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561A -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561A
KR20140013561A KR1020120081084A KR20120081084A KR20140013561A KR 20140013561 A KR20140013561 A KR 20140013561A KR 1020120081084 A KR1020120081084 A KR 1020120081084A KR 20120081084 A KR20120081084 A KR 20120081084A KR 20140013561 A KR20140013561 A KR 2014001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die
pipe
di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970B1 (ko
Inventor
주승용
이상식
이만실
Original Assignee
주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용 filed Critical 주승용
Priority to KR102012008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9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상,하부플레이트(100,16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소재(P)의 일측이 삽입되어 절단되는 커팅다이(130)와; 상기 커팅다이(1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팅레일(110)과; 상기 커팅레일(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재(P)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펀치코어(166)와; 상기 펀치코어(166)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에 의해 소재(P)가 절단되면 일정한 높이로 소재(P)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200)을 포함하는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파이프형 박판을 펀치다이에 장착하고 커팅다이를 다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함으로써, 버(burr) 발생에 의한 재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작업공정를 감소시켜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된 소재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용접부위의 시작부와 끝단부를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거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는 소재의 절단길이를 입력하여 자동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다량의 소재를 단시간에 절단할 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Pipe Type Sheet Metal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형 박판 소재를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커팅다이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되는 가스켓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샤링(shearing) 또는 타발로 절단하고 양끝단을 서로 용접하여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소재는 용접부를 가공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용접의 시작부위와 마감부위에 노치가 발생하여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품의 용접부위의 노치를 방지하기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양끝단을 서로 용접하고, 용접부위를 가공한 후 파이프형의 박판을 제품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용접의 시작부위와 마감부위는 폐기하여 나머지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제품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파이프형 박판 소재를 커팅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휠톱을 이용하는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면 절단부위에 버(burr)가 발생하게 되어 재가공이 이루어져야하며, 정확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필요한 소재의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한국공개특허 10-2009-0102003 참조)
또한, 수작업으로 다수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정한 높이의 원형링 형상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형 박판 소재를 펀치다이에 장착하고, 커팅다이의 내부에 소재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커팅다이를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소재를 절단하는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되며 소재(P)의 일측이 삽입되어 절단되는 커팅다이와, 상기 커팅다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다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팅레일과, 상기 커팅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재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펀치코어와, 상기 펀치코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다이에 의해 소재가 절단되면 일정한 높이로 소재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펀치코어의 외측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한 가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누름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펀치코어에 끼워진 소재(P)의 외측을 가압한다.
상기 커팅다이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절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레일은, 상기 커팅다이의 전,후,좌,우를 감싸며 내면에는 상기 절단돌기와 대응되는 굴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전,후,좌,우커팅레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은, 소재(P)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봉와,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판과,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한다.
상기 굴곡부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외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전,후,좌,우커팅레일에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형 박판을 펀치다이에 장착하고 커팅다이를 다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함으로써, 버(burr) 발생에 의한 재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작업공정를 감소시켜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된 소재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용접부위의 시작부와 끝단부를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거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는 소재의 절단길이를 입력하여 자동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다량의 소재를 단시간에 절단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는 파이프형 박판 소재의 형상을 나태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이동에 따라 커팅다이와 누름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팅다이와 커팅레일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팅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커팅다이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는 파이프형 박판 소재의 형상을 나태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박판 소재(P)의 양끝단을 용접하여 파이프형 박판 소재(P)를 형성한다. 파이프형 박판 소재(P)의 용접부위는 그라인딩 등의 가공을 통해 용접부위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 한다. 상기 파이프형 박판 소재(P)는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도 1의 (b)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이동에 따라 커팅다이와 누름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팅다이와 커팅레일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팅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커팅다이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상,하부플레이트(100,16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소재(P)의 일측이 삽입되어 절단되는 커팅다이(130)와, 상기 커팅다이(1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팅레일(110)과, 상기 커팅레일(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재(P)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펀치코어(166)와, 상기 펀치코어(166)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에 의해 소재(P)가 절단되면 일정한 높이로 소재(P)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상단플레이트(102)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플레이트(102)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기 상단플레이트(102)의 상부에는 상판(104)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104)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에 생크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은, 사각형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 커팅레일(110)이 설치된다.
상기 커팅레일(110)은,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은 직사각형의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의 전,후,좌,우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단(1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20)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커팅다이(130)의 절단돌기(132)와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20)은 상기 절단돌기(13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팅다이(130)가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의 내주면에는 굴곡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122)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4)와, 외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24)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4)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팅다이(13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커팅다이(130)의 절단돌기(132)가 접촉되어 상기 돌출부(124)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커팅다이(130)가 이동된다.
상기 돌출부(124)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함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6)는, 상기 커팅레일(110)의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1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6)는 커팅다이(13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커팅다이(130)의 절단돌기(132)가 접촉되어 상기 함몰부(126)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커팅다이(130)가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커팅레일(116)에 돌출부(124)가 형성되며, 우커팅레일(11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함몰부(126)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돌기(1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팅다이(1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좌커팅레일(116)의 돌출부(124) 상부에는 함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6)와 대응되는 상기 우커팅레일(118)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좌커팅레일(116)의 함몰부(126)에 절단돌기(132)가 이동되고, 우커팅레일(118)의 돌출부(124)를 따라 절단돌기(132)가 이동되어 커팅다이(13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커팅레일(116,118)의 상기 굴곡부(122)에 의해 내측에 구비되는 커팅다이(130)가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좌,우커팅레일(116,118)의 전,후방에는 전,후커팅레일(112,114)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커팅레일(112,114)의 내주면에는 굴곡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전커팅레일(112)의 굴곡부(122)는 상기 우커팅레일(118)의 굴곡부(122) 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전커팅레일(112)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24)가 형성되면, 후커팅레일(114)의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전커팅레일(112)의 돌출부(124)와 후커팅레일(114)의 함몰부(126)를 따라 절단돌기(132)가 이동되어 상기 커팅다이(130)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커팅레일(112)의 돌출부(124)의 상부에는 함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6)와 대응되는 상기 후커팅레일(114)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전커팅레일(112)의 함몰부(126)에 절단돌기(132)가 이동되고, 후커팅레일(114)의 돌출부(124)를 따라 절단돌기(132)가 이동되어 커팅다이(13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커팅레일(112,114)의 상기 굴곡부(122)에 의해 내측에 구비되는 커팅다이(130)가 전,후로 이동된다.
즉, 상기 커팅레일(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122)에 의해 커팅다이(130)가 우→좌→후→전측 방향의 순서로 이동되어 절단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레일(110)의 내주면에는 커팅다이(130)가 설치된다. 상기 커팅다이(13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절단돌기(132)가 형성된다.
상기 절단돌기(132)는 상기 커팅레일(110)의 상기 굴곡부(122)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커팅다이(13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다이(130)의 하부에는 결합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34)은 상기 커팅다이(130)의 하부면에 원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3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팅날(136)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홈(134)의 내부에는 커팅날(136)이 결합된다. 상기 커팅날(136)은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팅날(136)의 내주면에 소재(P)가 삽입되어 상기 커팅다이(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팅날(136)의 내주면 모서리부에 의해 소재(P)가 절단된다.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는 탄성수단(14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수단(140)는 지지바(142)와 탄성부재(14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상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142)는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하로 습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바(142)는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142)는 상기 커팅다이(13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142)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4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44)는 스프링 등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커팅다이(130)을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력으로 눌러준다.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1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에 설치된 커팅다이(1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플레이트(160)에 밀착된다. 상기 커팅다이(130)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에 밀착되면 상기 탄성부재(144)에 의해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 작용하는 탄성력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커팅다이(13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팅날(13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격된 위치에 등간격으로 누름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15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팅날(13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15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하향이동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수단(170)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재(P)의 외주면이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150)의 하부면에는 제 1 누름돌기(152)와 제 2 누름돌기(15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누름돌기(152)는 상기 누름부재(150)의 하부면 내측방향에 하부로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누름돌기(152)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제 1 상부경사면(15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누름돌기(152)의 상기 제 1 상부경사면(154)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수단(170)의 제 1 하부경사면(178)과 접촉되어 상기 가압수단(170)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준다.
상기 누름부재(150)의 하부면 외측방향에는 제 2 누름돌기(15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누름돌기(154)는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누름돌기(154) 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제 2 상부경사면(15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누름돌기(154)의 상기 제 2 상부경사면(156)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수단(170)의 제 2 하부경사면(184)과 접촉되어 상기 가압수단(170)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밀어준다.
상기 제 1 누름돌기(152)와 상기 제 2 누름돌기(154) 사이에는 제 1 안착홈(15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안착홈(158)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되게 이루어지며,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안착홈(158)에는 제 3 누름돌기(182)가 결합되어 진다.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16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60)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6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62)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할 펀치코어(166)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의 상기 관통홀(162)의 외측에는 이동홀(164)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홀(164)은 사각형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재(150)가 하향이동하면, 상기 이동홀(164)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수단(170)과 밀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홀(162)의 중앙부에는 펀치코어(166)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코어(166)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소재(P)가 감싸도록 삽입되어 소재(P)의 절단시 내측을 지지한다.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주면에는 이송홈(168)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홈(168)은 상기 펀치코어(16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120°간격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홈(168)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봉(202)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측에는 가압수단(170)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단(170)은 상기 펀치코어(16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120°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단(170)은, 소재(P)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가압블럭(172)과, 상기 가압블럭(17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블럭(172)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176)과, 상기 이동블럭(176)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블럭(176)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블럭(186) 등으로 구성된다.
도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블럭(172)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이동되어 소재(P)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블럭(172)의 우측면에는,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가압면(174)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면(174)은 상기 가압블럭(17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소재(P)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소재(P)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블럭(172)의 좌측면에는 이동블럭(176)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럭(176)은 "┛" 형상의 육면체으로 이루어져, 상기 누름부재(150)와 접촉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압블럭(172)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블럭(176)의 상부면 좌측 모서리부에는 제 1 하부경사면(17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하부경사면(178)은 상기 누름부재(150)가 하향 이동하면 상기 누름부재(150)의 제 1 상부경사면(154)과 밀착되어 상기 이동블럭(176)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하부경사면(178)의 좌측에는 제 2 안착홈(18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안착홈(18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되게 이루어지며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안착홈(180)에는 상기 제 1 누름돌기(152)가 삽입되어 진다.
상기 제 2 안착홈(180)의 좌측에는 제 3 누름돌기(182)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누름돌기(182)는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며, 좌측 모서리부에 제 2 하부경사면(184)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누름돌기(182)는 상기 제 1 안착홈(158)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럭(176)이 내측방향으로 완전이 밀착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하부경사면(184)은 상기 제 2 상부경사면(156)과 밀착되며, 상기 이동블럭(176)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누름돌기(154)를 상기 이동블럭(176)의 좌측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이동블럭(176)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블럭(186)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은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럭(176)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의 전,후면 양측에는 측면가이드블럭(188)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블럭(188)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의 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블럭(188)은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의 내측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측면가이드블럭(188)의 좌측면에는 후방지지블럭(19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지지블럭(190)은 "[" 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의 좌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후방지지블럭(190)의 좌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볼트(19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192)는 선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지블럭(186)의 좌측면에 형성된 나사홀(미도시)과 결합된다. 상기 고정볼트(192)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94)이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재(150)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된 가압수단(170)을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주면을 원호방향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가압수단(170)은, 상기 누름부재(150)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소재(P)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상기 누름부재(150)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고정볼트(192)의 스프링(194)에 의해 상기 가압수단(170)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소재(P)의 가압을 해제한다.
상기 가압수단(170)의 하부에는 하단플레이트(196)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196)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196)의 하부에는 승강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200)은, 소재(P)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봉(202)와, 상기 지지봉(20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202)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판(204)과,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승강판(20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승강판(20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바(21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202)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펀치코어(166)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202)은 다수개가 소재(P)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202)은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판(204)의 상,하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소재(P)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봉(202)의 하부에는 승강판(204)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204)은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202)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승강판(204)의 좌측부에는 승강홀(206)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홀(206)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홀(20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바(212)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204)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판(204)의 우측부에는 승강가이드바(208)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20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하단플레이트(196)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판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208)는 상기 승강판(204)의 우측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2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208)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바(212)에 의해 상기 승강판(204)이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승강판(20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홀(206)에는 회전바(212)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바(21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바(212)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강판(204)을 상,하로 이동이시킨다.
상기 회전바(212)의 상부에는 회전풀리(21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풀리(214)를 일반적인 풀리(Pulley)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풀리(214)는 아래에서 설명한 구동모터(220)와 연결되는 구동풀리(218)의 회전력을 동력전달벨트(216)에 의해 전달받아 상기 회전바(212)를 회전시킨다.
상기 하단플레이트(196)의 양측 하부에는 측면플레이트(222)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22)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플레이트(196)의 양측면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22)의 하부에는 하판(224)이 설치된다. 상기 하판(224)은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측면플레이트(2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파이프형 박판 소재(P)를 펀치코어(166)의 외주면에 삽입한다. 소재(P)가 삽입되면 내주면에는 펀치코어(166)가 위치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봉(202)이 소재(P)의 하부를 지지한다. 소재(P)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소재(P)의 절단높이를 입력한다.
소재(P)의 절단높이에 맞게 커팅날(136)을 커팅다이(130)에 장착한다. 상기 커팅날(136)의 장착이 완료되면 파이프형 절단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파이프형 절단장치가 작동되면 상부에 위치된 상부플레이트(100)가 하향 이동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에 결합된 누름부재(150)가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누름부재(150)가 하부로 이동되면 가압수단(170)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면(174)이 소재(P)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수단(170)이 소재(P)를 가압하는 동시에 하부플레이트(16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안착된 소재(P)의 상부로 커팅다이(130)가 밀착된다. 상기 커팅다이(130)가 소재(P)의 상부로 밀착되면, 상기 커팅다이(130)의 커팅날(136)의 내부로 소재(P)가 삽입된다. 상기 커팅날(136)의 내부에 소재가 삽입된다.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 설치된 탄성수단(140)의 탄성력 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면 상기 커팅다이(130)의 절단돌기(132)는 커팅레일(110)의 굴곡부(12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커팅다이(130)가 상기 커팅레일(110)의 굴곡부(12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커팅다이(130)는 우→좌→후→전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소재(P)는 상기 커팅다이(130)의 커팅날(136)의 내주면 테두리부에 의해 좌→우→전→후측 방향으로 절단된다.
소재(P)의 커팅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는 상향 이동되고, 상기 가압수단(170)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누름부재(150)도 상부로 이동되어 소재(P)의 외주면 가압 해제한다.
즉, 상기 가압수단(170)의 소재(P)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커팅다이(130)가 우→좌→후→전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절단작업이 수행될 때 소재(P)를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소재(P)가 움직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상향 이동으로 상기 커팅다이(130)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와 떨어지면 상기 커팅다이(130)의 상부면에 설치된 탄성수단(14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팅다이(130)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상향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에 입력된 소재(P)의 절단높이에 따라 구동모터(220)가 회전시켜 상기 회전바(212)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바(212)의 회전에 따라 승강판(204)이 제어부에 입력된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승강판(204)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봉(202)이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봉(202)이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봉(202)의 상부에 안착되 소재(P)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60)의 상부 방향으로 절단될 높이 만큼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상부플레이트 110. 커팅레일
120. 걸림단 130. 커팅다이
140. 탄성수단 150. 누름부재
160. 하부플레이트 166. 펀치코어
170. 가압수단 200. 승강수단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상,하부플레이트(100,16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소재(P)의 일측이 삽입되어 절단되는 커팅다이(130)와;
    상기 커팅다이(1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팅레일(110)과;
    상기 커팅레일(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재(P)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펀치코어(166)와;
    상기 펀치코어(166)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팅다이(130)에 의해 소재(P)가 절단되면 일정한 높이로 소재(P)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200)을 포함하는 파이프형 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150)가 구비되며;
    상기 펀치코어(166)의 외측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한 가압수단(170)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170)은 상기 누름부재(150)와 간섭되어 상기 펀치코어(166)에 끼워진 소재(P)의 외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절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다이(13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절단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레일(110)은, 상기 커팅다이(130)의 전,후,좌,우를 감싸며, 내면에는 상기 절단돌기(132)와 대응되는 굴곡부(122)가 각각 형성되는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절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200)은,
    소재(P)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봉(202)와;
    상기 지지봉(20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202)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판(204)와;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승강판(20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승강판(20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바(212);를 포함하는 파이프형 절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22)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4)와, 외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26)를 포함하며;
    전,후,좌,우커팅레일(112,114,116,118)에 각각 높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절단장치.




KR1020120081084A 2012-07-25 2012-07-25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KR101384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84A KR101384970B1 (ko) 2012-07-25 2012-07-25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84A KR101384970B1 (ko) 2012-07-25 2012-07-25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61A true KR20140013561A (ko) 2014-02-05
KR101384970B1 KR101384970B1 (ko) 2014-04-14

Family

ID=5026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84A KR101384970B1 (ko) 2012-07-25 2012-07-25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360A (zh) * 2017-11-22 2019-05-28 洛阳凯众减震科技有限公司 微孔聚氨酯密封环的加工方法及用于该方法的工装夹具
CN112536466A (zh) * 2019-09-20 2021-03-23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冲料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5892A (zh) * 2015-05-14 2015-08-05 东莞市亿鑫丰精密机械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极片用切割方法及其模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960Y1 (ko) * 1980-08-19 1981-11-09 박세웅 사면(四面)절삭 가공기
KR0140769Y1 (ko) * 1996-02-02 1999-04-01 류광수 파이프 절단용 프레스 금형
WO2006029588A1 (de) * 2004-09-18 2006-03-2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Pressverform-werk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durch pressverformung
KR100990969B1 (ko) * 2010-04-23 2010-11-01 주식회사 효성 모터용 코어 제조를 위한 금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360A (zh) * 2017-11-22 2019-05-28 洛阳凯众减震科技有限公司 微孔聚氨酯密封环的加工方法及用于该方法的工装夹具
CN112536466A (zh) * 2019-09-20 2021-03-23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冲料头结构
CN112536466B (zh) * 2019-09-20 2024-03-19 苏州汉扬精密电子有限公司 冲料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970B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2665B (zh) 一种具有连续供给功能的汽车挡泥板加工装置
KR101877525B1 (ko) 금형 내 제품 조립장치
CN106826288B (zh) 一种用于装夹方形工件的装置
KR101384970B1 (ko)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CN219131114U (zh) 金属板材开槽用刀架装置以及金属板材开槽与激光切割机
CN110899454A (zh) 一种弯折型钢质压线框自动成型机
US9266163B2 (en) Punching sheet metal
KR101384974B1 (ko) 파이프형 박판 절단방법
KR20180052248A (ko) 절단장치
JPWO2014103561A1 (ja) レーザ加工機の面押しツールおよびその面押し方法
CN210358846U (zh) 一种自动精密冲压模具
JP5652869B2 (ja) 剪断加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剪断加工方法
CN201735667U (zh) 工件缺口冲压装置
KR100959232B1 (ko) 핵연료 저장대의 슬롯 가공방법
JP2014018958A (ja) 自動切断装置
CN214683832U (zh) 一种角钢冲压磨具
CN101890451A (zh) 工件缺口冲压装置
CN104588457A (zh) 一种便于拆卸的折弯机上模组件
KR101100734B1 (ko) 스프링 너트 장착용 홈 가공장치
KR200494199Y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204711771U (zh) 一种新型加工机床
JP2014226687A (ja) レーザ・パンチ複合機
CN113210733A (zh) 一种紧凑型带锯条激光开齿装置
CN213080219U (zh) 一种自动切割型钢装置
CN215355635U (zh) 全自动双头冲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