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53B1 -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53B1
KR102605353B1 KR1020220002633A KR20220002633A KR102605353B1 KR 102605353 B1 KR102605353 B1 KR 102605353B1 KR 1020220002633 A KR1020220002633 A KR 1020220002633A KR 20220002633 A KR20220002633 A KR 20220002633A KR 102605353 B1 KR102605353 B1 KR 102605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clip
cabl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908A (ko
Inventor
선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3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에 연결되는 케이블부와, 도어부에 장착되고 케이블부를 관통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장착되고 케이블부를 감싸는 보호부와, 도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유리창을 이동시키는 승강부에 설치되고 보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부와, 브라켓부에 장착되고 케이블부와 접속되며 유리창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유리창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케이블부의 장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꼬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VEHICLE DOOR GLASS}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시 지속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아랫부분 내측에는 윈도우글라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윈도우레귤레이터가 설치되며, 윈도우레귤레이터는 구동메카니즘에 따라 케이블방식과 아암방식(arm type)으로 분류된다.
케이블방식인 경우, 도어 내측패널의 소정 위치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드럼이 회전되며, 케이블은 양쪽 단부가 드럼의 외주면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블에 고정된 캐리어플레이트가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용 윈도우글라스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기 때문에, 차량 내부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될 수가 있어 승객의 사생활 보호에는 취약하고, 자외선에 의해 승객의 피부가 손상될 수가 있으며, 차량 내의 온도를 높여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8406호(2004.09.02.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윈도우글라스의 차양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시 지속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는: 도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는 케이블부;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관통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보호부; 상기 도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유리창을 이동시키는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와 접속되며, 상기 유리창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제공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부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부에 조립되는 고정클립부; 및 상기 도어부와 상기 고정클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고정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부는 클립판부; 상기 클립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도어부를 관통하여 걸림 고정되는 클립고정부; 상기 클립판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립관부; 상기 클립판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클립관부를 감싸고, 상기 회전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클립유도부; 및 상기 클립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클립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보호부가 장착되는 회전몸체부;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는 회전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보호커버부; 상기 보호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 후크 결합되는 보호후크부; 및 상기 보호커버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보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속되는 브라켓지지부; 및 상기 브라켓지지부에 형성되고,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브라켓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는 도어부에 장착된 승강부에 유리창이 결합되고, 유리창의 상태를 변경하는 조절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부에 고정부가 장착되고, 고정부에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공급부에 연결된 케이블부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이 유도되면서 조절부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로 인해 유리창이 상하 이동되더라도 케이블부의 꼬임을 방지하고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도어부에 조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와 브라켓부와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1)는 공급부(10)와, 케이블부(20)와, 고정부(30)와, 회전부(40)와, 보호부(50)와, 브라켓부(60)와, 단자부(7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도어부(100)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일예로, 공급부(10)는 도어부(100)에서 방수 처리된 일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와, 회전부(40)와, 보호부(50)와, 브라켓부(60)와, 단자부(70)는 도어부(100)에서 방수 처리가 되지 않은 타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부(20)는 공급부(10)에 연결된다. 일예로, 케이블부(20)는 공급부(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단자부(70)에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부(20)는 별도의 커넥터에 의해 공급부(10) 및 단자부(70)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도어부(100)에 장착되고, 케이블부(20)를 관통시킨다. 일예로, 고정부(30)는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홀에 장착되어 케이블부(20)를 통과시키고, 비방수 영역에서 방수 영역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40)는 고정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회전부(40)는 고정부(30)에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고, 케이블부(2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보호부(50)는 회전부(40)에 장착되고, 케이블부(20)를 감싼다. 일예로, 보호부(50)는 케이블부(20)를 감싸고 구부러짐이 원활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홀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50)는 일단부가 회전부(40)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브라켓부(60)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부(60)는 도어부(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유리창(300)을 이동시키는 승강부(200)에 설치된다. 브라켓부(60)에는 보호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단자부(70)는 브라켓부(60)에 장착되고, 케이블부(20)와 접속되며, 유리창(300)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유리창(300)의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부(400)와 연결된다.
조절부(400)는 유리창(300)에 내장되거나 부착되고,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투명해지거나 불투명해지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LDC : Polymer Dispered Liquid Crystal)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400)는 유리창(300)에 내장되거나 부착되고 영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그 외, 조절부(400)는 유리창(300)에 내장되거나 부착되고 전원 인가로 인해 작동되는 다양한 부품이 채택될 수 있다.
만일, 조절부(400)가 고분자 분산형 액정인 경우, 공급부(10)가 작동하여 조절부(4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유리창(300)의 투과율이 낮아져 외부에서 차량 내부 확인이 어렵고, 자외선 차단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10)에서 조절부(400)에 대한 전원 인가가 해제되면, 유리창(300)이 투명해질 수 있다.
한편, 승강부(200)가 작동되어 유리창(300)이 승하강 되더라도, 회전부(40)가 회전됨에 따라 케이블부(20)의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고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배터리부(11)와, 인버터부(12)와, 변압부(13)를 포함한다.
배터리부(11)는 차량에 장착되고, 인버터부(12)는 배터리부(11)에서 제공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며, 변압부(13)는 인버터부(12)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변압부(13)는 조절부(40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부(20)에 연결된다. 일예로, 조절부(400)로 고분자 분산형 액정이 사용되는 경우, 변압부(13)에 의해 전압이 증가하여 조절부(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인버터부(12)와 변압부(13)는 통합된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도어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저전압에 의해 조절부(400)의 작동이 가능한 경우 변압부(13)는 생략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도어부에 조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는 고정클립부(31)와, 고정방수부(32)를 포함한다.
고정클립부(31)는 도어부(100)에 조립되고, 고정방수부(32)는 도어부(100)와 고정클립부(31)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클립부(31)는 클립판부(33)와, 클립고정부(34)와, 클립관부(35)와, 클립유도부(36)와, 클립걸림부(37)를 포함한다.
클립판부(33)는 도어부(100)에 밀착되어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홀을 커버하고, 도어부(100)와 클립판부(33) 사이에 고정방수부(32)가 배치되어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수분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판부(33)는 고정방수부(3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일체로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클립고정부(34)는 클립판부(33)에서 돌출되고, 도어부(100)를 관통하여 걸림 고정된다. 일예로, 클립고정부(34)는 클립판부(33)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부(100)를 관통하는 제1클립고정부(341)와, 제1클립고정부(34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부(100)에 걸리는 제2클립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클립고정부(342)는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도어부(100)를 관통하고, 추후 클립판부(33)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부(100)에 걸릴 수 있다.
클립관부(35)는 클립판부(3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케이블부(20)를 통과시키며, 회전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클립관부(35)는 클립판부(33)에서 타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부(20)가 통과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하는 제1클립관부(351)와, 제1클립관부(35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회전부(40)가 걸려 회전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제2클립관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유도부(36)는 클립판부(33)에서 돌출되어 클립관부(35)를 감싸고, 회전부(40)의 삽입을 유도한다. 일예로, 클립유도부(36)는 클립판부(33)에서 연장되어 링 형상을 하는 제1클립유도부(361)와, 제1클립유도부(361)의 내주면을 따라 규칙적으로 돌출되어 회전부(40)와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제2클립유도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걸림부(37)는 클립판부(33)에 형성되고, 도어부(100)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일예로, 클립판부(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립걸림부(37)는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도어록킹부(110)를 통과한 다음 걸림 고정되어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경사면(371)과 걸림턱(3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부(100)에는 도어걸림부(120)가 형성되고, 클립걸림부(37)는 도어록킹부(110)와 도어걸림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 외, 고정클립부(31)는 클립판부(33)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는 클립파지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파지부(38)는 클립판부(33)의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도어부(100)와 간섭되지 않으며, 한 쌍이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클립부(31)는 클립개시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개시부(39)는 클립판부(33)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클립개시부(39)는 도어부(100)에 형성되는 도어개시부(130)에 초기 삽입되어 조립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0)는 회전몸체부(41)와 회전덮개부(42)를 포함한다.
회전몸체부(41)는 고정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보호부(50)가 장착된다. 일예로, 회전몸체부(41)는 클립관부(35)와 클립유도부(36) 사이로 삽입되는 회전원통부(45)와, 회전원통부(45)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부(20)를 안내하는 회전관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원통부(45)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걸림부(47)가 형성되어 제2클립관부(35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회전덮개부(42)는 회전몸체부(41)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한다. 일예로, 클립관부(35)를 통과한 케이블부(20)가 회전관부(46)를 관통하면, 회전덮개부(42)가 회전몸체부(41)의 상부 개방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회전덮개부(42)는 회전몸체부(41)의 상부를 감싸는 제1회전덮개부(421)와, 제1회전덮개부(421)의 내부에 형성되고, 회전원통부(4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원통부(45)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에 걸림 고정되는 제2회전덮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50)는 보호커버부(51)와, 보호후크부(52)와, 보호결합부(53)를 포함한다.
보호커버부(51)는 케이블부(20)를 감싼다. 일예로, 보호커버부(51)는 회전부(40)와 브라켓부(60)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부(2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케이블부(20)를 보호하고 케이블부(2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후크부(52)는 보호커버부(5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부(40)에 후크 결합된다. 일예로, 보호후크부(52)는 회전관부(46)에 삽입되고, 회전관부(46)에 형성되는 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보호결합부(53)는 보호커버부(51)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브라켓부(6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예로, 보호결합부(53)는 보호커버부(5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브라켓부(60)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60)는 브라켓지지부(61)와 브라켓차단부(62)를 포함한다.
브라켓지지부(61)는 보호부(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단자부(70)가 접속된다. 일예로, 브라켓지지부(61)는 제1지지부(611)와, 제1지지부(611)에서 연장되어 승강부(20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지지부(612)와, 제1지지부 (611)에 장착되고 보호결합부(53)를 관통하는 제3지지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차단부(62)는 브라켓지지부(61)에 형성되고, 수분 유입을 차단한다. 일예로, 브라켓차단부(62)는 브라켓지지부(61)에 조립되어 브라켓지지부(61)의 상부를 커버하고, 브라켓지지부(61)에 삽입되는 단자부(7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외, 브라켓차단부(62)는 브라켓지지부(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부(70)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와 브라켓부와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호부(50)와 브라켓부(60)는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3차원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부(50)는 제2보호커버부(81)와, 제2보호후크부(82)와, 제2보호결합부(8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보호커버부(81)와 제2보호후크부(82)는 도 8의 보호커버부(51) 및 보호후크부(52)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보호결합부(83)는 제2보호커버부(81)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반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60)는 제2브라켓지지부(91)와 제2브라켓차단부(92)를 포함하여 보호부(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단자부(70)가 접속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차단부(92)는 도 9의 브라켓차단부(62)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브라켓지지부(91)는 단자부(70)가 접속되는 제2몸체부(911)와, 제2몸체부(911)에서 연장되어 승강부(20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연장부(912)와, 제2몸체부(911)에 장착되고 볼조인트 형상을 하는 제2볼조인트부(913)와, 제2몸체부(911)와 제2볼조인트부(913) 사이에 배치되고 제2보호결합부(83)와 후크 결합되는 제2조립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볼조인트부(913)는 제2몸체부(911)에 고정되는 제2몸체막대부(931)와, 제2몸체막대부(931)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2몸체부(911) 내부에 배치되고 구 형상을 하는 제2몸체볼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막대부(931)는 제2조립부(914)를 관통하고, 제2조립부(914)와 제2보호결합부(83)가 후크 결합되면 제2몸체볼부(932)를 감쌀 수 있으며, 제2몸체볼부(932)를 회전축으로 3차원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2조립부(914)의 조립관통부(941)는 회전시 제2몸체막대부(931)에 걸려 간섭되므로, 조립관통부(941)의 두께에 따라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볼조인트 구조는 유리창(300)의 곡률에 따라 법선방향 보정이 가능하도록 제2보호결합부(83)의 3차원 회전이 가능하므로,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조립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부(100)의 내측에 공급부(10)를 배치시키고, 도어부(100)의 외측에 고정부(30)를 설치한다. 고정부(30)에는 회전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승강부(200)에는 브라켓부(60)를 장착한다.
한편, 케이블부(20)는 도어부(100)를 관통하되, 일단부가 공급부(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브라켓부(60)에 장착된 단자부(70)에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부(20)는 보호부(50)에 의해 보호되되, 보호부(50)의 일단부는 회전부(40)에 후크 결합되어 케이블부(20)의 회전을 유도하고, 보호부(50)의 타단부는 브라켓부(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케이블부(20)의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공급부(10)가 작동하여 조절부(4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유리창(300)의 투과율이 낮아져 외부에서 차량 내부 확인이 어렵고, 자외선 차단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10)에서 조절부(400)에 대한 전원 인가가 해제되면, 유리창(300)이 투명해질 수 있다.
한편, 승강부(200)가 작동되어 유리창(300)이 상승하면, 회전부(4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케이블부(20)의 저항을 차단한다. 그리고, 승강부(200)가 작동되어 유리창(300)이 하강하면, 회전부(40)가 케이블부(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케이블부(20)가 꼬임 없이 하방으로 쳐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1)는 도어부(100)에 장착된 승강부(200)에 유리창(300)에 결합되고, 유리창(300)의 상태를 변경하는 조절부(400)가 구비되어 조절부(4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유리창(300)이 상하 이동하더라도 케이블부(20)의 꼬임을 방지하고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11 : 배터리부
12 : 인버터부 13 : 변압부
20 : 케이블부 30 : 고정부
31 : 고정클립부 32 : 고정방수부
33 : 클립판부 34 : 클립고정부
35 : 클립관부 36 : 클립유도부
37 : 클립걸림부 40 : 회전부
41 : 회전몸체부 42 : 회전덮개부
45 : 회전원통부 46 ; 회전관부
50 : 보호부 51 ; 보호커버부
52 : 보호후크부 53 : 보호결합부
60 : 브라켓부 61 : 브라켓지지부
62 : 브라켓차단부 70 : 단자부
100 : 도어부 200 : 승강부
300 : 유리창 400 : 조절부

Claims (7)

  1. 도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는 케이블부;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관통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보호부;
    상기 도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유리창을 이동시키는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와 접속되며, 상기 유리창에 구비되는 조절부와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부에 조립되는 고정클립부; 및
    상기 도어부와 상기 고정클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고정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부는
    클립판부;
    상기 클립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도어부를 관통하여 걸림 고정되는 클립고정부;
    상기 클립판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부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립관부;
    상기 클립판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클립관부를 감싸고, 상기 회전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클립유도부; 및
    상기 클립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클립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제공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부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보호부가 장착되는 회전몸체부;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는 회전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보호커버부;
    상기 보호커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 후크 결합되는 보호후크부; 및
    상기 보호커버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보호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속되는 브라켓지지부; 및
    상기 브라켓지지부에 형성되고,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브라켓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KR1020220002633A 2022-01-07 2022-01-07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KR10260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33A KR102605353B1 (ko) 2022-01-07 2022-01-07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33A KR102605353B1 (ko) 2022-01-07 2022-01-07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908A KR20230106908A (ko) 2023-07-14
KR102605353B1 true KR102605353B1 (ko) 2023-11-24

Family

ID=8715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633A KR102605353B1 (ko) 2022-01-07 2022-01-07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3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871B2 (ja) * 1998-03-18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3990932B2 (ja) * 2002-04-26 2007-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構造
JP2014143781A (ja) * 2013-01-22 2014-08-07 Yazaki Corp 給電用保護チューブの配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79B1 (ko) * 2017-07-25 2019-10-23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 윈도우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871B2 (ja) * 1998-03-18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3990932B2 (ja) * 2002-04-26 2007-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構造
JP2014143781A (ja) * 2013-01-22 2014-08-07 Yazaki Corp 給電用保護チューブの配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908A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102112B (pt) Veiculo automovel com pelo menos uma porta corredica
US20150115648A1 (en) Sliding-door power feeding structure
KR20090060965A (ko) 덮개 부재, 도어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및 구동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EP1299613A1 (en) A screening arrangement
KR102605353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JP4508228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102605354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전원공급장치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JP5052268B2 (ja) 給電構造
JP5063266B2 (ja) 給電構造
JP7202277B2 (ja) 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KR20140010725A (ko) 파워 윈도우 안전장치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JP2009071892A (ja) 給電構造
KR0136952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의 와이어 지지 구조
KR102542310B1 (ko)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KR101857490B1 (ko)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의 전동 커튼 장치
JP5052266B2 (ja) 給電構造
KR100448406B1 (ko) 자동차용 윈도우글라스의 차양장치
KR100400812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379864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143949Y1 (ko) 선바이저
US20120097348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
KR100534270B1 (ko) 파워윈도우 작동모터 보호 장치
JP2009136072A (ja) 給電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