연락처를 기재할 수 있는 연락처 기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4. 차량에 탑재되어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의 선바이저본체 일측면에 고정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전면에 접지되는 선형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끼워지는 결합홈을 갖고, 상기 가이드에 끼워져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한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탈부착되는 보조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T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전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결합홈의 직경방향 양측에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원형상이고, 상기 회전축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철사를 포함한 강체 또는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8. 차량에 탑재되어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의 선바이저본체 일측면에 고정되는 집게;
    상기 집게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선바이저본체의 전면에 접지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양단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되는 판상의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자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탈부착되는 보조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선형의 합성수지 사출물 또는 판형의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KR1020120084934A 2012-08-02 2012-08-02 선바이저 KR20140017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34A KR20140017950A (ko) 2012-08-02 2012-08-02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34A KR20140017950A (ko) 2012-08-02 2012-08-02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50A true KR20140017950A (ko) 2014-02-12

Family

ID=5026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934A KR20140017950A (ko) 2012-08-02 2012-08-02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7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7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CN113306371B (zh) * 2020-02-26 2024-04-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细长结构的滑动遮阳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24520A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US6840561B2 (en) Sun visor and cover attachment method
JPWO2014017510A1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US6705661B2 (en) Unitary visor attachment
EP1545917B1 (en) Slidable sun visor
KR20140017950A (ko) 선바이저
BR202015007864U2 (pt) Montagem de espelho de maquiagem convertível
US20140239665A1 (en) Clip on car visor extension
US6286887B1 (en) Visor with longitudinal movement system
US5884684A (en) Telescopic sun screen assembly
US10625579B2 (en) Concealed sun visor
US20120256442A1 (en) Sun protection apparatus for automobile driver or passenger
KR100840001B1 (ko) 차량용 반자동 선 바이저
US7344177B1 (en) Combined vehicle sun visor extender and CD holder
KR200457605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JP5452246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KR100974415B1 (ko) 햇빛차단용 선바이저
KR100388618B1 (ko) 슬라이드 선바이저
JP3172193U (ja) 幌および子供用座席
JP3072432U (ja) 車両用の補助サンバイザー
KR101712027B1 (ko) 가변 차양 모자
KR200359894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JP2003211958A (ja) 取り付け取り外し可能な自動車用日除け
US20150328966A1 (en) Extruded visor for open-roof vehicles
US20130076058A1 (en) Sun visor for shielding sun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