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248A -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248A
KR20180052248A KR1020160149342A KR20160149342A KR20180052248A KR 20180052248 A KR20180052248 A KR 20180052248A KR 1020160149342 A KR1020160149342 A KR 1020160149342A KR 20160149342 A KR20160149342 A KR 20160149342A KR 20180052248 A KR20180052248 A KR 2018005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lade
work clamp
shock absor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751B1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Priority to KR102016014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5/1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3/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profil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8Press-pads; Counter-bases; Hold-dow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는 슬라이더 아래방향 부분에 배치되는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형 블레이드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봉재를 절단하는 상형 블레이드,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형 블레이드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압쇼바, 봉재를 수용하는 하형 인서트 가이드, 하형 인서트 가이드를 감싸는 하형 블레이드 홀더,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봉재를 지지하는 하형 블레이드,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소재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형 블레이드와 유압쇼바는 슬라이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단장치{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봉재를 일정 길이만큼 자르고 마지막에 남은 잔재를 고정하여 절단함으로써 봉재의 잔재를 최소화하고 절단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재인 봉재는 부품 단위 별로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봉재를 자르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한 방법으로 프레스식 절단 방법이 있다.
프레스식 절단 방법은 일반적으로 봉재가 고정날과 이동날에 의해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시 봉재가 움직이게 되면 절단과정에서 봉재가 구부러지거나 변형 등이 생기게 되고, 일정 길이가 절단되고 봉재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는 절단에 의해 봉재에 변형 등이 생기고,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며, 잔재를 버려 소모되는 소재가 많아지게 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동력부에 의해 구동이 단순하면서도 설치가 간단한 봉재를 고정하는 구성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봉재를 고정하는 구성요소가 있게 되면, 봉재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절단면의 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버려지는 잔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봉재를 고정시켜주는 구성요소는 별도의 동력부에 의해 작동하는 것보다 절단날을 작동시키는 동력부에 의해 함께 구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봉재를 고정시킬 때 많은 힘이 작용하지 않게 하여 봉재에 변형이 생기거나 마모나 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04112호(공개일자 2013년01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봉재를 일정 길이만큼 자르고 마지막에 남은 봉재를 잡아서 절단함으로써 봉재의 잔재를 최소화하고 봉재의 단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는 슬라이더 아래방향 부분에 배치되는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형 블레이드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봉재를 절단하는 상형 블레이드,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형 블레이드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압쇼바, 봉재를 수용하는 하형 인서트 가이드, 하형 인서트 가이드를 감싸는 하형 블레이드 홀더,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봉재를 지지하는 하형 블레이드,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소재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형 블레이드와 유압쇼바는 슬라이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유압쇼바와 상형 블레이드가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동력부가 필요하지 않아 절단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압쇼바는 하향 이동하여 소재 클램프를 가압하고, 봉재가 절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소재 클램프가 절단 전에 봉재를 눌러 고정함으로써 봉재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불량으로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마지막에 남은 잔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압쇼바는 소재 클램프에 접촉하면, 유압쇼바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유압쇼바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유압쇼바가 소재 클램프에 힘을 가할 때 유압쇼바 안으로 적어도 일 부분을 들어가게 함으로써 소재 클램프에 전달되는 힘을 일정부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T자 형상의 하단부는 봉재를 고정하기 위한 반원 형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의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의 하단부를 반원 형상으로 하여 봉재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T자 형상의 양단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의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의 양단 하부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스프링이 소재 클램프를 균형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재 클램프는 스프링에 의해 봉재가 인입되도록 하형 블레이드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소재 클램프가 스프링에 의해 하형 블레이드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봉재가 일정 간격으로 절단된 후 다음 봉재가 인입될 때 인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형 블레이드와 유압쇼바는 슬라이더에 의해 동시에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유압쇼바가 슬라이더에 의해 상형 블레이드와 함께 하향으로 이동하므로 별도의 동력부가 필요하지 않아 절단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재 클램프는 L1 > L2 일 때, L2 부위를 파지한다. 여기서, L0는 봉재길이, L1은 절단길이, L2는 잔재길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는 마지막에 남은 잔재를 가압하여 절단함으로써 봉재의 잔재를 최소화하고 절단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절단장치는, 소재 클램프가 봉재를 일정 길이만큼 자르고 마지막에 남은 봉재를 잡아서 절단함으로써 불량으로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봉재의 잔재를 최소화하고, 봉재의 단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압쇼바가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슬라이더에 의해 상형 블레이드와 함께 하향으로 이동하므로 별도의 동력부가 필요하지 않아 절단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압쇼바가 하나인 절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절단장치가 긴 봉재를 절단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절단장치가 짧은 봉재를 절단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재 클램프가 봉재의 잔재를 파지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절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절단장치는 슬라이더(120),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 상형 블레이드 홀더(20), 상형 블레이드(30), 하형 인서트 가이드(60), 하형 블레이드 홀더(70), 하형 블레이드(80), 유압쇼바(완충장치)(40), 소재 클램프(50),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20)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유압쇼바(40)와 상형 블레이드(30)를 구동시키는 동력부에 해당한다.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은 슬라이더(120)와 상형 블레이드 홀더(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압쇼바(40)의 상부면이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에 의해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의 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더(120)도 함께 아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은 유압쇼바(40)와 볼트 체결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형 블레이드 홀더(20)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 아래에 배치되고, 상형 블레이드(30)를 포함한다. 상형 블레이드(30)와 상형 블레이드 홀더(20)는 볼트 체결방법으로 결합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형 블레이드 홀더(20)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 아래에 설치되므로 슬라이더(120)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형 블레이드 홀더(2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형 블레이드(30)는 봉재(10)를 절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상형 블레이드(30)는 상형 블레이드 홀더(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형 블레이드 홀더(20) 상에 설치된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과 결합되어 있는 유압쇼바(4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봉재(10)를 절단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유압쇼바(40)가 하향 이동하여 소재 클램프(50)를 누르고,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를 눌러 봉재(10)를 고정하며, 하향 이동하는 상형 블레이드(30)와 고정된 하형 블레이드(80)에 의해 봉재(10)가 절단될 수 있다.
하형 인서트 가이드(60)는 안착공간을 구비하여 봉재(10)를 수용하는 장소이며, 봉재(10)가 인입되어 절단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가이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내형은 봉재(10)의 형상에 맞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외형도 원통형일 수 있다. 다만,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외형이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측면 하부에 하형 블레이드(80)가 배치되고,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측면 상부에 소재 클램프(50)가 배치될 수 있다. 하형 인서트 가이드(60)로 봉재(10)가 들어와 하형 블레이드(80) 위에 봉재(10)가 안착되고,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를 눌러 고정시키고, 이어 상부 블레이드가 내려와 봉재(10)가 절단될 수 있다.
하형 블레이드 홀더(70)는 하형 인서트 가이드(60)를 감싸 하영 인서트 가이드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의 내형은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형상에 맞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의 외형도 원통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의 측면 하부에 하형 블레이드(80)가 배치되고,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의 측면 상부에 소재 클램프(50)가 배치될 수 있다.
하형 블레이드(80)는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와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하형 인서트 가이드(60)로 인입되는 봉재(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형 블레이드(80)는 고정될 수 있으며, 하형 블레이드(80)의 날부는 반원형상일 수 있다. 하형 블레이드(80)의 날부를 반원형상으로 하여 봉재(10)를 쉽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시 봉재(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절단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유압쇼바(40)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형 블레이드(30)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압쇼바(40)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15)뿐만 아니라 상형 블레이드 홀더(20)의 일면과도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형 블레이드 홀더(20)의 일면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유압쇼바(40)는 상형 블레이드(30)와 슬라이더(120)에 의해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유압쇼바(40)가 상형 블레이드(3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슬라이더(120)에 의해 상형 블레이드(30)와 함께 하향으로 이동하므로 별도의 동력부가 필요하지 않아 절단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동력부를 이용하되, 유압쇼바(40)와 상형 블레이드(30)가 동시가 아니라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압쇼바가 하나인 절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압쇼바(40)는 하나만 배치 될 수도 있고, 병렬로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유압쇼바(40)를 하나만 배치할 경우에는 봉재 전체를 고른 힘으로 누를 수 있도록 소재 클램프(50)의 상부 중앙부분을 접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압쇼바(40)를 병렬로 2개 이상 배치할 경우 봉재(10) 전체를 고른 힘으로 누를 수 있고, 봉재(1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유압쇼바(40)는 하향 이동하여 소재 클램프(50)를 누르고,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를 눌러 봉재(10)를 고정하며, 하향 이동하는 상형 블레이드(30)와 고정된 하형 블레이드(80)에 의해 봉재(10)가 절단될 수 있다.
유압쇼바(40)는 유압쇼바(40)가 하향 이동할 때 소재 클램프(50)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를 눌렀을 경우, 유압쇼바(4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유압쇼바(4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압쇼바(40)는 완충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에 힘을 가할 때 유압쇼바(40) 내측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들어가게 함으로써 소재 클램프(50)에 전달되는 힘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소재 클램프(50)에 보다 작은 힘이 전달되고 봉재(10)를 흠집이나 변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유압쇼바(40)의 일 부분이 유압쇼바(40) 안으로 소정 간격 인입될 수 있으므로 인입되는 부분의 둘레는 유압쇼바(40)의 다른 부분의 둘레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압쇼바(40)가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런 다양한 형상 및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소재 클램프(50)는 하형 블레이드 홀더(70)와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의 측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소재 클램프(50)는 상하형 블레이드(30, 80)가 봉재(10)를 자르기 전에 봉재(10)를 일정 힘으로 눌러 봉재(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압쇼바(40)가 하향 이동하여 소재 클램프(50)를 누르고,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를 눌러 봉재(10)를 고정하며, 유압쇼바(40)와 함께 하향 이동하는 상형 블레이드(30)와 고정된 하형 블레이드(80)에 의해 봉재(10)가 절단될 수 있다. 소재 클램프(50)가 절단 전에 봉재(10)를 눌러 고정함으로써 봉재(10)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불량으로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마지막에 남은 잔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재 클램프(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T자 형상의 하단부는 봉재(10)를 고정하기 위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T자 형상의 양단 하부에 소재 클램프(50)를 지지하는 스프링(140)을 배치할 수 있다. 소재 클램프(50)의 형상을 T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의 상부 면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T자 형상의 양단에 스프링(140)을 배치하여 소재 클램프(50)를 균형 있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단부를 반원 형상으로 하여 봉재(10)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재 클램프(50)의 형상이 T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자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소재 클램프(50)는 봉재(10)가 절단 되기 전에 T자 형상의 양단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40)에 의해 봉재(10)가 하형 블레이드(80) 상부로 쉽게 인입되도록 하형 블레이드(8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소재 클램프(50)가 스프링(140)에 의해 하형 블레이드(8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봉재(10)가 일정 간격으로 절단된 후 다음 봉재(10)가 인입될 때 인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절단장치가 긴 봉재(10)를 절단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절단장치가 짧은 봉재(10)를 절단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를 누르면,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를 눌러 고정하고, 그 후 상형 블레이드(30)와 하형 블레이드(80)가 봉재(10)를 절단하고, 절단 후 유압쇼바(40)와 상형 블레이드(30)가 위로 상승하는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재 클램프(50)가 봉재(10)의 잔재를 파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봉재(10)가 긴 경우,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를 일정 힘으로 누르면, 소재 클램프(50)의 하부와 하형 블레이드(80)의 날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재(1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상형 블레이드(30)에 의해 봉재(10)가 절단되면, 절단면의 정밀도가 향상된 봉재(10)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봉재(10)가 긴 경우에는 유압쇼바(40)가 소재 클램프(50)를 일정 힘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봉재(10)가 하형 인서트 가이드(60)에 의해 감싸지므로 봉재(10)의 절단면의 정밀도가 낮아지는 경우는 없을 수 있다.
다만, 도 6을 참조하면, 긴 봉재(10)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고 마지막 짧은 봉재(10)가 남았을 경우에는 소재 클램프(50)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봉재(10)를 하형 인서트 가이드(60)가 깜싼다 할지라도 봉재(10)가 짧기 때문에 소재 클램프(50)와 같이 봉재(10)를 미리 잡아주는 구성이 없다면 상형 블레이드(30)가 봉재(1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발력이 생겨 봉재(10)가 튀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런 경우에 봉재(10)를 절단하게 되면 봉재(10)가 휘어지거나 변형 등이 생겨 양질의 봉재 단편(1010)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남은 봉재(10)를 소재 클램프(50)가 일정 힘을 가하여 잡아주면 봉재(10)가 하형 블레이드(80)와의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상형 블레이드(30)에 의해 절단되더라도 절단면이 매끄럽게 되고 양질의 봉재 단편(101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버려지는 봉재(1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긴 봉재(10)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고 마지막 짧은 봉재(10)가 남았을 경우, 즉 봉재의 잔재(L2)가 절단되는 봉재(L1)보다 짧은 경우에 소재 클램프는 L2 부위를 파지하게 되고, 상형 블레이드(30)와 하형 블레이드(80)에 의해 봉재(10)가 절단되더라도 소재 클램프(50)가 가압하여 봉재(10)를 고정시킴으로써 봉재(10)가 튀거나 변형 등이 생기지 않고 안전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봉재 15 : 상부 몰드 본체 상판
20 : 상형 블레이드 홀더 30: 상형 블레이드
40 : 유압쇼바(완충장치) 50 : 소재 클램프
60 : 하형 인서트 가이드 70 : 하형 블레이드 홀더
80: 하형 블레이드 90 : 하형 인서트 홀더
100 : 다이스 고정 클램프 110 : 하형 블레이드 시트판
120 : 슬라이더 130 : 봉재 투입구
140 : 스프링 1010 : 봉재 단편

Claims (8)

  1. 슬라이더 아래방향 부분에 배치되는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기 상형 블레이드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봉재를 절단하는 상형 블레이드;
    상기 상형 블레이드 홀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몰드 본체 상판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형 블레이드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압쇼바;
    봉재를 수용하는 하형 인서트 가이드;
    상기 하형 인서트 가이드를 감싸는 하형 블레이드 홀더;
    상기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봉재를 지지하는 하형 블레이드;
    상기 하형 블레이드 홀더의 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소재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상형 블레이드와 상기 유압쇼바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쇼바는 하향 이동하여 상기 소재 클램프를 가압하고, 상기 봉재가 절단되는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쇼바는 상기 소재 클램프에 접촉하면, 상기 유압쇼바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유압쇼바 내측으로 인입되는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T자 형상의 하단부는 봉재를 고정하기 위한 반원 형상인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클램프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T자 형상의 양단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클램프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봉재가 인입되도록 하형 블레이드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 블레이드와 상기 유압쇼바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는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클램프는 L1 > L2 일 때, L2 부위를 파지하고, 여기서, L0는 봉재길이, L1은 절단길이, L2는 잔재길이인, 절단장치.
KR1020160149342A 2016-11-10 2016-11-10 절단장치 KR10187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42A KR101877751B1 (ko) 2016-11-10 2016-11-10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42A KR101877751B1 (ko) 2016-11-10 2016-11-10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48A true KR20180052248A (ko) 2018-05-18
KR101877751B1 KR101877751B1 (ko) 2018-08-07

Family

ID=6245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342A KR101877751B1 (ko) 2016-11-10 2016-11-10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837A (zh) * 2018-07-06 2018-11-23 江苏英杰铝业有限公司 一种散热器铝型材生产专用剪切机的剪切工装
KR20200061568A (ko) * 2018-11-26 2020-06-03 조주현 슬라이드 원형 가이드식 환봉 절단 장치
CN111570887A (zh) * 2020-05-12 2020-08-25 海盐县法兰厂 用于平焊法兰加工的高精度快速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0217B (zh) * 2020-03-09 2021-01-15 绍兴文理学院 一种切割设备的切割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112A (ko) 2011-07-01 2013-01-09 가부시키가이샤 망요 절단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112A (ko) 2011-07-01 2013-01-09 가부시키가이샤 망요 절단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837A (zh) * 2018-07-06 2018-11-23 江苏英杰铝业有限公司 一种散热器铝型材生产专用剪切机的剪切工装
KR20200061568A (ko) * 2018-11-26 2020-06-03 조주현 슬라이드 원형 가이드식 환봉 절단 장치
CN111570887A (zh) * 2020-05-12 2020-08-25 海盐县法兰厂 用于平焊法兰加工的高精度快速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51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751B1 (ko) 절단장치
JP5801950B2 (ja) 無フランジ絞り加工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774227B1 (en) Wire positioning device
KR20110067032A (ko) 스루홀을 구비한 몰드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US3590674A (en) Restrained shearing method of bar material
MA43220B1 (fr) Méthode de découpe
KR101516212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노치홈 성형장치
JP2012166222A (ja) プレス装置
KR101845727B1 (ko) 롤러 밴딩장치
KR20170001556A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방법
KR20140013561A (ko) 파이프형 박판 절단장치
CN110153570B (zh) 一种钣金激光切割机
KR101453394B1 (ko) 회전자 코일 절단 및 연마용 치공구
JP2011079012A (ja) 切断装置
KR101875310B1 (ko) 태핑 장치
KR101435127B1 (ko) 스프링 제조용 절단날 완충장치
JP2007118045A (ja) 薄板金属の絞り及び打ち抜きの同一工程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5266838B2 (ja) プレス成形品の分離装置
CN210576985U (zh) 新型剥皮分线整形机
JP6322436B2 (ja) 高硬度ワークの切断方法及びワーク固定治具
CN213613615U (zh) 用于前防撞梁支架落料的冲压模具
KR20140000550U (ko) 벤딩 지그
KR101305827B1 (ko) 단조 가공용 금형 고정장치
JP7050984B2 (ja) ワーク端縁の残留応力低減方法
KR200471143Y1 (ko) 범용 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