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862A - 지능형 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862A
KR20140015862A KR1020120081604A KR20120081604A KR20140015862A KR 20140015862 A KR20140015862 A KR 20140015862A KR 1020120081604 A KR1020120081604 A KR 1020120081604A KR 20120081604 A KR20120081604 A KR 20120081604A KR 20140015862 A KR20140015862 A KR 2014001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terminal
recognized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Original Assignee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862A/ko
Publication of KR2014001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품에 부착된 인식표를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와 단말기를 구비하는 쇼핑 카트; 및 상기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품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직접 입력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하면 그에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카트에 상품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품 인식부를 구비함으로써,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소비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쇼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쇼핑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카트 시스템{SMART CART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 카트(cart)는 백화점이나 할인마트 등과 같은 매장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한 상품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매장의 대형화와 함께 쇼핑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카트는 구입하려는 상품을 담는 바구니와,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 및 카트를 운전하기 위한 손잡이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단순히 상품을 운반하는 기능에 더하여 추가적인 기능에 카트에 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대형 매장의 여러 곳에 분포된 상품을 찾아서 이동해야하는 소비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하여, 소비자가 작성한 위시리스트에 적힌 상품의 위치 및 최단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카트의 위치와 상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기술(등록특허 10-0924274)과 이동 경로에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공개특허 10-2009-0080773)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소비자들이 입력한 위시리스트를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위시리스트의 입력이 쉬워졌다고 하여도 카트에 위시리스트를 입력하는 것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식품이나 의류와 같은 분야는 작성된 위시리스트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우며, 특히 식품 분야는 당일의 품질을 살펴보고 구매 상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종래의 수동적인 정보의 제공으로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
등록특허 10-0924274 공개특허 10-2009-008077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카트 시스템은, 상품에 부착된 인식표를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와 단말기를 구비하는 쇼핑 카트; 및 상기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품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직접 입력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하면 그에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카트에 상품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와 인식된 상품에 관련된 부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상품이 식품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요리법 정보일 수 있고, 인식된 상품이 의류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패션 정보일 수 있으며, 인식된 상품이 레저 용품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여행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가, 추천상품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상품이 식품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요리법 정보이고 추천상품 정보가 요리법에 필요한 재료일 수 있고, 인식된 상품이 의류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패션 정보이고 추천상품 정보가 패션 정보에 제시된 상품일 수 있다.
나아가,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가,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및 인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추천상품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는 카트 이용자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는 카드 결제 기능을 구비하고 매장의 결제 서버와 연결되어,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하여 단말기에 리스트 업 된 상품을 단말기를 통해 결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품 인식부를 구비함으로써,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소비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쇼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쇼핑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소비자가 식품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레저 용품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의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은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상품에 표시된 인식표를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110)와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120)를 구비하는 카트(100)와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로 구성된다.
상품 인식부(110)는 현재 대부분의 매장에서 사용하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장비일 수 있고,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QR 코드 인식장비 또는 RFID 인식장비일 수 있으며, 기타 상품을 식별하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품 인식부(110)에서 인식한 상품 식별 데이터(①)는 단말기(120)를 통해서 서버(200)로 전달된다.
단말기(120)는 서버(200)와 데이터(②③)를 주고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을 적용하여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200)는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품 식별 데이터와 단말기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②)하고, 매장의 상품에 대한 정보와 관련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③)한다.
우선, 상품 정보는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식품의 경우에는 생산지와 제조일 및 유통기한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기본으로 성분분석표와 같은 각 식품에 특유한 정보까지를 모두 제공하며, 한우의 경우에는 한우 이력제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의류의 경우에는 세탁 시 주의 사항과 같이 찾아서 확인하기 어려운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서버에서 제공하는 관련정보는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품과 관련된 부가 정보와 이러한 부가 정보 또는 인식된 상품 자체와 관련성이 높은 추천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는 요리법, 패션정보, 여행지 정보 등과 같이 소비자가 선택하여 상품 인식부에 인식시킨 상품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서버가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련 정보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하면 서버가 부가 정보로서 해당 식품을 이용한 요리법을 제공하고, 의류를 선택하면 부가정보로서 최신 패션 정보를 제공하며, 레저용품을 선택하면 부가 정보로서 여행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소비자의 휴대기기나 이메일로 전송하여, 매장 밖에서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추천상품 정보는 소비자가 선택하여 상품 인식부에 인식시킨 상품 또는 이 상품에 대하여 제공한 부가 정보에 관련된 상품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선택한 상품에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는, 소비자가 주류를 선택하면 함께 먹을 수 있는 안주류 상품을 리스트로 제공하고, 소비자가 캠핑용품 또는 등산용품을 선택하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캠핑용품 또는 등산용품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한 상품에 제공된 부가 정보에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는, 요리법을 제공한 경우에는 해당 요리에 필요한 재료를 리스트로 제공하고, 패션 정보를 제공한 경우에는 패션 정보에서 함께 코디된 상품을 리스트로 제공하며, 여행지 정보를 제공한 경우에는 여행상품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가 추천상품 목록에서 상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선택된 상품이 진열된 위치와 할인 정보 등을 전송한다. 또한, 서버에서 제공한 추천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소비자는 추천상품 목록에서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하여 위시리스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카트 사용자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품 인식기와 연결함으로써 단말기의 기능을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트에 구비된 단말기가 카드 결제 기능을 구비하고, 이를 매장의 결제 서버와 연결함으로써, 소비자가 계산대를 거치지 않고도 상품 구매 대금을 카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소비자가 실제 구매를 수행하는 경우에 카트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소비자가 식품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와 같은 인식표를 카트의 상품 인식부로 인식하면, 상품이 단말기에 리스트 업(list-up)되고 단말기는 상품 식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하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상품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2는 소비지가 식품을 선택하여 인식표를 상품 인식부에 인식시킨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에 표시되는 해당 상품의 정보는 인식된 상품 자체의 정보를 포함하며, 소비자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구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물품을 구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에서 해당 물품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는, 식품의 경우에 생산지, 제조일, 유통기한 및 성분분석표가 대표적이며, 한우의 경우에는 한우 이력제를 통해 제공되는 생산이력에 대한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식품이 요리의 재료인 경우에, 서버는 인식된 상품에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해당 재료를 이용한 요리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소비자가 리스트 중에서 요리를 선택하면 해당 요리의 요리법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2에서 추천 요리법을 선택한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인식부에서 2이상의 식품을 인식한 경우에는 인식된 재료들을 모두 사용하는 요리들로만 리스트를 제공하여, 리스트의 수를 줄임으로써 소비자가 리스트에서 요리를 선택하기 쉽게 한다. 예를 들면, 생닭만을 선택하여 인식된 상태에서는 삼계탕, 닭백숙 또는 닭볶음탕과 같이 생닭을 이용한 요리의 리스트가 전송되고, 추가적으로 인삼을 선택하여 인식하면 닭백숙과 닭볶음탕 등 인삼을 사용하지 않는 요리는 제공 리스트에서 제외하거나 흐리게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을 돕는다.
도 4는 2 이상의 식품을 선택하고 추천 요리법을 선택한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요리를 선택한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비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요리법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휴대기기나 이메일로 전송하여 매장 밖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인식된 상품에 대한 추천상품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버에서 전송하는 추천상품 정보는, 인식된 상품 자체와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와 인식된 상품에 대하여 제공한 부가 정보와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인식된 상품에 대하여 제공한 부가 정보와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는, 소비자에게 부가 정보로서 요리법을 제공한 상태에서는 해당 요리법에 재료로 표시된 상품을 추천상품 정보로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생닭을 선택하여 제공받은 요리 리스트에서 삼계탕을 선택하면, 서버는 인삼 등의 재료를 추천상품 정보로 제공한다.
도 6은 요리를 선택한 뒤에 추천상품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인식된 상품 자체와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는, 인식된 상품과의 관련성이 높은 상품을 추천상품 정보로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주류와 같이 요리의 재료가 아니어서 추천 요리법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주류와 같이 주로 함께 먹는 상품을 추천상품 정보로 제공한다.
소비자는 추천상품 정보에서 필요한 상품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위시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추천상품 정보에서 추천상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추천상품이 진열된 위치와 경로 및 추천상품의 할인 행사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에서 제공한 추천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상품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 7은 추천상품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소비자가 자신이 생각한 요리의 재료를 일일이 입력하여 위시리스트를 작성하지 않고, 메인 재료를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요리법과 추가재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쇼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레저 용품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소비자가 레저 용품을 선택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와 같은 인식표를 카트의 상품 인식부로 인식하면, 상품이 단말기에 리스트 업 되고 단말기는 상품 식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하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상품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8은 소비지가 레저 용품을 선택하여 인식표를 상품 인식부에 인식시킨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에 표시되는 해당 상품의 정보는 인식된 상품 자체의 정보를 포함하며, 소비자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구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물품을 구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에서 해당 물품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는, 레저 용품의 경우에 생산지, 제조일, 재질이 대표적이며, 의류에 속하는 용품인 경우에는 세탁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선택된 레저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상품에 대한 추천상품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레저 및 스포츠 용품은 단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관련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의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 9는 선택한 레저 용품과 관련된 추천상품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추천상품 중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비자는 추천상품 정보에서 필요한 상품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위시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추천상품 정보에서 추천상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추천상품이 진열된 위치와 경로 및 추천상품의 할인 행사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에서 제공한 추천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상품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는 선택된 레저 용품에 적합한 여행지 리스트를 부가 정보로서 단말기로 전송하고, 소비자가 리스트 중에서 여행지를 선택하면 해당 여행지의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수영복 등의 수상 레저 용품을 선택한 경우에는 바다나 강 또는 워터파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등산화 등의 등산 용품을 선택한 경우에는 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1은 선택한 레저 용품과 관련된 추천 여행지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추천 여행지 중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매장에 입점한 여행사 등과 연계하여 여행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소비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여행지에 대한 정보 및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휴대기기나 이메일로 전송하여 매장 밖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소비자는 선택한 레저 용품과 함께 사용되는 다른 레저 용품을 추천받아서 완벽한 레저 활동의 준비를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쇼핑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의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소비자가 의류를 선택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와 같은 인식표를 카트의 상품 인식부로 인식하면, 상품이 단말기에 리스트 업 되고 단말기는 상품 식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하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상품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13은 소비지가 의류를 선택하여 인식표를 상품 인식부에 인식시킨 상태에서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기에 표시되는 해당 상품의 정보는 인식된 상품 자체의 정보를 포함하며, 소비자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구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물품을 구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에서 해당 물품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는, 의류의 경우에 생산지, 제조일, 재질이 대표적이며, 세탁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선택된 의류와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최신 유행 코디법과 같은 패션 정보 리스트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소비자가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패션 정보의 자세한 내용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14는 선택한 의류와 관련된 추천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추천 정보 중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비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패션 정보를 자신의 휴대기기나 이메일로 전송하여 매장 밖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선택된 패션 정보에 나타난 상품의 리스트를 추천상품 정보로서 단말기에 전송하며, 소비자는 추천상품 정보에서 필요한 상품을 하나이상 선택하여 위시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추천상품 정보에서 추천상품을 선택하면, 서버는 추천상품이 진열된 위치와 경로 및 추천상품의 할인 행사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능형 카트 시스템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에서 제공한 추천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상품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소비자는 선택한 의류에 맞는 패션 정보를 얻어서 추가적인 구입을 하거나, 자신의 다른 옷과 코디할 수 있기 때문에 쇼핑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트 110: 상품 인식부
120: 단말기 200: 서버

Claims (11)

  1. 상품에 부착된 인식표를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와 단말기를 구비하는 쇼핑 카트; 및
    상기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품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전송하는 정보가,
    상기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상품에 관련된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품이 식품인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가 요리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품이 의류인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가 패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품이 레저 용품인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가 여행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추천상품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품이 식품인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가 요리법 정보이고, 상기 추천상품 정보가 상기 요리법에 사용되는 요리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상품이 의류인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가 패션 정보이고, 상기 추천상품 정보가 상기 패션 정보에서 나타난 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전송하는 정보가,
    상기 인식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인식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추천상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쇼핑 카트 이용자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카드 결제 기능을 구비하고 매장의 결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상품 인식부에서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에 리스트 업 된 상품을 단말기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트 시스템.
KR1020120081604A 2012-07-26 2012-07-26 지능형 카트 시스템 KR2014001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04A KR20140015862A (ko) 2012-07-26 2012-07-26 지능형 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04A KR20140015862A (ko) 2012-07-26 2012-07-26 지능형 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862A true KR20140015862A (ko) 2014-02-07

Family

ID=5026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604A KR20140015862A (ko) 2012-07-26 2012-07-26 지능형 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8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362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맥주의 레시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90143222A (ko) * 2018-06-20 2019-12-30 신한카드 주식회사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200050569A (ko) * 2018-11-02 2020-05-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카트 및 스마트 카트 결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362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맥주의 레시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0831340B2 (en) 2016-11-10 2020-1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method of providing recipe for making a beverage by a beverage-mak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143222A (ko) * 2018-06-20 2019-12-30 신한카드 주식회사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20200050569A (ko) * 2018-11-02 2020-05-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카트 및 스마트 카트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5085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Personal Agents for Identifying Intent to Buy
US201100780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selecting and/or purchasing of items
CN105976224A (zh) 多商家互联的智能货架及其管理系统
US201801018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in-store product by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090094526A (ko) 상품 구매 지원 시스템
US10489869B2 (en) Organics healthy drive through
KR10161248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103256A (ja) 有利な消費システム、および、その消費方法
KR20140015862A (ko) 지능형 카트 시스템
JP2008304127A (ja) 食品在庫管理システム
US20060074763A1 (en) Culinary display kiosk
KR101659891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차량용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0119961A (zh) 基于定位在商场内进行精准销售的商业方法、装置及场内电商平台
JP2007052674A (ja) 商品データ呼び出し装置
CN109840777A (zh) 基于物联网技术无人超市+厨餐体验新零售管理集成系统
Spassova et al. Innovative retail laboratory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20190055968A (ko)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CN105809425A (zh) 商场导购系统
WO2021234991A1 (ja) 情報提供方法
JP2002056067A (ja) 買物支援システム
KR10174182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96915A (ko) Rfid태그, 스마트 카트 및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무인 결제 시스템
Wong et al. Intelligent apparel product cross-selling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y for fashion retailing
CN115552443A (zh) 信息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