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387A -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387A
KR20140009387A KR1020137024763A KR20137024763A KR20140009387A KR 20140009387 A KR20140009387 A KR 20140009387A KR 1020137024763 A KR1020137024763 A KR 1020137024763A KR 20137024763 A KR20137024763 A KR 20137024763A KR 20140009387 A KR20140009387 A KR 20140009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assist device
sliding door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176B1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0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지지면 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ASSIST DEVICE FOR MOBILE BODY, AND HOUSING}
본 발명은 각종의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는 가동체(可動體)의 어시스트 장치(assist device) 및 하우징(housing)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문문 등의 가동체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밀어붙임기구나 제동기구를 이용하여 강제 이동이나 완충을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어시스트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문 측에 하우징이 매설됨과 함께, 이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한 맞닿음체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문틀 측에는, 맞닿음체에 포착(捕捉)되는 키퍼(keep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는, 맞닿음체에 연결하는 제동기구로서의 피스톤 댐퍼나 밀어붙임기구로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이 지지되어 있어, 맞닿음체의 슬라이드 동작을 완충 및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은 예를 들면, 상면 개구의 케이스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는 좁고 기다란 형상(細長形狀)을 이루고, 미닫이문문의 상단(上端)에 형성된 수용부 내에 끼워 넣어진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하면은 평탄하게 구성되며, 하우징의 하면 전체가 홈의 저부(底部)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7-309088호 공보
상술한 기술에서는, 하우징의 하면은 평탄하게 구성되고, 하우징의 하면 전체가 홈의 저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하면과 수용부의 지지면에 있어서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된다. 기온, 습도, 가공 정밀도의 영향에 따라 치수의 편차가 발생한 경우나, 가공시의 부스러기나 분진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용부에 하우징을 장착하였을 때에 높은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높은 위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지지면 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는 상기한 하우징과,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쪽 측에 설치되는 키퍼와, 상기 키퍼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이르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맞닿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의 치수 오차 등의 영향을 회피하여 높은 위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 중 화살표 X, Y, Z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3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X축은 슬라이드 방향(제1 방향)을, Y축은 폭방향(제3 방향)을, Z축은 상하 방향(제2 방향)을, 각각 따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적당히 구성을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시스트 장치(1)는 가동체 및 지지체 중 한쪽에 설치되는 키퍼로서의 스트라이커(striker)(10)와, 가동체 및 지지체 중 다른 쪽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유닛(assist unit)(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지지체는 문틀(F), 가동체는 미닫이문문(M)이고, 가동체로서의 미닫이문문(M)에 어시스트 유닛(20)이 설치되며, 지지체로서의 문틀(F)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틀(F)은 슬라이드 방향을 따르는 미닫이문 홈(F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닫이문 홈(F4)에 미닫이문(M)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M)이 열려서 문앞측의 문틀(F2)에 접하지 않은 상태를 제1 상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M)이 닫혀서 문앞측의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되어 문틀(F2)에 맞닿은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한다.
미닫이문(M)은 예를 들면, 천연 목재나 압축재 등의 목질계(木質系)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상단부(上端部)에는, 어시스트 유닛(20)을 받아들이는 수용부로서의 홈(M1)이 형성되어 있다. 홈(M1)은 하우징(21)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되는 저부(Ma)와, 측부(Mb)를 갖고 구성된다. 홈(M1)은 슬라이드 방향으로 뻗는 좁고 기다란 형상을 이루고, 그 슬라이드 방향 일단측은 해방되며, 타단측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닫혀져 있다. 또한, 홈(M1)은 측면에서 보아 좁고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M1)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우징(21)이 위쪽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지지면으로서의 저부(Ma) 위에 하우징(21)이 지지된다.
어시스트 장치(1)는 문틀(F)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와, 미닫이문(M)의 홈(M1)에 설치된 어시스트 유닛(20)을 구비한다.
어시스트 유닛(20)은 미닫이문(M)의 상단부에 설치된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슬라이드 방향 한쪽 측(도 1 중 좌측)의 단부에 수용되는 대기 위치와 인입 위치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맞닿음체로서의 래치(latch)(22)와, 래치(22)를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다른쪽 측(도 1 중 우측)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기구(23)와, 래치(22)에 연결되어 래치(22)의 슬라이드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완충하는 제동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문틀(F)의 상단의 미닫이문 홈(F4)에는, 좌단(左端)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라이커(10)는 상틀(F1)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장착부재(11)와, 상틀(F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의 결합부재(1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재(12)가 래치(22)에 포착됨으로써, 스트라이커(10)가 래치(22)와 결합하여, 일체가 되어 하우징(2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이 상대 이동에 따라 미닫이문(M)이 문틀(F)에 대하여 이동한다.
도 1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은 상면 개구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좁고 기다란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21)은 Y방향에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31, 31)과, X방향 양단(兩端)의 제1 지지부(32) 및 제2 지지부(33)를 갖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측벽(31, 31) 사이에 래치(2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지지부(32, 33)의 하면(32a, 33a)은 측벽(31, 31)의 하방 가장자리(下緣)(31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지지면(Ma)에 지지된다.
한편, 측벽(31, 31)의 하방 가장자리(31a)는 지지부(32, 33)의 하면(32a, 33a)보다 위쪽으로 퇴피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지지면(Ma)으로부터 떠서 이간되는 이간부(35)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슬라이드 방향 중앙부의 Z방향의 치수(h1)가 슬라이드 방향 양단부의 Z방향의 치수(h2, h3)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32, 33)는 Y방향에 있어서 측벽(31, 31)보다 폭이 큰 팽대부(膨大部)(34)를 형성한다. 즉, 슬라이드 방향 중앙부의 하우징(21)의 Y방향의 치수(w1)가 슬라이드 방향 양단의 지지부(32, 33)의 Y방향의 치수(w2, w3)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대부(34)는 얇은 판형상의 측벽(31, 31)보다 강성이 높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측벽(31, 31)에는, 슬릿(slit)(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27)에 결합하여 래치(22)가 슬릿(27)을 따라 하우징(2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21)의 하부에는, 밀어붙임기구(23)로서 예를 들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일단이 래치(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21)에 고정되며, 래치(22)를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 타단측으로 밀어붙인다.
제동기구(24)는 하우징(21) 내에 설치된 피스톤 댐퍼(50)를 갖고 구성된다. 피스톤 댐퍼(50)는 내부에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51)와, 실린더(51)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52)를 갖고 있다. 제동기구(24)는 실린더(51) 내에 수납된 피스톤의 동작으로 실린더(51) 내의 유체의 유체 대향(對向)을 작용시킴으로써, 실린더(51) 혹은 피스톤 로드(52)의 밀어넣기 및 인장 동작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여 래치(22)의 하우징(21)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제동한다. 또한 실린더(51)에 봉입되는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이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시스트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M)이 스트라이커(10)에 도달하지 않는 중립인 제1 상태에 있어서, 래치(22)는 하우징(21)의 단부의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제1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미닫이문(M)을 좌측의 도어 스토퍼(F1)를 향하여 이동시켜, 미닫이문(M)이 제1의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에 맞닿아, 스트라이커(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하우징(21) 및 미닫이문(M)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래치(22)가 상대 이동되게 된다. 이 이동에 따라 지지체(F) 및 스트라이커(10)에 대하여 미닫이문(M) 및 하우징(21)이 좌측으로 상대적으로 강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제동기구(24)에 의해 저항력이 부여되어, 완충하면서 천천히 자동적으로 미닫이문(M)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M)이 좌측의 종료 위치로 완전히 이동시킨 제2 상태로부터 미닫이문(M)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래치(22)가 스트라이커(10)를 포착한 채로 미닫이문(M) 및 하우징(21)에 대하여 왼쪽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미닫이문(M)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소정 위치에 이르면, 래치(22)와 스트라이커(10)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래치(22)는 다시 하우징(21)의 단부의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 후의 미닫이문(M)의 이동은 인장 코일 스프링(41)의 밀어붙이는 힘으로부터 개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에 의하면, 하우징(21)은 그 일부에 형성된 지지부(32, 33)에 있어서 지지면인 저부(Ma)에 지지되어, 중앙에는, 지지면인 저부(Ma)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35)를 형성한다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이간부(35)에서의 치수의 허용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미닫이문의 기온, 습도, 가공 정밀도에 의해 치수의 편차가 생긴 경우나, 가공시의 톱밥 등이 저부(Ma)에 존재하는 경우 등, M1의 지지면의 치수에 오차가 있어도, 높은 위치 정밀도로 하우징(21)을 설치할 수 있어, 치수 오차의 허용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강성이 낮은 중앙 부위가 아니ㄹ라 강성이 높은 양단 부분을 지지부(32, 33)로 함으로써, 치수 오차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어, 높은 설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6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부(33)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7은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36)를 형성한 점 이외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대부(34)를 구성하는 지지부(33)의 외면에, X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6)는 예를 들면 반구(半球)형상으로 구성되고, 수지 성형에 의해 하우징(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6)의 정부(頂部)(36a)가 미닫이문(M)의 홈(M1)의 벽에 맞닿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돌기(36)를 더 형성함으로써 하우징(21)을 위쪽으로부터 홈(M1) 내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도 홈(M1)이나 하우징(21)의 치수 오차의 영향을 회피하여 보다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부(33)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9는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37)의 구조 이외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대부(34)를 구성하는 지지부(33)의 외면에, X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7)는 Z방향으로 줄선 3단(段)의 돌출부를 갖고 구성되며, 수지 성형에 의해 하우징(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7)의 3단의 정부(37a, 37b, 37c)가 미닫이문(M)의 홈(M1)의 벽에 맞닿아져 있다. 돌기(37)의 3단의 정부(37a, 37b, 37c)는 위쪽으로 치우쳐 돌출하는 되돌림부(return portion)를 구성하고 있다. 이 되돌림 형상에 의해, 하우징(21)이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이동하여 홈(M1)에 삽입될 때의 저항보다, 하우징(21)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이동하여 홈(M1)으로부터 빠져나올 때의 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하우징(21)을 설치하기 쉽고, 또 하우징(21)이 홈(M1)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기(37)는 지지면(Ma)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쪽을 향하여 치우친 정부(37a, 37b, 37c)를 갖는 되돌림 형상으로 함으로써, 홈(M1) 내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의 저항을 보다 작게 함과 함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면이 되는 저부(Ma)를 평면형상으로 하였지만, 지지면에 단차(段差)가 있는 경우에 있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지지면에 접하는 지지부와, 지지면으로부터 떠서 이간되는 이간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각 부(部)의 구체적 구성이나 재질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2011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55894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도입한 것이다.

Claims (6)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지지면 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간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팽대부(膨大部)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간부보다 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는, 제1 방향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정부(頂部)를 갖고, 되돌림 형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하우징과,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설치되는 키퍼(keeper)와,
    상기 키퍼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이르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맞닿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KR1020137024763A 2011-03-14 2012-03-13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KR101839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5894A JP5746885B2 (ja) 2011-03-14 2011-03-14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JPJP-P-2011-055894 2011-03-14
PCT/JP2012/056453 WO2012124704A1 (ja) 2011-03-14 2012-03-13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387A true KR20140009387A (ko) 2014-01-22
KR101839176B1 KR101839176B1 (ko) 2018-03-15

Family

ID=4683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763A KR101839176B1 (ko) 2011-03-14 2012-03-13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26358A1 (ko)
EP (1) EP2687662B1 (ko)
JP (1) JP5746885B2 (ko)
KR (1) KR101839176B1 (ko)
CN (1) CN103502552B (ko)
WO (1) WO2012124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6360B2 (en) 2005-07-22 2014-12-0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Light-activated cation channel and uses thereof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764375B2 (ja) * 2011-04-19 2015-08-19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可動装置
PL2980344T3 (pl) * 2013-04-15 2017-10-31 Zhongshan Opike Hardware Product Co Ltd Amortyzujące, zapobiegające podskakiwaniu urządzenie górnego koła z podwójną rurą
DE102015003415B3 (de) * 2015-03-17 2016-02-25 Günther Zimmer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geräuscharmer Bewegung
ES2592525B1 (es) * 2016-06-23 2017-09-06 Oscar Torrabias Cantal Pinza compacta para puertas correderas de cristal con amortiguador incorporado
JP7076777B2 (ja) * 2018-04-18 2022-05-30 株式会社Tok 引き戸の安全装置
US20200355004A1 (en) * 2019-05-06 2020-11-12 Schlage Lock Company Llc Sliding door systems
EP3786407B1 (en) * 2019-06-24 2021-06-30 Foshan Ideal Co., Ltd. Bidirectional damper and shower do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8217U1 (de) * 2003-05-22 2003-07-31 Hettich Heinze Gmbh & Co Kg Dämpfungs- und Einzugsvorrichtung
JP2006063767A (ja) * 2004-08-30 2006-03-09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JP4970116B2 (ja) * 2006-04-2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および引き戸
KR101323551B1 (ko) * 2006-04-20 2013-10-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및 슬라이딩 도어
JP3126876U (ja) * 2006-08-31 2006-11-09 振躍精密滑軌股▲分▼有限公司 スライドレールの閉鎖緩衝装置
JP4970117B2 (ja) * 2006-11-3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
JP5046837B2 (ja) 2007-10-02 2012-10-10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8060983B2 (en) * 2008-09-25 2011-11-22 Bortoluzzi Mobili S.R.L. Device for cushioni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sliding shutters
JP2010112012A (ja)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可動体の往動機構
JP2011006872A (ja) *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4895318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8402606B1 (en) * 2011-10-18 2013-03-26 Patrick Tsai Door closer with buffer mechanism for a sliding door
JP2013217079A (ja) 2012-04-06 2013-10-24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7662A4 (en) 2014-10-22
JP5746885B2 (ja) 2015-07-08
KR101839176B1 (ko) 2018-03-15
CN103502552A (zh) 2014-01-08
JP2012193491A (ja) 2012-10-11
US20140026358A1 (en) 2014-01-30
EP2687662A1 (en) 2014-01-22
WO2012124704A1 (ja) 2012-09-20
CN103502552B (zh) 2016-01-20
EP2687662B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387A (ko)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JP5907693B2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KR101924243B1 (ko)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JP6274852B2 (ja) 車載用機器の取付構造
CN105584455B (zh) 插扣导向装置
AU2006319727A1 (en) Device for fastening a covering profile for the transition between two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JPWO2017183619A1 (ja) 部品仮保持部材及び部品取付治具
KR101559676B1 (ko)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605823B1 (ko) 단일체로 가공된 차분력 구동형 탄성힌지 기반 2축 병렬 스테이지
US20030017083A1 (en) Positioning aid for liquid handling devices
JP2009039864A (ja) 成形機
US9277034B2 (en) Spring unit and sliding mechanism
JP6218713B2 (ja) 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レール取付け構造を備えた開閉器
EP2813161B1 (en) Fix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KR102232630B1 (ko) 유니버셜 서포트 홀드 장치
CN107346809B (zh) 电子装置的电池装卸结构
JP2017223357A (ja) チューンレス(tuneless)カンチレバーシステム
JP2006245347A (ja) 携帯機器用スライド機構
KR200393608Y1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제어장치
WO2012124706A1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US20120257260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moving body fixing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337154B1 (ko) 2축 슬라이딩장치
JP2012228029A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具
KR200484296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JP6097250B2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