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542A -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9542A KR20140009542A KR1020137032190A KR20137032190A KR20140009542A KR 20140009542 A KR20140009542 A KR 20140009542A KR 1020137032190 A KR1020137032190 A KR 1020137032190A KR 20137032190 A KR20137032190 A KR 20137032190A KR 20140009542 A KR20140009542 A KR 20140009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housing
- connector housing
- side plate
- lever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결합용 레버기구(1)는 커넥터 하우징(4)을 유지하는 유지부(2)와 핸들부(3)를 포함하며, 핸들부(3)가 회전하고 커넥터 하우징(4)이 이에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5)에 삽입될 때, 고정돌기(24)가 측판(21)의 내면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4)을 향하여 후퇴하고 그 결과 유지부(2)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4)의 유지가 해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를 정합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이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상호 정합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종래의 레버 결합식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결합식 커넥터(210)는 메일 커넥터(202)에 장착된 레버(20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저삽입력으로 메일 커넥터(202)를 피메일 커넥터(203)에 정합 결합시키는 커넥터이다. 레버(201)는 커넥터의 정합결합 초기 단계에서 메일 커넥터(202)에 결합되어 피메일 커넥터(203)로 레버(20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고정편(213)을 포함한다. 또한, 피메일 커넥터(203)는 메일 커넥터(202)에 대한 가고정편(213)의 결합(또는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판부를 포함한다(특허문헌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 레버 결합식 커넥터(2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레버 결합식 커넥터(210)에 있어서는, 메일 커넥터(202)와 피메일 커넥터(203) 간의 정합결합이 완료된 이후에도, 레버(201)가 메일 커넥터(202)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정합결합이 완료된 이후에도, 레버 결합식 커넥터(210)를 탑재한 차량의 무게가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상호 정합결합된 이후 자동적으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부터 해제 또는 제거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와, 이러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상호 정합결합될 수 있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특징(1) 및 구성특징(2)를 구비한다.
(1)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로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핸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2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일 측판의 일부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연장된 가압판과, 상기 측판 중 일 측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면으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타 측판으로부터 상기 내면으로 후퇴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압판과 상기 고정돌기 자체 사이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를 위치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핸들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할 때,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유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2) 상기 구성특징(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관통구멍에 결합가능한 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특징(3) 및 구성특징(4)를 구비한다.
(3)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상호 정합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제1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직육면체형 제2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2하우징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에지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항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상호 정합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제1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직육면체형 제2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2하우징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본체의 개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에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하우징 본체는 외면에 위치하는 가고정해제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정합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가 상기 유지부와 상기 핸들부 사이로 전진할 때,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가고정돌기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상기 구성특징(1)에 개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따르면,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걸림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2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일 측판의 일부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연장된 가압판과, 상기 측판 중 일 측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면으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타측판으로부터 후퇴하며, 상기 가압판과 고정돌기 자체 사이에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를 위치결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상기 핸들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할 때,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유지를 해제한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상호 정합결합된 이후,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특징(2)에 개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따르면,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관통구멍에 결합가능한 가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의 시작시간에 핸들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특징(3)에 개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직육면체형 제2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2하우징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제1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개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에지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상호 정합결합된 이후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저렴하고 경량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특징(4)에 개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 본체는 외면에 위치하는 가고정해제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정합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가 상기 유지부의 측판과 상기 핸들부 사이로 전진할 때,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가고정돌기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제2커넥터의 일부가 제1커넥터에 삽입될 경우,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가고정돌기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어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5에 도시한 제2커넥터가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6에 도시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7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가 제1커넥터가 정합결합된 제2커넥터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레버 결합식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5에 도시한 제2커넥터가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6에 도시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7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는 커넥터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가 제1커넥터가 정합결합된 제2커넥터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레버 결합식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기구 및 커넥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는 제1하우징으로서의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을 구비한 제1커넥터(15)(도 4 참조)와, 제1하우징으로서의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을 구비한 제2커넥터(14)(도 3 참조)를 저삽입력으로 상호 정합결합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며, 그리고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를 포함한다.
먼저,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넥터(14)는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과, 이 커넥터 하우징(4) 내에 수용된 복수의 피메일형 단자 금속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4)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하우징 본체로서 기능하는 직육면체형의 하우징 본체(40)와, 이 하우징 본체(40)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40c, 40d)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플랜지부(41)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40)는 상기 단자 금속부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캐비티(42)를 포함한다. 캐비티(42)는 각각 하우징 본체(40)의 상면(40a) 및 하면(40b)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단자 금속부재에 접속된 전선이 각각 캐비티(42)의 상면(40a)측 개구로부터 각각 도출되지만, 이 부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한 쌍의 플랜부(41)가 측면(40c, 40d)의 상단[상면(40a)에 근접하여 위치한다]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플랜지부(41)가 하우징 본체(40)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40c, 40d)으로부터 각각 돌출하지만, 플랜지부(41)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중에서 돌출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41)가 측면들 중 한 측면으로부터만 돌출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5)는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과, 이 커넥터 하우징(5)에 각각 수용된 복수의 메일형 단자 금속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5)은 개구(50)를 구비한 제1 하우징 본체를 포함한다[제1하우징 본체는 이하에서는 커넥터 하우징(5)으로도 칭한다]. 커넥터 하우징(5)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직사각형 바닥벽(53)과 이 바닥벽(53)의 외측 에지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4개의 측벽(51,52)을 포함한다[상호 대향하는 일 쌍의 측벽은 참조부호 51로 표시하고, 반면 상호 대향하는 타 쌍의 측벽은 참조부호 52로 표시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5)은 바닥벽(53)의 대향 측에 개구(50)가 형성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벽(53)에는 단자 금속부재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51)은 각각 그 외면에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후술함)의 핸들부(3)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54)와, 바닥벽(53)을 향해 돌출부(54)의 하부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리브(55)와,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의 정합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고정해제용 리브(56)를 포함한다. 돌출부(54)와 가고정해제용 리브(56)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의 하우징 본체(40)가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에 삽입되고, 제1커넥터 하우징(15)의 메일형 단자 금속부재가 제2커넥터 하우징(14)의 피메일형 단자 금속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는 상호 정합결합된다. 또한, 커넥터들의 정합결합 상태에서,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의 한 쌍의 플랜지부(41)는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의 에지부(50a)[개구(50)를 구성함]에 위치한다. 즉, 커넥터 하우징(5)이 커넥터 하우징(4)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5)의 플랜지부(41)는 커넥터 하우징(4)의 에지부(50a)[개구(50)를 구성함]와 접촉한다.
다음에,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는 2개의 부분, 즉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을 유지하는 유지부(2)와, 이 유지부(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에 걸림 가능한 핸들부(3)를 포함한다. 유지부(2) 및 핸들부(3)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유지부(2)는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을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하는 한 쌍의 측판(21)과, 이 한 쌍의 측판(21)의 일측단[구성 부분]인 상단으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가압판(23)과, 측판(21)의 종방향 일측단들을 함께 연결하는 제2측판(22)과, 상기 측판(21)의 내면에 배치되어 이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다수의 고정돌기(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측판(21)에는 2개의 고정 돌기(24)가 배치되어 전체 4개의 고정 돌기(24)가 제공된다. 각 고정 돌기(24)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또한, 측판(21)에는 U자형 컷팅부(25)가 형성되며, 이 U자형 커팅부(25)는 자신들과 연관된 고정돌기(24)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24)는 한 쌍의 측판(21) 중 일 측판의 내면으로부터 이 일측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타측판(21)을 향하여, 즉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을 향하여, 전진하고, 이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으로부터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유지부(2)는 다수의 고정돌기(24)와 한 쌍의 가압판(23) 사이에서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의 일부분으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41)를 위치결정하여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4)을 유지 또는 지지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압판(23)들이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측판(21)의 각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필수적으로 가압판(23)은 한 쌍의 측판(21) 중 일 측판의 일부로부터 타 측판(21)으로 연장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단지 일 측판(21) 상에만 가압판(23)이 배치되어 타 측판(21)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판(21) 각 내면에 고정돌기(24)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필수적으로, 고정돌기(24)가 한 쌍의 측판(21) 중 일 측판의 내면에만 배치되어 일 측판(21)의 내면으로부터 타 측판(21)으로 전진하고, 타 측판(21)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정돌기(24)가 일 측판(21)의 내면에만 배치되어 이러한 내면으로부터 타 측판(21)으로 전진하고 타 측판(21)으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판(23)과 고정돌기(24)가 일 측판(21)에만 각각 배치될 경우, 고정돌기(24)를 형성하는 측판(21)과 가압판(23)을 형성하는 측판(21)은 상호 상이한 판일 수도 있고, 동일한 판일 수도 있다.
또한, 유지부(2)는 측판(21)들 각각에 위치하여 핸들부(3)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한 쌍의 장착 돌출부(26)와, 핸들부(3)가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 이외의 동작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핸들부(3)의 위치를 함께 협동하여 규제하는 관통구멍(27) 및 접촉판(28)을 포함한다. 한 쌍의 장착 돌출부(26)는 연관된 측판(21)의 외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한다. 관통구멍(27)은 그 연관 측판(21)에서 그 연관 측판(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는, 관통구멍(27) 대신에, 유지부(2)가 또한 측판(21)의 외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접촉판(28)는 각각 측판(21)의 하단과 관통구멍(27)의 부근에 배치된다.
핸들부(3)는 한 쌍의 측판(21)을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하는 한 쌍의 판부(31)와, 한 쌍의 판부(31)의 종방향 일측단들을 함께 연결하는 연결부(32)와, 관통구멍(27) 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고정돌기(34)를 포함한다. 가고정돌기(34)는 연관된 판부(31)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고, 각 돌기(34)는 삼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또한, 각 판부(31)는 U자형 컷팅부(35)를 구비하여 그 연관된 가고정돌기(34)를 둘러싼다. 이 때문에, 각 가고정돌기(34)는 판부(31)의 내면으로부터 측판(21)을 향하여 전진하고 이 측판(21)으로부터 후퇴한다. 가고정돌기(34)가 관통구멍(27) 내로 결합되는 경우, 핸들부(3)는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 이외의 동작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고정돌기(34)가 관통구멍(27) 내로 결합됨에 따라서 판부(31)는 접촉판(28)과 접촉된다. 따라서, 핸들부(3)가 접촉판(28)의 아래로 하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관통구멍(27)은 유지부(2)의 측판(21)에 형성되고, 가고정돌기(34)는 핸들부(3)에 마련된다. 그러나, 유지부(2)의 측판(21)과 핸들부(3) 중 어느 일측에 관통구멍(27)이 형성되고, 타측에 이 관통구멍(27)에 결합되는 가고정돌기(34)가 마련되는 구성이라면, 관통구멍(27)이 핸들부(3)에 형성되고, 관통구멍(27)에 고정되는 가고정돌기(34)가 유지부(2)의 측판(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관통구멍(27) 대신에 형성될 수 있는 오목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즉, 오목부가 핸들부(3)에 형성되고, 해당 오목부에 결합되는 가고정돌기가 유지부(2)의 측판(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판부(31)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장착 돌기(26)를 내측에 위치결정하는 장착 구멍부(33)와, 상기 돌출부(54)를 이동가능하게 위치결정하는 걸림 홈(36)을 포함한다. 장착 구멍부(33)는 판부(31)의 종방향 타단에 형성된다. 걸림홈(36)은 각각 판부(31) 내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홈(36)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판부(31)의 외측 에지에 개방되어있다. 핸들부(3)가 유지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돌출부(54)는 걸림홈(36)의 일단부로부터 걸림홈(36) 내로 진입하여 타단부로부터 걸림홈(36) 외부로 나온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돌출부(54)가 걸림홈(36) 내에 위치한 상태를 "핸들부(3)가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5)에 걸린 것"으로도 종종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핸들부(3)는 한 쌍의 판부(31)들 사이의 공차(또는 간격)가 넓어지면서 유지부(2)에 장착된다. 또한,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에서 가고정해제용 리브(56)가 측판(21)과 판부(31) 사이로 이동하여 측판(21)과 판부(31) 간의 공차를 증가시킬 경우, 관통구멍(27)과 가고정돌기(34) 간의 결합(고정)은 해제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여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를 상호 정합결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34)가 관통구멍(27)에 미리 결합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의 한 쌍의 플랜지부(41)는 다수의 결합돌기(24)와 한 쌍의 가압판(23) 사이에 위치결정되어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의 유지부(2)로 제2커넥터(14)를 장착시킨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의 하단부는 제1커넥터(15)의 커넥터 하우징(5)으로 삽입되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5)의 상단부는 한 쌍의 측판(21) 사이에서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의 단자 금속부재는 아직 함께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제2커넥터(14)와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가 제1커넥터(15)에 셋팅될 경우, 돌출부(54)는 그 일단부로부터 걸림홈(36) 내로 이동하고, 동시에, 가고정해제용 리브(56)가 측판(21)과 판부(31) 사이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서 관통구멍(27)과 가고정돌기(34) 간의 결합(고정)이 해제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3)를 회전시켜서 한 쌍의 가압판(23)을 구동하여 커넥터 하우징(4)을 커넥터 하우징(5)을 향하여 가압하고, 그 결과,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가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가 정합결합되기 직전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의 에지부(50a)가 내측으로부터 복수의 고정돌기(24)와 접촉하며, 그 결과 커넥터 하우징(4)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돌기(24)를 가압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복수의 고정돌기(24)가 커넥터 하우징(4)측으로부터 후퇴하고, 그에 따라서 유지부(2)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4)의 유지가 해제되고, 그 결과 유지부(2)는 커넥터 하우징(4)으로부터 제거(또는 해제)된다. 이후, 커넥터 하우징(4)이 더욱 커넥터 하우징(5) 쪽으로 가압되어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가 상호 정합결합된다. 또한,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의 정합결합과 동시에, 돌출부(54)가 그 타단부로부터 걸림홈(36) 밖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가 제1커넥터(15) 및 제2커넥터(14)로부터 해제 또는 제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의 정합결합 이후,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는 자동적으로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는 타 커넥터(10)의 정합결합 동작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에 의해 제1커넥터(15)와 제2커넥터(14)가 함께 정합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커넥터(10)의 경우에, 완성제품 상태에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가 이미 제거 또는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의 무게와 비용을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를 배제한 양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는 핸들부(3)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가고정구조, 즉, 관통구멍(27)과 가고정돌기(34)를 포함하는 한편, 제1커넥터(15)는 가고정해제용 구조, 즉, 가고정해제용 리브(56)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제1커넥터(15) 상에 제2커넥터(14)와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1)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돌기부(54)가 걸림홈(36) 내에 위치결정될 수 있고, 관통구멍(27)과 가고정돌기(34) 간의 고정(또는 결합)을 제거 또는 해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커넥터 정합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 06. 17.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1-134973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와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상호 정합결합한 이후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와, 이러한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를 이용하여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상호 정합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를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1.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2. 유지부
3. 핸들부
4.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
5.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
10. 커넥터
14. 제2커넥터
15. 제1커넥터
21. 측판
23. 가압판
24. 고정돌기
27. 관통구멍
34. 가고정돌기
2. 유지부
3. 핸들부
4. 메일형 커넥터 하우징
5. 피메일형 커넥터 하우징
10. 커넥터
14. 제2커넥터
15. 제1커넥터
21. 측판
23. 가압판
24. 고정돌기
27. 관통구멍
34. 가고정돌기
Claims (4)
- 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로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걸림가능한 핸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2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일 측판의 일부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연장된 가압판과, 상기 측판 중 일 측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면으로부터 타 측판을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타 측판으로부터 상기 내면으로 후퇴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압판과 상기 고정돌기 자체 사이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를 위치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핸들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할 때,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유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측판과 상기 핸들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관통구멍에 결합가능한 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 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상호 정합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제1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직육면체형 제2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2하우징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에지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항에 따른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상호 정합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한 제1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의 핸들부에 걸릴 수 있는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직육면체형 제2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2하우징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본체의 개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의 에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하우징 본체는 외면에 위치하는 가고정해제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정합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고정해제용 리브가 상기 유지부와 상기 핸들부 사이로 전진할 때,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과 상기 가고정돌기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34973 | 2011-06-17 | ||
JP2011134973A JP5706768B2 (ja) | 2011-06-17 | 2011-06-17 | コネクタ嵌合用レバー、コネクタ |
PCT/JP2012/065291 WO2012173212A1 (ja) | 2011-06-17 | 2012-06-14 | コネクタ嵌合用レバー機構、及び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9542A true KR20140009542A (ko) | 2014-01-22 |
KR101515747B1 KR101515747B1 (ko) | 2015-04-28 |
Family
ID=4735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32190A KR101515747B1 (ko) | 2011-06-17 | 2012-06-14 |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028265B2 (ko) |
JP (1) | JP5706768B2 (ko) |
KR (1) | KR101515747B1 (ko) |
CN (1) | CN103608981A (ko) |
DE (1) | DE112012002500T5 (ko) |
WO (1) | WO201217321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2A (ko) * | 2016-06-22 | 2018-01-02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29829B2 (ja) * | 2013-05-21 | 2016-06-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レバー式コネクタ |
DE102014202296A1 (de) * | 2014-02-07 | 2015-08-13 | Robert Bosch Gmbh | Elektrisches Gerät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elektrischen Gerät |
EP3007283B8 (en) * | 2014-10-07 | 2019-02-27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with a complementary mating connector |
JP6296357B2 (ja) * | 2015-01-14 | 2018-03-2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レバー付き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2431B1 (ko) * | 1973-01-27 | 1975-10-21 | ||
JPH0751740Y2 (ja) * | 1987-12-01 | 1995-11-22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3468336B2 (ja) * | 1997-01-17 | 2003-11-17 | 矢崎総業株式会社 | 構造体相互の自動嵌合及び離脱機構 |
JP2002025696A (ja) * | 2000-07-03 | 2002-01-25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レバー式コネクタ |
JP4130467B1 (ja) * | 2007-03-07 | 2008-08-0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レバー式コネクタ |
JP4944052B2 (ja) | 2008-02-08 | 2012-05-3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
JP5466025B2 (ja) * | 2010-01-22 | 2014-04-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
JP5662209B2 (ja) * | 2011-03-16 | 2015-01-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
JP5662208B2 (ja) * | 2011-03-16 | 2015-01-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
JP5662210B2 (ja) * | 2011-03-16 | 2015-01-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
-
2011
- 2011-06-17 JP JP2011134973A patent/JP5706768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6-14 KR KR1020137032190A patent/KR1015157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6-14 CN CN201280029836.3A patent/CN103608981A/zh active Pending
- 2012-06-14 DE DE112012002500.8T patent/DE112012002500T5/de not_active Ceased
- 2012-06-14 US US14/124,909 patent/US9028265B2/en active Active
- 2012-06-14 WO PCT/JP2012/065291 patent/WO201217321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2A (ko) * | 2016-06-22 | 2018-01-02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04338A (ja) | 2013-01-07 |
CN103608981A (zh) | 2014-02-26 |
US20140113480A1 (en) | 2014-04-24 |
KR101515747B1 (ko) | 2015-04-28 |
US9028265B2 (en) | 2015-05-12 |
DE112012002500T5 (de) | 2014-04-30 |
WO2012173212A1 (ja) | 2012-12-20 |
JP5706768B2 (ja) | 2015-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09542A (ko) | 커넥터 결합용 레버 기구 및 커넥터 | |
US9397432B2 (en) | Connector | |
JP5846105B2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EP1282200B1 (en) | Structure for locking two workpieces | |
JP5724836B2 (ja) | コネクタ | |
US7347704B2 (en) | Connector | |
JP7053347B2 (ja) |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接続を形成する方法 | |
US20090203248A1 (en) | Connector with aligning plate | |
US9614317B2 (en) | Connector support structure and adaptor | |
JP2010205552A (ja) | 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及び、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の成形方法 | |
US20170346226A1 (en) | Connector | |
KR20190118949A (ko) | 접속 구조물 및 커넥터 | |
KR20170091152A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CN111384643B (zh) | 连接器 | |
JP5922528B2 (ja) |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ハウジング | |
JP2005327617A (ja) | コネクタ | |
JP4950797B2 (ja) | 可動ガイド部材付きコネクタ | |
US20210288439A1 (en) | Connector | |
KR101001882B1 (ko) |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 |
US108925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pressing pins pressing on a terminal fitting | |
KR20130127501A (ko) | 커넥터 | |
US20140314477A1 (en) | Connector | |
US20190013620A1 (en) | Hydraulic tool for uncoupling a connection assembly, in particular with multi-contact connectors | |
US6994597B2 (en) | Connector enabling secure retention of contacts relative to insulator | |
JP4788556B2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