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725A -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725A
KR20140010725A KR1020120077398A KR20120077398A KR20140010725A KR 20140010725 A KR20140010725 A KR 20140010725A KR 1020120077398 A KR1020120077398 A KR 1020120077398A KR 20120077398 A KR20120077398 A KR 20120077398A KR 20140010725 A KR20140010725 A KR 2014001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oor glass
pulley
groov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468B1 (ko
Inventor
임현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4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1Block or short strip-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 E05F11/44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는, 차량의 윈도우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도어글래스,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기고, 내주면 일측에는 핀홈이 형성되는 안전풀리, 상기 안전풀리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회전중심부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안전풀리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중간원통, 그 일단부가 상기 핀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중간원통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을 상기 안전풀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핀, 및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의 움직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서 인출되어,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력이 상기 안전풀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전류값을 이용하여 도어글래스의 작동을 제어할 때보다도 섬세한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도어글래스가 하강 또는 멈춤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류값을 이용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항상 정 회전시킴으로써 내구성과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류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할 때 필요한 엔코더, 접촉센서, 및 전류제어모터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도어글래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POWER WINDOW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글래스가 사용자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서 상승 중일 때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물체가 걸리는 경우 도어글래스를 멈추거나 하강시키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글래스는 글래스 레귤레이터(Glass Regulator)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며, 수동식과 파워윈도우(Power Window)로 구분되게 된다.
상기 파워윈도우는 도어나 콘솔박스에 부착된 스위치에 의해 모터로 개폐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윈도우의 테두리 부위에 고무패킹을 부착하고 도어글래스의 상승 시 상기 고무패킹에 도어글래스의 테두리 소정부위가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글래스는 개폐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로 작동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ECU의 신호를 받아 작동 및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개폐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사람이나 기타 물체의 유무에 관계없이 개폐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계속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도어글래스가 상승할 때, 그 상단부가 기타 다른 물체와 부딪힐 경우 전기적으로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글래스가 멈추거나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다른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도어글래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조 및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글래스가 상승하는 경우 그 상단부가 기타 다른 물체와 부딪힐 경우 기계적인 구조로 이를 안정적으로 감지하여 도어글래스를 멈추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는, 차량의 윈도우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도어글래스,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기고, 내주면 일측에는 핀홈이 형성되는 안전풀리, 상기 안전풀리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회전중심부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안전풀리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중간원통, 그 일단부가 상기 핀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중간원통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을 상기 안전풀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핀, 및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의 움직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서 인출되어,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력이 상기 안전풀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전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은 상기 안전풀리의 내주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중간원통에는 상기 핀이 앞뒤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핀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핀가이드가 상기 핀의 후단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간원통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핀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중심부에 고정배치되고, 그 회전중심부에는 센터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동력전달기어, 및 그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센터홈으로 삽입되는 센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돌기와 인접하여 상기 동력전달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신기어가 형성되며,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핀의 후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핀후진방지돌기가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핀후진방지돌기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각도의 범위만큼 형성된다.
상기 안전풀리의 회전중심부에는 풀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중심부에는 상기 풀리홈을 통해서 배치되어 상기 구동원인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신축이 배치된다.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하단웨더스트립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가 상기 핀의 후진을 방지하여,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상단웨더스트립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가 상기 핀의 후진을 방지하여,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일반이동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는 상기 핀이 후진할 수 있는 회전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핀의 단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홈은 상기 핀의 볼록한 단부만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승하는 도중에, 상기 안전풀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이 상기 피홈에서 인출되어, 상기 중간원통이 상기 안전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하며, 상기 도어글래스의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상기 안전풀리가 역회전한다.
상기 안전풀리가 설정각도로 역회전하는 동안에, 다시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되면, 상기 안전풀리가 상기 중간원통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글래스를 다시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도어글래스의 작동을 제어할 때보다도 섬세한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도어글래스가 하강 또는 멈춤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류값을 이용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항상 정 회전시킴으로써 내구성과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류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할 때 필요한 엔코더, 접촉센서, 및 전류제어모터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도어글래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하단 웨더스트립영역을 통과하기 전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일반 이동 영역을 통과하는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상단 웨더스트립영역을 통과하기 전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고 나서 상기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이동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는 틀로 만들어진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차단하는 도어글래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하단부의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 상단부의 상단웨더스트립영역(130), 및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과 상기 상단웨더스트립영역(130)사이에 형성되는 일반이동영역(12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을 통과할 때, 웨더스트립(미도시)에 의해서 저항이 증가하고, 상기 일반이동영역(120)을 통과할 때는 저항이 일정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이 상기 상단웨더스트립영역(130)을 통과할 때에도 저항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일반이동영역(120)을 통과할 때, 승객이나 외부물체가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에 부딪힐 경우, 기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멈추거나 내려오도록 함으로써 승객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는 구동원으로써 모터(200), 외주면에 와이어(212)가 감기는 안전풀리(210), 상기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안전풀리(210)로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간원통(350), 및 상기 중간원통(350)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200)에 의해서 상기 중간원통(350)이 정회전하면, 상기 안전풀리(210)도 함께 정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212)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상승한다.
이때, 손이나 물체가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에 부딪히면, 상기 와이어(212)를 통해서 상기 안전풀리(210)에 역회전토크가 전달되고, 이때 상기 중간원통(350)은 상기 안전풀리(210)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212)를 통해서 상기 안전풀리(210)는 역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상기 모터(200)를 통해서 상기 중간원통(350)이 회전하게 되면, 다시 상기 안전풀리(210)는 상기 중간원통(350)에 의해서 정회전되어 상기 도어글래스(100)를 다시 상승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풀리(210)의 내주면에는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핀홈(33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와이어(212)가 감기는 와이어홈(230)이 형성되며, 그 회전중심부에는 풀리홀(214)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원통(350)에는 상기 풀리홀(214)을 통해서 상기 모터(200)와 연결되는 동력수신축(352)이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동력수신축(352)은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중간원통(350)에서 상기 동력수신축(352)의 반대방향에는 동력전달기어(340)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기어(340)의 중심부에는 센터홈(300)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340)는 상기 디스크(22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상기 디스크(220)의 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기어(3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신기어(40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2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중간원통(35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하는 핀홀(322)이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핀홀(322)과 대응하여 상기 중간원통(350)에는 핀가이드(310)가 배치된다. 상기 핀홀(322)은 상기 핀홈(33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핀홀(322)을 통해서 상기 핀가이드(310)에는 상기 핀(320)이 배치되고, 상기 핀가이드(310)가 상기 핀(320)의 뒤쪽 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핀(320)을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24)가 상기 핀가이드(3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24)는 코일스크링 구조이나, 실시예에 따라서 스프링, 고무, 에폭시, 및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220)의 일면에서 회전중심부에는 상기 동력전달기어(340)에 형성되는 상기 센터홈(300)에 삽입되는 센터돌기(42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터돌기(420)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동력수신기어(400)가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동력수신기어(400)와 상기 동력전달기어(340)가 서로 기어로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340)에 의해서 상기 동력수신기어(400)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수신기어(40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220)가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디스크(220)의 일면의 가장자리에는 핀후진방지돌기(4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는 18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하단 웨더스트립영역을 통과하기 전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을 통과할 때, 상기 디스크(220)에 형성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가 상기 핀(320)의 후진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는 설정된 각도범위(Aㅀ)의 영역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는 13.5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은 약 3c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일반이동영역(120)은 약 37c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단웨더스트립영역(130)은 약 3cm의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안전풀리(210)가 2바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40cm상승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안전풀리(210)의 반지름은 약 3.18cm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모터(200)와 연결된 상기 중간원통(350)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핀(320)이 상기 핀홈(330)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모터(200), 상기 중간원통(350), 및 상기 안전풀리(21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기어(340)와 상기 동력수신기어(400)의 기어비에 의해서 상기 중간원통(350)이 4바퀴 회전하면 상기 디스크(220)는 1바퀴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핀(320)이 상기 핀홈(3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가 상기 핀(320)의 후진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는 13.5도의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220)가 13.5도만큼 회전하는 동안, 상기 안전풀리(210)와 상기 중간원통(350)은 54도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일반 이동 영역을 통과하는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110)을 통과한 후에는, 상기 핀(320)이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반이동영역(120)이 37cm이므로, 이때 상기 안전풀리(210)는 666도 회전해야 하고, 상기 디스크(220)는 기어비에 의해서 166.5도(도 6에서는 Bㅀ)를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166.5도(Bㅀ)의 영역에서는 상기 핀(320)이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상단 웨더스트립영역을 통과하기 전 상태로서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상단웨더스트립영역(130)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핀(320)이 상기 핀홈(3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가 상기 핀(320)의 후진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는 13.5도의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220)가 13.5도만큼 회전하는 동안, 상기 안전풀리(210)와 상기 중간원통(350)은 54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410)는 설정된 각도범위(Aㅀ)의 영역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는 13.5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고 나서 상기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상단부가 상기 일반이동영역(120)을 지날 때,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 상기 안전풀리(210)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걸리고, 상기 핀(320)이 상기 핀홈(330)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원통(350)과 상기 디스크(220)는 회전하지만,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안전풀리(210)는 멈추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안전풀리(210)가 180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도어글래스(100)는 순간적으로 약 10cm 하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가 이동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이동순서는 하단웨더스트립영역 통과단계(S900), 일반이동영역 통과단계(S910), 및 상단웨더스트립영역 통과단계(S9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웨더스트립영역 통과단계(S900)는 도 5와 대응하고, 상기 일반이동영역 통과단계(S910)는 도 6 및 도 8과 대응하고, 상기 상단웨더스트립 통과단계(S920)는 도 7과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정된 각도, 설정된 길이, 및 설정된 간격 등은 설계사양에 따라서 다르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핀(320)의 선단부는 볼록한 반구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핀(320)이 삽입되는 상기 핀홈(330)은 상기 핀(320)의 형태와 대응하여 반구 형태의 홈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값을 이용하여 도어글래스의 작동을 제어할 때보다도 섬세한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도어글래스가 하강 또는 멈춤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류값을 이용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항상 정 회전시킴으로써 내구성과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류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할 때 필요한 엔코더, 접촉센서, 및 전류제어모터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도어글래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도어글래스 110: 하단웨더스트립영역
120: 일반이동영역 130: 상단웨더스트립영역
200: 모터 210: 안전풀리
212: 와이어 214: 풀리홀
220: 디스크 230: 와이어홈
300: 센터홈 310: 핀가이드
320: 핀 322: 핀홀
324: 탄성부재 330: 핀홈
340: 동력전달기어 350: 중간원통
352: 동력수신축 400: 동력수신기어
410: 핀후진방지돌기 420: 센터돌기

Claims (13)

  1. 차량의 윈도우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도어글래스;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기고, 내주면 일측에는 핀홈이 형성되는 안전풀리;
    상기 안전풀리의 내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회전중심부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안전풀리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중간원통;
    그 일단부가 상기 핀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중간원통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을 상기 안전풀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핀; 및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의 움직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안전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은 상기 안전풀리의 내주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중간원통에는 상기 핀이 앞뒤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핀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핀가이드가 상기 핀의 후단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중간원통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핀홀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중심부에 고정배치되고, 그 회전중심부에는 센터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동력전달기어; 및
    그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센터홈으로 삽입되는 센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돌기와 인접하여 상기 동력전달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신기어가 형성되며, 그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핀의 후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핀후진방지돌기가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핀후진방지돌기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각도의 범위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안전풀리의 회전중심부에는 풀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원통의 회전중심부에는 상기 풀리홈을 통해서 배치되어 상기 구동원인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신축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하단웨더스트립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가 상기 핀의 후진을 방지하여,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상단웨더스트립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가 상기 핀의 후진을 방지하여,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10. 제5항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상단부가 일반이동영역을 지날 때 상기 핀후진방지돌기는 상기 핀이 후진할 수 있는 회전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핀의 단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홈은 상기 핀의 볼록한 단부만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승하는 도중에,
    상기 안전풀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이 상기 피홈에서 인출되어, 상기 중간원통이 상기 안전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하며,
    상기 도어글래스의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상기 안전풀리가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안전풀리가 설정각도로 역회전하는 동안에, 다시 상기 핀이 상기 핀홈에 삽입되면,
    상기 안전풀리가 상기 중간원통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글래스를 다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KR1020120077398A 2012-07-16 2012-07-16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KR10137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98A KR101371468B1 (ko) 2012-07-16 2012-07-16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98A KR101371468B1 (ko) 2012-07-16 2012-07-16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25A true KR20140010725A (ko) 2014-01-27
KR101371468B1 KR101371468B1 (ko) 2014-03-10

Family

ID=5014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398A KR101371468B1 (ko) 2012-07-16 2012-07-16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0597B2 (en) 2014-12-04 2017-02-28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732186B2 (en) 2014-09-05 2017-08-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969841B2 (en) 2014-12-04 2018-05-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450Y1 (ko) * 1996-12-3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안전장치
KR200255972Y1 (ko) 2001-09-03 2001-12-13 주식회사 테크노.티 자동차 측면유리 안전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2186B2 (en) 2014-09-05 2017-08-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45418B2 (en) 2014-09-05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868818B2 (en) 2014-12-04 2018-01-16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902853B2 (en) 2014-12-04 2018-02-27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45417B2 (en) 2014-12-04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18958B2 (en) 2014-12-04 2017-08-01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751979B2 (en) 2014-12-04 2017-09-0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777112B2 (en) 2014-12-04 2017-10-03 Lg Chem, Ltd. Co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9809677B2 (en) 2014-12-04 2017-11-07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840585B2 (en) 2014-12-04 2017-12-12 Lg Chem,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9580597B2 (en) 2014-12-04 2017-02-28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745466B2 (en) 2014-12-04 2017-08-2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969841B2 (en) 2014-12-04 2018-05-1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011716B2 (en) 2014-12-04 2018-07-03 Lg Chem, Ltd. Co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article containing the same
US10081730B2 (en) 2014-12-04 2018-09-25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10174194B2 (en) 2014-12-04 2019-01-08 Lg Chem, Ltd. Copolycarbonat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196516B2 (en) 2014-12-04 2019-02-05 Lg Chem, Ltd. Co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US10240038B2 (en) 2014-12-04 2019-03-26 Lg Chem, Ltd. Flame resistant polycarbate 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thereof
US10240037B2 (en) 2014-12-04 2019-03-26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10294365B2 (en) 2014-12-04 2019-05-21 Lg Chem, Ltd.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468B1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404B1 (ko) 도어 체크 및 도어 체크 차단 방법
KR101371468B1 (ko)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US7320497B2 (en)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US20160010379A1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CN204266735U (zh) 一种车门限位装置及汽车
JP2013519577A (ja) アクセス装置
BR122022014047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para uma tampa traseira de veículo
JP4830175B2 (ja) 開閉可能な車両ルーフ
US20190078371A1 (en) Method for displacing a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associated pinch protection sensor, mot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inch protection sensor
US3874322A (en) Vehicle position indicator
US3817203A (en) Vehicle position indicator
CN103481750B (zh) 一种带有关闭传感构件的护栏式车门
KR101949816B1 (ko) 차량 도어 충돌방지 장치
CN217300216U (zh) 限位器总成、车门安全限位系统及车辆
CN103670113A (zh) 自动门的安全装置
JP3204810U (ja) 防水扉装置
KR101574437B1 (ko)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EP2664739B1 (en) Door
KR20030027588A (ko) 자동차 파워 윈도우의 안전장치
CN209369584U (zh) 用于车辆的车窗调节器及其滑块组件
KR20200066026A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차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605354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KR101912505B1 (ko)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흠집 보호기
KR102605353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WO2019046592A1 (en) AUTOMATIC SUNSCREE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