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968A -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968A
KR20190055968A KR1020170152880A KR20170152880A KR20190055968A KR 20190055968 A KR20190055968 A KR 20190055968A KR 1020170152880 A KR1020170152880 A KR 1020170152880A KR 20170152880 A KR20170152880 A KR 20170152880A KR 20190055968 A KR20190055968 A KR 20190055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d
dimension
size
produ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민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마팩토리
주식회사 크리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마팩토리, 주식회사 크리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마팩토리
Priority to KR102017015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968A/ko
Publication of KR2019005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METHOD FOR PROVIDING SIZE INFORMATION AND DEVICE FOR PROVIDING SIZE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및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많은 상품을 온라인을 통하여 구매한다. 특히 젊은 층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류, 신발 등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온라인 쇼핑몰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의류, 신발 등의 패션 아이템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확인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서 구매하게 되면, 사이즈를 잘못 주문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의류의 경우 상품을 구성하는 상세한 치수가 상품마다 모두 상이한데, 이를 판매자가 적당히 S, M 및 L 사이즈로 구분하여 온라인 상품 정보로 표시하게 된다.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가 상품의 상세한 치수를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정보에 개시해 놓았을 지라도, 자신의 정확한 치수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는 S, M 및 L 사이즈 중 적당한 하나의 사이즈를 선택하고 주문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맞지 않는 상품이 배송되거나,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기대하던 것과 다른 경우들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품의 사이즈에 대한 미약한 정보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족이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고, 소비자로 하여금 쇼핑몰에 대한 신뢰도 또는 이미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쇼핑몰의 경우, 판매 수익과 연관된 소비자의 구매 결정률이 떨어지고 반품률이 증가함으로써, 판매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품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상품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선택하고, 그 결과 사용자에 대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나아가 쇼핑몰에 대하여 반품률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치수와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이에 대한 비교 정보 또는 추천 사이즈를 제공함으로써,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매 내역이 없는 신규 사용자에 대하여 이들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와 구매예정 상품의 치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상품의 사이즈 선택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사이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상품의 사이즈를 추천하는 것에 있어서,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또는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매예정 상품이 신축성이 있는 소재인 경우, 신축성이 없는 소재보다 다양한 범위의 사이즈를 추천할 수 있고, 구매예정 상품의 카테고리마다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치수와 사용자의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여,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이즈 선택이 용이할 수 있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또는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신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 데이터를 갖는 유사 구매자가 결정한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은 복수개의 사이즈를 가지고, 제1 치수는,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를 포함하고,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은, 치수 차이값을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치수 차이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치수는 구매 상품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된 복수의 구체 치수를 포함하고, 구매예정 상품은 의류 카테고리를 가지고,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구체 치수가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가지도록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치수 차이값 및 가중치를 기초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는 바지이고, 복수의 구체 치수는 허벅지 단면, 허리 단면, 밑위 단면 및 밑단 단면의 길이를 포함하고,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는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치수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이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매예정 상품을 구매한 복수의 구매자 중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치수를 갖는 유사 구매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유사 구매자가 구매한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치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이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및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에 따른 사이즈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제2 치수 및 사이즈 선택범위를 기초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이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 소재를 함유하는 경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사이즈 선택범위는 청소재의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사이즈 선택범위 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은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 소재를 함유하고, 사이즈 선택범위는 제2 치수에 대하여 0.9 배 내지 1 배고,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제2 치수의 0.9 배 내지 1 배의 치수를 갖는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은 복수개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제1 치수는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를 포함하고,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치수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선택된 사이즈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사이즈에 대한 치수,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 및 선택된 사이즈와 제2 치수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1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를 제1 가맹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가맹점과 상이한 제2 가맹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용자가 구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 제2 치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이고, 또는,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사용자인 경우 제2치수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매예정 상품 및 기구매상품은 의류 카테고리를 가지고, 구매예정 상품과 기구매상품이 상이한 의류 카테고리를 갖는 경우, 기구매상품 중 구매예정 상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를 갖는 기구매상품을 유사 구매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사 구매상품에 대한 복수의 치수를 제2 치수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창치가 제공된다.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연결되어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매예정 상품과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에 대한 치수를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맞은 추천 사이즈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적절한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사용자는 구매 물품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고, 구매 상품에 대하여 구매 결정 확률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매 내역이 없는 신규 사용자의 경우, 이들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매예정 상품의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신규 사용자에게도 상품의 사이즈 선택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및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추천 사이즈를 결정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사이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매예정 상품이 신축성이 있는 소재인 경우, 신축성이 없는 소재보다 다양한 범위의 사이즈를 추천할 수 있고, 구매예정 상품의 카테고리마다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구매 상품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핑몰의 경우 사이즈 오류로 인한 반품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쇼핑몰의 판매 효율 또한 증가될 수 있고,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 및 쇼핑몰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사이즈 추천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사이즈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기구매상품 목록이 나타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신체 사이즈 입력란이 나타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치수 차이값을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추천된 사이즈 및 치수 차이값을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및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추천된 사이즈 및 치수 차이값을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 사이즈를 갖는 유사 구매자가 선택한 사이즈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이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사이즈 추천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100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및 데이터베이스 (300) 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 (200) 는,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이동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저장된 정보들을 송,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 또는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을 통해 저장된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제공 장치 (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 (200) 는 IEE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HiperLAN/2, IEEE802.15.3, NFC, RFID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 (200) 는 스마트폰, 테블렛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 (300) 는 사이즈 연관 데이터 및 상품 특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300) 는 가맹점으로부터 획득한 상품의 사이즈, 치수 또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구입한 기구매상품에 대한 상품의 사이즈 및 치수와 같은 사이즈 연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 (300) 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신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300) 는 상품의 사이즈 추천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상품 특성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300) 는 상품의 소재, 상품의 소재에 따라 미리 결정된 사이즈 선택범위와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품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 다양한 데이터가 본 명세서 내의 데이터베이스 (300) 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 (300) 는 사용자 또는 가맹점으로부터 입수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입수될 수 있다.
이에,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수신 받은 데이터베이스 (300) 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하여 사이즈 선택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비교 데이터, 또는 추천 사이즈를 사용자 디바이스 (200) 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100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및 데이터베이스 (300) 와 가맹점 디바이스 (400) 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데이터베이스 (300) 및 가맹점 디바이스 (400)) 과 이들을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및 도 1b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가 구성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사이즈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및 프로세서 (130) 를 포함한다.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된 신체 사이즈, 상품의 사이즈, 각 부위에 대한 복수의 치수 등을 포함하는,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10) 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는 상품의 사이즈 추천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상품의 소재, 상품의 소재에 따라 미리 결정된 사이즈 선택범위와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포함하는, 상품 특성 데이터 (320) 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를 통해서도 상품의 사이즈와 연관된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기구매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는 복수의 가맹점 디바이스 (400),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데이터베이스 (300) 를 수신할 수 있다.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 (12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에 수신한 사이즈 정보 제공과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 (12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를 통해 산출되거나 결정된 비교 데이터, 추천 사이즈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10) 에 수신한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10) 를 기초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로부터 직접 획득하거나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10) 로부터 획득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및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에 대하여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신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신체 데이터를 직접 수신 받거나, 수신한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10) 로부터 획득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이용하여,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거나 비교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제2 치수를 기초로,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구매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유사 구매자가 구매한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획득한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10) 와 상품 특성 데이터 (320) 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소재, 의류 카테고리의 종류를 고려하여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및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 상품 특성 데이터베이스 (320) 로부터 획득한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소재에 따른 사이즈 선택범위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예정 상품이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함유할 경우,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에 대하여 약 0.1 % 내지 10 % 작은 치수를 갖는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및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 상품 특성 데이터베이스 (320) 로부터 획득한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른 가중치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에 의해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구체 치수가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예정 상품이 바지일 경우, 제1 치수는 허벅지 단면, 허리 단면,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는,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보다 바지 사이즈 선택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즉,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를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여, 바지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에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는 구매예정 상품과 기구매상품이 상이한 의류 카테고리를 갖는 경우, 기구매상품 중 구매예정 상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를 갖는 유사 구매상품을 결정하고, 구매예정 상품과 유사 구매상품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이즈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는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및 프로세서 (250) 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1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신체 데이터, 구매예정 상품, 또는 이의 사이즈를 송신하거나, 비교하고자 하는 기구매 상품에 대한 선택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1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로부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 또는, 선택한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10) 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로 구매 결정 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10) 는, 3G, LTE망, 4G망, Wi-Fi 등의 차세대 통신망 또는 IEE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HiperLAN/2, IEEE802.15.3, NFC 모듈, RFID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저장부 (220) 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10) 로부터 수신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 또는, 선택한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저장부 (220)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사이즈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30) 는 사용자가 신체 사이즈를 입력하거나,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 또는 이의 사이즈, 또는 구매예정 상품과 비교하고자 하는 기구매상품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30) 는 사용자로부터 제1 치수를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30) 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구매 결정을 더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30) 는, 터치 스크린 패널, 마우스, 키보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30) 가 터치 스크린 패널인 경우, 이는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로부터 수신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 또는, 선택한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치수 차이값과 같은 비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전술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 또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25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의 통신부 (210), 저장부 (220) 및 입력부 (230) 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가맹점 디바이스 (400) 는 통신부 (410), 저장부 (420), 입력부 (430), 표시부 (440) 및 프로세서 (450) 를 포함한다.
가맹점 디바이스의 통신부 (410) 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디바이스의 통신부 (410) 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맹점 디바이스의 통신부 (41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구매 결정 여부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가맹점 디바이스의 통신부 (410) 는, 3G, LTE망, 4G망, Wi-Fi 등의 차세대 통신망 또는 IEE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Engineers) 802.11, HiperLAN/2, IEEE802.15.3, NFC 모듈, RFID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일 수 있다.
가맹점 디바이스의 저장부 (420) 는 상품 및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디바이스의 저장부 (420) 는 입력된 제1 수치 및 제2 수치를 저장할 수 있다.
가맹점 디바이스의 입력부 (430) 는 가맹점으로부터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디바이스의 입력부 (430) 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또는 사용자의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디바이스의 입력부 (430) 는, 터치 스크린 패널, 마우스, 키보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맹점 디바이스의 입력부 (430) 가 터치 스크린 패널인 경우, 이는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된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40) 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40) 는 입력 받아야 할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구체 치수 목록, 의류 카테고리 목록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4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수신된 구매예정 상품의 구매 결정 여부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40) 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전술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 또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가맹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440) 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의 통신부 (410), 저장부 (420) 및 입력부 (430) 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1000'') 을 예로 들어,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및 도 1b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가 구성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가맹점 디바이스 (400) 는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S410). 이때,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S410) 에서는, 구매예정 상품의 구체적인 사이즈, 또는 구매예정 상품과 비교하고자 하는 기구매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 및 기구매상품의 각각에 대한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수신한다 (S420).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S420) 에서는 가맹점 디바이스 (400) 로부터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300) 를 수신하여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S420) 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 (200) 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한 제2 치수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S420) 에서는 상품의 사이즈 추천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상품의 소재, 상품의 소재에 따라 미리 결정된 사이즈 선택범위와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포함하는, 상품 특성 데이터 (320) 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수신된 제1 치수,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한다 (S430).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S430) 에서는,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제1 치수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치수의 치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S430) 에서는,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신규 사용자인 경우, 구매상품에 대한 제1 치수와 사용자에 대한 신체 사이즈를 포함하는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사이즈 정보를 제공 방법에서는 선택적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가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S430) 를 통해 산출한 치수 차이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40) 에서는, 치수 차이값이 가장 작은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40) 에서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및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 상품 특성 데이터베이스 (320) 로부터 획득한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소재에 따른 사이즈 선택범위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예정 상품이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함유할 경우,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에 대하여 약 0.1 % 내지 10 % 작은 치수를 갖는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40) 에서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및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 상품 특성 데이터베이스 (320) 로부터 획득한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른 가중치를 기초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130) 에 의해,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구체 치수가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갖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예정 상품이 바지일 경우, 제1 치수는 허벅지 단면, 허리 단면,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는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보다 바지 사이즈 선택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즉,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40) 에서는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가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도록 설정하여, 적합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은 구매예정 상품과 기구매상품이 상이한 의류 카테고리를 갖는 경우, 기구매상품 중 구매예정 상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를 갖는 유사 구매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사 구매상품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고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산출된 비교 데이터 또는, 결정된 추천 사이즈를 사용자 디바이스 (200) 에 제공한다 (S450).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비교 데이터 또는 추천 사이즈를 제공하는 단계 (S450) 를 통해,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고려하여 사이즈를 선택 하게 되고, 구매예정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된다 (S460). 사이즈 선택 및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S460) 를 통해, 가맹점 디바이스 (400) 에는 사용자의 주문을 표시하는 주문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상의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1000'') 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300) 를 이용하여 비교 정보를 제공하고, 추천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하여 적절한 사이즈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구매 상품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상품의 구매 결정률이 높을 수 있고, 가맹점은 반품률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은,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들은, 도면에 나타난 사용자 디바이스에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정보들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보다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가 구성요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40) 에는 템플릿 설정란 (510) 과 제1 치수 입력란 (520) 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템플릿 설정란 (510) 에는 선택한 템플릿 스타일 (예를 들어, 의류) 에 대한 정보 제공 항목들이 나열된다. 이에, 사용자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제공할 상품에 대한 템플릿 표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치수 입력란 (520) 에는 템플릿 설정란 (510) 에서 선택한 템플릿 표시 항목에 대하여 구체적인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치수 입력란 (520) 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에 대하여 계측된 다양한 단면의 길이를 포함하는 제1 치수가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치수 입력란 (520) 에는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른 구체 치수를 표시하는 예시 이미지들이 입력될 수 있다. 저장 버튼 (522) 을 누르게 되면, 가맹점으로 입력된 제1 치수는 가맹점 디바이스의 저장부 (420) 에 저장되거나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제1 치수가 송신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비교 상품 선택란 (610) 이 표시된다. 상품 선택란 (610) 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의 상품명 및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품 선택란 (610) 을 통해, 기구매상품인 팜므 린넨팬츠 FREE 사이즈와 작은고백숏팬츠 M 사이즈 중, 쫙빠진 포버튼 숏팬츠 S 사이즈와 비교할 기구매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완료 버튼 (612) 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과 기구매상품의 비교 데이터가 나타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0) 이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가 기구매상품이 없는 신규 사용자인 경우,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0) 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와 몸무게 같은 신체 사이즈의 제2 치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매이력이 있는 사용자도 사이즈 비교정보를 상세하게 보고 싶은 경우,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0) 을 통해 제1 치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이즈 비교정보 상세보기 버튼 (622) 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한 비교 데이터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0) 에 입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제2 치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유사한 신체 사이즈를 갖는 유사 구매자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선택 사이즈에 대한 비교 데이터 제공란 (630) 과 간단한 비교 데이터 제공란 (640) 이 표시된다. 선택 사이즈에 대한 상세 비교 데이터 제공란 (630) 은 사용자가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는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 선택 버튼 (632) 과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구체 치수, 및 기구매상품과의 치수 차이를 표시하는 구매예정 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4) 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 사이즈에 대한 상세 비교 데이터 제공란 (630) 은 기구매상품에 대한 구체 치수를 표시하는 기구매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6) 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는 기구매상품 변경 버튼 (638) 을 통해, 구매예정 상품과 비교하고자 하는 기구매상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예정 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4) 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쫙빠진 포버튼 숏팬츠의 S 사이즈와 기구매상품인 팜므 린넨팬츠 FREE 사이즈의 치수 차이값이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이즈의 구매예정 상품과 이미 소유한 기구매상품을 보다 쉽게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 사이즈에 대한 상세 비교 데이터 제공란 (630) 의 사이즈 정보가 요약되어 표시된, 간단한 비교 데이터 제공란 (640) 을 통해 보다 쉽게 비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 제공란 (650) 과 간단한 추천 사이즈 제공란 (660) 이 표시된다.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 제공란 (650) 은 추천 사이즈에 대한 구체 치수를 표시하는 추천 사이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52) 과 기구매상품에 대한 구체 치수를 표시하는 기구매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6) 을 포함한다. 나아가,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 제공란 (650) 은 구매예정 상품과 비교하고자 하는 기구매상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기구매상품 변경 버튼 (638) 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 사이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52) 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예정 상품인 포버튼 숏팬츠에 대하여,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의해 결정된 치수 차이값이 가장 적은 추천 사이즈인, 포버튼 숏팬츠의 S 사이즈의 구체 치수가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는, 간단한 추천 사이즈 제공란 (660) 에 표시된 추천 사이즈 정보를 통해, 추천 사이즈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f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 제공란 (650) 과 간단한 추천 사이즈 제공란 (660) 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와 상품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예정 상품이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함유할 경우,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에 대하여 약 0.1 % 내지 10 % 작은 치수를 갖는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구매예정 상품이 바지일 경우,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를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여, 바지의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천 사이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52) 에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의해 결정된, 폴리 팬츠의 XS 사이즈와 S 사이즈가 추천 사이즈로 표시된다. 폴리 팬츠의 S 사이즈는 팜므 린넨팬츠의 FREE 사이즈와 가장 작은 치수 차이값을 가질 수 있어,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에 의해 추천 사이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신축성이 좋은 폴리우레탄 소재에 대하여 제2 치수에 대하여 0.9 배 내지 1 배의 사이즈 선택범위를 갖도록 미리 결정된, 소재에 따른 사이즈 선택범위를 고려하여 폴리 팬츠의 XS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더 추천할 수 있다. 즉,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팜므 린넨팬츠의 FREE 사이즈에 대한, 허리 단면, 엉덩이 단면, 밑단 단면, 총장, 밑위 길이와 같은 구체 치수에 대하여 각각 10 % 이하의 사이즈를 갖는 XS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폴리 팬츠의 의류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추천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바지의 경우, 허리 단면 또는 엉덩이 단면의 길에 대한 가중치가 총장, 밑위 길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폴리 팬츠의 XS 및 S 사이즈가, 기구매상품인 팜므 린넨팬츠의 총장에 대하여 각각 64 cm, 65 cm 차이가 날지라도, 이들을 폴리 팬츠에 대한 추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f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40) 에는 신체 사이즈 제공란 (670) 과 유사 구매자의 사이즈 선택 정보 제공란 (680) 이 표시된다. 신체 사이즈 제공란 (670) 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사이즈가 나타난다. 한편,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0) 에 입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제2 치수를 이용하여 (도 6b 참조), 사용자의 구매예정 상품을 구매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유사한 신체 사이즈를 갖는 유사 구매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유사 구매자의 사이즈 선택 정보 제공란 (680) 에는 유사 구매자의 신체 사이즈 정보와 사이즈 선택 정보, 평점 등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00) 는 폴리 팬츠 구매자 중,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와 유사한 키 157 내지 159 cm, 몸무게 50 내지 52 kg의 유사 구매자를 결정하고, 이들이 선택한 사이즈를 유사 구매자의 사이즈 선택 정보 제공란 (680) 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유사 구매자들이 보다 높은 확률로 폴리 팬츠의 S 사이즈를 선택했다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구매할 확률 또한 높아지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적절한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구매 물품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고, 구매 상품에 대하여 구매 결정 확률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게 구매 상품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핑몰의 경우 사이즈 오류로 인한 반품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쇼핑몰의 판매 효율 또한 증가될 수 있고,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 및 쇼핑몰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110: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
120: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
130: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
200: 사용자 디바이스
210: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신부
220: 사용자 디바이스의 저장부
230: 사용자 디바이스의 입력부
240: 사용자 디바이스의 표시부
250: 사용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300: 데이터베이스
310: 사이즈 연관 데이터베이스
320: 상품 특성 데이터베이스
400: 가맹점 디바이스
410: 가맹점 디바이스의 통신부
420: 가맹점 디바이스의 저장부
430: 가맹점 디바이스의 입력부
440: 가맹점 디바이스의 표시부
450: 가맹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S410: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S420: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S430: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S440: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S450: 비교 데이터 또는 추천 사이즈를 제공하는 단계
S460: 사이즈 선택 및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510: 템플릿 설정란
520: 제1 치수 입력란
522: 저장 버튼
610: 비교 상품 선택란
612: 완료 버튼
620: 신체 사이즈 입력란
622: 사이즈 비교정보 상세보기 버튼
630: 선택 사이즈에 대한 상세 비교 데이터 제공란
632: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 선택 버튼
634: 구매예정 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6: 기구매상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38: 기구매상품 변경 버튼
640: 간단한 비교 데이터 제공란
650: 구매예정 상품의 추천 사이즈 제공란
652: 추천 사이즈의 구체 치수 제공란
660: 간단한 추천 사이즈 제공란
670: 신체 사이즈 제공란
680: 유사 구매자의 사이즈 선택 정보 제공란
1000', 1000'': 사이즈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4)

  1.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은 복수개의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1 치수는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치수 및 상기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치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 및 상기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치수 차이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는 상기 구매 상품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된 복수의 구체 치수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예정 상품은 의류 카테고리를 가지고,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구체 치수가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가지도록,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수 차이값 및 상기 가중치를 기초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의류 카테고리는 바지이고,
    상기 복수의 구체 치수는 허벅지 단면, 허리 단면, 밑위 단면 및 밑단 단면의 길이를 포함하고,
    허벅지 단면 또는 허리 단면의 길이에 대한 상기 가중치는, 밑위 단면 또는 밑단 단면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은,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상기 제2 치수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구매예정 상품을 구매한 복수의 구매자 중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상기 제2 치수를 갖는 유사 구매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구매자가 구매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사이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기구매상품에 대한 상기 제2 치수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 및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소재에 따른 사이즈 선택범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상기 제1 치수, 상기 제2 치수 및 상기 사이즈 선택범위를 기초로,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이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 소재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이즈 선택범위는, 청소재의 상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이즈 선택범위 보다 넓은,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은 폴리우레탄 또는 엘라스테인 소재를 함유하고,
    상기 사이즈 선택범위는, 상기 제2 치수에 대하여 0.9 배 내지 1 배고,
    상기 추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상기 제2 치수의 0.9 배 내지 1 배의 치수를 갖는 사이즈를, 상기 추천 사이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은 복수개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수는, 상기 구매예정 상품의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치수 및 상기 제2 치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사이즈 각각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치수의 복수개의 사이즈 중 선택된 사이즈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이즈에 대한 치수, 상기 기구매상품에 대한 상기 제2 치수, 및 상기 선택된 사이즈와 상기 제2 치수에 대한 치수 차이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를 제1 가맹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맹점과 상이한 제2 가맹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2 치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구매상품에 대한 제2 치수이고, 또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 이력이 없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2치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상기 제2 치수인,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예정 상품 및 상기 기구매상품은 의류 카테고리를 가지고,
    상기 구매예정 상품과 상기 기구매상품이 상이한 의류 카테고리를 갖는 경우,
    상기 기구매상품 중 상기 구매예정 상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를 갖는 기구매상품을 유사 구매상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치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 구매상품에 대한 복수의 치수를 상기 제2 치수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방법.
  14.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구매예정 상품에 대한 제1 치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구매상품에 대한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 받은, 제2 치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치수 및 제2 치수를 기초로, 비교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KR1020170152880A 2017-11-16 2017-11-16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KR20190055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80A KR20190055968A (ko) 2017-11-16 2017-11-16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80A KR20190055968A (ko) 2017-11-16 2017-11-16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68A true KR20190055968A (ko) 2019-05-24

Family

ID=6667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880A KR20190055968A (ko) 2017-11-16 2017-11-16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9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43B1 (ko) * 2020-04-14 2021-01-14 이상철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의류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5831B1 (ko) * 2022-01-07 2022-07-28 주식회사 이로스타일 사용자의 신발 제작을 위해 라스트 또는 신발의 수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43B1 (ko) * 2020-04-14 2021-01-14 이상철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의류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5831B1 (ko) * 2022-01-07 2022-07-28 주식회사 이로스타일 사용자의 신발 제작을 위해 라스트 또는 신발의 수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07092A (ko) *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이로스타일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신발 수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07093A (ko) *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이로스타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라스트 수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82522A1 (en) Real-time digital inventory systems and methods
KR102204924B1 (ko) 쇼핑 트립 플래너
JP6645150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
US201203034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Shopping List
US20160138962A1 (en) Weighing scale system
CN106415624A (zh) 基于自动定位发现扩展库存
US201303256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facing e-commerce platforms with brick and mortar presences
US20140149158A1 (en) Retail math optimization
KR20190055968A (ko) 사이즈 정보 제공 방법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장치
CN108460133B (zh) 利用移动终端进行导购的方法及导购装置
US20180260885A1 (en) System for Shopping Assistance
KR20160020654A (ko)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JP2007257142A (ja) 館内案内システム
KR20140015862A (ko) 지능형 카트 시스템
Grieder et al. The future of retail: How to make your bricks click
JP2019095897A (ja) 商品提供サーバ及び商品定期提供システム
US2017014807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ers with In-Store Product Information
KR10174182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1999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KR20090039234A (ko) 상품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상품검색 서버
KR102638947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브랜드 추천 시스템
US10846782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 carry item wish list
KR101682177B1 (ko) 상품 위치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전자정보라벨
KR201200312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의류 판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