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090A - 액체 세정제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090A
KR20140010090A KR1020137025127A KR20137025127A KR20140010090A KR 20140010090 A KR20140010090 A KR 20140010090A KR 1020137025127 A KR1020137025127 A KR 1020137025127A KR 20137025127 A KR20137025127 A KR 20137025127A KR 20140010090 A KR20140010090 A KR 2014001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iquid detergent
preferable
group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980B1 (ko
Inventor
신 우메자와
호타카 아사노
유지로 아이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724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100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는 액체 세정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a)과,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함유하고,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식(a1)중, x와 y는 각각 1 내지 7의 정수이고, x+y=8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p는 PO의 평균반복수, q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p+q는 1 내지 10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액체 세정제{LIQUID CLEANER}
본 발명은, 액체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4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1-102349호, 및 2011년 5월 1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1-111607호, 특원2011-11145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식기류 또는 조리용구(調理用具) 등의 세정은, 통상,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더 부으면서 행하여진다.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식기류 또는 조리용구 등에 부착한 기름오염에 대해 높은 세정력, 거품일기, 포립성(泡立性)(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이 요구되고 있다.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나 거품일기, 포립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부엌용의 액체 세정제에는, 종래,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세정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이 적절히 조합되어 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과,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예를 들면, 특정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과,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와, 하이드로트로프제와, 유기용제와,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일본 특개2008-156589호 공보 일본 특개2008-156590호 공보 일본 특개2010-13579호 공보
그러나, 스펀지를 사용하여 식기류 등을 세정하고 있는 동안, 식기류 등의 표면이 거품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세정중에 오염 떨어짐을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헹굼을 마친 후가 아니면, 식기류 등으로부터 오염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가 없고, 헹굼을 마친 후에 식기류 등에 오염이 잔존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 세정을 다시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단순히, 저기포성의 세정제를 사용하면, 거품량이 충분하지 않은 또는 거품일기가 느린 등의 이유에 의해, 식기류 등이 오염 떨어짐에 대한 만족감을 얻기가 어렵다.
더하여, 식기류 또는 조리용구 등을 세정중에 거품량이 감소하여 온 경우나,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하는 경우는,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새롭게 더 부어서 세정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과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종래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포립성(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이 불충분하다. 또한, 액체 세정제가 스펀지에 다량으로 더 부어져서 그 사용량이 증가하면, 헹굼성(미끌거림의 없음, 거품 없어짐)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스펀지에 더 부어진 액체 세정제가 식기류 등에 직접 부착한 경우에는, 헹굼에 의해 식기류 등으로부터 미끌거림이 느껴지지 않게 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수고가 걸린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과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는, 우수한 세정력이나 포립성을 갖는 것이지만, 헹굼에 의해 손 피부에 계면활성제의 영향에 의한 미끌거림이 느껴지지 않게 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수고가 걸리고, 물의 사용량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액체 세정제가 스펀지에 다량으로 더 부어져서 그 사용량이 증가한 경우, 이러한 문제가 현저해진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발명으로는,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의 배합에 의해, 식기류 등의 세정시의 미끌거림의 저감이 도모되어 있지만, 그 미끌거림의 저감 효과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實感)할 수 있는 액체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라도, 포립성과 헹굼성이 모두 우수한 액체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세정 성능을 가지며, 또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범용되고 있는 직쇄알코올에톡시황산과, 아민옥시드형의 반극성(半極性)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에서는, 세정력이나 거품일기의 향상을 도모할 수는 있지만, 세정중에, 식기류 등의 표면이 거품에 덮여져 버려, 오염이 떨어진 상태가 헹군 후가 아니면 확인할 수가 없다. 이에 대해,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조합에서, 오염의 제거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량을 증량하면, 헹굼성(거품 없어짐의 좋음, 미끌거림의 없음)이 떨어지게 되고, 한편, 세정중의 거품량을 억제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량을 저감하면, 거품일기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일반적으로 회합(會合)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고, 저기포성 조성물용으로서 알맞은 성분이 되는 분기쇄상(分岐鎖狀)의 화합물중에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선택하고, 이 이외의 세정 성분과, 소정의 배합 비율로 병용함에 의해, 기포력(거품의 일기 쉬움, 거품량)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의 마찰감이 변화하여, 식기류 등으로부터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또한,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회합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고, 저기포성 조성물용으로서 알맞은 성분이 되는 분기쇄상의 화합물중에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선택함과 함께, 이들 이외의 세정 성분과 당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소정의 배합 비율로 병용함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회합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고, 저기포성 조성물용으로서 알맞은 성분이 되는 분기쇄상의 화합물중에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선택하고, 이 이외의 세정 성분과, 특정한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를 병용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는, 하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a)과,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함유하고,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중, x와 y는 각각 1 내지 7의 정수이고, x+y=8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p는 PO의 평균반복수, q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p+q는 1 내지 10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을 나타낸다]
또한, p+q는 0 내지 10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에서는,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화합물(c),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d), 하기 일반식(f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f)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화합물(c),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d), 하기 일반식(f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f)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d1)중, i와 j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6≤i+j≤12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s는 PO의 평균반복수, t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s+t는 6 내지 12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중, R1은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n은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1 내지 4의 수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a)성분+(b)성분]/(f)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3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라도, 포립성과 헹굼성이 모두 우수한 액체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세정 성능을 가지며, 또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는, 상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a)과,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함유한다.
이하, 이들 성분을 각각 (a)성분, (b)성분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또한 상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d)을 함유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또한 상기 일반식(f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f)을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경표면용의 세제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경표면(硬表面)」이란, 도기, 자기, 유리, 경질 플라스틱, 금속, 도장(塗裝)금속, 타일 등의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말한다. 그 구체례로서는, 식기류, 조리기구, 변기, 창유리, 차량의 유리, 안경, 투명 플라스틱, 거울 ; 욕조, 욕실의 벽이나 바닥, 싱크대, 세면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식기류, 조리기구 등의 부엌용의 세제로서 특히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a)>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화합물(a)은, 하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분기형 알킬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a)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우수한 포립성(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과 헹굼성이 부여된다.
(a)성분과, 후술하는 (b)성분과 (d)성분을 조합시켜서 사용함에 의해, 주로, 기름량이 많은 오염에 대해, 우수한 포립성(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과 헹굼성(미끌거림의 없음, 거품없어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름오염에 대해 높은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성분과, 후술하는 (b)성분과 (f)성분을 조합시켜서 사용함에 의해,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x와 y는 각각 1 내지 7의 정수이고, x+y=8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p는 PO의 평균반복수, q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p+q는 1 내지 10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을 나타낸다]
상기 식(a1)중, x와 y는, 각각 1 내지 7의 정수이고, x+y=8이다. x+y=8임에 의해,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게 된다(세정 끝남의 실감이 부여된다). 또한, x+y=8임에 의해, 포립성과 헹굼성이 함께 양호하게 된다. 또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CxH2x +1, CyH2y +1로서는, 각각, 직쇄상의 알킬기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세정 끝남의 실감, 거품의 일기 쉬움, 포립성의 관점에서, 및 포립성과 헹굼성과의 밸런스로부터 직쇄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CxH2x+1, CyH2y + 1는, 프로필기와 펜틸기의 조합(x와 y의 한쪽이 3이고, 다른쪽이 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a1)중,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p는 PO의 평균반복수, q는 EO의 평균반복수를 각각 나타낸다.
p+q는 1 내지 10이고, 하한치로서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또한, 상한치로서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p+q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이다.
p+q는 0 내지 10이라도 좋다. p+q가 0 내지 10임에 의해, 세정력이 우수하고, 포립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액체 세정제의 저온 안정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p+q가 상기 1 내지 10의 범위임에 의해, 또한, 후술하는 (b)성분과의 병용에 의해, 세정중이라도, 식기류 등으로부터 오염이 떨어지면,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게 되어, 세정 끝남의 실감을 얻어지기 쉽다. 더하여, 헹굼성(거품 없어짐의 좋음, 미끌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세정력이 높아지고, 거품이 일기 쉬워진다.
또한, p+q가 상기 1 내지 10의 범위임에 의해,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더하여, 세정력이 우수하고, 포립성, 헹굼성이 양호하게 된다.
(a)성분은 동적 계면장력(界面張力) 저하능이 높기 때문에, (a)성분은 세정액중에서의 확산 스피드가 빠르다.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a)성분과 (b)성분은,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오래 머무르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액체 세정제를 포함시킨 스펀지로 식기류 등을 세정중에, 기름오염 등이 제거되면,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뽀득뽀득」하는 마찰감을 느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q는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는, 세정 끝남의 실감, 거품일기, 포립성의 관점에서, 또한, 포립성과 헹굼성과의 밸런스로부터, 0 내지 9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O와 EO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 PO와 EO와의 배열 상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랜덤상(狀)으로 혼재하고 있어도 좋고, 블록상으로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p, q는, 각각 PO,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O, EO의 반복수가 다른 분자(PO 또는 EO를 갖지 않는 분자를 포함한다)의 집합체이다. 또한, CxH2x +1과 CyH2y +1의 조합이 다른 분자의 집합체라도 좋다.
상기 식(a1)중,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이고, (CxH2x +1)(CyH2y +1)CH-CH2O-(PO)p-(EO)q-SO3 -와 함께 수용성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알칼리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토류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알칸올아민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중에서도, (a)성분으로서는, 가르벳 반응에 의한 2분자 축합으로 얻어진, β위에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황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은, 가르벳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조형(槽型) 반응 방식, 필름형 반응 방식, 관형(管型) 기액 혼상류 반응 방식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액체 무수황산과의 혼합, 또는 SO3 가스와의 접촉 등에 의해 황산화한 후, 알칼리금속 화합물, 알칼리토류금속 화합물,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 등으로 중화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르벳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구체례로서는, BASF사제의 루텐졸P30(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3), 루텐졸P40(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4), 루텐졸L40(프로필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1,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3)(이상,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3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황산화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한 화합물,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황산화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한 화합물, 프로필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황산화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한 화합물 등이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a)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a)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3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성분의 배합량이 하한치 미만이면, 세정 끝남의 실감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거품이 일기 어려워지거나, 헹굼성이 저하되거나 하기 쉽다. 한편, 상한치를 초과하면, 헹굼성이 저하되기 쉽다.
(a)성분의 배합량이 하한치 이상이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또한, 세정 끝남의 실감(마찰감, 뽀득뽀득 느낌)을 얻을 수 있기 쉬워진다. 한편, 상한치를 초과하면, 헹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b)>
본 발명에서는,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과 상기 (a)성분을 소정의 배합 비율로 조합시켜서 사용함에 의해, 주로, 세정중에 식기류 등으로부터 오염이 떨어지면,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게 되어, 세정 끝남의 실감이 부여된다. 더하여, 기름오염에 대해 높은 세정력, 양호한 거품의 일기 쉬움과 헹굼성을 얻을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알킬베타인, 알킬아미드베타인 등), 술포베타인(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 등의 베타인형의 것 ; 글리신계의 것(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 아미노프로피온산계의 것 등의 아미노산형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 N-라우릴-N,N-디메틸암모늄-N-프로필술포베타인, N-라우릴-N,N-디메틸암모늄-N-(2-히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N-라우릴-N,N-디메틸-N-(2-히드록시-1-술포프로필)암모늄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 ; 2-라우릴-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나트륨 등의 글리신계의 것 ;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지푸로피온산나트륨 등의 아미노프로피온산계의 것을 들 수 있다.
(반극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 「반극성 계면활성제」란, 반극성 결합(무극성 결합 및 극성 결합 중간의 성질을 갖는 결합)을 갖는 계면활성제인 것이고, 반극성 계면활성제가 용해한 용액 또는 분산된 분산계의 pH에 의해,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극성(兩極性)이 되는 것을 말한다.
반극성 계면활성제중에서 알맞은 것으로서는, 아민알킬렌옥사이드형 계면활성제,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및 거품일기, 및 포립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아민옥시드, 알킬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중, R2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R3, R4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고, R5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다. B는 -CONH-, -NHCO-, -COO-, -OCO- 또는 -O-이다. r은 0 또는 1이다]
상기 식(b1)중, R2은,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이고, 탄소수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2의 알킬기, 알켄일기에서, 탄소수는 8 내지 18이고,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및 세정 끝남의 실감의 부여 효과가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10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R3, R4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히드록시알킬기이고,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R3 및 R4은 모두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5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다.
B는 -CONH-, -NHCO-, -COO-, -OCO- 또는 -O-이다. r은, 0 또는 1이고, 0이 바람직하다.
아민옥시드형 계면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야자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릴디에틸아민옥시드 등의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 ;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아민옥시드 등의 알카노일아미드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및 세정 끝남의 실감의 부여 효과가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중에서도, (b)성분으로서는, (a)성분과 병용하여, 또는 상기 (a)성분과 후술하는 (d)성분과 병용하여,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및 세정 끝남의 실감의 부여 효과가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술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 또는 알카노일아미드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계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액체 세정제중, (b)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b)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세정력이 높아지고, 거품이 보다 일기 쉬워진다. 또한, (b)성분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이상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아지고,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포립성이 보다 향상한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액체 세정제의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거품이 일기 어려워질(포립성이 저하될), 또한, 헹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b)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a)성분과 (b)성분과의 배합 비율은,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하한치로서 0.5 이상이고,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6 이하이고,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6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이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세정중의 세정 끝남의 실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거품이 일기 쉬워지고, 포립량 및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이 함께 양호하게 된다. 한편, 상한치 이하면, 세정중의 세정 끝남의 실감에 더하여,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한다.
<용매 : 물(水)>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액체 세정제의 조제하기 쉬움, 사용할 때의 물에의 용해성 등의 관점에서, 용매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세정제중의 물의 배합량은,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의 물의 배합량은,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90질량%가 바람직하고, 45 내지 8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의 배합량이 하한치 이상이면, 경시에 수반하는 액체 세정제의 액 안정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고, 상한치 이하면, 액 점도가 적당하게 낮아져서, 사용성의 관점에서 양호하게 된다.
<기타의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응하여, 상술한 성분 이외의 기타의 성분을 임의로 배합하여도 좋다.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경표면용 또는 의료용 등의 세정제에 사용되고 있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화합물(c))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화합물(c)(이하 「(c)성분」으로 한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세정시의 거품의 지속성,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높아진다.
(c)성분중에서 알맞은 것으로서는, 하기 일반식(c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중, R6은 탄소수 5 내지 19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은 옥시에틸렌기(-C2H4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0 내지 9의 수이다]
상기 식(c1)중, R6은, 탄소수 5 내지 19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직쇄상이라도 좋고, 분기쇄상이라도 좋다.
R6의 알킬기에서, 탄소수는 5 내지 19이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거품의 지속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탄소수 7 내지 13이 바람직하다.
m은, 옥시에틸렌기(-C2H4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0 내지 9의 수이고, 0 내지 4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2의 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상기 식(c1)에서의 R6=탄소수 11의 직쇄상의 알킬기, m=2), 폴리옥시에틸렌(2)카프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상기 식(c1)에서의 R6=탄소수 9의 직쇄상의 알킬기, m=2)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2)카프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액체 세정제중, (c)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c)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질량%이다.
(c)성분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거품의 지속성 향상의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거품의 지속성은 높아지지만, 거품이 일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c)성분/[(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하한치로서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c)성분/[(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하고, 한편, 상한치 이하면, 거품이 보다 일기 쉬워지고, 포립성, 포립량 및 헹굼성도 보다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c)성분/[(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화합물(d)>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화합물(d)(이하 「(d)성분」으로 한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성분은,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것이고, 알코올에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의 적어도 한쪽이 도입되고, 소수부(疎水部)(탄화수소기)가 β위의 탄소 원자에서 CiH2i + 1와 CjH2j +1로 분기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d)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스펀지에 다량의 기름오염이 부착하여도 포립성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또한, 세제액이 식기류 등에 직접 부착한 경우에도, 양호한 헹굼성을 얻을 수 있다.
더하여, (d)성분 배합에 의한 특유한 효과, 즉,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에 탄력감이 느껴지게 된다. 이 탄력감이 느껴짐으로써, 식기나 조리기구 등을 세정할 때,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더 붓는 회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액체 세정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것은,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면, (a)성분, (b)성분과 (d)성분, 또는 (a) 내지 (d)성분이 회합하여 크리미한 거품이 형성되기 때문에라고 생각된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d1)중, i와 j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6≤i+j≤12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s는 PO의 평균반복수, t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s+t는 6 내지 12이다]
상기 식(d1)중, i와 j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6≤i+j≤12이다. 그 중에서도, 액체 세정제의 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6≤i+j≤10이 바람직하고, 6≤i+j≤8이 보다 바람직하고, i+j=8이 특히 바람직하다.
i+j가 6 이상이면, 표면 활성을 나타내고, 액체면에의 흡착성이 높아지고,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이 함께 양호하게 된다. 또한,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에 탄력감이 느껴지게 된다. i+j가 12 이하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에 우수하다.
CiH2i +1, CjH2j +1로서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직쇄상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가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iH2i +1, CjH2j +1은, 에틸기와 부틸기의 조합, 프로필기와 펜틸기의 조합(이상, 어느 조합도 한쪽이 어느 기라도 좋다)이 바람직하고, 프로필기와 펜틸기의 조합(한쪽이 어느 기라도 좋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d1)중,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d)성분으로서는, 액체 세정제의 거품일기의 속도와 거품량이 보다 향상하고,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의 탄력감이 양호하게 얻어지기 때문에, 분자 내에 옥시에틸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옥시에틸렌기만을 갖는 것(옥시프로필렌기를 갖지 않는다),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것으로서 옥시에틸렌기의 쪽을 많이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옥시에틸렌기만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성분이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것인 경우,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 및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의 탄력감에 우수하기 때문에, 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반복수(s)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이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것인 경우, 이들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는, 랜덤상으로 혼재하고 있어도 좋고, 블록상으로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식(d1)중, s는 PO의 평균반복수, t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낸다. s+t는 6 내지 12이고, 9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9 또는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t가 6 이상이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에 우수하다. s+t가 12 이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에 탄력감이 느껴지게 된다. s+t가 9 또는 10이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에 보다 우수함과 함께, 액체 세정제를 스펀지에 포함시켜서 쥐었을 때에 탄력감이 보다 느껴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s, t는, 각각 PO,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식(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O, EO의 반복수가 다른 분자의 집합체이다.
(d)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d)성분으로서는, s=0, t=9 또는 10이고, i와 j의 한쪽이 3이고, 다른쪽이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성분으로서는, 가르벳 반응에 의한 2분자 축합으로 얻어진, β위에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이 특히 알맞은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판품으로서는, BASF사제의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d1)에서의 i+j=8, s=0, t=6의 화합물로 상품명 「Lutensol XP60」, 상기 식(d1)에서의 i+j=8, s=0, t=9의 화합물로 상품명 「Lutensol XP90」, 상기 식(c1)에서의 i+j=8, s=0, t=10의 화합물로 상품명 「Lutensol XP100」를 들 수 있다.
또한, BASF사제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d1)에서의 i+j=8, s+t=9의 화합물(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가 혼재한 것)로 상품명 「Lutensol XL90」, 상기 식(d1)에서의 i+j=8, s+t=10의 화합물(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가 혼재한 것)로 상품명 「Lutensol XL100」를 들 수 있다.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d)성분의 함유량은, 하한치로서,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이 하한치 이상이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한편, 상한치 이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a)성분과 (b)성분과 (d)성분과의 배합 비율은, [(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하한치로서,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내지 7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세정중의 세정 끝남의 실감을 얻을 수 있기 쉬워진다. 더하여, 거품이 보다 빨리 일기 쉬워진다. 한편, 상한치 이하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포립성과 헹굼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d)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a) 내지 (d)성분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성분/[(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상한치 이하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라도, 거품이 보다 빨리 일기 쉬워진다. 더하여, 거품량 및 헹굼성도 보다 양호하게 된다. 한편, 하한치 이상이면,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 「(c)성분/[(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 (d)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2가(價)금속염(e))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2가금속염(e)(이하 「(e)성분」으로 한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세정력이 높아진다.
(e)성분으로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취화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염 ; 염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취화칼슘, 질산칼슘 등의 칼슘염 ; 질산아연, 황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아세트산아연, 염화암모늄아연, 글루콘산아연, 주석산아연, 과염소산아연, 산화아연 등의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도, 세정력 향상의 효과에 더하여, 제균 효과, 항균 효과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연염이 바람직하고, 황산아연, 산화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e)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액체 세정제중, (e)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e)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질량%이다.
(e)성분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세정력 향상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또한, 제균 효과, 항균 효과도 얻기가 어렵다.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여도, 더한층의 세정력 향상이나, 제균 효과, 항균 효과의 향상은 기대할 수가 없다.
또한, 액체 세정제중, (e)성분 유래의 2가금속의 알맞은 농도로서는,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e)성분 유래의 2가금속의 알맞은 농도로서는,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0.4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가금속의 농도의 하한치 미만에서는, 세정력 향상의 효과나 제균 효과, 항균 효과(특히 아연의 경우)를 얻기가 어렵고, 한편, 상한치를 초과해도, 더한층의 세정력 향상이나 제균 효과, 항균 효과(특히 아연의 경우)의 향상은 기대할 수가 없다.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한, (e)성분 유래의 2가금속의 농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세정제중에, 황산아연7수화물(분자량 287.61) 1질량%를 함유하는 경우, 액체 세정제중의 아연의 함유량(질량%)은 다음과 같다.
액체 세정제중의 아연의 함유량
=액체 세정제중의 황산아연7수화물의 배합량×(아연의 분자량/황산아연7수화물의 분자량)
=1질량%×(65.39/287.61)
=0.23질량%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a)성분/(2가금속)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15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내지 3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저온에서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하고, 한편, 상한치 이하면, 세정력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a)성분/(2가금속)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e)성분 유래의 2가금속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화합물(f)>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화합물(f)(이하 「(f)성분」으로 한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성분은, 하기 일반식(f1)으로 표시되는 알킬글리세릴에테르이고, (a)성분과, (b)성분을 조합시켜서 사용함에 의해,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중, R1은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n은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1 내지 4의 수이다]
상기 식(f1)중, R1은,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이다.
R1의 알킬기, 알켄일기에서, 탄소수는 6 내지 14이고,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되기 쉽기 때문에, 탄소수 6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0이다.
그 중에서도, R1로서는,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보다 억제되기 때문에,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n-헥실기, 이소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n-노닐기, n-데실기, 이소데실기, n-라우릴기 등을 들 수 있고, 2-에틸헥실기, 이소데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f1)중, n은, (CH2CH(OH)CH2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1 내지 4의 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다.
(f)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중에서도, (f)성분으로서는,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보다 억제되기 쉬운 점, 및 포립성이 양호한점에서,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이소데실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액체 세정제중, (f)성분의 배합량은, 그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질량%이다.
(f)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보다 억제되고, 포립성의 양호한 조성물을 얻기가 쉽다. 또한, (f)성분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손 피부의 미끌거림의 억제의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경향으로 되고,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 포립성이 저하되는 경향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 「[(a)성분+(b)성분]/(f)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f)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a)성분과 (b)성분과 (f)성분과의 배합 비율은, [(a)성분+(b)성분]/(f)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하한치로서,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 내지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한다. 한편, 상한치 이하면,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보다 억제된다.
(하이드로트로프제(g))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는, 하이드로트로프제(g)(이하 「(g)성분」으로 한다)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주로, 액체 세정제의 보존 안정성(특히 저온 안정성)이 향상하고, 투명 외관을 보다 안정에 확보하기 쉬워진다.
(g)성분으로서는, 방향족 술폰산 또는 그 염, 방향족 카르본산 또는 그 염,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 이외의 수용성 용제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폰산으로서는, 톨루엔술폰산, 쿠멘술폰산, 크실렌술폰산,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톨루엔술폰산, 쿠멘술폰산이 바람직하다.
톨루엔술폰산, 쿠멘술폰산은, 각각 o체(體), m체, p체의 3이성체의 어느것이라도 좋고, 이들중에서도 용이하게 입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p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p-톨루엔술폰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카르본산으로서는, 안식향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폰산염, 방향족 카르본산염에서의 염의 형태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의 염 ;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의 염 ; 암모늄염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칼리금속의 염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중, 1가(價)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내지 4의 다가(多價) 알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수용성 용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페닐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g)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g)성분으로서는, 특히 저온 조건이라도 보존 안정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방향족 술폰산 또는 그 염, 방향족 카르본산 또는 그 염, 및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술폰산, 방향족 술폰산염, 방향족 카르본산, 방향족 카르본산염, 및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톨루엔술폰산,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 쿠멘술폰산염, 안식향산, 안식향산염 및 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톨루엔술폰산, 톨루엔술폰산염, 쿠멘술폰산, 쿠멘술폰산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과, 에탄올을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액체 세정제중, (g)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하한치로서,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액체 세정제중, (g)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액체 세정제의 총 질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질량%이다.
(g)성분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하한치 미만이면, (g)성분의 배합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한편, 바람직한 상한치를 초과하면, 세정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서, (g)성분/[(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0.15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저온에서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하고, 한편, 상한치 이하면, 세정력, 거품일기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 (g)성분/[(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는, 하한치로서,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로서,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15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의 범위 내이면, 액체 세정제의 저온 안정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더하여, 당해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거품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하고, 한편, 상한치 이하면, 거품이 보다 빨리 일기 쉬워지고, 거품량도 보다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g)성분/[(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란,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 (d)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g)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는, 상술한 성분 이외의 기타의 성분으로서, 상기한 (a)성분 및 (b)성분을 제외한 계면활성제, 수산화나트륨, 황산, 글리콜산 등의 pH 조정제 ; 킬레이트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효소, 향료 등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pH는, 25℃에서의 pH가 5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pH가 6.5 내지 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체 세정제의 pH가 5 이상이면, (a)성분과 (b)성분과의 상호작용이 너무 강하지 않고, 적당하게 억제되기 때문에, 양 성분 모두 양호하게 용존하고, 액체 세정제의 투명 외관을 보다 안정에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액체 세정제의 겔화 또는 고화가 보다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pH가 8 이하면, (a)성분과 (b)성분과의 상호작용이 너무 약해지지 않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액체 세정제의 거품일기와 거품(포립성과 거품량)의 지속성이 보다 향상한다.
액체 세정제(25℃로 조온(調溫))의 pH는, pH 미터(제품명 : 호리바F-22, (주)호리바제작소제)를 사용하여, JIS K3362-199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분기 구조를 갖는 황산에스테르염의 화합물(a)과,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소정의 배합 비율((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 0.5 내지 6)로 함유한다. 이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로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분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회합 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품일기를 억제하는데 (제포제, 저기포성 조성물용 등으로서)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a)성분은, (b)성분과 소정의 배합 비율로 혼합함에 의해, 안정된 회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β위에서 분기된 특이적인 구조를 갖는 (a)성분은, 일반적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동적 계면장력 저하능이 높다. 이 때문에, (a)성분은 세정액중에서의 확산 스피드가 빠르고, 이에 수반하여 (a)성분 및 (b)성분은,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오래 머무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액체 세정제를 포함시킨 스펀지로 식기류 등을 세정중에, 기름오염 등이 제거되면, 스펀지와 식기류 등과의 사이에 「뽀득뽀득」하는 마찰감을 느껴지게 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높은 세정력을 갖음과 함께, 거품이 일기 쉽고, 또한, 헹굼성이 양호하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성분이 동적 표면장력 저하능이 높기 때문에, (a)성분이 기름오염 등에 재빠르게 흡착하고, 이에 수반하여 (b)성분의 기름오염에의 흡착도 빨라지고, 기름오염의 분해(분산, 용해)가 촉진된다. 또한, 계면활성제 분자막이 신속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품이 일기 쉽게(거품일기가 빠르게)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β위만의 분기 구조는, 일반적인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소수기가 부피가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기액 계면에 조밀하게 배향하기 어렵고, 세정액이 희석되면 파포(破泡)되기 쉬움에 의해, 헹굼성(거품 없어짐의 좋음, 미끌거림의 없음)이 좋아진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라도, 포립성(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과 헹굼성(미끌거림의 없음, 거품없어짐)이 모두 우수하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로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는, 특정한 분기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소정의 배합 비율((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 0.5 내지 6)로 함유함과 함께, 특정한 분기 구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d)를 함유한다.
β위에서 분기된 특이적인 구조를 갖는 (a)성분은, 일반적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동적 계면장력 저하능이 높다. 이에 의해, (a)성분은, 새롭게 계면이 생기면, 그 계면에 재빠르게 배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β위에서 분기된 특이적인 구조를 갖는 (d)성분도, 세정할 때, 기액 계면에 배향하는 것이 빠른 특성을 갖는다. 이에 수반하여, (b)성분의 기액 계면에의 배향도 빨라진다. 또한, (b)성분은 (a)성분과 소정비율로 배합되고, (a) 내지 (d)성분이 기액 계면에 배향한 후, (a)성분과 (b)성분과의 사이의 정전적 작용, 및 (a)성분 및 (d)성분중의 적당한 반복수의 옥시알킬렌기와 (b)성분에서의 친수성의 부분과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된 회합 상태가 형성된다. 이들 작용에 의해, (a) 내지 (d)성분의 계면활성제 분자막의 형성이 촉진된다. 이 때문에,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부착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라도, 거품일기가 빠르고, 풍부한 양의 거품이 재빠르게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a)성분과 (d)성분에서는, 모두 β위의 분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소수기가 부피가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기액 계면에 조밀하게 배향하기 어렵고, 세정액이 희석되면 파포되기 쉽다. 이 때문에, 헹굼성이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우수한 세정 성능을 가지며, 또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의 한 양태는, 특정한 분기 구조를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과, 특정한 알킬글리세릴에테르(f)를 함유한다.
β위에서 분기된 특이적인 구조를 갖는 (a)성분은, 일반적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동적 계면장력 저하능이 높다. 이에 의해, (a)성분은, 새롭게 계면이 생기면, 그 계면에 재빠르게 배향할 수 있는다. 그 때문에, 세정시, (a)성분이 기름오염 등에 재빠르게 흡착하고, 이에 수반하여 (b)성분의 기름오염에의 흡착도 빨라지고, 기름오염의 분해(분산, 용해)가 촉진된다. 더하여, (a)성분은 β위의 분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기쇄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소수기가 부피가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계면에 조밀하게 배향하기 어렵고, 헹굼에 의해 씻겨내지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a)성분과, (b)성분 및 (f)성분과의 상승적인 작용에 의해, 특히 액체 세정제가 스펀지에 다량으로 더 부어져서 그 사용량이 증가한 경우라도, 헹굼에 의해 이들 성분이 손가락으로부터 신속하게 씻겨내지기 때문에,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는, 스펀지에 더 부으면서 세정이 행하여질 때,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기 때문에, 과잉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손 피부가 미끌거리는 일이 있는,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로서도 알맞은 것이다.
실시례
이하에 실시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액체 세정제의 조제>
표에 표시하는 배합 조성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미배합의 성분이 있는 경우, 그 성분은 배합하지 않는다)에 의해, 각 예의 액체 세정제를 각각 조제하였다.
표중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고, 어느 성분도 순분 환산량을 나타낸다. (e)성분에 관해서는, 상단에 2가금속염(e-1 및 e-2는 함수염)으로서의 배합량, 하단의 괄호 내에 2가금속 환산량을 나타내었다. e-1 및 e-2에 관한 2가금속 환산량은 아연 환산량, e-3에 관한 2가금속 환산량은 마그네슘 환산량을 각각 나타낸다.
각 예의 액체 세정제는, 표에 기재된 각 성분의 합계가 100질량%가 되도록 물로 밸런스하여 조제하였다. 각 성분은 50℃로 보온한 것을 사용하였다.
[액체 세정제의 제조 방법]
우선, 200㎖ 비커에, (a)성분 또는 (a')성분과, (c)성분 또는 (c')성분과, (d)성분 또는 (d')성분과, (e)성분과, (f)성분과 (g)성분과 PEG1000을 넣고, 마그네틱 스티어러에 의해 교반하였다. 다음에, (b)성분을 넣고 교반하였다.
뒤이어, 전체량(전체량을 100질량부로 한다)이 93질량부가 되도록 물을 넣어서 교반하였다. 그 후, 글리콜산과 수산화나트륨(0.1N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전체량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나머지 물을 가하여 밸런스하여, 각 예의 액체 세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물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밸런스」는, 액체 세정제에 포함되는 전 배합 성분의 합계의 배합량(질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가하여진 잔부를 의미한다.
수산화나트륨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적량」은, 소정량의 글리콜산을 배합한 후, 액체 세정제의 pH(25℃)를 7.0으로 조정하기 위해 배합한 수산화나트륨의 양을 나타낸다.
pH 측정은, 액체 세정제를 25℃로 조정하고, 유리 전극식 pH 미터(제품명 : 호리바F-22, (주)호리바제작소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JIS K3362-1998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표중, (a)/(b)는, 액체 세정제중의 (b)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c)/[(a)+(b)]는,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a)/(2가금속)는, 액체 세정제중의 (e)성분 유래의 2가금속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a)+(b)]/(d)는, 액체 세정제중의 (d)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c)/[(a)+(b)+(d)]는,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 (d)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a)+(b)]/(f)는, 액체 세정제중의 (f)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a)성분과 (b)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g)/[(a)+(b)+(d)]는, 액체 세정제중의 (a)성분과 (b)성분과 (d)성분과의 합계의 함유량에 대한, (g)성분의 함유량의 비율(질량비)을 의미한다.
이하에, 표중에 표시한 성분에 관해 설명한다.
·(a)성분
a-1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식(a1)에서의 CxH2x +1=프로필기, CyH2y +1=펜틸기, x+y=8, p=0, q=3, M=나트륨에 상당.
[a-1의 조제례]
BASF사제 「Lutensol XP30」 290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1을 얻었다.
a-2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식(a1)에서의 CxH2x +1=프로필기, CyH2y +1=펜틸기, x+y=8, p=0, q=4, M=나트륨에 상당.
[a-2의 조제례]
BASF사제 「Lutensol XP30」 대신에, BASF사제 「Lutensol XP40」 334g을 사용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하였다.
a-3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일반식(a1)에서의 CxH2x +1=프로필기, CyH2y +1=펜틸기, x+y=8, p=1, q=3, M=나트륨에 상당.
[a-3의 조제례]
BASF사제 「Lutensol XP30」 대신에, BASF사제 「Lutensol XL40」 349g을 사용한 이외는,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하였다.
a-4 : 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식(a1)에서의 CxH2x+1=프로필기, CyH2y +1=펜틸기, x+y=8, p=0, q=0, M=나트륨에 상당.
[a-4의 조제례]
헥실알데히드를 알칼리에 의해 게르베 축합(2량화)시키고, 이에 의해 얻어진 2-프로필헵탄올 58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4를 얻었다.
·(a)성분의 비교성분[이하 「(a')성분」으로 표시한다]
a'-1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부틸옥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식(a1)에서의 CxH2x +1=부틸기, CyH2y +1=헥실기, x+y=10, p=0, q=2, M=나트륨에 상당.
[a'-1의 조제례]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사소루제의 상품명 「ISOFOL12」(상기 식(a1)에서의 CxH2x +1=부틸기, CyH2y +1=헥실기) 372g과, 수산화칼륨 촉매 0.8g을 넣고,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고,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그 후, 온도 180℃, 압력 0.3mPa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시드 181g을 도입하여,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2의 반응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74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1을 얻었다.
a'-2 : 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황산에스테르Na, 상기 식(a1)에서의 CxH2x+1=프로필기, CyH2y +1=펜틸기, x+y=8, p=0, q=0, M=나트륨에 상당.
[a'-2의 조제례]
헥실알데히드를 알칼리에 의해 게르베 축합(이량화)시켜서, 이것에 따라 얻어진 2-프로필헵탄올58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2를 얻었다.
a'-3 : 탄소수 13의 분기 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평균 3몰 부가품의 황산화물.
[a'-3의 조제례]
BASF사제 「Lutensol TO3」 332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3을 얻었다.
a'-4 : 탄소수 12 내지 13의 합성 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평균 3몰 부가품의 황산화물.
[a'-4의 조제례]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사소루제의 상품명 「Safol23」 400g과, 수산화칼륨 촉매 0.8g을 넣고,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고,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그 후, 온도 180℃, 압력 0.3mPa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시드 271g을 도입하여,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3의 반응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334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4를 얻었다.
a'-5 : 탄소수 12 내지 13의 합성 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평균 2몰 부가품의 황산화물.
[a'-5의 조제례]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셸사제의 상품명 「네오도르 23」 400g과, 수산화칼륨 촉매 0.8g을 넣고,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고,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그 후, 온도 180℃, 압력 0.3mPa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시드 181g을 도입하여,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 2의 반응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80g을 교반 장치 부착의 500㎖ 플라스크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a'-5를 얻었다.
·(b)성분
b-1 : AX, C12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라이온아크조사제, 상품명 「아로목스DM12D-W」).
b-2 : HSB, N-라우릴-N,N-디메틸-N-(2-히드록시-1-술포프로필)암모늄술포베타인, 약칭 C12 히드록시술포베타인(가오주식회사제, 상품명 「안히톨20HD」).
·(c)성분
c-1 : C12MEA(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상기 식(c1)에서의 R6=탄소수 11의 직쇄상의 알킬기, m=2.약칭 LME(2).
[c-1의 조제례]
라우린산메틸(라이온주식회사제, 상품명 「파스텔 M-12」) 214g에, 모노에탄올아민(도쿄화성공업주식회사제) 64.1g과, 소지움메치라토(주식회사닛폰촉매제, 상품명 「SM-28」, 28질량%품) 7.7g(1.0질량%대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가하고, 부생(副生)하는 메탄올을, 감압하(減壓下) 유거(留去)하면서 가열 교반(40Pa 내지 1.3kPa, 90℃, 1시간)하여, 반응 압력이 1.3kPa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 온도 90℃로 3시간 숙성하여,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240g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를 1ℓ용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에틸렌옥시드를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에 대해 1.0몰분 넣고, 90℃로 2시간 걸려서 부가 반응을 행하여, C12MEA(2)를 얻었다.
c-2 : C10MEA(2),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상기 식(c1)에서의 R6=탄소수9의 직쇄상의 알킬기, m=2.약칭 CME(2).
[c-2의 조제례]
C10MEA(2)는, 라우린산메틸 대신에 카프린산메틸(라이온주식회사제, 상품명 「파스텔 M-10」)을 사용한 이외는, C12MEA(2)와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하였다.
·(d)성분
d-1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P6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0, t=6에 상당.
d-2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P9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0, t=9에 상당.
d-3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P10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0, t=10에 상당.
d-4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L9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t=9(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가 혼재한 것)에 상당.
d-5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L10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1=펜틸기, i+j=8, s+t=10(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가 혼재한 것)에 상당.
·(d)성분의 비교성분[이하 「(d')성분」으로 표시한다]
d'-1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P4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0, t=4에 상당.
d'-2 : 폴리옥시에틸렌모노(2-프로필헵틸)에테르, BASF사제, 상품명 「Lutensol XP140」, 상기 일반식(d1)에서의 CiH2i +1=프로필기, CjH2j +1=펜틸기, i+j=8, s=0, t=14에 상당.
·(e)성분
e-1 : 황산아연7수화물, 준세이화학(주)제, 시약 특급(7수화물의 분자량 289).
e-2 : 산화아연, 미쓰이금속주식회사제(분자량 81).
e-3 : 황산마그네슘7수화물, 우마이화성공업제, 정제 황산마그네슘(7수화물의 분자량 247).
·(f)성분
f-1 : 2-에틸헥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상기 식(f1)에서의 R1=2-에틸헥실기, n=1에 상당.
f-2 : 이소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상기 식(f1)에서의 R1=이소데실기, n=1에 상당.
·(f)성분의 비교성분[이하 「(f')성분」으로 표시한다]
f'-1 : 이소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상기 식(f1)에서의 R1=이소데실기, n=6에 상당.
·(g)성분
g-1 : p-톨루엔술폰산, 교와발효케미컬주식회사제, p-톨루엔술폰산의 약칭 p-TSH.
g-2 : 에탄올, 준세이화학주식회사제, 시약 특급.
·기타의 성분
PEG1000 : 폴리에틸렌글리콜1000, 라이온주식회사제, 상품명 「PEG#1000」(평균분자량 1000).
글리콜산 : 듀폰사제, 상품명 「구리퓨아70」.
수산화Na : 수산화나트륨, 쓰루미소다(주)제.
물 : 수돗물.
<액체 세정제의 평가>
각 예의 액체 세정제에 관해,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방법에 의해 각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에 병기하였다.
[거품의 일기 쉬움의 평가]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물 38g과 각 예의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5회 손으로 주무른 후의 상태(거품이 이는 상태)에 관해, 하기한 평가 기준(a)에 따라, 10명에 의해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a))
3점 : 스펀지의 표면 전체를 거품이 모두 덮었다.
2점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80% 이상, 100% 미만이였다.
1점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50% 이상, 80% 미만이였다.
0점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50% 미만이였다.
그 10명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b)에 따라 거품의 일기 쉬움(거품일기의 속도)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b))
S : 10명의 평균치가 2.8점 이상.
A : 10명의 평균치가 2.6점 이상, 2.8점 미만.
B : 10명의 평균치가 2.4점 이상, 2.6점 미만.
C : 10명의 평균치가 2.4점 미만.
[세정 끝남의 실감의 평가]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코치부라이트)에, 물 38g과 각 예의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올리브유 1g과 물 5㎖을 담은 도기(陶器) 접시(皿)(φ=23㎝)를, 상기 스펀지로 문지르면서 세정하였다. 상기 세정은, 도기 접시(φ=23㎝)의 1면에 5회 원을 그리도록, 뒤이어 다른쪽의 면에 2회 원을 그리도록, 마지막으로 상기 도기 접시의 주위를 1주(周), 각각 스펀지로 문지르는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하기한 평가 기준(c)에 따라, 세정중의 도기 접시의 세정 끝남의 실감에 관한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c))
2점 : 세정중에, 도기 접시로부터 오염이 떨어진 것이, 스펀지와 도기 접시와의 사이에서의 마찰의 변화에 의해 확실히 느껴졌다.
1점 : 세정중에, 도기 접시로부터 오염이 떨어진 것이, 스펀지와 도기 접시와의 사이에서의 마찰의 변화에 의해 느껴졌다.
0점 : 세정중에, 스펀지와 도기 접시와의 사이에서의 마찰의 변화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평가 기준(c)의 2점 및 1점의 경우, 스펀지와 도기 접시와의 사이에 마찰을 느낀 시점에서 문지르는 세정을 중단하고, 거품이 잔존한 도기 접시를 수돗물(유속 100㎖/s, 25℃)로 5초간 헹구고, 도기 접시로부터 오염이 떨어져 있는지의 여부에 관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어느 경우도,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손으로 만진 때의 미끌거림도 느껴지지 않고, 도기 접시로부터 오염이 떨어져 있다.
이러한 세정 끝남의 실감의 평가는, 10명에 의해 행하고, 그 10명의 평균점을 산출하고, 표에 표시하였다.
[헹굼성의 평가-1]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물 38g과 각 예의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상기 스펀지를 5회 손으로 주물러서 거품을 일게 하였다. 거품을 일게 한 스펀지로, 도기 접시 5잔(φ=23㎝)을, 그 도기 접시 표면에 원을 그리도록 5회 문질렀다. 다음에, 거품이 잔존하는 도기 접시를, 수돗물(유속 100㎖/s, 25℃)로 헹구고 있는 동안에, 거품이 없어지고 나서, 손가락으로 미끌거림이 느껴지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조작을 5회 반복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헹굼성을 평가하였다. A 이상을 헹굼성이 양호로 하였다.
(평가 기준)
S : 5회의 평균치가 30초 이내였다.
A : 5회의 평균치가 31 내지 35초의 범위 내였다.
B : 5회의 평균치가 36 내지 40초의 범위 내였다.
C : 5회의 평균치가 41초 이상이었다.
[세정력의 평가]
우지(牛脂) 1g을, 세로 10㎝×가로 15㎝×높이 5㎝의 투퍼웨어 내면의 전면(全面)에 균일하게 되도록 도포하여 오구(汚垢) 모델로 하였다.
뒤이어,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25℃ 수돗물 38g과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몇 회 손으로 주무른 후, 상기 오구 모델을 가정에서 통상 행하여지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세정하였다.
뒤이어, 25℃의 수돗물로 잘 헹군 후, 투퍼웨어 내면의 우지가 도포되어 있던 부위를 손으로 만진 때의 촉감에 관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하기한 평가 기준(S 내지 A가 합격 범위)에 따라 행하고, 기름오염에 대한 세정력의 평가로 하였다.
(평가 기준)
SSS : 투퍼웨어의 어느 부위를 만져도,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전혀 느껴지지 않고, 손가락으로 비빈 때에 마찰력이 강하게 느껴졌다.
SS : 투퍼웨어의 어느 부위를 만져도,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전혀 느껴지지 않고, 손가락으로 비빈 때에 마찰력이 느껴졌다.
S : 투퍼웨어의 어느 부위를 만져도,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이 느껴지지 않았다.
A : 투퍼웨어 내측의 모서리의 부위에는 약간 미끌거림가 남아 있지만, 투퍼웨어 내측의 바닥면 및 측면을 만지면,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느껴지지 않고, 문제가 없는 레벨이였다.
B : 투퍼웨어 내측의 바닥면을 만지면, 기름에 의한 피막이 없고, 기름의 잔류에 의한 미끌거림은 느껴지지 않지만, 투퍼웨어 내측의 측면이나 모서리의 부위에 미끌거림이 남아 있다.
C : 투퍼웨어 전체에 미끌거림이 느껴지고, 분명히 기름이 잔류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거품의 지속성의 평가]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물 38g과 각 예의 액체 세정제 2g을 취하고, 3회 손으로 주물렀다. 그 후, 상기 스펀지와, 올리브유 1g과 물 5g을 담은 도기 접시(φ=23㎝)을 접촉시켜서, 오염과 스펀지를 융합하게 하였다.
그 후, 스펀지를 도기 접시에 꽉 누른 상태에서, 그 도기 접시 표면에 원을 2주(周) 그리도록 움직여서 문질러 씻기를 시행하였다. 거품이 도기 접시 표면 전체의 5%가 된 시점을 종점으로 하고, 상기 종점까지 씻음을 마친 도기 접시의 매수를 구하고, 거품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해, 거품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S : 도기 접시의 매수가 24장 이상이었다.
A : 도기 접시의 매수가 22 내지 23장이였다.
B : 도기 접시의 매수가 20 내지 21장이였다.
C : 도기 접시의 매수가 19장 이하였다.
[포립성의 평가]
본 시험 방법은 기름량이 많은 오염이 공존한 경우의, 거품의 일기 쉬움을 평가하였다.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물 38g과, 액체 세정제 2g과, 올리브유 2g을 취하고, 5회 손으로 주무른 후의 상태(거품이 이는 상태)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가 S, A의 것을, 포립성(거품량, 거품일기의 속도)이 양호하다고 하였다.
(평가 기준)
S : 스펀지의 표면 전체를 거품이 모두 덮여 있다.
A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80% 이상, 100% 미만이었다.
B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50% 이상, 80% 미만이었다.
C : 스펀지 표면을 덮는 거품의 비율이, 스펀지의 표면적의 50% 미만이었다.
[헹굼성의 평가-2]
본 시험은 액체 세정제가 직접 식기에 부착한 경우의 식기의 헹구기 쉬움을 평가하였다.
도기 접시(φ=23㎝)상에 액체 세정제 1.0g을 담고, 그 액체 세정제를 상기 도기 접시의 1면 전체에 손가락으로 가볍게 편 것 1장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5ℓ/min의 유속의 수돗물(25℃)로, 이 1장의 상기 도기 접시를 헹구었다. 그 때, 액체 세정제 유래의 미끌거림이 없어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헹굼 시간을 스톱 워치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10명에 의해 행하여, 헹굼시간의 평균치를 구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헹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S : 헹굼시간이 3초 이상, 6초 미만이었다.
A : 헹굼시간이 6초 이상, 9초 미만이었다.
B : 헹굼시간이 9초 이상, 12초 미만이었다.
C : 헹굼시간이 12초 이상이었다.
[손 피부의 미끌거림성의 평가]
세로 11.5㎝×가로 7.5㎝×높이 3㎝의 식기세정용 스펀지(스미토모스리엠(주)제, 상품명 : 스카치브라이트)에, 물 38g과 각 예의 액체 세정제 6g을 취하고, 당해 스펀지를 5회 손으로 주물러서 거품을 일게 하였다. 거품이 일어난 스펀지로, 도기 접시 5장(φ=23㎝)을, 그 도기 접시 표면에 원을 그리도록 5회 문지러 씻었다. 그 후, 수돗물(유속 100㎖/s, 25℃)로 손을 헹구고, 손가락의 미끌거림이 없어질 때까지의 헹굼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헹굼시간의 측정은, 5명에 의해 행하고, 그 5명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손 피부의 미끌거림성을 평가하였다. A, S를, 손 피부의 미끌거림의 없음이 양호하다고 하였다.
(평가 기준)
손가락의 미끌거림이 없어질 때까지의 헹굼시간(5명의 평균치)이,
SS : 4초 이하이였다.
S : 5 내지 7초의 범위 내였다.
A : 8 내지 10초의 범위 내였다.
B : 11 내지 20초의 범위 내였다.
C : 21초 이상이었다.
[저온 안정성의 평가]
각 예의 액체 세정제100㎖을, 직경 50㎜, 높이 100㎜의 원통 유리병에 충전하고, 뚜껑을 닫고 밀봉하였다. 이 상태에서, -5℃(저온 조건)의 항온조 내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의 액체 세정제의 외관에 관해,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균일 투명」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 석출물의 존재가 인정된 경우는 「원통 유리병의 전 체적에 대한, 석출물이 존재하고 있는 양의 비율(%)」을 구함에 의해, 액체 세정제의 저온 안정성(외관)을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9
[표 2]
Figure pct00010
[표 3]
Figure pct00011
[표 4]
Figure pct00012
표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 1 내지 29의 액체 세정제는, 거품이 일기 쉽고, 세정 끝남의 실감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례 1 내지 29의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하여, 실시례 1 내지 29의 액체 세정제는, 헹굼성이 양호하고, 세정력에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3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c)성분을 또한 함유하는 실시례 15 내지 22의 액체 세정제는, 거품의 지속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실시례 2, 14, 23 내지 29의 액체 세정제의 평가 결과로부터, (e)성분을 또한 함유함에 의해, 세정력이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표 5]
Figure pct00013
[표 6]
Figure pct00014
[표 7]
Figure pct00015
[표 8]
Figure pct00016
표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 30 내지 58의 액체 세정제는, 세정 끝남의 실감에 우수하고, 기름량이 많은 오염에 대해서도 포립성에 우수하고, 또한, 헹굼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표 9]
Figure pct00017
[표 10]
Figure pct00018
[표 11]
Figure pct00019
표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 59 내지 76의 액체 세정제는, 우수한 세정 성능을 가지며, 또한, 식기류 등을 세정할 때의 손 피부의 미끌거림이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사용 가능]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에 의하면, 기포력을 유지하면서, 세정중에 식기류 등이 거품에 덮여 있어도, 오염이 떨어진 것을 실감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Claims (6)

  1. 하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a)과, 양성 계면활성제 및 반극성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한쪽(b)을 함유하고,
    (a)성분/(b)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0.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화학식 1]
    Figure pct00020

    [식중, x와 y는 각각 1 내지 7의 정수이고, x+y=8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p는 PO의 평균반복수, q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p+q는 1 내지 10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화합물(c)을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d)을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화학식 2]
    Figure pct00021

    [식(d1)중, i와 j는 각각 1 내지 6의 정수이고, 6≤i+j≤12이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s는 PO의 평균반복수, t는 EO의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s+t는 6 내지 12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a)성분+(b)성분]/(d)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f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f)을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화학식 3]
    Figure pct00022

    [식중, R1은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n은 평균반복수를 나타내고, 1 내지 4의 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a)성분+(b)성분]/(f)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3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KR1020137025127A 2011-04-28 2012-04-27 액체 세정제 KR101900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2349 2011-04-28
JPJP-P-2011-102349 2011-04-28
JP2011111458 2011-05-18
JPJP-P-2011-111458 2011-05-18
JP2011111607 2011-05-18
JPJP-P-2011-111607 2011-05-18
PCT/JP2012/061351 WO2012147915A1 (ja) 2011-04-28 2012-04-27 液体洗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090A true KR20140010090A (ko) 2014-01-23
KR101900980B1 KR101900980B1 (ko) 2018-09-20

Family

ID=4707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127A KR101900980B1 (ko) 2011-04-28 2012-04-27 액체 세정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64654B2 (ko)
KR (1) KR101900980B1 (ko)
CN (1) CN103502412B (ko)
TW (1) TWI573866B (ko)
WO (1) WO2012147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9392B2 (ja) * 2011-04-28 2015-09-1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
CN104736228B (zh) * 2012-09-29 2017-08-18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阴离子表面活性剂组合物和其用途
RU2632874C2 (ru) 2012-12-28 2017-10-11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Композиция жидкого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одежды
EP3080235B1 (en) * 2013-12-11 2020-06-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pe-free surfacta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textile applications
JP6472984B2 (ja) * 2014-11-12 2019-02-20 花王株式会社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CN111454784A (zh) * 2020-04-30 2020-07-28 中山榄菊日化实业有限公司 一种地板清洁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3576B1 (en) * 1993-10-12 2000-03-01 Stepan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salts of alpha sulfonated fatty acid methyl or ethyl esters, and anionic surfactants
JP4236755B2 (ja) * 1998-02-26 2009-03-11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3617838B2 (ja) * 2003-01-28 2005-02-09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WO2004092315A1 (ja) * 2003-04-14 2004-10-28 Kao Corporation 洗浄剤組成物
JP2007016132A (ja) * 2005-07-07 2007-01-25 Kao Corp 硬質表面用洗浄剤
JP4877912B2 (ja) 2005-12-01 2012-02-15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7169438A (ja) 2005-12-21 2007-07-05 Lion Corp 硬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130595B2 (ja) * 2006-12-01 2013-01-30 ライオン株式会社 台所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283251B2 (ja) 2006-12-01 2013-09-0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091396A (ja) * 2007-10-04 2009-04-30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シャボン玉組成物
JP5148391B2 (ja) * 2008-07-04 2013-02-20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337534B2 (ja) 2009-03-02 2013-11-06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500873B2 (ja) * 2009-05-29 2014-05-21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3866B (zh) 2017-03-11
CN103502412B (zh) 2015-06-24
CN103502412A (zh) 2014-01-08
WO2012147915A1 (ja) 2012-11-01
JPWO2012147915A1 (ja) 2014-07-28
TW201300522A (zh) 2013-01-01
JP5764654B2 (ja) 2015-08-19
KR101900980B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08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56844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140010090A (ko) 액체 세정제
JP543920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439206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439205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200181532A1 (en) Liquid hand dishwashing cleaning composition
JP5779392B2 (ja) 液体洗浄剤
JP200426295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3194212A (ja) 液体洗浄剤
JP4198530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7278061B2 (ja) 食器用洗浄剤組成物
JP543920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4932461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802612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
KR102410873B1 (ko) 식기 세정용 액체 세정제
JP373075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6192231B2 (ja) 食器洗い用液体洗浄剤
JP5802604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
JP2009256527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393299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0018680A (ja) 台所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6807273B2 (ja) 食器用洗浄剤
JP201115323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941293B1 (ko) 부엌용 액체 세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