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654A -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654A
KR20160020654A KR1020140105419A KR20140105419A KR20160020654A KR 20160020654 A KR20160020654 A KR 20160020654A KR 1020140105419 A KR1020140105419 A KR 1020140105419A KR 20140105419 A KR20140105419 A KR 20140105419A KR 20160020654 A KR20160020654 A KR 20160020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goods
category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10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654A/ko
Publication of KR2016002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로부터 제1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Goods Recommending System, Method and Readable Recoding Medium Using Purchas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된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구매는 오프라인 구매에 비하여 원하는 상품을 찾기가 수월하며, 한번에 다양한 상품들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점점 그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하여 위와 같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또는 사용자들의 구매는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보다는 연관된 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무용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기 보다는 사무용품에 속하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상품을 구매하는 일이 잦다. 이때, 판매자는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가지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소비자는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소비자는 동일한 종류의 복수의 상품들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판매자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고취시키고 연쇄적인 구매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로부터 제1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으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제1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여행 상품의 출발 시기, 상기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방법은,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하,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으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제1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여행 상품의 출발 시기, 상기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상품 추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는,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저장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구매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핵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100)은, 구매 정보 수신부(110), 상품 정보 저장부(120),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 및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관심을 갖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거나,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특정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 및/또는 상기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이용하며, 상기 구매자 이외의 복수의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상품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구매자'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구매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상품 구매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는, 복수의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구매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품명,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는,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를 거쳐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복수의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라 판매된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이렇게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데, 여기서 카테고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의 카테고리(category)를 의미하며, 하위 상품으로 분류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상위 상품으로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5개의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 하나의 상품의 하위 개념에 속하는 2개의 상품이 있을 수 있으며, 나머지 2개의 상품은 어떠한 상품의 하위 또는 상위 개념에 속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과 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을 구분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 및 하위 카테고리로 복수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기준은, 판매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여러 횟수에 걸쳐 이루어진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 내역을 기초로 하여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100)에 의하여 추천된 상품이 판매되기 위해서는, 카테고리 분류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되도록 많은 구매자의 구매 내역을 바탕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는,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로부터 제1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상·하위 카테고리로 구매하여 상품 정보를 저장하므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는 사용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는,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로부터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로부터 전달된 상품 구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140)는,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며, 검색 결과 상기 제2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저장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앞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 정보 수신은,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를 거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를 거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1차적으로 사용자의 구매 정보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자가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구매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100)은, 다양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다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추천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품 및 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상품이 여행 상품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제1 상품과 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n 사용자의 구매 정보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각 사용자의 구매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제1 상품과 두 개의 제2 상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 특히 휴양지에 대한 여행 상품인 것으로 한다.
제1 사용자는 상기 여행 상품을 구매하고, 선글라스와 수영복을 구매하였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선글라스와 수영복을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으로 분류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상기 여행 상품을 구해마고, 수영복과 카메라를 구매하였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수영복과 카메라를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으로 분류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n 사용자는 상기 여행 상품을 구매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선크림을 구매하였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비디오 카메라와 선크림을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으로 분류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행 상품은 제1 상품, 그리고 선글라스, 수영복,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및 선크림 등은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n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상품 이외의 복수의 상품을 더 구매하였을 수 있으며, 상기 이외의 복수의 상품은 상기 제1 상품(도 3에서는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구매한 복수의 상품들 중에서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1 상품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을 분류하여 그룹 형식으로 저장하되, 나머지 상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분류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품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한 명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복수의 제1 상품 및 복수의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상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품 정보 검색부(130)는,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제1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 구매 시점은 개별 상품마다 모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상품을 제1 상품으로 선정하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제2 상품을 분류하더라도, 상기 제2 상품이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여행 상품이 제1 상품인 경우에는, 상품에 대한 결제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여행 출발 시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양지로의 여행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여행을 다녀온 이후에 구매한 상품은 여행과 관련된 구매가 아닐 수 있다.
여행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여행 출발 전에 여행과 관련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므로, 여행 상품을 제1 상품으로 하는 제2 상품을 분류하는 경우에는, 그 구매 시점을 고려하는 것이 보다 신뢰도 높은 상품을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a)는,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으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4는, 특정 사용자의 구매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상품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여행 상품을 구매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며, 상기 여행 상품은 도 3에 예로든 휴양지에 대한 여행 상품인 것으로 한다.
상기 여행 상품은 제1 상품에 해당하며,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a)는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로부터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여행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구매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a)는, 상기 제1 상품(도 4에서는 여행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으로 선글라스, 수영복 및 카메라를 검색 결과로 제공한다.
이는 상기 여행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이, 상기 여행 상품과 함께 선글라스, 수영복 및/또는 카메라를 구매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여행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상기 상품 추천 시스템(100)이 추천하는 제2 상품으로부터 상기 여행 상품과 관련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b)는, 상기 제1 상품이 여행 상품인 경우, 상기 여행 상품의 출발 시기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동일한 여행지에 대한 여행 상품인 경우에도, 그 출발 시기는 모두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여행하는 시기가 속하는 계절이나 해당 여행지의 기후를 고려하지 않은 상품 추천은 무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에 사용할 수 있는 여행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는, 여름에 적합한 옷, 신발 또는 악세사리를 추천하고, 겨울에 출발하는 여행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는 보다 두꺼운 옷이나, 추운 날씨에 적합한 신발을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되는 제2 상품은 각각 여름과 겨울에 적합한 추천 상품의 예를 나타내며, 상기 제2 상품은 해당 여행지의 기후를 고려하여 검색될 수 있다.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여행 시기를 고려하여 제1 상품에 대한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성별 및/또는 연령을 고려하여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동일한 상품을 제1 상품으로 하더라도, 남자와 여자, 또는 20대와 30대가 구매하는 관련된 상품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성별 및/또는 연령을 함께 고려하여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보다 적합한 상품 추천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특정한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거나, 특정한 상품을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추천 시스템(100)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판매하는 주체가 운용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서버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추천 시스템(100)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앞서 설명한 구매 정보 수신부(110), 상품 정보 저장부(120),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130) 및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140)가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PC 웹 또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관련된 상품을 검색하고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이 상기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추천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구매 정보 수신부, 상품 정보 저장부,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 및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이 제공하는 기능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데스크 탑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 PDA, 노트북 등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갖추고 있는 휴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판매하는 주체가 배포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저장 공간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판매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특정한 상품을 검색하거나 선택 또는 구매하면, 상기 상품 추천 시스템(100)은,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와 위와 같은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상기 상품 추천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방법은, 상품 구매 정보 및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 단계(S110),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20)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품 정보 저장부(12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추천 방법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방법은,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이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추천하되, 상기 관련된 상품은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사용자의 연령 및/또는 성별을 고려하여 제2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이 여행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을 검색하는데 있어서, 여행의 출발 시기를 고려할 수 있으며, 동일한 여행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여행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여행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제2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제1 상품이 여행 상품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상품은 반드시 여행 상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상품이 컴퓨터인 경우에는, 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은,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책상 등 컴퓨터 주변 기기 및/또는 관련된 가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은, 단순히 관련이 있는 상품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품 추천 시스템 110: 구매 정보 수신부
120a, 120b: 상품 정보 저장부 130: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
140: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

Claims (15)

  1.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부;
    상기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
    상기 구매 정보 수신부로부터 제1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인 상품 추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으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제1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여행 상품의 출발 시기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방법.
  8. 상품 구매 정보와 카테고리 별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저장부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제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 및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의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관련 상품 정보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추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은 여행 상품인 상품 추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그룹(group)화 하여 저장하는 상품 추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으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내역 중에서 상기 제1 상품의 결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의 사용 시점까지의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여행 상품의 출발 시기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상품 추천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05419A 2014-08-13 2014-08-13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20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19A KR20160020654A (ko) 2014-08-13 2014-08-13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19A KR20160020654A (ko) 2014-08-13 2014-08-13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765A Division KR101694943B1 (ko) 2016-03-23 2016-03-23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54A true KR20160020654A (ko) 2016-02-24

Family

ID=5544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419A KR20160020654A (ko) 2014-08-13 2014-08-13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6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8094A (zh) * 2017-12-04 2018-06-22 北京辰森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套餐自动提醒方法及系统、点餐设备
KR20190140701A (ko) * 2018-06-12 2019-12-20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카테고리 군집 기반 장바구니 상품 추천 방법
KR102441293B1 (ko) * 2021-09-02 2022-09-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67422B1 (ko) * 2021-05-31 2022-11-16 정승관 구매자 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8094A (zh) * 2017-12-04 2018-06-22 北京辰森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套餐自动提醒方法及系统、点餐设备
KR20190140701A (ko) * 2018-06-12 2019-12-20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카테고리 군집 기반 장바구니 상품 추천 방법
KR102467422B1 (ko) * 2021-05-31 2022-11-16 정승관 구매자 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KR102441293B1 (ko) * 2021-09-02 2022-09-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033220A1 (ko) * 2021-09-02 2023-03-09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nartz et al.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the retailing value chain
US20190220916A1 (en) Next Generation Improvements In Recommendation Systems
US20110218855A1 (en) Offering Promotions Based on Query Analysis
US7979321B2 (en) Merchandising items of topical interest
US8160936B2 (en) Patriotic American shopping network
US20090157479A1 (en) Selection and Shopping System Founded on Mobile Architecture
US201403040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live coupons
Ratchford Some directions for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US10592925B2 (en) Merchant management system for adaptive pricing
US20130191377A1 (en) Set based item recommendation system
JP5260785B1 (ja) 属性情報最適化装置、属性情報最適化プログラム及び属性情報の最適化方法、並びにレコメンド対象選択装置、レコメンド対象選択プログラム及びレコメンド対象の選択方法
JP2019504406A (ja) 販売促進用表示のための商品選択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20654A (ko)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2017735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Voldnes et al. E-commerce of seafood–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Mnyakin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AR, AI, and Website Optimization on Ecommerce Sales Growth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KR101966009B1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KR101694943B1 (ko)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Nagaraja et al. Consumer buying decision process in Indian organized retail industry-Characterization of male and female respondents
CN105243557A (zh) 自助式挑选蔬果的方法及系统
US20150317719A1 (en) Determining customer intent in an online retail environment
KR101637986B1 (ko) 최적 상품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8387A (ko) 모바일 마켓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시스템
Yu et al. Time-bound product returns and optimal order quantities for mass merchandi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