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906A - 모듈식 이음 부품 - Google Patents

모듈식 이음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906A
KR20140007906A KR1020137024429A KR20137024429A KR20140007906A KR 20140007906 A KR20140007906 A KR 20140007906A KR 1020137024429 A KR1020137024429 A KR 1020137024429A KR 20137024429 A KR20137024429 A KR 20137024429A KR 20140007906 A KR20140007906 A KR 2014000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connecting element
welded
main element
joi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553B1 (ko
Inventor
외르크 베르멜링거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피셔 로라이퉁스지스테메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피셔 로라이퉁스지스테메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게오르그 피셔 로라이퉁스지스테메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0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3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or elbows, e.g. for making V-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4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fork-shaped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 B29C66/5224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fork-shaped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with two right angles, e.g. for making T-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1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 B29C66/52292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a stop said stop being inter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16L47/3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 B29C66/912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 B29L2031/243El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 B29L2031/246T-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구조체의 용접가능한 열가소성 재료의 이음 부품 (1) 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요소들 (2, 3, 9, 10, 11, 12),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소 (2, 9)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3, 10, 11, 12) 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중앙 축선 (8) 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부면들 (4, 5) 을 가지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오직 상기 단부면들에서만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이음 부품{MODULAR FITTING}
본 발명은 용접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모듈식 구성을 갖는 이음 부품 (fitting) 에 관한 것으로, 이음 부품은 복수의 요소들,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갖는다.
이음 부품은 파이프의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고 또한 공정 내에서 추가의 기능, 예를 들어 연결되어야 하는 파이프 섹션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수행하는 파이프라인 커넥터 (pipeline connector) 로 이해된다. 파이프라인을 놓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내에 분기점을 실현하도록 또는 파이프라인 안에 밴드 (bend) 를 설치함으로써 라인을 편향시키도록 하는 이음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플라스틱 파이프라인에 관한 한, 이러한 이음 부품은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비용과 관련된 이유로, 사출 성형은 많은 수가 필요한 만큼 이음 부품을 제조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사출 성형은 제조하기에 매우 복잡하고 따라서 값비싼 사출 금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사출 금형 그 자체에 대한 값을 지불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부품들을 제조해야 한다. 이 때문에, 단지, 제조되어야 하는 다수의 부품들을 제공함으로써, 각 부품당 금형 비용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적은 수의 경우에, 부품이 제조 비용을 커버하지 못하므로, 사출 금형의 추가의 회수 비용에 의해 각 부품에 대한 가격이 매우 높아지게 되어, 각 부품은 더 이상 알맞지 않거나 더 이상 이러한 부품들의 제조를 위해 유지할 수 있는 옵션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이음 부품은 단지 거의 사용되지 않는 큰 직경을 일반적으로 가진다.
용접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이러한 큰 치수의 이음 부품들이 파이프 세그먼트로부터 함께 용접될 수 있는 것, 즉 이음 부품이 후에 함께 용접되는 복수의 각각 재단된 (cut-to-shape)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티 이음 부품 (tee fitting) 에 대하여, 기존의 파이프는 분할되고 그리고/또는 재단되어, 두 개의 파이프가 각각의 경우에 일 단부에서 그의 둘레의 절반이 잘린 45°의 연귀 이음부 (miter) 를 갖고, 그 후 이러한 연귀 이음부는 함께 용접되며, 무엇보다도 티 이음 부품의 중심물로서 사용되는 파이프는 중심물의 방향으로 90°로 오프셋된 두 개의 파이프에 용접되도록 지점에 연귀 이음된다. 이는 티 이음 부품의 코너에서 연장하는 용접 시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위치에 있는 용접 시임은 극히 높은 부하에 노출되고 따라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이음 부품은 공칭 압력을 견디기에 부적합하다. 게다가, 제조는 용접되어야 하는 파이프의 상응하는 준비로 인해 매우 시간이 걸린다.
US 3, 873, 391 는 플라스틱 파이프 이음 부품, 예를 들어 티 이음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제조되는 상호 보완적인 연귀 이음을 갖는 윤곽에 의해 그리고 함께 접합되는 상호 보완적인 플라스틱 파이프 섹션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하는 이음 부품에 의해 플라스틱 파이프 섹션을 성형 (shaping)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변부는 조립된 위치에서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결된다. 액체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그 후에 연귀 이음을 한 윤곽의 영역에서 외부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분무에 의해 적용된다. 응고 (setting) 또는 경화는 단단하지만 약간 탄력적인 층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층은 플라스틱 파이프 섹션을 함께 유지시킨다.
이러한 이음 부품은, 한편으로는 그의 높은 지출의 제조로 인해,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의 결과로서 높은 압력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인해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지어 비용의 관점에서 소형 배치 (small-batch) 제조에 적합하고 파이프 라인 내부의 표면 본질 (nature) 및 압축 강도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플라스틱 이음 부품, 및 관련된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요소들이 중앙 축선에 수직하여 연장하는 단부면을 갖고 단부면에서만 서로 용접되는 본 발명 따라 달성된다.
이음 부품만이 둘레 주위만을 연장하는 용접 시임을 가지므로, 이음 부품들은 공칭 압축 강도의 관점에서 엄격한 요건들을 충족시키고, 파이프 시스템 내에서 손쉽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이음 부품들이 공칭 압축 강도의 관점에서 요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용접된 파이프 세그먼트로 만들어진 이음 부품을 사용하기까지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는 예컨대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음 부품의 용접 시임이 높은 압력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형의 용접 시임이 라인 내에 임의의 저항을 불충분하게 발생시키므로, 이러한 기하학적 구성은 내부 직경을 재가공할 필요가 거의 불충분하게 존재하는 경우에 작은 용접 시임만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실제로, 내측으로부터 용접 시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는 매우 빠르게 그리고 단도직입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음 부품의 모듈성은 비용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음 부품의 다수의 상이한 변형 제조를 허용한다. 따라서, 심지어 소형 배치들이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준 블록으로서 역할을 하는 메인 요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요건에 따라 상이한 연결 요소들이 메인 요소에 용접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티 부분은 사출 성형되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직선형 연결 요소는 메인 티 부분에 용접되며, 재가공된 파이프 섹션이 직선형 연결 요소로서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연결 요소는 여기에서 또한 적합하다. 따라서, 연결 요소가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모든 유형의 메인 요소에 따라 적합하므로, 다수의 생성되는 연결 요소에 의해 비용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 요소 등을 위한 값비싼 사출 금형을 생략할 수 있다.
용접된 피팅들에 대한 이제까지의 경우에서보다 용접 시임 구역에서의 압축 강도 및 부하 용량이 더 클 수 있도록, 메인 요소 및 연결 요소의 벽 두께는, 분리 위치 및/또는 연결되어야 하는 파이프라인과 연결 요소 사이의 시임보다, 분리 위치 및/또는 메인 요소와 연결 요소 사이의 시임의 구역에서 더 두껍다.
메인 요소가 연결 요소와 손쉽게 양립되도록 하기 위해, 분리 위치가 동일한 단부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져야 하고, 이를 위해 연결 요소의 단부면과 메인 요소의 단부면은 라운딩 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 부품은 300 ㎜ 의 최소 공칭 직경을 바람직하게는 가지고, 여기서 공칭 직경은 내부 직경에 관한 것이다. 더 작은 치수를 위해, 실제로 모듈식 이음 부품을 실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더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다수의 이음 부품은 완성된 이음 부품과 함께 상응하는 사출 금형을 비용에 관한 이유 때문에 부적절하게 만들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음 부품은 300 ㎜ 미만의 내부 직경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플라스틱, 즉 PVDF, PP, PE, PVC, ABS, PB, PA, PFA, 또는 ECTFE 중 하나로부터 이음 부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플라스틱들이 손쉽게 용접에 적합하며 파이프라인 구성에서의 표준 재료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메인 요소가 T 형상이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분기부로서 파이프라인에 삽입되는 티 이음 부품은 메인 요소에 용접되는 상응하는 그리고/또는 원하는 연결 요소에 의해 공장에서 완성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다. 메인 요소에는 임의의 원하는 연결 요소가 용접될 수 있는데, 유일한 요건은 메인 요소와 연결 요소가 분리 위치에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메인 요소가 아치형 세그먼트, 바람직하게는 45°의 아치형 세그먼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파이프라인이 임의의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놓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아치형 메인 요소가 비교적 큰 아치형 각도 (arcuate-angle) 의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단지 연결 요소는 그 후에 함께 용접된 메인 요소의 각각의 단부에 접합된다. 메인 요소가 사출 성형에 의해 주로 생성되는 경우가 존재하더라도, 사전 제작된 아치형의 세그먼트 및/또는 메인 세그먼트의 각도는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사출 금형이 상이한 각도의 각각의 아치형의 세그먼트를 위해 제조될 필요가 있다. 예각 또는 작은 각도의 아치형 세그먼트는 함께 용접될 메인 요소 및/또는 아치형 세그먼트에 의해, 복수의 상이한 아치형 각도의 요소들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 요소는 단 하나의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함께 접합될 수 있다. 물론, 대응하는 다수의 용접 시임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연결 요소의 상이한 실시형태가 제조되는 경우, 즉 상이한 실시형태가 요건에 따라 구성되는 경우에 추가로 유리하다. 예컨대, T 형상의 메인 요소에 연결 되어야 하는 파이프라인이 T 형상의 메인 요소에 이미 존재하는 파이프라인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면, 감소형 연결 요소가 T 형상의 메인 요소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소형 연결 요소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라인에 심지어 연결할 수 있다. 물론, 더 큰 직경을 갖는 파이프, 예컨대 팽창형 연결 요소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연결 요소를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연결 요소의 추가의 가능한 실시형태는 예컨대 유동 센서 또는 온도 센서와 같은 기구와 연결할 수 있는 기구 연결 요소이다.
직선형 연결 요소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그의 제조 방법, 예컨대 하나의 파이프 등을 제공하는 사출 성형의 변형예가 요구되는 수로 조정될 수 있고 따라서 비용에 관한 이유에 대해 매우 유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 부품의 모듈식 구성의 추가의 이점은 예컨대 밸브 용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접 넥으로서 구성되는 연결 요소를 메인 요소에 직접 용접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T 형상의 메인 요소의, 용접 넥의 단부면과 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앙 축선 사이의 거리는 매우 짧고 적절한 용접 넥이 T 형상의 메인 요소의 단부면에 직접 용접될 수 있으므로, 이는 매우 콤팩트한 설치 치수를 생기게 한다. 완성된 티 이음 부품은 라인이 일반적으로 연결되는 직선형 연결부를 갖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의 티 이음 부품은 비교적 긴 연결 스터브 (stub) 를 갖는다. 그 경우가 아니라면, 적절한 어댑터 부품이 그 위에 끼워 장착되고, 그 결과로서 원하는 티 이음 부품의 설치 치수는 후속하는 부품 또는 후속하는 이음 부품과의 대응하는 조정으로 현저한 정도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긴 거리는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기부를 통해 일정한 유동을 갖지 못하는 분기부의 경우에, 물은 이러한 쓸모없는 공간 (dead space) 에서 고여있게 되고, 따라서 미생물들이 여기에서 손쉽게 늘어나므로, 이러한 미생물들은 분기부를 통과하는 차후의 유동의 경우에 매체와 함께 동반하고, 이러한 이유로 모듈식 구성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짧은 연결 길이가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쓸모없는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전 조립 연결 요소의 단부면 및/또는 단부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앙 축선의 방향의 용접 넥 사이로 연장하는 거리는 상응하는 이음 부품의 공칭 직경보다 더 짧다.
물론, 연결 요소의 추가의 실시형태는 가능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음 부품의 모듈성은 실시형태들이 임의의 제한들을 거의 받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요소들이 중앙 축선에 대해 수직하여 연장하는 단부면을 갖고, 요소들이 단부면에서만 서로 용접된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방법은 요소들이 중앙 축선에 대해 수직하여 연장하는 단부면의 둘레를 따라 독점적으로 공장 내에서 서로 용접된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용접 시임이 여전히 공장 내에서 생성되고, 따라서 사전에 만들어지므로, 최적 상태가 양호한 용접 연결에 대해 우세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이음 부품 및/또는 용접 시임의 압축 강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이음 부품은 파이프 라인이 조립되는 때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용접 기계를 이용하여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은 T 형상의 메인 요소에 의해 단계적으로 도시된 이음 부품의 모듈식 제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아치형 메인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각각 45°의 각을 갖는 두 개의 상호 연결된 아치형 메인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감소형 연결 요소 및 두 개의 직선형 연결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T 형상의 메인 요소를 관통하는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기구 연결 요소 및 두 개의 직선형 연결 요소가 접합되어 있는 T 형상의 메인 요소를 관통하는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플랜지를 구비한 용접 넥 및 두 개의 직선형 연결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T 형상의 메인 요소를 관통하는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 부품의 모듈 (modularity), 및 상기 이음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왼쪽 이미지는 T 형상인 메인 요소 (2) 를 도시한다. 메인 요소 (2) 는 증가된 부하를 견디고 상이하게 설계된 연결 요소 (3) 또는 추가의 메인 요소 (2) 가 용접되는 일종의 기준 블록 (basic block) 을 형성하므로, 메인 요소 (2) 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게다가, 중앙 이미지는 메인 요소 (2) 에 용접될 수 있는 연결 요소 (3) 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 직선형 연결 요소 (3) 가 사용된다. 물론,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임의의 실시형태의 연결 요소 (3), 예를 들어 감소형 연결 요소 (10) 또는 기구 연결 요소 (11) 등을 접합할 수 있다. 연결 요소 (3) 는, 라운딩 처리되어 중앙 축선 (8) 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그의 단부면 (5) 을 이용하여 메인 요소 (2, 9) 의 단부면 (4) 에 용접되고, 이러한 메인 요소 (2, 9) 의 단부면은 마찬가지로 라운딩 처리되어 중앙 축선 (8) 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벽 두께가 단부면 (5) 에서 증가하고 그리고/또는 더 두꺼워지도록 (미도시) 연결 요소 (3) 가 설계된다. 공장 내의 최적 조건 하에서 제조된 이음 부품이 가장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된 용접 시임을 가지고, 따라서 발생하는 임의의 응력을 비록 근본적으로 회피할 수는 없지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결국 높은 수준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한다. 연결 요소 (3) 의 단부면 (6) 은 이음 부품 (1) 의 설치시에 파이프 라인에 연결된다. 도 1 의 오른쪽에 있는 이미지는 공장에서의 완성을 위해 용접된 이음 부품 (1) 을 도시한다.
도 2 는 메인 요소 (9) 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메인 요소 (9) 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방향으로 변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치형 구성을 갖는다. 도시된 아치형 세그먼트 및/또는 메인 요소 (9) 는 대부분의 경우에 라인 및/또는 시스템을 편향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아치형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45 °의 각도를 갖는다. 물론, 사전에 적절한 사출 금형이 제조되기만 한다면 임의의 원하는 각도의 치수를 제조할 수 있다.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치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 는 단부면 (4) 의 방향으로 벽 두께의 두껍게 된 부분을 명백하게 도시하고, 단부면 (4) 은 비교적 높은 부하를 받을 수 있는 용접 시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T 형상의 메인 요소 (2) 의 경우와 같은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메인 요소 (9) 는 서로에 직접 용접할 수 있다. 모든 연결부가 동일한 연결 직경을 갖는다면 이 시스템의 모듈성은 모든 연결 변형을 허용한다.
도 3 은 다음의 연결을 도시한다: 두 개의 메인 요소 (9), 이 경우에 두 개의 45°의 아치형 세그먼트는 90°의 아치형 각도의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용접되고, 필요한 연결 요소 (3) 는 두 개의 단부에서 접합된다.
도 4 는 용접된 (welded-on) 감소형 연결 요소 (10) 를 연결 요소로서 구비하는 이음 부품 (1) 을 도시하고, 감소형 연결 요소는 감소형 연결 요소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라인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직선형 연결 요소 (3) 는 T 형상의 메인 요소 (2) 의 각각의 다른 두 개의 단부면 (4) 에 끼워 맞춤 된다. 다른 연결 요소 (3) 도 또한 가능하다.
추가의 연결 요소 (3) 는 도 5 에 도시된다. 여기에서도, T 형상의 메인 요소가 특별하게 구성된 연결 요소 (11) 에 용접되는데, 이 연결 요소는 기구, 예컨대 유동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의 연결용으로 적합하다. 기구 연결 요소 (11) 가 다른 메인 요소 (2) 에 끼워 맞춤 되는 것 또는 추가의 기구 연결 요소 (11) 가 메인 요소 (2) 에 용접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6 은 T 형상의 메인 요소 (2) 를 구비하는 모듈식 이음 부품을 도시한다. 직선형 연결 요소 (3) 는 상기 메인 요소 (2) 의 각각의 대향 단부측 (4) 에 배치된다. 90°로 오프셋하는 연결부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용접 넥 (12) 및 메인 요소 (2) 에 직접 용접된 사전 조립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용접 넥 또는 사전 조립 연결 요소가 임의의 중간 부품이 필요없이 메인 요소 (2) 에 직접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축선 (8) 과 90°로 오프셋하는 연결부의 용접 넥 (12) 의 단부면 사이의 거리 (14) 를 매우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쓸모없는 공간 (13) 및/또는 일정한 유동을 갖지 않는 분기부 내의 고여있는 매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거리 (14) 는 통상적으로 상응하는 이음 부품의 공칭 직경보다 더 짧다. 비교적 작은 쓸모없는 공간 (13) 은 물이 더 고이게 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 물은 인접한 나비형 밸브 (15) 가 폐쇄되고, 따라서 분기부가 유동을 갖지 않는 결과로서 발생한다. 물론, 다른 이음 부품 또는 추가의 연결 가능한 부품들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부품들을 갖는 경우에는 상응하여 사전 조립 연결 요소가 제조되어 메인 요소 (2) 에 용접된다.
1 이음 부품
2 T 형상의 메인 요소
3 직선형 연결 요소
4 메인 요소의 단부면
5 연결 요소-메인 요소 측의 단부면
6 연결 요소-파이프라인 측의 단부면
7 메인 요소/연결 요소 용접 시임
8 중앙 축선
9 아치형 메인 요소
10 감소형 연결 요소
11 기구 연결 요소
12 플랜지를 구비한 용접 넥
13 쓸모없는 공간
14 거리
15 나비형 밸브

Claims (10)

  1. 용접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모듈식 구성을 갖는 이음 부품 (1) 으로서,
    복수의 요소들 (2, 3, 9, 10, 11, 12),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소 (2, 9)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3, 10, 11, 12) 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중앙 축선 (8) 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부면들 (4, 5) 을 가지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상기 단부면들에서만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요소 (2, 9) 및/또는 상기 연결 요소 (3, 10, 11, 12) 의 벽 두께는, 상기 단부면 및/또는 상기 메인 요소 (2, 9) 와 상기 연결 요소 (3, 10, 11, 12) 사이의 용접 시임 (7) 의 구역에서, 분리 위치 및/또는 용접 시임에서의 노멀 (normal) 벽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의 상기 단부면들 (4, 5) 이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부품 (1) 은 300 ㎜ 의 최소 공칭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부품 (1) 은 플라스틱, 즉 PVDF, PP, PE, PVC, ABS, PB, PA, PFA, 또는 ECTFE 중 하나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요소 (2) 는 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7. 제 5 항에 있어서,
    사전 조립 연결 요소의 단부면 및/또는 용접 넥 (12) 으로부터 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중앙 축선 (8) 까지 연장하는 거리 (14) 는 대응 이음 부품의 공칭 직경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요소 (9) 는 아치형 구성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45°의 아치형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 (3) 는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연결 요소 (3), 감소형 연결 요소 (10), 기구 (instrument) 연결 요소 (11) 또는 플랜지를 구비한 용접 넥 (12) 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
  10. 용접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모듈식 구성을 갖는 이음 부품 (1) 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요소들 (2, 3, 9, 10, 11, 12),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요소 (2, 9)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3, 10, 11, 12) 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중앙 축선 (8) 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부면들 (4, 5) 을 가지고,
    상기 요소들 (2, 3, 9, 10, 11, 12) 은 상기 단부면들에서만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37024429A 2011-02-15 2012-01-17 모듈식 이음 부품 KR101960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4496.1 2011-02-15
EP11154496.1A EP2489918B1 (de) 2011-02-15 2011-02-15 Modulares Fitting
PCT/EP2012/050590 WO2012110269A1 (de) 2011-02-15 2012-01-17 Modulares fi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906A true KR20140007906A (ko) 2014-01-20
KR101960553B1 KR101960553B1 (ko) 2019-03-20

Family

ID=4418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429A KR101960553B1 (ko) 2011-02-15 2012-01-17 모듈식 이음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64313B2 (ko)
EP (1) EP2489918B1 (ko)
JP (1) JP6099575B2 (ko)
KR (1) KR101960553B1 (ko)
CN (1) CN103492779B (ko)
IL (1) IL227334A0 (ko)
TW (1) TWI603023B (ko)
WO (1) WO2012110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2235B2 (en) * 2009-07-09 2013-02-12 Frank F. Hayes, Jr.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welded plastic tube and pipe assemblies
TWI544357B (zh) * 2014-08-20 2016-08-01 王基旆 具有單鍵快速安全登錄功能之電腦網路系統
CN107743562B (zh) * 2015-04-17 2023-05-23 迈斯纳过滤产品有限公司 模块化模制
WO2017056203A1 (ja) * 2015-09-29 2017-04-06 ミライアル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KR20180071352A (ko) 2015-10-28 2018-06-27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관 이음매, 배관 및, 배관의 제조 방법
US10436370B2 (en) 2016-04-20 2019-10-08 Georg Fischer Central Plastics Llc Pipe elbow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420A (en) * 1989-02-13 1992-10-20 Uponor B.V. Adjustable pipe bend with electrofusion facility
JPH05256391A (ja) * 1991-11-29 1993-10-05 Tokyo Gas Co Ltd 電気融着式管継手及びそ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1171A (en) * 1929-12-12 1931-04-14 Mueller Brass Co Pipe fitting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2157274A (en) * 1937-04-27 1939-05-09 Gen Fire Extinguisher Co Welding 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555256A (en) * 1948-04-14 1951-05-29 Nat Tube Co Pipe-line pipe
CH398211A (de) * 1962-04-25 1965-08-31 Rollmaplast Ag Rohrformstück aus schweissbarem Kunststoff
CH399845A (de) * 1962-08-10 1965-09-30 Vol Roll Ag Bausatz zur Herstellung eines aus einem rohrförmigen Kernstück und mindestens einem Abzweigungsstutzen bestehenden Rohrleitungsformstücks aus Kunststoff, insbesondere für Abwasser- und Kanalisationsleitungen
US3392994A (en) * 1966-06-16 1968-07-16 Bonney Forge & Foundry Inc Connector means for pressure pipelines
US3499669A (en) * 1968-02-19 1970-03-10 Varian Associates Spherical connector having vacuum lines joined thereto via welded joints internal of the sphere
US3690702A (en) * 1971-07-28 1972-09-12 Charles H Moore Connection assembly for fluid pressure lines
US3873391A (en) 1972-07-19 1975-03-25 Johns Manville Method of fabricating a plastic pipe fitting
US4071395A (en) * 1976-07-12 1978-01-31 Mcelroy Arthur H Apparatus for creating segmented polyethylene pipe turns
AT351325B (de) * 1976-09-09 1979-07-25 Fuertinger Ott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ver- schraubungen
EP0094549B1 (de) * 1982-05-13 1987-03-25 Bernhard Kessel Rohrfitting
JPS62207628A (ja) * 1986-03-06 1987-09-12 Sekisui Chem Co Ltd フランジ付熱可塑性樹脂管継手の製造方法
GB8620071D0 (en) 1986-08-18 1986-10-01 British Gas Corp Structures of polymeric plastics material
JPH08118472A (ja) * 1994-10-24 1996-05-14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品同士の融着接合方法ならびに塩化ビニル系樹脂分岐管継手の製造方法
US5776293A (en) * 1995-01-30 1998-07-07 Levingston; Jerry C. Joints for polymeric pipe
US5770006A (en) * 1997-01-13 1998-06-23 Tdw Delaware, Inc. Butt fusion machine for manufacturing full size segemented pipe turns
US5975590A (en) * 1998-02-17 1999-11-02 Applied Materials, Inc. High pressure fitting
NL1016456C2 (nl) * 2000-10-23 2002-04-24 Pipelif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ulpstuk alsmede een buisleiding.
KR100994586B1 (ko) * 2009-03-02 2010-11-15 전금진 플라스틱 엘보우 파이프 접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420A (en) * 1989-02-13 1992-10-20 Uponor B.V. Adjustable pipe bend with electrofusion facility
JPH05256391A (ja) * 1991-11-29 1993-10-05 Tokyo Gas Co Ltd 電気融着式管継手及びそ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99575B2 (ja) 2017-03-22
EP2489918A1 (de) 2012-08-22
TWI603023B (zh) 2017-10-21
CN103492779A (zh) 2014-01-01
EP2489918B1 (de) 2016-04-13
KR101960553B1 (ko) 2019-03-20
IL227334A0 (en) 2013-09-30
TW201250146A (en) 2012-12-16
CN103492779B (zh) 2016-05-04
WO2012110269A1 (de) 2012-08-23
US20140020811A1 (en) 2014-01-23
US9664313B2 (en) 2017-05-30
JP2014512492A (ja)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553B1 (ko) 모듈식 이음 부품
US20200124210A1 (en) Methods for forming a tubing assembly
US20070113912A1 (en) Tube for guiding gas or liquid
CN108302253B (zh) 用于流体流动的柔性管道组件和使用于流体流动的柔性管道成形的过程
KR20180039637A (ko) 공기 조절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파이프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US20200269517A1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EP2049004B1 (en) Dishwasher manifold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CN103562611A (zh) 用于连接聚丙烯管道和金属管道的管道配件
US20080116687A1 (en) Sealed joining device
CN101573552A (zh) 具有双重结构的波纹钢管
JP4549268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US20220090714A1 (en) Flexible tube seal
KR20160076598A (ko) 투명창이 구비된 차음성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94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CN101952632B (zh) 具有管接头的双壁波纹管件
CN203686450U (zh)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所用的承插接头
JP4994110B2 (ja) 可撓性管継手の製造方法
JP6820699B2 (ja) フランジ付き管継手
WO2021111126A1 (en) Pipe branch connector
EP2884087B1 (en) Duct system
CA2384759A1 (en) Connection piece
JP2009014092A (ja) 管路の内張り構造
US11231136B2 (en) Flangeless coupler fused inside opposing ends of conduits
KR200411386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CN104089051A (zh) 水龙头组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