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17A -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17A
KR20140013617A KR1020120081416A KR20120081416A KR20140013617A KR 20140013617 A KR20140013617 A KR 20140013617A KR 1020120081416 A KR1020120081416 A KR 1020120081416A KR 20120081416 A KR20120081416 A KR 20120081416A KR 20140013617 A KR20140013617 A KR 2014001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ement
vehicle
coupling 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617A/ko
Publication of KR2014001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가 설치되는 장착홀부와, 어퍼암이 설치되는 연결홀부와 복수 개의 결합홀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결합홀부에 압입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링과, 연결홀부 또는 결합홀부를 감싸도록 본체에 설치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BRACKET FOR FRONT SUSPEN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류 현가장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여 현가장치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컨트롤 암으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업소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기타 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차륜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차량용 현가장치는, 스프링과 쇽업소버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에 인슐레이터를 연결하여 차체를 지지하도록 한다.
쇽업소버의 하측에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가 연결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휠 캐리어의 하측 부분을 차체 또는 프레임과 연결하는 어퍼암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1878호(1999년 5월 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전륜 현가장치에 설치되는 브래킷은 스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가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어렵고, 스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현가장치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여 현가장치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쇽업소버가 설치되는 장착홀부와, 어퍼암이 설치되는 연결홀부와 복수 개의 결합홀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결합홀부에 압입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링; 및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에는 상기 삽입링이 압입되도록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압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본체의 단부를 감싸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강부 및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강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강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보강부의 상기 상측 단부 및 상기 하측 단부가 압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는 제2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보강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본체의 측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은, 스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브래킷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은,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는 연결홀부에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링과 보강부가 설치되므로 브래킷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얻을 수 있어 브래킷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의 브래킷과 보강부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의 브래킷과 보강부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의 브래킷과 보강부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의 브래킷과 보강부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50, 70, 80)은, 쇽업소버(12)가 설치되는 장착홀부(52)와, 어퍼암(30)이 설치되는 연결홀부(54)와 복수 개의 결합홀부(56)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50)와,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에 압입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링(70)과,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를 감싸도록 본체(50)에 설치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부(80)를 포함한다.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는, 차체가 지지되는 브래킷(50, 70, 80)과, 브래킷(50, 70, 80)의 장착홀부(52)에 설치되고 어퍼암(30)에 지지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소버(12)와, 쇽업소버(12)에 설치되고 브래킷(50, 70, 80)에 지지되는 탄성부재(14)와, 브래킷(50, 70, 80)의 연결홀부(5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휠에 연결되는 어퍼암(30)을 포함한다.
차체가 유동될 때에 쇽업소버(12) 및 탄성부재(14)의 완충작동에 의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고, 어퍼암(30)에 의해 휠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50, 70, 80)은 본체(50)가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가장치의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에 설치되는 삽입링(70)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에 설치되는 어퍼암(30) 및 현가부재의 유동에 의해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의 테두리에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부(80)가 설치되므로 어퍼암(30) 및 현가부재의 유동에 의해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에는 삽입링(70)이 압입되도록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로부터 돌출되는 제1압입돌기(56a)가 형성된다.
연결홀부(54)와 결합홀부(56)의 내벽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압입돌기(56a)가 형성되므로 연결홀부(54)와 결합홀부(56)로 삽입되는 삽입링(70)이 제1압입돌기(56a)를 가압하여 변형시키면서 연결홀부(54)와 결합홀부(56) 내측으로 압입된다.
보강부(80)는 본체(50)의 단부를 감싸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강부(80)의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는 본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굴곡된다.
보강부(80)는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강부(80)의 상측 단부(82)와 하측 단부(84)는 보강부(80)의 중앙부 측으로 굴곡되어 본체(50)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의 외측 테두리를 보강부(80)가 감싸게 되므로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의 강도가 향상된다.
보강부(80) 및 본체(50)에는 보강부(80)가 본체(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가 어느 정도 변형되어도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로부터 보강부(80)가 이탈되지 않고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탈방지부(90)는, 보강부(8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92)와, 걸림돌기(92)가 삽입되도록 본체(5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94)와, 보강부(80)의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가 압입되도록 본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는 제2압입돌기(96)를 포함한다.
보강부(80)의 중앙부에는 보강부(8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걸림돌기(92)가 형성되고, 본체(50)의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의 외측 테두리에는 걸림돌기(92)가 삽입되는 걸림홈부(94)가 형성된다.
보강부(80)를 연결홀부(54) 또는 결합홀부(56)에 밀착시키면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 사이로 본체(50)가 압입되고, 걸림돌기(92)가 걸림홈부(94) 내부로 삽입되면서 보강부(8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걸림돌기(92)는 보강부(80)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걸림홈부(94)는 본체(50)의 측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강부(80)를 본체(50)에 결합할 때에 걸림돌기(92)는 걸림홈부(94) 내벽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걸림돌기(92)가 걸림홈부(94) 내부로 삽입이 완료되면 보강부(80)의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가 본체(50)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된다.
보강부(80)가 본체(5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은 걸림돌기(92) 및 걸림홈부(94)에 의해 방지되고, 보강부(80)가 본체(5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은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보강부(80)는 걸림돌기(92), 걸림홈부(94), 상측 단부(82) 및 하측 단부(84)에 의해 본체(5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 주행 중에 평탄하지 않은 길을 지나게 되면, 휠이 유동되므로 쇽업소버(12) 및 탄성부재(14)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상쇄되며, 이때, 어퍼암(30)은 연결홀부(5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휠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때에 어퍼암(30)이 회전됨과 동시에 쇽업소버(12)의 길이가 가변되고, 탄성부재(14)가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면 진동을 상쇄시키게 된다.
이때, 본체(5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현가부재의 무게가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삽입링(70) 및 보강부(8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어퍼암(30) 및 현가부재의 유동에 의해 연결홀부(54) 및 결합홀부(5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여 현가장치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브래킷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쇽업소버 14 : 탄성부재
30 : 어퍼암 50 : 본체
52 : 장착홀부 54 : 연결홀부
56 : 결합홀부 56a : 제1압입돌기
70 : 삽입링 80 : 보강부
82 : 상측 단부 84 : 하측 단부
90 : 이탈방지부 92 : 걸림돌기
94 : 걸림홈부 96 : 제2압입돌기

Claims (6)

  1. 쇽업소버가 설치되는 장착홀부와, 어퍼암이 설치되는 연결홀부와 복수 개의 결합홀부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결합홀부에 압입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링; 및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에는 상기 삽입링이 압입되도록 상기 연결홀부 또는 상기 결합홀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압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본체의 단부를 감싸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및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강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강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보강부의 상기 상측 단부 및 상기 하측 단부가 압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되는 제2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보강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본체의 측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KR1020120081416A 2012-07-25 2012-07-25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KR20140013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6A KR20140013617A (ko) 2012-07-25 2012-07-25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6A KR20140013617A (ko) 2012-07-25 2012-07-25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17A true KR20140013617A (ko) 2014-02-05

Family

ID=5026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16A KR20140013617A (ko) 2012-07-25 2012-07-25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02A1 (ko) * 2014-10-28 2016-05-06 주식회사 포스코 어퍼암 및 쇽업소버 장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02A1 (ko) * 2014-10-28 2016-05-06 주식회사 포스코 어퍼암 및 쇽업소버 장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US10315699B2 (en) 2014-10-28 2019-06-11 Posco Upper arm and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frame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694638B2 (en) Spring rubber seat and strut-type suspension
KR20110063179A (ko) 서스펜션 암
JP2016164009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40013617A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KR1024746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20170077958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장치
KR20160050435A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20160049694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US10549595B2 (en) Strut assembly for vehicle
KR1026141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US10703154B2 (en) Control arm for wheel suspension
JP654671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6546715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1786538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80167B1 (ko) 너클 브라켓
KR101858978B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01724457B1 (ko)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JP649734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