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605Y1 -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05Y1
KR200457605Y1 KR2020110005963U KR20110005963U KR200457605Y1 KR 200457605 Y1 KR200457605 Y1 KR 200457605Y1 KR 2020110005963 U KR2020110005963 U KR 2020110005963U KR 20110005963 U KR20110005963 U KR 20110005963U KR 200457605 Y1 KR200457605 Y1 KR 200457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ning
fixed block
shade
fix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박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희 filed Critical 박찬희
Priority to KR2020110005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3Peaks or visors with stiff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는 보조차량을 통해 착용자의 얼굴 측면으로 침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보조차양을 설치할 때 불편하게 박음질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차양을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블록에 끼워 넣은 후 클립을 통해 단순 결합 방식으로 결속시키기 때문에 생산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CAP WITH SUBSIDIARY BRIM}
본 고안은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보조차양이 차양의 저면에 은닉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얼굴 측면을 차양할 때는 차양의 저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 측면으로 침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착용자의 얼굴 전방으로 돌출되어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전방을 보호하는 차양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자의 고정부는 착용자의 머리에 덮여 씌어지는 크라운이나 머리는 노출되고 머리 둘레에 띠모양으로 착용되어 머리에 고정되는 헤어밴드 등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물론, 본 고안에서 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크라운 타입이거나 헤어밴드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차양폭이 좁아서 착용자의 얼굴전방만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얼굴측면은 자외선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자의 얼굴측면까지 자외선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가 공지된 바 있다.
일례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0-3979호에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에 밀착하기 위한 원호형 헤어밴드(20), 상기 헤어밴드와 고정결합되어 햇빛을 가리는 고정차양(30), 상기 고정차양의 하부에 양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차양의 양측으로 슬라이드 돌출가능한 가변차양(40), 상기 고정차양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차양을 수납하는 수납부(32)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차양(40)의 일측 끝단은 상기 고정차양의 중앙 하단에 연결끈(50)을 통해 박음질로 연결되어, 상기 가변차양이 상기 수납부의 안내를 따라 돌출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양을 갖는 차양모"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수납부 내에서 가변차양이 고정 차양에 연결끈을 통해 박음질로 고정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가변차양의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가변차양에 먼저 연결끈을 박음질하고 다시 연결끈의 단부를 고정차양의 중앙 하단에 박음질한 후 최종적으로 수납부를 박음질하기 때문에 박음질에 따른 봉제 작업이 쉽지 않고 작업 공정이 많아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변차양이 고정차양에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가변차양만 파손된 경우에도 가변차양만 교체하지 못하고 모자 전체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자의 차양에 보조차양을 박음질하지 않고 단순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보조차양이 파손되면 보조차양만 별도로 교체할 수 있도록 개선한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 전면을 차양하는 차양; 상기 차양의 저면 센터에 전후방향으로 놓이게 고정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블록; 상기 차양의 저면에 설치되어 차양의 좌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착용자 얼굴의 좌측면을 차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에는 고정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블록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좌측 보조차양; 상기 차양의 저면에 설치되어 차양의 우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착용자 얼굴의 우측면을 차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대칭되게 내측방향으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에는 고정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블록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우측 보조차양;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의 연장편이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블록에 중첩되게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연장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차양의 저면을 덮어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은닉되도록 하되, 양측에는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게 설치된 덧뎀원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차양과 덧뎀원단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블록에 조립되어 고정블록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덧뎀원단 내로 들어가면 덧뎀원단 내에 은닉되고 덧뎀원단에서 차양의 양측으로 돌출되면 착용자 얼굴의 양측면을 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블록은 사각 형상을 갖되, 고정블록의 정면과 후면 하단에는 서로 대칭되게 날개가 형성되되, 날개는 일단이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블록에서 떨어져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의 외면 일부분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고정블록에 측방향에서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면에 고정블록결합홈이 형성되고, 고정블록결합홈의 양측면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상기 고정블록의 날개가 삽입되는 날개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날개수용공간의 일부분에는 상기 날개의 걸림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홈이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을 날개가 고정된 방향으로 고정블록에 끼워 넣으면 날개가 모아지면서 날개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날개의 걸림돌기가 날개수용공간의 걸림홈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차양의 저면에 덧뎀원단을 먼저 고정시킨 다음 후공정으로 보조차양을 단순 조립 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생산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차양이 파손되면 보조차양만 별도로 구매하여 스스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경쟁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1a와 도1b는 종래의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클립이 고정블록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 도면,
도5는 본 고안에서 클립이 고정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도면,
도6은 본 고안에서 보조차양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조립 공정도,
도7은 본 고안에서 보조차양이 차양 저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헤어밴드(10)의 전방에 돌출된 차양(20)의 양측면으로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헤어밴드(10)는 모자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덮여 씌어지는 크라운이거나 머리는 노출되고 머리 둘레에 띠모양으로 착용되어 머리에 고정되는 헤어밴드이거나 기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차양(20)은 착용자의 얼굴 전면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으로, 헤어밴드(10)의 전방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양(20)은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양(20)의 저면에는 센터에 전후방향으로 놓이도록 베이스판(100)이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판(100)은 얇은 판으로 구성되되, 일단은 차양(20)의 선단부에 박음질을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차양(20)의 후단부에 박음질을 통해 고정된다.
베이스판(100)의 저면에는 고정블록(110)이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블록(110)은 사각 형상을 갖되, 정면과 후면의 하단에는 서로 대칭되게 날개(112)가 형성된다. 날개(112)는 일단이 고정블록(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블록(110)에서 떨어져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블록(110)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날개(112)의 외면 일부분에는 걸림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차양(20)의 저면에는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고정블록(110)에 조립되어 고정블록(110)을 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 보조차양은 차양이 보호해 주지 못하는 착용자의 얼굴 측면을 편의에 따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측 보조차양(40-1)에는 내측방향으로 연장편(42)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42)에는 고정블록(110)에 삽입되어 고정블록(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44)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다. 우측 보조차양(40-2)은 좌측 보조차양(40-1)과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우측 보조차양(40-2)에는 내측방향으로 연장편(42)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42)에는 고정블록(110)에 삽입되어 고정블록(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44)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은 슬라이드홈(44)을 통해 고정블록(110)에 끼워져 연장편(42)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게 조립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이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슬라이드홈(44)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이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 고정블록(110)이 슬라이드홈(44)의 외측 단부에 걸려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이 차양(20) 내로 들어갔을 때 고정블록(110)이 슬라이드홈(44)의 내측 단부에 걸려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게 구성된다.
고정블록(110)의 하단부에는 클립(120)이 끼워져 결합된다. 클립(120)은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슬라이드홈(44)을 통해 고정블록(110)에 중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블록(110)에 측방향에서 밀어 넣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클립(120)은 고정블록(110)에 측방향에서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면에 고정블록결합홈(122)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블록결합홈(122)의 양측면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블록(110)의 날개(112)가 삽입되는 날개수용공간(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수용공간(124)의 일부분에는 날개(112)의 걸림돌기(114)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홈(126)이 걸림돌기(114)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클립(120)을 고정블록(110)에 끼워 넣으면 날개(112)가 모아지면서 날개수용공간(124)에 삽입되고 날개(112)의 걸림돌기(114)가 날개수용공간(124)의 걸림홈(126)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차양(20)의 저면에는 차양(20)을 덮도록 덧뎀원단(30)이 부착 설치된다. 덧뎀원단(30)은 차양(20)의 저면을 덮어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과 아울러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덧뎀원단(30) 내로 은닉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측에는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게 설치된다. 즉,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덧뎀원단(30) 내로 들어가면 덧뎀원단(30) 내에 은닉되고 덧뎀원단(30)의 개구를 통해 차양(20)의 양측으로 돌출되면 착용자 얼굴의 양측면을 차양하게 된다. 물론, 덧뎀원단(30)은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덧뎀원단(30)의 부착 방법은 덧뎀원단(30)의 상단은 차양(20)의 상단과 봉제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차양(20)의 하단과 봉제되어 고정되며, 양 측면은 봉제되지 않고 개구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판(100)의 저면에는 연장편(42)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돌기(130)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30)는 고정블록(110)과 함께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의 연장편(42)이 슬라이드홈(44)을 통해 고정블록(110)에 조립되어 이동할 때 연장편(42)의 외측을 잡아주어 연장편(42)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도6를 참조하여 보조차양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면, 차양(20)의 저면에 베이스판(1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덧뎀원단(30)을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덧뎀원단(30)의 개구를 통해 덧뎀원단(30)과 차양(20)의 사이로 좌측 보조차양(40-1)를 넣고 좌측 보조차양(40-1)의 슬라이드홈(44)이 고정블록(110)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 후 우측 보조차양(40-2)을 넣고 우측 보조차양(40-2)의 슬라이드홈(44)이 고정블록(110)에 중첩되도록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이 고정블록(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덧뎀원단(30)의 개구를 통해 고정블록(110)의 하단부에 클립(120)을 끼워 넣는다. 즉, 고정블록(110)의 하단부에 날개(112)가 고정된 부분을 향하도록 클립(120)의 고정블록결합홈(122)을 위치시킨 후 클립(120)을 밀어 넣는다. 그러면 날개(112)가 모아지면서 날개수용공간(124)으로 삽입되고, 계속 밀어 넣게 되면 날개(112)의 걸림돌기(114)가 날개수용공간(124)의 걸림홈(12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날개(112)가 모아지면서 날개수용공간(124) 내로 삽입되기는 하였지만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걸림돌기(114) 부분에 도달하면 걸림돌기(114)가 걸림홈(126)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덧뎀원단(30)을 차양(20)에 부착한 상태에서 덧뎀원단(30)의 개구를 통해 좌측 보조차양(40-1)과 우측 보조차양(40-2)을 후공정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는 착용자가 헤어밴드(10)를 통해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20)을 통해 얼굴 전면을 차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양(20)의 양측면으로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을 돌출시키면 얼굴 측면도 차양 할 수 있게 된다.
즉, 착용자가 보조차양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3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이 차양의 저면에서 덧뎀원단(30)에 의해 은닉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착용자가 보조차양을 사용하여 얼굴 측면을 햇볕에서 보호하고자 할 때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을 각각 잡아당겨 차양(20) 저면에서 양측면으로 돌출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은 덧뎀원단(30)의 양측 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딩되면서 차양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좌측 보조차양(40-1)와 우측 보조차양(40-2)의 돌출 정도는 슬라이드홈(44)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10: 헤어밴드 20: 차양
30: 덧뎀원단 40-1: 좌측 보조차양
40-2: 우측 보조차양 42: 연장편
44: 슬라이드홈 100: 베이스판
110: 고정블록 112: 날개
114: 걸림돌기 120: 클립
122: 고정블록결합홈 124: 날개수용공간
126: 걸림홈

Claims (3)

  1.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 전면을 차양하는 차양; 상기 차양의 저면 센터에 전후방향으로 놓이게 고정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블록; 상기 차양의 저면에 설치되어 차양의 좌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착용자 얼굴의 좌측면을 차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에는 고정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블록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좌측 보조차양; 상기 차양의 저면에 설치되어 차양의 우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착용자 얼굴의 우측면을 차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대칭되게 내측방향으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장편에는 고정블록에 삽입되어 고정블록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우측 보조차양;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의 연장편이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블록에 중첩되게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연장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차양의 저면을 덮어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은닉되도록 하되, 양측에는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게 설치된 덧뎀원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차양과 덧뎀원단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블록에 조립되어 고정블록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측 보조차양과 우측 보조차양이 덧뎀원단 내로 들어가면 덧뎀원단 내에 은닉되고 덧뎀원단에서 차양의 양측으로 돌출되면 착용자 얼굴의 양측면을 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블록은 사각 형상을 갖되, 고정블록의 정면과 후면 하단에는 서로 대칭되게 날개가 형성되되, 날개는 일단이 고정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블록에서 떨어져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의 외면 일부분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고정블록에 측방향에서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면에 고정블록결합홈이 형성되고, 고정블록결합홈의 양측면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상기 고정블록의 날개가 삽입되는 날개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날개수용공간의 일부분에는 상기 날개의 걸림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홈이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을 날개가 고정된 방향으로 고정블록에 끼워 넣으면 날개가 모아지면서 날개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날개의 걸림돌기가 날개수용공간의 걸림홈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는 상기 연장편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연장편이 슬라이드될 때 가이드돌기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2020110005963U 2011-06-30 2011-06-30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200457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63U KR200457605Y1 (ko) 2011-06-30 2011-06-30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63U KR200457605Y1 (ko) 2011-06-30 2011-06-30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605Y1 true KR200457605Y1 (ko) 2011-12-28

Family

ID=4556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63U KR200457605Y1 (ko) 2011-06-30 2011-06-30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56Y1 (ko) * 2014-02-03 2014-07-10 임창선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101583414B1 (ko) * 2014-05-01 2016-01-12 이진관 슬라이딩 가능한 보조챙을 갖는 반자동 모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64B1 (ko) * 2007-09-07 2008-12-08 문재선 보조차양 출입형 모자
KR100950078B1 (ko) 2007-12-26 2010-03-29 주식회사 리션아이앤드지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64B1 (ko) * 2007-09-07 2008-12-08 문재선 보조차양 출입형 모자
KR100950078B1 (ko) 2007-12-26 2010-03-29 주식회사 리션아이앤드지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56Y1 (ko) * 2014-02-03 2014-07-10 임창선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101583414B1 (ko) * 2014-05-01 2016-01-12 이진관 슬라이딩 가능한 보조챙을 갖는 반자동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95B1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US20110126990A1 (en) Double-layered window curtain
KR20200000516U (ko) 하이 포니테일을 보일 수 있는 모자
US20100193142A1 (en) Retractable arched window covering
US20220061443A1 (en) Hat size adjustment mechanism
US20110180221A1 (en) Window blind assembly
KR200457605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20045490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100872564B1 (ko) 보조차양 출입형 모자
KR20130010605A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100760031B1 (ko)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JP2015048542A (ja) 帽子
KR101712027B1 (ko) 가변 차양 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20060085214A (ko) 모자챙의 앞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 모자
KR20100006028U (ko) 모자용 차양막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JP4690740B2 (ja) 日射遮蔽装置の幕体
KR100956367B1 (ko) 차양모
KR20080006453U (ko) 보조 챙을 갖는 모자
KR200458923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햇(Hat) 모자
JP3122469U (ja) 遮光眼鏡を有するサンバイザ
KR20120117142A (ko) 차양으로 된 모자
KR200454807Y1 (ko) 차양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