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895A - 스크린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895A
KR20140012895A KR1020130085963A KR20130085963A KR20140012895A KR 20140012895 A KR20140012895 A KR 20140012895A KR 1020130085963 A KR1020130085963 A KR 1020130085963A KR 20130085963 A KR20130085963 A KR 20130085963A KR 20140012895 A KR20140012895 A KR 2014001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unit
screen mask
mask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620B1 (ko
Inventor
코이치 스미오카
미츠하루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81Machines for printing on polyhedr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3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squee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 B41F35/005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for flat 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50Screen printing machines for particular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39Blade or squeegee, e.g. for screen printing or filling of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85Applying solder paste, slurry or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미리 설정된 마스크 장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마스크(1)와,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스크린 마스크(1)의 상방에 배치되고, Y축 방향(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린 마스크(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스퀴지(91)와, 스크린 마스크(1)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스퀴지(91)에 부착된 도포재료를 회수하는 수용구(120)를 구비하고 있는 스크린 인쇄 장치.

Description

스크린 인쇄 장치{SCREEN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배선판(Printed Wiring Board:PWB)이나 프린트 회로판(Printed Circuit Board:PCB) 등의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전처리로서 상기 기판에 크림 땜납이나 도전성 페이스트 등의 도포재료를 스크린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8-105294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 장치는 인쇄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마스크와, 스퀴지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린 마스크는 소정의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다. 인쇄 공정에서는 스퀴지는 스크린 마스크 상에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스크린 마스크에 공급된 도포재료는 스퀴지에 의해 롤링되고, 인쇄 패턴을 통해 기판에 도포된다. 스크린 마스크의 인쇄 패턴은 기판마다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 대상이 되는 기판이 변경되면 스크린 마스크도 변경된다. 종래는 특허문헌 1에 명기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의 변경에 따라 스퀴지의 교환도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는 상기 스퀴지의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이어도 스퀴지의 착탈이 필요했다. 즉, 사용 직후의 스퀴지에는 도포재료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퀴지에 부착된 도포재료가 마스크 장착 영역내에 적하되기 쉽게 되어 있다. 한편, 마스크 장착 영역에는 기판 반송 기구나, 기판 지지 기구가 임하고 있다. 이들 기구에 도포재료가 적하되면 기판이 더럽혀지거나, 기구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는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이 필요한 공정에서는 반드시 스퀴지를 사전에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때문에, 준비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 스퀴지의 범용성을 살릴 수도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준비 작업을 경감하고, 스퀴지의 범용성을 살릴 수 있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판에 도포재료를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마스크 장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상방에 배치되는 스퀴지로서, 미리 설정된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스퀴지와,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구로서, 상기 스퀴지에 부착된 도포재료를 회수하는 상기 수용구(具)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를 착탈할 때에 스퀴지로부터 적하될 수 있는 도포재료를 수용구내에 회수하면서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시에 스퀴지에 부착된 도포재료가 뜻하지 않게 마스크 장착 영역내에 적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포재료의 회수는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스퀴지의 도포재료를 수용구에 회수하면서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스퀴지를 장착시킨 채, 스크린 마스크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의 착탈 작업이 비약적으로 간소화되어 준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퀴지의 범용성을 유효하게 살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수용구를 분리함으로써 회수 후의 도포재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도 향상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를 부착하는 부착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구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 프레임은 상기 수용구를 록킹하는 자석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석에 의해 수용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구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에서 작업자가 삽발(揷拔)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타단측으로 스퀴지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는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에서 스크린 마스크를 삽발할 수 있다. 스크린의 교환시에 있어서 스퀴지는 이 작업자와 반대측, 즉, 스퀴지 이동 방향의 타단측으로 퇴피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스퀴지로부터 가장 멀어진 곳에서 스크린 마스크의 삽발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퀴지를 신경쓰지 않고 간단히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은 스퀴지가 왕복할 때의 왕동 방향 하류측(복동 방향 상류측)이어도 좋고, 왕동 방향 상류측(복동 방향 하류측)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를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 유닛과, 상기 승강 유닛을 통해 상기 스퀴지를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주행 유닛과,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에 상기 스퀴지가 상기 수용구의 상방에 면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 및 상기 주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스퀴지를 수용구의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도포재료의 적하를 회피하면서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에서 스크린 마스크를 삽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 마스크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구가 스퀴지 이동 방향의 타단측으로 스퀴지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스퀴지를 전혀 의식하지 않고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인쇄 동작 종료 후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내의 인쇄 영역 밖에서 스퀴지가 슬라이딩하고, 그 후, 스퀴지가 상기 수용구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 및 상기 주행 유닛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를 수용구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기에 앞서 스크린 마스크내의 인쇄 영역 외에 잉여의 도포재료를 벗겨낼 수 있다. 따라서, 스퀴지의 이동 중에 도포재료가 적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에 따라서 어택 각도가 변경되는 단일의 판재이며, 상기 스퀴지의 어택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에 상기 스퀴지가 수직 내지 수직 부근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각도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에 상기 스퀴지가 수용구의 상방으로 퇴피했을 때, 스퀴지로부터 도포재료가 적하되기 쉬워져 회수가 촉진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경우의 왕동시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왕동용 스퀴지와, 복동시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동용 스퀴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왕동용 스퀴지와 상기 복동용 스퀴지의 쌍방에 대해서 면할 수 있는 제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소위 더블 스퀴지 타입의 인쇄 헤드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 스퀴지로부터의 도포재료의 적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1회용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구를 교환함으로써 회수된 도포재료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수용구나 도포재료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퀴지를 장착시킨 채, 스크린 마스크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의 착탈 작업이 비약적으로 간소화되고, 준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스퀴지의 범용성을 유효하게 살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보다나은 특징, 목적,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첨부 도면과 아울러 읽어야 할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크린 마스크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동 스크린 인쇄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6의 A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의 강하시에 있어서의 주행 유닛, 승강 유닛, 공급 유닛, 및 인쇄 헤드의 조립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의 B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의 상승시에 있어서의 주행 유닛, 승강 유닛, 공급 유닛, 및 인쇄 헤드의 조립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9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 부분 개략도이다.
도 10의 A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수용구에 의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수용구에 의한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카메라 유닛에 의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카메라 유닛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카메라 유닛에 설치된 스크래핑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15는 동 제2실시형태의 스크린 인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17은 동 제3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18은 동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크린 마스크(1)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평면 개략도이다. 가공 대상이 되는 프린트 기판(W)은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좌우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때의 기판(W)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전후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스크린 마스크(1)는 네모서리부의 프레임(2)과, 프레임(2)에 장설된 마스크 시트(3)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시트(3)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인쇄 영역(3a)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영역(3a)은 인쇄 대상이 되는 프린트 기판(W)에 적합한 직사각형의 영역이다. 인쇄 영역(3a) 내에는 대응하는 프린트 기판(W)에 적합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은 세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쇄 영역(3a)에 크림 땜납이나, 도전 페이스트 등의 도포재료가 공급되고, 상기 도포재료가 압인되면 도포재료는 패턴을 투과해서 프린트 기판(W)에 전사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쇄 영역(3a)의 전방측 영역을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이라고 호칭하고, 인쇄 영역(3a)의 후방측의 영역을 인쇄 외측 후방 영역(3c)이라고 호칭한다.
스크린 마스크(1)는 스크린 인쇄 장치(10)에 대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기대(11)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11)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의 구조체이다. 기대(11)의 네모서리에는 다리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기대(11)는 또한, 기대(11)의 좌우에는 전후의 다리부(11a,11a)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빔(11b)과, 하측 빔(11b)의 상방에서 전후의 다리부(11a,11a)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빔(11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하측 빔(11b)과 상측 빔(11c) 사이에는 프린트 기판(W)을 X축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다.
기대(11)의 상측 빔(11c)에는 스크린 마스크(1)를 지지하는 마스크 지지 기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지지 기구(12)는 각 상측 빔(11c,1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측 빔(11c,11c)의 내측에 연설되는 마스크 수용판(12a)과, 마스크 수용판(12a)의 상부(기대(11)의 네모서리부)에 설치된 클램프 유닛(12b)을 구비하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마스크 수용판(12a)은 X축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같은 높이로 Y축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마스크 수용판(12a)은 각각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의 하면을 수용하기 위한 부재이다. 마스크 수용판(12a)의 후단부에는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을 위치 결정하는 도시가 생략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지지 기구(12)의 클램프 유닛(12b)은 상측 빔(11c)에 고정된 스테이(12c)와, 이 스테이(12c)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12d)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12c)는 기대(11)의 네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각 스테이(12c)는 대응하는 마스크 수용판(12a)에 대해서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마스크 수용판(12a)과 스테이(12c) 사이에는 스크린 마스크(1)를 전후로 삽발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1)를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스토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스크린 마스크(1)는 기대(11)에 의해 획정된 마스크 장착 영역(도 2의 스크린 마스크(1)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 장착된다. 각 스테이(12c)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12d)는 각각 로드를 하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12d)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어되는 외에 도시가 생략된 조작 패널로부터 조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실린더(12d)는 상기 제어 또는 조작에 의해 로드를 신장시키는 클램프 상태와 로드를 신장시키는 클램프 해제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들 마스크 수용판(12a)이나, 클램프 유닛(12b)은 상기 마스크 지지 기구(12)를 구성한다. 이 마스크 지지 기구(12)에 의해 스크린 마스크(1)는 마스크 장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X축 방향에 있어서 기대(11)의 양측에는 도시가 생략된 기판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기판 반송 컨베이어는 한쪽이 기대(11) 내에 프린트 기판(W)을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다른쪽이 기대(11)로부터 프린트 기판(W)을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를 구성한다. 기대(11) 내에는 인쇄 스테이지(20)가 설치된다. 인쇄 스테이지(20)는 반입 컨베이어로부터 기판(W)을 수용하고, 미리 설정된 순서로 기판(W)을 마스크 시트(3)의 하면에 리프트한다. 또한, 인쇄 공정이 종료된 후, 기판(W)을 마스크 시트(3)의 하면으로부터 내려 반출 컨베이어로 옮긴다.
도 4를 참조해서 인쇄 스테이지(20)는 4축 유닛(21)과, 4축 유닛(21)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4축 유닛(21)은 이동 방향이 다른 복수의 테이블 기구를 계층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들 테이블 기구의 조합에 의해 4축 유닛(21)은 반입 컨베이어에 의해 반입된 프린트 기판(W)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X축, Y축, Z축 및 R축(Z축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4축 유닛(21)의 각 테이블 기구는 모터류를 구비하고 있다. 각테이블 기구의 모터류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4축 유닛(21)은 도 4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 유닛(26)에 대해서 지지하고 있는 프린트 기판(W)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제공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판 지지 유닛(22)은 프린트 기판(W)의 하면을 수용하는 복수의 지지핀(23)과, 지지핀(23)에 지지된 프린트 기판(W)을 클램핑하는 클램프 유닛(24)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핀(23)은 4축 유닛(21)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 유닛(24)은 4축 유닛(21)에 고정되는 고정부(24a)와, 고정부(24a)에 대해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24a)와 가동부(24b)에는 그 상단부와 쌍으로 되어 프린트 기판(W)을 X축 방향을 따라 반입 반출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가동부(24b)는 프린트 기판(W)의 Y축 방향 치수에 대응해서 위치 조정된다. 반입 컨베이어로부터 클램프 유닛(24)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프린트 기판(W)이 반입되면 기판 지지 유닛(22)의 각 지지핀(23)이 돌출되어 프린트 기판(W)을 그 하측(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함과 아울러 클램프 유닛(24)에 의해 프린트 기판(W)을 Y축 방향으로부터 클램핑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 기판(W)이 기판 지지 유닛(22)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4축 유닛(21)의 승강 기능에 의해 기판 지지 유닛(22)에 담지된 프린트 기판(W)은 마스크 지지 기구(12)의 양 마스크 수용판(12a,12a) 사이에 프린트 기판(W)을 상승시키고, 스크린 마스크(1)의 마스크 시트(3)의 하면에 프린트 기판(W)을 겹쳐서 설치하는 중장위치와, 중장위치보다 하측으로 강하해서 기판 반입 컨베이어 또는 기판 반출 컨베이어에 프린트 기판(W)을 제공하는 반출입위치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쇄 스테이지(20)에는 도시가 생략된 마스크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카메라는 촬상 유닛의 일례이다. 마스크 카메라는 후술하는 마스크 지지 기구에 지지된 스크린 마스크(1) 하면의 복수의 피듀셜 마크(도시 생략)를 촬상한다. 마스크 카메라에 촬상된 화상은 스크린 마스크(1)의 위치나 종류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어 유닛(100)에 의해 처리된다. 마스크 카메라는 인쇄 스테이지(20) 상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 스테이지(20)의 4축 유닛(21)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마스크 카메라는 X방향, Y방향으로 이간된 복수의 피듀셜 마크 등을 촬상하고, 이들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인쇄 스테이지(20)의 새로운 구성,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일본 특허 출원 2009-27310호(일본 특허 공개 2010-17962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도 1∼도 2, 도 11을 참조해서 기대(11)의 후단부분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13)이 설치되어 있다. 빔(13)은 기대(11)의 상측 빔(11c)의 후단 상부에 횡가되어 있다. 빔(13)의 측부에는 한쌍의 레일(14)이 상하로 나란히 고정되어 있다. 레일(14)에는 카메라 유닛(26)의 슬라이더(26a)(도 4 참조)가 연결되어 있다. 또, 빔(13)에는 볼나가 기구(28)가 설치되어 있다. 볼나가 기구(28)는 레일(14,14) 사이에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나사(28d)와, 볼나사(28a)를 구동하는 모터(28b)와, 볼나사(28a)에 나사결합하는 너트(28c)(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28c)는 카메라 유닛(26)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 유닛(26)은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6)은 기판 카메라(27)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 카메라(27)는 프린트 기판(W)의 복수의 피듀셜 마크 등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유닛이다. 또한, 인쇄 스테이지(20)의 4축 유닛(21)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기판 카메라(27)는 X방향, Y방향으로 이간된 복수의 피듀셜 마크 등을 촬상하고, 이들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도 5를 참조해서 카메라 유닛(26)의 전방에는 주행 유닛(30)이 배치되어 있다. 주행 유닛(30)은 도포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40)과, 공급된 도포재료를 마스크 시트(3) 상에서 롤링하고, 패턴내에 압입하는 인쇄 헤드(60)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유닛(30)을 장착하기 위해 기대(11)의 좌우 상측 빔(11c) 상에는 각각 Y축 프레임(11e)이 기립설치되어 있다. Y축 프레임(11e)은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체이다. 각 Y축 프레임(11e)의 상부에는 각각 레일(11f)이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레일(11f) 상에는 주행 유닛(30)의 슬라이더(31)가 각각 2개 1세트로 되어 부착되어 있다.
주행 유닛(30)의 각 슬라이더(31)는 미리 설정된 스트로크 범위내에 있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31)는 하우징(32)을 담지하고 있다. 하우징(32)은 좌우에 각각 설치된 지주체(35)와, 지주체(35,35) 사이를 X축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빔(36)을 일체로 구비한 구조체이다. 지주체(35)는 대응하는 슬라이더(31)에 고정되는 풋부(35a)와, 풋부(35a)로부터 기립설치되는 레그부(35b)를 각각 일체로 갖고 있다.
기판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의 지주체(35)에는 볼나사 기구(37)가 연결되어 있다. 볼나사 기구(37)는 기판 반송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의 Y축 프레임(11e)에 대해서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볼나사(37a)와, 볼나사(37a)를 구동하는 모터(37b)와, 볼나사(37a)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더(37c)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37b)는 쌍방향으로 볼나사(37a)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더(37c)는 상기 풋부(35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모터(37b)가 작동하면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더(37c)는 전후로 이동한다. 이 이동 방향의 힘이 지주체(35)의 풋부(35a)로부터 레그부(35b)를 통해 하우징(32)에 전달되고, 하우징(32)은 레일(11f)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하우징(32)의 각 레그부(35b,35b) 사이에는 보강판(35c)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35c)은 각 지주체(35)의 측부와 빔(36)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32)을 보강하고 있다. 보강판(35c)의 앞면에는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8)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8)에는 슬라이더(39)를 통해 공급 유닛(40)이 지지되어 있다. 이 공급 유닛(40)은 하우징(32)에 장착되어 있는 도시가 생략된 볼나사 기구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도 5를 참조해서 공급 유닛(40)은 유닛 프레임(41)과, 유닛 프레임(41)의 정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토출 어댑터(42)와, 토출 어댑터(42)에 장착되는 용기(43)와, 용기(43)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44)을 구비하고 있다.
유닛 프레임(41)은 가이드 레일(38)의 슬라이더(39)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 유닛(40)은 전체적으로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토출 어댑터(42)는 상향으로 배치되는 환상의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내에는 도포재료의 유로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의 하류단에는 셔터(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45)의 개방시에 용기(43)로부터 방출된 도포재료는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용기(43)는 토출 어댑터(42)의 피스톤에 적합한 바닥이 있는 실린더이다. 용기(43)는 납품시에 도포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이 용기(43)의 개구에 토출 어댑터(42)의 피스톤을 삽입시킴으로써 용기(43)는 토출 어댑터(42)와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피스톤의 외주에는 O링이 설치되어 있다. O링은 용기(43)와 토출 어댑터(42)의 피스톤의 상대변위를 허용하면서 양자간의 액밀성을 확보한다. 또한, 용기(43)가 토출 어댑터(42)에 연결됨으로써 용기(43)의 도포재료는 토출 어댑터(42)로부터 공급된다. 용기(43)와 토출 어댑터(42)의 연결체는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정면측으로부터 유닛 프레임(41)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유닛(44)은 볼나사 기구나 이 볼나사 기구로 상하로 구동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가압 부재에 의해 용기(43)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용기(43)의 도포재료를 토출 어댑터(42)에 공급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급 유닛(40)의 보다나은 구성,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일본 특허 출원 2009-27310호(일본 특허 공개 2010-l7962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주행 유닛(30)에는 승강 유닛(50)을 통해 인쇄 헤드(60)가 부착되어 있다. 인쇄 헤드(60)는 공급 유닛(4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60)는 주행 유닛(30)에 의해 하우징(32)과 함께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이동할 때를 임시로 왕동으로 하고, 반대를 복동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유닛(30)이 왕복하는 방향이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례이다.
도 6A, 도 6B 및 도 7을 참조해서 인쇄 헤드(60)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61)을 갖고 있다. 메인 프레임(61)은 주행 유닛(30)의 하우징(32)에 설치된 도시가 생략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Z축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있다. 또한, 승강 유닛(50)은 메인 프레임(61)을 통해 인쇄 헤드(6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볼나사 기구(51)를 구비하고 있다. 볼나사 기구(51)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Z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나사(51a)와, 볼나사(51a)를 구동하는 모터 유닛(51b)과, 볼나사(51a)에 나사결합하는 너트(51c)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51c)는 메인 프레임(61)에 부착되어 있다. 볼나사(51a)의 꼭대기부에는 입력용 풀리(51d)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유닛(51b)은 풀리(51d)에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도시가 생략된 타이밍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헤드(60)는 메인 프레임(61)을 통해 승강 유닛(5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된다. 이 결과, 인쇄 헤드(60)는 승강 유닛(50)에 의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1)의 마스크 시트(3) 상에 스퀴지(91)를 접촉시키는 강하위치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1)의 상방으로 부양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인쇄 헤드(6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쇄 헤드(60)의 메인 프레임(61)의 하측에는 슬라이드 지주(62)를 통해 지지판(63)이 Z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판(63)과 메인 프레임(61) 사이에는 로드셀 등의 압력 센서(64)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63)의 하부(하면)에는 한쌍의 베어링(65)이 설치되어 있다. 각 베어링(65)은 Y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베어링(65)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축(6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지지축(66)에는 서브 프레임(67)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브 프레임(67)은 Y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67)에는 유닛 장착부(70)과, 이 유닛 장착부(7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80)가 탑재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해서 유닛 장착부(70)는 장착판(71)과, 장착판(71)의 길이방향 도중 부분에 돌설된 한쌍의 연결 돌기(72)와, 각 연결 돌기(72)에 고정되는 제2지지축(73)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판(71)은 X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이다. 연결 돌기(72)는 서브 프레임(67)을 사이에 두고 X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2지지축(73)은 연결 돌기(72)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서브 프레임(6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닛 장착부(70)는 서브 프레임(67)에 대해서 X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기구(80)는 기어 박스(81)와, 서보 모터(82)를 포함하고 있다. 기어 박스(81)는 서브 프레임(67)의 일단측(도 7의 좌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81)의 일단측에는 한쌍의 연결 돌기(72)의 일단측이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축(73) 중 그 일단은 이 기어 박스(81)를 관통해서 일단측의 연결 돌기(72)에 고정되어 있다.
제2지지축(73) 중 기어 박스(81)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에는 전동 기어(도시 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전동 기어에는 기어 박스(81) 내에 지지된 아이들 기어(도시 생략)가 맞물려 있다. 서브 프레임(67)의 타단측(도 7의 우측)에는 구동원으로서의 서보 모터(82)가 고정되어 있다. 서보 모터(82)는 측면부분에 대향하고, X축 방향에 있어서 기어 박스(81)와 반대측 즉 타단측(도 7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서보 모터(82)의 출력 기어는 기어 박스(81) 내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서보 모터(82)가 작동하면 그 회전력이 각 기어를 통해 제2지지축(73)에 전달된다. 그 결과, 유닛 장착부(70)가 제2지지축(73) 둘레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서보 모터(82), 상기 각 기어 및 제2지지축(73) 등에 의해 유닛 장착부(70)의 상기 구동 기구(80)가 구성되어 있다.
유닛 장착부(70)에는 스퀴지 유닛(9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퀴지 유닛(90)은 스퀴지(91)와, 스퀴지(91)를 유지하는 스퀴지 홀더(92)를 구비하고 있다.
스퀴지(91)는 X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상 부재이다. 적당한 탄력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스퀴지(91)의 재질은 우레탄 고무,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분자재료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레탄 고무를 채용하고 있다). 스퀴지(91)의 한쪽 면은 땜납을 스크래핑하기 위한 평평한 작업면(91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퀴지(91)의 다른쪽 면은 스퀴지 홀더(92)에 고정되는 부착면으로 되어 있다.
스퀴지 홀더(92)는 스퀴지(91)와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부재이다. 스퀴지 홀더(92)에는 한쌍의 볼트(93)가 부착되어 있다. 볼트(93)는 스퀴지 홀더(92)를 유닛 장착부(70)에 겹쳤을 때에 유닛 장착부(70)의 장착판(71)에 형성되는 안내홈(71a)에 삽입통과된다. 각 볼트(93)에는 너트부재(94)가 나사결합한다. 너트부재(94)는 스퀴지 홀더(92)와의 사이에서 유닛 장착부(70)를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스퀴지 홀더(92)는 유닛 장착부(7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스퀴지 홀더(92)의 양측에는 횡누설 방지판(95)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횡누설 방지판(95)은 도시가 생략된 트위스트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스퀴지 홀더(92)와 상대적으로 꼬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횡누설 방지판(95)의 중심선은 스퀴지(91)의 작업면(91a)과 직교하는 위치가 되도록 스퀴지 홀더(92)에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인쇄 헤드(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61)이 승강 유닛(50)을 통해 주행 유닛(30)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쇄 헤드(60)의 스퀴지(91)는 스크린 마스크(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왕동 또는 복동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한다. 인쇄 헤드(60)가 왕동해서 인쇄할 경우를 「왕로인쇄」라고 하고, 반대를 「복로인쇄」라고 한다. 「왕로인쇄」에서는 스퀴지(91)를 왕동시키고,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에 체류되어 있는 페이스트 저류부(SP)를 인쇄 외측 후방 영역(3c)까지 이동시켜서 도포재료를 롤링하고, 인쇄 영역(3a)에 도포재료를 혼련해서 인쇄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복로인쇄」에서는 인쇄 외측 후방 영역(3c)으로부터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을 향하는 복로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는 Y축 방향으로 인쇄 헤드(60)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쇄 외측 후방 영역(3c)에 체류되어 있는 페이스트 저류부(SP)를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까지 이동시켜서 인쇄 동작을 실행한다.
구동 기구(80)의 서보 모터(82)는 스퀴지의 인쇄 동작시의 방향에 따라 소정량, 유닛 장착부(70)를 회동시키고, 스퀴지(91)의 어택 각도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왕동인쇄일 때는 왕동 방향 하류측에, 복동인쇄일 때는 복동 방향 하류측에 스퀴지(91)가 앞으로 넘어지는 자세로 유지된다. 이 결과, 스퀴지(91)는 미리 설정된 예각의 어택 각도로 조정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80)가 스퀴지의 어택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각 부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서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제어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다(도 4 참조). 이 제어 유닛(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그 밖의 전자기기로 구성되어 있고, 인쇄공정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논리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어 유닛(100)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인쇄 프로그램에 따라서 인쇄 장치 각 부를 제어해서 인쇄 처리를 반복해서 행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인쇄 스테이지(20)에 장착된 각종 모터나 에어실린더 등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해서 프린트 기판(W)의 반입 및 반출, 스크린 마스크(1)에 대한 프린트 기판(W)의 위치 결정 등을 행한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공급 유닛(40)을 제어해서 스크린 마스크(1)에의 도포재료를 공급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100)은 스퀴지(9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00)은 표시/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조작 유닛은 인쇄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이나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거나, 작업자가 제어 유닛(100)에 대해서 각종 데이터나 지령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하는 유닛이다. 또한, 각 부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스크린 인쇄 장치(10)에는 각종 센서류가 접속되어 있다. 각 센서류는 도시가 생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유닛(100)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인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동작에 있어서는 우선 준비 공정이 실행된다. 준비 공정에 있어서는 반입 컨베이어의 Y축 방향 간격, 인쇄 스테이지(20)의 고정부(24a)와 가동부(24b)의 Y축 방향 간격, 및 반출 컨베이어의 Y축 방향 간격이 프린트 기판(W)의 폭에 맞춰서 조정된다. 또한, 새로운 스크린 마스크(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세팅된 후에 클램프 유닛(12b)에 의해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이 기대(11)에 고정 배치된다. 또한, 소망의 스퀴지(91)가 장착된 스퀴지 홀더(92)가 유닛 장착부(70)에 장착된다. 또한, 스크린 마스크(1)의 표면에는 공급 유닛(40)으로부터 도포재료가 공급되어서 마스크 시트(3)의 표면 상에 X축을 따르는 도포재료의 페이스트 저류부(SP)가 형성된다.
준비 공정 후, 인쇄 공정이 실행된다. 인쇄 공정에 있어서는 제어 유닛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인쇄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고, 왕로인쇄와 복로인쇄를 교대로 스위칭하여 실행한다.
이 인쇄 처리 후에 인쇄 스테이지(20)의 기판 지지 유닛(22)은 프린트 기판(W)을 강하하고, 다시 반입 컨베이어와 반출 컨베이어 사이에 프린트 기판(W)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백업 및 기판 프린트 동작과 반대의 동작으로 인쇄가 완료된 프린트 기판(W)을 스크린 인쇄 장치(10)로부터 반출한다.
이상의 동작을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매수의 프린트 기판(W)마다 상술한 인쇄 동작을 반복한다.
모든 인쇄 동작이 종료된 경우, 또는 다른 품번의 프린트 기판(W)을 인쇄하기 위해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유닛(30) 및 승강 유닛(50)의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스퀴지(91)의 당김 동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쇄 헤드(60)의 스퀴지(91)는 예를 들면, 복동인쇄를 종료한 후, 도 8의 (동작 A)에 나타내는 종료위치로부터 도 8의 (동작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부양되고, 또한, 복동 방향으로 이동해서 도포재료의 페이스트 저류부(SP)를 넘는다. 이어서, 도 8의 (동작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퀴지(91)는 페이스트 저류부(SP)보다 더 전방의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에서 강하한다. 이어서, 스퀴지(91)는 스크린 마스크(1)의 마스크 시트(3)에 착지한 상태로 복동한다. 이 복동동작에 의해 스퀴지(91)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의 도포재료는 인쇄 외측 영역(3b)에서 제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동 하류단의 위치로부터 또한 도 8의 (동작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지(91)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제2지지축(73)(도 7 참조) 둘레로 회전해서 어택 각도를 변경시키고, 도 8의 (동작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 스퀴지(91)를 강하시키기에서 왕동시킴으로써 당김동작을 더 실행시켜도 좋다. 이 당김동작에 의해 스퀴지(91)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의 도포재료가 마스크 시트(3)의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으로 벗겨진다. 그 결과, 스퀴지(91)로부터 도포재료가 적하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로부터의 도포재료의 적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새로운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9∼도 10을 참조해서 기대(11)에는 부착 프레임(110)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 프레임(110)에는 수용구(120)가 유지되어 있다.
도 10A, 도 10B를 참조해서 상기 부착 프레임(110)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본체(11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111)는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의 판금부재이다. 프레임 본체(111)의 전체 길이는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보다 소정 길이 길게 설정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11)의 전방부는 직사각형으로 잘라져 있다. 직사각형의 노치부분은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보다 길게 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11)는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스크린 마스크(1)보다 약간 후방측에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1)의 상방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구(120)는 이 프레임 본체(11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크린 마스크(1)는 부착 프레임(110), 수용구(120)에 상관없이 전후로 삽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11)의 양단부분에는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암(112,11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암(112,112)은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스크린 마스크(1)의 후단측으로부터 측부로 연장되어 있다. 각 암(112,112)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부(114)에 의해 프레임 본체(11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111)에는 벽부(113)가 기립설치되어 있다. 벽부(113), 판부(114)는 수용구(120)를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또한, 프레임 본체(111)의 양단부에는 수용구(120)를 위치 결정하는 돌기(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수용구(120)는 이들 벽부(113)와, 판부(114)의 돌기(115)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스크린 마스크(1)의 프레임(2) 상에 면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 수용구(120)는 자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벽부(113)와 판부(114)의 적소에는 자석(116)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구(120)는 자석(116)의 자력에 의해 정위치에 록킹된다.
수용구(12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저판(121)과, 저판(121)의 외주가장자리로부터 기립설치되는 벽부(122,123)를 일체로 갖고 있다. 벽부(122,123) 중 저판(121)의 전단측은 스퀴지(91) 등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낮게 설정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소요의 타이밍으로 도 8에 나타낸 당김동작이 실행된 후, 스퀴지(91)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75도로 경사진 자세로 변위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20)의 상부에 면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어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를 보다 확실하게 세정하기 위해서 스크래핑 유닛(1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제l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래핑 유닛(140)은 카메라 유닛(26)에 부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래핑 유닛(140)은 카메라 유닛(26)의 기판 카메라(27)의 측부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141)와, 이 에어 실린더(141)의 로드(142)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부착부재(143)와, 부착부재(14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크래핑 금구(144)와, 스크래핑 금구(144)를 부착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스터드 나사(145)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실린더(141)는 예를 들면, 카메라 유닛(26)의 스테이(26b)에 부착되어 있고, 로드(142)를 Y축 방향을 따르게 하고 있다. 로드(142)는 예를 들면 상하 한쌍의 부재이다. 각 로드(142)는 대략 판편상의 부착부재(143)를 담지하고 있다. 부착부재(143)는 상하로 연장되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래핑 금구(144)는 부착부재(143)의 부착면(앞면)에 접합하는 접합부(144a)와, 접합부(144a)의 폭방향(X축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암부(144b)와, 암부(144b)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암부(144b)의 선단측(접합부(144a)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와이어부(144c)와, 암부(144b)의 상단가장자리에 연설된 보강부(144d)를 일체로 갖는 판금부재이다.
접합부(144a)에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은 부착부재(143)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나사 구멍에 대응하고 있다. 이 나사 구멍에는 스터드 나사(145)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스터드 나사(145)는 나사부보다 대경의 노브(145a)를 갖고 있고, 이 노브(145a)를 파지해서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부를 부착부재(143)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나사탈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부착시에 있어서 접합부(144a)는 스터드 나사(145)와의 사이에서 부착부재(143)에 끼워진다. 따라서, 접합부(144a)는 부착부재(143)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브(145a)에는 공구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이 꼭대기부에 형성되어 있다.
암부(144b)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형의 판재이며, 그 선단측(Y축 방향 전방)의 와이어부(144c)는 스퀴지(91)의 경사각도에 대응해서,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해서 75도로 경사져 있다. 와이어부(144c)는 암부(144b)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가는 선상을 띠고 있다. 이 와이어부(144c)는 작동시에 스퀴지(91)의 작업면(91a)의 전체 폭을 따라 접촉하고, 스퀴지(91)에 대해서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와이어부(1444c)는 스퀴지(91)의 작업면(91a)에 잔류하고 있는 도포재료를 강제적으로 하방의 수용구(120) 내로 벗겨낸다. 이 때, 와이어부(144c)가 가는 선상을 띠고 있으므로, 와이어부(144c)가 긁어 떨어뜨린 도포재료는 와이어부(144c)를 따라 하방으로 적하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와이어부(144c)에 도포재료가 고착되기 어려워진다.
스크래핑 유닛(140)의 에어 실린더(141)는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수용구(120)의 상방에 면하는 스크래핑 위치에서 전후로 미동(가진동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가진동작에 의해 와이어부(144c)에 부착된 도포재료는 수용구(120)내에 강제적으로 흔들어 떨어뜨려진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제어 유닛(100)은 예를 들면 로트 생산 마다 스퀴지(91)의 당김 동작을 실행한다. 이 당김 동작에서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1)의 마스크 시트(3)에 설정되는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 또는 인쇄 외측 후방 영역(3c)에서 스퀴지(91)에 부착되어 있는 도포재료가 당겨져 떨어뜨려진다. 그 후, 제어 유닛(1OO)은 인쇄 헤드(60)를 이동하고, 스퀴지(91)를 수용구(120)의 상방에 면하게 한다. 이 수용구(120)의 상방에서는 스크래핑 유닛(140)의 스크래핑 금구(144)가 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0)은 필요에 따라 카메라 유닛(26)을 구동하는 볼나가 기구(28)의 모터(28b)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스크래핑 금구(144)의 와이어부(144c)가 스퀴지(91)의 작업면(91a)에 접촉한 상태로 스퀴지(9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스퀴지(91)의 작업면(91a)에 잔류되어 있는 도포재료가 확실하게 벗겨진다. 벗겨진 도포재료는 수용구(120) 내에 확실에 포집된다. 따라서, 도포재료가 비산되어 스크린 인쇄 장치(10)내를 더럽힐 우려는 없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쇄 동작이 종료된 후 당김 동작(도 8)을 생략하고, 바로 스퀴지(91)를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스크래핑 동작을 실행해도 좋다.
오퍼레이터는 스퀴지(91)가 수용구(120)로 이동한 시점에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퀴지(91)의 청정작업과 평행해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이 실행되므로 준비 시간을 현격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퀴지(91)가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스퀴지(91)의 어택 각도를 90도 근방(예를 들면, 75도)으로 변경하여 스퀴지(91) 상에 잔류되어 있는 도포재료의 적하를 촉진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2실시형태]
이어서,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스크래핑 유닛(140)이 공급 유닛(40)에 부착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에 의한 공급 유닛(40)의 토출 어댑터(42)에는 스테이(46)가 부설되어 있고, 이 스테이(46)에 스크래핑 유닛(140)의 에어 실린더(141)가 부착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141)의 로드(142)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스퀴지(91)에 면하고 있다. 공급 유닛(40)과 인쇄 헤드(60)는 주행 유닛(3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는 Y축 방향에 있어서는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스퀴지(91)와 스크래핑 유닛(140)의 스크래핑 금구(144)(의 와이어부(144c))의 대향간격은 스퀴지(91)의 회동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스크래핑 유닛(140)의 에어 실린더(141)의 로드(142)는 스크래핑 금구(144)가 스퀴지(91)의 회동동작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도 14에 나타내는 위치)와 스크래핑 금구(144)가 스퀴지(91)의 작업면(91a)에 접합하는 슬라이딩 접촉 위치(도 15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잔여의 점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소요의 타이밍으로 스크래핑 유닛(140)에 의한 스퀴지(91)의 청정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인쇄 헤드(160)로서 2개의 스퀴지(91A,91B)를 갖는 더블 스퀴지 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더블 스퀴지 타입의 인쇄 헤드(160)는 왕동인쇄에 사용되는 왕동 유닛(160A)과, 복동인쇄에 사용되는 복동 유닛(60B)이 동일한 메인 프레임(161)에 부착된 것이다. 각 유닛(160A,160B)은 승강 유닛(162A,162B)을 갖고 있고, 스퀴지 장착부(163A,163B)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스퀴지 장착부(163A,163B)는 각각 대응하는 이동 방향에 적합한 어택 각도로 스퀴지(91A,91B)를 담지하고 있다. 그리고, 왕동인쇄를 실행할 때는 왕동유닛(160A)의 스퀴지(91A)가 강하되고,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가 부양되어서 주행유닛이 왕동한다. 또한, 복동인쇄를 실행할 때는 왕동유닛(160A)의 스퀴지(91A)가 부양되고,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가 강하되어 주행유닛이 복동된다.
제어 유닛(100)은 인쇄 동작에 따라 왕동 유닛(160A)과 복동 유닛(160B)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제어 유닛(100)은 소요의 스퀴지 클리닝 동작시에 양 유닛(160A,160B)의 스퀴지(91A,91B)를 모두 상승/강하시켜서 스크래핑 유닛(2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스크래핑 유닛(240)은 더블 스퀴지 타입의 인쇄 헤드(160)에 대응하는 스크래핑 금구(2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래핑 금구(241)는 왕동용의 스퀴지(91A)의 각도에 따라 경사지는 왕동용 와이어부(241a)와, 복동용의 스퀴지(91B)의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는 복동용 와이어부(241b)를 구비하고 있다. 왕동용 와이어부(241a)와 복동용 와이어부(241b)는 좌우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왕동 유닛(160A)의 스퀴지(91A)와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가 같은 높이인 경우, 양 스퀴지(91A,91B)에 대해서 동시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동 유닛(160A)의 스퀴지(91A)와 복동유닛(160B)의 스퀴지(91B)를 같은 높이로 일치시켜서 일단 스크래핑 금구(241)의 상방에 면하게 하고, 그 후, 양 유닛(160A,160B)의 스퀴지(91A,91B)를 강하시킴으로써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스퀴지(91A,91B)는 각각 대응하는 와이어부(241a,241b)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스크래핑 유닛(240)을 X축 방향으로 구동하면 스크래핑 금구(241)는 양 스퀴지(91A,91B)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양 스퀴지(91A,91B)의 작업면(91a,91a)에 부착된 도포재료는 와이어부(241a, 241b)에 의해 강제적으로 벗겨져 수용구(120) 내에 포집된다.
스크래핑 유닛(240)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유닛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급유닛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수용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에 의한 수용구(120)는 인쇄 헤드(160)가 더블 스퀴지 타입인 것을 반영해서 왕동 유닛(160A) 및 복동 유닛(160B)의 쌍방이 한번에 하방에 면하는 제원(특히 Y축 방향의 치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구(120)는 양 스퀴지(91A,91B)의 작업면(91a,91a)에 부착된 도포재료가 와이어부(241a,241b)에 의해 강제적으로 벗겨졌을 때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유닛의 프로그램에 의해 양 스퀴지(91A,91B)를 스크린 마스크(1)의 당김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면, 복동 인쇄를 실행하고 있을 경우,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는 복동 인쇄의 종료 후에 도 18의 (동작 A)에 나타내는 종료 위치로부터 도 18의 (동작 B)에 나타내듯이 상방으로 부양된다. 이어서, 인쇄 헤드(160)가 전체적으로 복동해서 도포재료의 페이스트 저류부(SP)를 넘는다. 이어서, 도 18의 (동작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트 저류부(SP)보다 더 전방의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에서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가 강하한다. 그 후,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는 스크린 마스크(1)의 마스크 시트(3)에 착지된 상태로 복동한다. 복동 동작에 의해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의 도포재료는 인쇄 외측 영역(3b)에서 제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18의 (동작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동 하류단의 위치로부터 복동 유닛(160B)의 스퀴지(91B)를 부양시키는 한편, 왕동 유닛(160A)의 스퀴지(91A)를 강하시켜 도 18의 (동작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퀴지(91A)를 왕동 시켜서 당김 동작을 더 실행해도 좋다. 이 당김 동작에 의해 왕동 유닛(160A)의 스퀴지(91A)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의 도포재료도 마스크 시트(3)의 인쇄 외측 전방 영역(3b)으로 벗겨진다. 그 결과, 양 스퀴지(91A,91B)로부터 도포재료가 적하될 우려가 없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1)를 착탈할 때에 스퀴지(91,91A,91B)로부터 적하할 수 있는 도포재료를 수용구(120) 내에 회수하면서 스크린 마스크(1)의 착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1)의 착탈시에 스퀴지(91,91A,91B)에 부착된 도포재료가 뜻하지 않게 마스크 장착 영역 내에 적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회수 후의 도포재료의 처리도 용이해진다. 또한, 도포재료의 회수는 스크린 마스크(1)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스퀴지(91,91A,91B)의 도포재료를 수용구(120)에 회수하면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스퀴지(91,91A,91B)를 장착시킨 채, 스크린 마스크(1)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시의 착탈 작업이 비약적으로 간소화되어 준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퀴지(91,91A,91B)의 범용성을 유효하게 살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용구(120)는 스크린 마스크(1)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용구(120)를 분리함으로써 회수 후의 도포재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도 향상된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용구(120)를 부착하는 부착 프레임(110)을 더 구비하고, 수용구(12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부착 프레임(110)은 수용구(120)를 회수 영역에 록킹하는 자석(116)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자석(116)에 의해 수용구(12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구(120)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1)는 Y축 방향의 전방측(일단측)에서 작업자가 삽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용구(120)는 Y축 방향의 후방측(타단측)으로 스퀴지(91,91A,91B)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는 Y축 방향의 전방측에서 스크린 마스크(1)를 삽발할 수 있다. 스크린의 교환시에 있어서 스퀴지(91,91A,91B)는 이 작업자와 반대측, 즉, Y축 방향의 후방측으로 퇴피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스퀴지(91,91A,91B)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스크린 마스크(1)의 삽발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퀴지(91,91A,91B)에 신경쓰지 않고 간단히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91A,91B)를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 유닛(50)과, 승강 유닛(50)을 통해 스퀴지(91,91A,91B)를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주행 유닛(30)과,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시에 스퀴지(91,91A,91B)가 수용구(120)의 상방에 면하도록 승강 유닛(50) 및 주행 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스퀴지(91,91A,91B)를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도포재료의 적하를 회피하면서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Y축 방향의 전방측(일단측)에서 스크린 마스크(1)를 삽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용구(120)가 Y축 방향의 후방측(타단측)으로 스퀴지(91,91A,91B)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스퀴지(91,91A,91B)를 전혀 의식하지 않고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유닛(100)은 인쇄 동작 종료 후에 스크린 마스크(1) 내의 인쇄 영역 외에서 스퀴지(91,91A,91B)가 슬라이딩하고, 그 후, 스퀴지(91,91A,91B)가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승강 유닛(50) 및 주행 유닛(30)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91A,91B)를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기에 앞서 스크린 마스크(1) 내의 인쇄 영역 외에 잉여의 도포재료를 벗겨낼 수 있다. 따라서, 스퀴지(91,91A,91B)의 이동 중에 도포재료가 적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는 Y축 방향에 따라 어택 각도가 변경되는 단일의 판재이며, 스퀴지(91)의 어택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으로서의 기어 박스(81), 서보 모터(82), 제2지지축(73) 등을 더 구비하고, 제어 유닛(100)은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시에 스퀴지(91)가 수직 내지 수직부근(예를 들면, 75°)으로 경사지도록 각도 변경 수단으로서의 구동 기구(8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1)의 교환시에 스퀴지(91)가 수용구(120)의 상방으로 퇴피했을 때, 스퀴지(91)로부터 도포재료가 적하되기 쉬워져서 회수가 촉진된다.
또, 제3실시형태에서는 스퀴지(91A,91B)는 Y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경우의 왕동시에 스크린 마스크(1)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왕동용 스퀴지(91A)와, 복동시에 스크린 마스크(1)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동용 스퀴지(91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수용구(120)는 왕동용 스퀴지(91A)와 상기 복동용 스퀴지(91B)의 쌍방에 대해서 면할 수 있는 제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위 더블 스퀴지 타입의 인쇄 헤드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 스퀴지(91A,91B)로부터의 도포재료의 적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구(120)는 1회용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회용 재료로서는 종이,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수용구(120)를 교환함으로써 회수된 도포재료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수용구(120)나 도포재료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1)

  1. 기판에 도포재료를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마스크 장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장착 영역에 장착된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상방에 배치되는 스퀴지로서 미리 설정된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스퀴지와,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구로서 상기 스퀴지에 부착된 도포재료를 회수하는 상기 수용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착탈을 허용하는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를 부착하는 부착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구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 프레임은 상기 수용구를 록킹하는 자석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에서 작업자가 삽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타단측으로 스퀴지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를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 유닛과,
    상기 승강 유닛을 통해 상기 스퀴지를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주행 유닛과,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에 상기 스퀴지가 상기 수용구의 상방에 면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 및 상기 주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일단측에서 작업자가 삽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의 타단측으로 스퀴지를 퇴피시키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인쇄 동작 종료 후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 내의 인쇄 영역 밖에서 스퀴지가 슬라이딩하고, 그 후, 스퀴지가 상기 수용구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 및 상기 주행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에 따라서 어택 각도가 변경되는 단일의 판재이며,
    상기 스퀴지의 어택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교환시에 상기 스퀴지가 수직 내지 수직 부근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각도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1회용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는 상기 스퀴지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경우의 왕동시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왕동용 스퀴지와, 복동시에 상기 스크린 마스크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동용 스퀴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왕동용 스퀴지와 상기 복동용 스퀴지의 쌍방에 대해서 면할 수 있는 제원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1회용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KR1020130085963A 2012-07-23 2013-07-22 스크린 인쇄 장치 KR101533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2731A JP5662975B2 (ja) 2012-07-23 2012-07-23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JP-P-2012-162731 2012-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895A true KR20140012895A (ko) 2014-02-04
KR101533620B1 KR101533620B1 (ko) 2015-07-03

Family

ID=4880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963A KR101533620B1 (ko) 2012-07-23 2013-07-22 스크린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3496B2 (ko)
EP (1) EP2690940B1 (ko)
JP (1) JP5662975B2 (ko)
KR (1) KR101533620B1 (ko)
CN (1) CN1035685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159A (ko) * 2015-03-25 2017-1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스텐실 셔틀 어셈블리를 갖춘 스텐실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7861B2 (ja) * 2011-05-31 2015-08-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印刷機
JP6302358B2 (ja) * 2014-05-30 2018-03-28 株式会社セリアエンジニアリング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機構及び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方法
TWI688213B (zh) * 2015-06-11 2020-03-11 美商伊利諾工具工程公司 用於模板印刷機的雙重作用模板擦拭器組件
JP6803669B2 (ja) * 2016-03-15 2020-12-23 株式会社Fuji スクリーン印刷機
KR102001482B1 (ko) * 2016-12-30 2019-07-1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4140743A4 (en) * 2020-04-25 2023-06-14 Fuji Corporation DEVICE FOR RECOVERING SOLDER
EP4064813A1 (de) * 2021-03-26 2022-09-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smd-fertigung und smd-fertigungsstrasse
WO2022245198A1 (en) * 2021-05-20 2022-11-24 Tcs Engineering & Automation Sdn. Bhd. Solder printing apparatus
CN117227311A (zh) * 2022-06-07 2023-12-15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更换模板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519A (en) * 1977-03-18 1978-10-24 James A. Black Squeegee and scooping flow coater
DE3334444A1 (de) * 1983-09-23 1985-04-11 Gerhard 4800 Bielefeld Klemm Siebdruckmaschine
US4966020A (en) * 1989-06-06 1990-10-30 880335 Ontario Inc. Locking mechanism
US5044306A (en) * 1990-06-11 1991-09-03 Gunter Erdmann Solder applying mechanism
JPH06210827A (ja) * 1993-01-18 1994-08-02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3398498B2 (ja) * 1995-01-09 2003-04-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印刷方法
JPH10157066A (ja) * 1996-11-27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ペースト供給装置と印刷ペースト供給方法
US6066206A (en) * 1997-02-21 2000-05-23 Speedline Technologies, Inc. Dual track stenciling system with solder gathering head
JPH11105244A (ja) 1997-10-08 1999-04-20 Kojima Press Co Ltd はんだペースト印刷装置
JPH11198347A (ja) 1998-01-08 1999-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リーム半田印刷装置
JP2932383B1 (ja) * 1998-02-20 1999-08-09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輪転印刷機のプロテクター
JPH11268244A (ja) * 1998-03-23 1999-10-05 Orient Sogyo:Kk グラビア印刷機用インキ皿
JP2001191483A (ja) * 2000-01-17 2001-07-1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機
US6564708B2 (en) * 2000-05-26 2003-05-20 Minami Co.,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JP4566810B2 (ja) * 2005-04-27 2010-10-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6305851A (ja) * 2005-04-28 2006-11-09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7503255B2 (en) * 2005-05-02 2009-03-17 Thieme Gmbh & Co. Kg Squeegee device with U-shaped carriage
JP2007160659A (ja) * 2005-12-13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US7337717B2 (en) * 2006-05-26 2008-03-04 Atma Champ Enterprise Corporation Ink residue lifting and transfer mechanism for screen printing machine
JP5106820B2 (ja) 2006-10-26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9027310A (ja) 2007-07-18 2009-02-05 Panasonic Corp レンズキャップ取り忘れ検出方法および映像記録装置
US8281735B2 (en) 2007-11-09 2012-10-09 Transition Automation, Inc. Squeegee holder with integrated self-cleaning sliding mechanism
DE102009005291A1 (de) 2008-02-08 2009-08-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s Farbkastens einer Druckmaschine
TW201002528A (en) * 2008-07-02 2010-01-16 Atma Champ Entpr Corp Contactless screen printing method and equipment thereof
JP4643719B2 (ja) 2009-02-09 2011-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はんだ供給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11201052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471860B2 (ja) 2010-06-11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159A (ko) * 2015-03-25 2017-1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스텐실 셔틀 어셈블리를 갖춘 스텐실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0940B1 (en) 2018-09-19
CN103568501B (zh) 2015-10-21
KR101533620B1 (ko) 2015-07-03
CN103568501A (zh) 2014-02-12
US20140020578A1 (en) 2014-01-23
JP5662975B2 (ja) 2015-02-04
US8973496B2 (en) 2015-03-10
JP2014019131A (ja) 2014-02-03
EP2690940A1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895A (ko) 스크린 인쇄 장치
KR20140012894A (ko) 스크린 인쇄 장치
KR101876863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KR101876850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KR101876855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점성 물질을 적층하는 방법
KR101876868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US11766730B2 (en) Solder paste bead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10889103B2 (en) Screen printer and screen printing method
CN104411498B (zh) 印刷机
JP2017191798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ディスペンサ
JP2007261147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の印刷段取り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11890856B2 (en) Squeegee drip collection system for stencil printer
JP5854934B2 (ja) 表面実装機、基板固定位置の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