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463A -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463A
KR20140004463A KR1020120072130A KR20120072130A KR20140004463A KR 20140004463 A KR20140004463 A KR 20140004463A KR 1020120072130 A KR1020120072130 A KR 1020120072130A KR 20120072130 A KR20120072130 A KR 20120072130A KR 20140004463 A KR20140004463 A KR 20140004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prout
composition
skin
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211B1 (ko
Inventor
조규태
한상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시엠 filed Critical (주)바이오시엠
Priority to KR102012007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2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새싹 또는 새순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싹, 브로콜리, 유채, 콩싹, 잇꽃, 클로브 등의 새싹추출물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자목련 꽃봉오리, 차나무 잎 등의 새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알로에 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이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Using Bud and Sprou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새싹 또는 새순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밀싹, 브로콜리, 유채, 콩싹, 잇꽃, 클로브 등의 새싹추출물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자목련 꽃봉오리, 차나무 잎 등의 새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전 표면을 덮고 있는 기관으로서, 외부의 환경 및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내의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활성과 외부 감염원에 대한 피부 방어능은 오존층 파괴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증가,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력 약화 및 유해 화학 물질 등의 오염원에 대한 노출이 증가되면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는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고, 홍반, 부종, 가려움증 등의 피부 트러블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또한,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와 콜라겐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생체 내에서 에너지 생산을 위한 산화 과정 중에 상당량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생체 내 제거기전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지만 순간적으로 활성산소종이 다량으로 발생되거나 만성적으로 활성산소종이 발생되어 항산화 방어계와의 균형이 깨지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활성산소종에는 산소(oxygen,1O2), 과산화(superoxide, O2 -), 수산기라디칼(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등이 있는데, 이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은 물론이며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구성된 산화제와 항산화제의 균형을 파괴하고 지질과산화, 단백질 산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멜라닌 생성반응의 촉진, DNA의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피부는 탄력감소, 주름살, 기미 및 주근깨 등의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고 억제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뿐만 아니라 피부에서의 과잉 활성산소종을 억제하고 또한 활성산소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염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생리적인 방어반응의 하나로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려는 생리기전이다.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은 산화제 생성을 활성화하여 조직 항산화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조직의 기본적인 대사 구조적 인자에 대한 손상을 주어 독성을 유발하고, 이러한 다양한 세포와 조직에서의 산화작용은 독특한 산화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복잡한 활성산소종의 이차적인 조직반응이 시작된다.
활성산소종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은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반응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염증의 경우 활성산소종에 의해 세포막의 지질이 과산화되고 단백질이 분해되면, 세포막의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여 세포막의 칼슘이온 채널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세포내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 칼슘이온의 촉매로 포스포리파아제 A2(PLA2)가 활성화 된다.
활성산소종은 비만세포에서 PLA2를 활성화시키는데 이것에 의해 생성된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xygenase: COX)와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작용으로 염증매개물질인 프로스타그란딘과 류코트리엔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와 시클로옥시게나제의 저해제는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염증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활성산소종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들을 계속한 끝에, 밀싹, 브로콜리, 유채, 콩싹, 잇꽃, 클로브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자목련 꽃봉오리, 차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조성물이 피부 재생과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 내지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밀싹 새싹추출물, 브로콜리 새싹추출물, 유채 새싹추출물, 콩싹 새싹추출물, 잇꽃 새싹추출물 및 클로브 새싹추출물로 구성된 새싹추출물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자목련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및 차나무 잎 새순추출물로 구성된 새순추출물을 함유한다.
여기서 상기 새싹추출물은 밀싹 새싹추출물, 브로콜리 새싹추출물, 유채 새싹추출물, 콩싹 새싹추출물, 잇꽃 새싹추출물 및 클로브 새싹추출물을 1~5 : 1~5 : 1~5 : 1~5 : 1~5 : 1~5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상기 새순추출물은 회화나무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자목련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및 차나무 잎 새순추출물을 1~5 : 1~5 : 1~5의 중량비로 함유한다.
아울러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새싹추출물과 새순추출물이 1~2 : 1~2의 중량비로 함유되며, 상기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의 총 중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은 열수, C1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온침으로 추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제조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이거나,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 조성물은 알로에 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피부 표피 줄기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건강한 피부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모생쥐를 이용한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6종의 새싹 추출물 및 3종의 새순 추출물의 혼합물이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 내 콜라겐 양을 증진시킨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밀싹 새싹추출물, 브로콜리 새싹추출물, 유채 새싹추출물, 콩싹 새싹추출물, 잇꽃 새싹추출물 및 클로브 새싹추출물로 구성된 새싹추출물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자목련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및 차나무 잎 새순추출물로 구성된 새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새싹은 식물의 줄기 세포라고 할 수 있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식물체 전체가 줄기 세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식물체가 조직만을 가지고 있고 기관으로까지 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식물의 대표적인 성체 줄기 세포는 뿌리나 줄기 끝의 생장점에 있는 세포이고, 씨앗 등은 동물의 배아줄기 세포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뿌리, 줄기 혹은 잎 부분도 일정한 조건에서 끊임없이 분열하는 줄기 세포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새싹에는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물질들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 표피 줄기 세포를 활성화하고 피부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피부재생과 피부노화 지연에 영향을 주는 각종 성장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6종의 새싹과 3종의 새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Triticum vulgare)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 1m 정도이고 2~3대가 같이 나와서 자라며 밋밋하고 마디가 길다. 5월에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성숙되고 영과(穎果)는 넓은 타원체이며 갈색이고 영(穎)에서 잘 떨어진다. 열매성분으로는 녹말 53~70%, 단백질 11% 안팎, 당분(자당, 포도당 등) 2~7%, 텍스트린 2~10%, 기름 1.6% 안팎, 시토스테롤, 레시틴, 알란토인 등을 함유한다. 밀눈에는 토코페놀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해준다. 또한 식은땀, 골증허열, 소화약으로도 쓰인다.
본 발명에서 밀의 새싹인 밀싹을 사용한다. 새싹은 발아한지 5 내지 10일 정도된 것으로, 새싹은 발아하면서 외부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무기로서 신물질을 합성하는데, 씨앗 상태에서 없었던 각종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등의 유용물질을 함유한다.
발아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 italica)는 설포라팬이라는 항암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암예방과 암세포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베타카로틴, 비타민B,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채(학명: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는 쌍떡잎식물이며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상기 유채는 평지라고도 하며 보통종(Brassica napus)과 서양종(B. campestris)이 있다.
상기 보통종은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지대 원산으로서, 꽃은 노란색이고 종자는 붉은 갈색이라서 적종(赤種)이라고도 하며, 상기 서양종은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시베리아와 카프카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서, 꽃은 녹색을 띤 붉은색이며 종자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것은 서양종이며, 1962 년부터 유료작물(油料作物)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다. 상기 유채는 높이가 80∼130 ㎝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 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 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고,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며,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革質: 가죽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 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3∼4 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리며, 배추꽃과 비슷하며 약 10 ㎝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 꽃받침은 각각 4 개로 갈라지며 수술 6 개, 암술 1 개, 4 개의 꿀샘이 있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 ㎝이고 한 이삭에 30∼40 개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각과(角果)로서 길이 8 ㎝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 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번식은 종자로 하며, 품종에는 파성(播性)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재배하는 서양종은 맥류와는 달리 감광성이 약하고 감온성의 차이에 의해서 파성 정도가 달라진다.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빨리 자라고 추위와 습기에 잘 견디는 것이 우량품종으로, 대표적인 품종은 아사히, 유달, 목포11호, 용당 등이다. 종자에는 38∼45 %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 %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軟膏基劑), 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사용하며, 한국(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아울러 콩싹은 콩이 발아된 것을 말하며 콩을 음지가 아니라, 양지에서 발아시킬 경우, 광합성을 통하여, 콩에 존재하지 않는 영양소가 부가된 콩싹을 제조할 수 있ㄷ다.
양지에서 제조된 콩싹은 음지에서 발아시킨 콩나물보다 크기가 작고, 잎이 무성하며, 줄기가 뻣뻣하고 질겨서, 식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식재료로서는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지에서 충분한 습기를 공급하며, 대두를 발아시킨 결과, 1일만에 콩싹을 얻을 수 있었으나, 크기가 작고, 영양소가 충분하게 보충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와 영양소를 함유하는 콩싹을 수득할 수 있는 발아기간을 선정한 결과, 약 5 내지 7일 정도의 기간으로 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일 미만의 기간동안 발아시킨 경우에는, 영양소의 함량이 현저하게 낮고, 7일을 초과하여 발아시킨 경우에는, 콩싹에 함유된 섬유소로 인하여, 목적하는 추출물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콩싹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열수, C1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온침으로 추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아울러 잇꽃(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은 흔히 홍화라고도 하며, 국화과(Compoi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한방에서는 잇꽃을 파골, 골다공증, 골형성부전 등의 골질환의 치료제와 이뇨제로서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잇꽃의 골질환 치료 효과가 의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최근에 들어 잇꽃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잇꽃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세로토닌(serotonin)화합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인 아카세틴(acacetin) 및 뼈 질환에 효과가 있는 리그난(lignan)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잇꽃의 분말은 골질환의 치료효과 뿐만 아니라 지질대사를 개선시키는 효과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아울러 클로브는 학명이 에우게니아 카리오필리에이트(Eugenia caryophyliate)이고, 리날린 아세테이트(Linalylacetate), 리날룰(Linalool) 및 유지놀(Eugenol)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항경련, 항우울 및 강한 신경계 진정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콩과식물에 속하는 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회화나무는 수피가 회색이거나 짙은 회색을 띄고 내수피는 황색으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 잎은 호생한다. 회화나무 꽃은 주로 7∼8월에 피우며, 이 시기의 꽃을 한방에서는 괴화(槐花)라 하고 꽃봉오리는 괴미(槐米)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그 외에도 지혈, 토혈, 변혈 등에 이용되며, 혈압강하작용과 항염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회화나무 잎을 삶은 물로 치질(痔疾)부위를 수세하고 생(生) 또는 초(炒)괴화를 비(鼻)출혈, 세균성 치질의 치유에, 고혈압 환자가 상복하여 중풍의 예방에 사용하여 왔다(한국자연의약연구회, 1985).
지금까지 회화나무 줄기인 목부에서 이소플라본(isoflavones)과 그 배당체인 Biochain A-7-D-gentiobioside, sissotrin 및 pratensein이 분리되었다는 보고가 있다(Takeda 등, 1977).
중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관목상인 것이 많으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15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잎자루는 길이 7∼15mm이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검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조각은 녹색이며 3개이다. 꽃잎은 6개이고 길이 10cm 내외이며 햇빛을 충분히 받았을 때 활짝 핀다. 꽃잎의 겉은 짙은 자주색이며 안쪽은 연한 자주색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많은 골돌과로 되고 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빨간 종자가 실에 매달린다. 꽃잎의 겉면이 연한 홍색빛을 띤 자주색이고 안쪽이 흰색인 것을 자주목련(M. denudata var. purpurascens)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차(茶)나무는 차나무과(茶-科)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으로, 키가 10m가지 자라지만 재배하기 쉽게 가치를 치기 때문에 보통 1m정도 자라며, 많은 가지가 나온다.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과 기부는 모두 뾰족하고, 꽃은 10~11월 경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1~3송이씩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모가진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차나무는 어린잎을 따거 찌거나 열을 가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시켜 말린 녹차(綠茶) 또는 엽차로 복용한다.
상기 차나무의 잎(이하 녹차잎이라 한다)에는 카페인, 탄닌, 카테킨(catechin), 비타민, 아미노산, 질소화합물, 엽록소, 탄수화물, 유기산, 무기염류 등이 들어있어 전세계에 걸쳐 기호품으로 널리 복용되며, 또한 녹차에 함유된 카페인은 강심작용, 근육수축작용, 피로회복, 이뇨작용, 각성작용을 하며, 타닌에 의해 중금속이나 알칼로이드와 같은 독극물 및 단백질의 침전작용을 하므로 해독효과가 있고, 비타민에 의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심장, 혈관, 위장 등의 정상적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나무에 함유된 불소는 치아 표면을 코팅하여 산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충치의 원인이 되는 충치 세균의 발육을 억제시키며, 치석형성의 원인이 되는 GT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며, 혈관 벽에서 콜레스테롤을 취하여 간에 회수함으로써 인체에 좋은 작용을 하는 HDL-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데 비해 몸에 해로운 작용을 하는 LDL-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는 선택적 감소작용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또한 술을 많이 마실 경우에 차를 함께 마시면 차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에 의해 숙취가 빨리 해소되어지는데, 그 이유는 차나무 중에 들어 있는 카페인과 비타민 C, 아스파라긴산과 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에 의해 알콜분해효소의 작용을 돕게되므로 알코올의 분해가 빨라지고, 카페인의 이뇨작용으로 알코올이 빨리 배설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나무의 싹으로부터 얻는 방법 또는 해당 씨앗을 발아시켜 얻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새싹 및 새순들을,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용매를 통해 추출함으로써 필요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용매는 식물로부터 당해 식물의 성분을 추출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열수 또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 이들 알콜류의 함수물: n-헥산,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들 수 있지만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급 알콜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추출물을 그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지만, 추출 용매를 증류 제거한 다음 필요에 따라 건조 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새싹 추출물 및 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험관 실험 및 생체(in vivo) 실험을 근거로 볼 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구성성분 이외에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 수준에 비추어 특별한 제한 없이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물질들을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錠劑), 환제 (丸劑), 과립제 (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는, 피부상태의 개선, 염증의 억제, 항산화 및 항노화 등의 다양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역시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새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새싹 추출액 및 새순 추출액의 제조
본 실시예는 밀싹, 브로콜리, 유채, 콩싹, 잇꽃, 클로브, 회화나무 꽃봉오리 , 자목련 꽃봉오리 및 차나무 잎의 새싹, 새순 혹은 발아된 식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용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유채, 클로브, 회화나무 꽃봉오리, 자목련 꽃봉오리 및 차나무 잎은 봄 내지 여름철 사이에 새싹을 수확하였으며, 효소 반응 등에 의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하 20℃ 내지 영하 30℃ 사이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다음으로, 밀싹, 브로콜리, 콩싹 및 잇꽃의 경우에는 선별된 씨앗을 6 내지 10시간 정도 물에 불린 후, 배양 용기에 솜을 깔고 씨앗이 겹쳐지지 않게 고르게 뿌린 다음 싹이 트기 전까지 솜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였다. 싹이 2/3 정도 트기 전까지는 검은 천으로 덮어 주었고, 그 이후에는 햇볕을 잘 드는 곳에 방치하였다. 하루에 1 내지 3 회씩 분무기로 물을 뿌려주었고, 3 에서 7 일이 경과한 후 수확하여 영하 20℃ 내지 영하 3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준비된 새싹 및 새순들을 분쇄한 후,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각 식물의 새싹 추출액을 준비하였다.
1-2.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새싹 및 새순 추출액 100 g에 건조 중량 대비 95% 함수 알코올 100 ml를 첨가하였다.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상태에서 50 내지 100℃로 10 시간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성분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5 g의 새싹 추출물 및 새순 추출물의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하기 표 1의 원료 1 내지 6을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고 수상으로 한 다음, 원료 7 내지 14를 70℃에서 용해하여 오일상으로 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오일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 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고, 원료 15를 첨가하여 점증시켰다.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성분 첨가량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히아루론산 추출액 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모머 0.1
7 9종의 새싹 추출물 농축액(중량비, 1:1:1:1:1:1:1:1:1) 0.5
8 카크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9 스쿠알란 5.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세테아릴 알코올 1.0
13 방부제 적량
14 적량
15 트리에탄올아민 0.1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하여, 새싹 및 새순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표피 줄기 세포의 활성 증가 관찰
인체 표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 세포를 24 공 평판배양기에 2 x 105 개의 농도로 넣은 후, 2% 우태아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새싹 및 새순추출물이 각각 50, 500 ppm 농도로 포함된 배지로 교체한 후에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상기 배지에 어떤 새싹 및 새순추출물도 넣지 않은 것이고, 상기배지에 2% 우태아혈청대신 10% 우태아 혈청을 넣은 것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삼았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인산 버퍼용액으로 2회 세척을 실시한 후, 세포 분해 버퍼(Cell lysis buffer; 20 mM Tris-HCl(pH 7.4), 250 mM NaCl, 1% Triton X-100) 50 ㎕를 첨가하여 30 분간 정치하였다. 다시 인산 버퍼용액으로 2 회 세척을 실시한 후,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표면에 일정한 양으로 부착시켰다.
상기 단백질이 부착된 표면에 블로킹 용액(Blocking solution)으로 2 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표피 줄기세포의 대표적인 단백질 마커인 p63의 일차 항체를 블로킹 용액에 1:500으로 현탁하여 1 시간 동안 처리하여 웨스턴 블러팅을 실시하였다.
새싹 및 새순추출물을 넣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p63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농도(ppm) 상대적 발현량(%)
음성 대조군   100
양성 대조군   120
유채 새싹 50 105.24
500 101.3
클로브 새싹 50 98.68
500 103.84
자목련 새싹 50 102.31
500 103.22
발아 밀싹 50 99.52
500 106.6
발아 브로콜리 50 114.59
500 97.5
발아 콩싹 50 99.68
500 107.34
발아 잇꽃 50 89.11
500 84.68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발아 잇꽃의 경우 발현량이 다소 감소하였지만, 7 종의 새싹 및 새순 추출물에 의해 대부분 p63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및 새순 추출물에 의하여 표피 줄기세포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의미하며, 새싹 및 새순 추출물은 표피의 줄기 세포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2] 새싹 및 새순 추출물에 의한 피부 세포의 증식 증가 관찰
2-1.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
인체 표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 세포를 96 공 평판배양기에 1 공당 5000 개의 농도로 첨가하고, KGM(keratinocyte growth medium, Lonza) 배지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새싹 및 새순 추출물이 각각 50, 500 ppm 농도로 포함된 KBM(keratinocyte basal medium) 배지로 교체한 후, 48 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WST-1 용액(Roche)을 1/10배로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이 끝난 평판 배양기는 450 nm에서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대조군 대비 상대적 발현량(%)
50 ppm 500 ppm
유채 새싹 106 71
클로브 새싹 111 107
자목련 새싹 102 120
발아 밀싹 107 129
발아 브로콜리 152 173
발아 콩싹 148 161
발아 잇꽃 158 119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7 가지 추출물 각각에서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새싹 및 새순추출물 모두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을 대략 105 내지 180%의 범위에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섬유아세포의 증식
인체의 진피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96 공 평판배양기에 1 공당 5000 개의 농도로 각각 24 시간 키운 후, 10% 우태아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Welgen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새싹 및 새순 추출물이 각각 50, 500 ppm 농도로 포함된 1% 우태아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 배지로 교체한 후, 48 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WST-1 용액(Roche)을 1/10배로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이 끝난 평판 배양기는 450 nm에서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대조군 대비 상대적 발현량(%)
50 ppm 500 ppm
유채 새싹 96.32 91.81
클로브 새싹 109.56 110.65
자목련 새싹 106.36 108.05
발아 밀싹 116.69 134.08
발아 브로콜리 85.99 106.85
발아 콩싹 102.75 124.56
발아 잇꽃 101.54 123.22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유채 새싹을 제외한 6 가지 추출물 각각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새싹 및 새순 추출물에 의하여 대략 105 내지 130%의 범위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무모생쥐 광노화 동물모델을 이용한 콜라겐 감소 억제 확인
실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콜라겐 분해 억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약 7주령의 무모생쥐(SKH-1 female 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도포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새싹 및 새순 추출물 7종이 복합되어 함유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조제하여 무모생쥐의 등부위에 자외선조사와 함께 11주간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격일로, 물질도포는 매일 진행하였고 또한 물질 도포가 끝난 후 무모생쥐의 등부위 피부를 생검하여 단백질을 얻은 후 콜라겐에 대한 웨스턴 블라팅(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통해, 7종의 새싹 및 새순추출물을 함께 복합으로 처리한 경우가 대조군(비교예)에 비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내 콜라겐 감소가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피부 표피 줄기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표피의 각질형성 세포와 진피의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화방지의 하나의 기작인 항산화 효능도 인정되며, 일실시예에 따른 7종을 복합적으로 사용시 콜라젠의 분해가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피부세포의 증식과 줄기세포 활성의 증진은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을 통해 피부 노화방지 및 개선에 효과적인 물질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로에 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을 피부 외용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알로에는 다당류, 아미노산, 비타민, 탄닌 등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고, 특히 다당류는 피부보습성이 뛰어나므로 항상 일정한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알로에의 젤리질은 단당류와 포도당과 만노스의 분자로 된 겔이 외피의 죽은 세포를 밀착시키는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단막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피부에 침투하는 이물질을 막아주어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수분의 발산을 막아주어 피부를 촉촉하게 해 준다.
상기 알로에는 순수한 천연 알로에의 신선한 초록 잎에서 추출하게 되며 이렇게 추출된 알로에의 젤리질은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며, 피부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고, 염증과 습진을 치료해 주고 피부 재생과 미백 효과,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주름을 없애 주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알로에 잎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하면 알로에의 보습, 면역조절 작용, 상처치유 작용, 항균/항바이러스 작용 등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병풀 추출물은 오랫동안 민간 치료제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상처 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고대 인디언들은 피부가 거칠어 보일 때는 매일 병풀 잎을 두 장씩 먹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병풀 추출물은 외과적 상처나 2-3도 화상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외상의 경우, 피부질환으로 생긴 상처에 아시아티코시드(asiaticoside)가 0.5-1.0% 함유된 연고를 처방하거나, 2%의 아시아티코시드가 추천 용량이며, 하루 한두 번으로 치료가 된다고 한다.
병풀의 학명은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이며, 이것은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킨다고 밝혀졌다. 병풀 추출물은 콜라겐과 피브로넥틴에 의한 진피의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쥐 실험 결과 밝혀졌다.
피부 관리의 측면에서는 노화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특히, 제품에 병풀 추출물이 함유된 것은 가려움과 자극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병풀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병풀 발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병풀 잎과 뿌리를 세척하여 분쇄한다. 그 다음,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의해서 병풀 분쇄물은 고/액 분리된다. 상기 고/액 분리된 병풀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하여 병풀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병풀 추출물이 포함됨에 따라 상처치유 작용과 , 콜라겐 합성 작용, 항염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다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교는 물푸레나무과 (Oleaceae)식물인 개나리 (Fors- ythia)의 열매 추출물이며, 한방에서 나력, 옹종, 악창, 영류, 결열,고독을 주로 치료하고 창절배농과 지통을 하며 오림과 소변불통 및 심의 객열, 해독, 배농, 소염에 이용하며, 현대 의학에서는 c-AMP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작용 억제,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작용 등에 사용된다.
또한 연교의 성분으로는 리그난스(Lignans), 피노레시놀(Pinoresinol), 피노레시놀 글루코시드 마타이레시노사이드(Pinoresirnol glucoside Matairesinoside),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필리린(Phillyrin), 악티게닌(Arctigenin), 악틴(Arctiin), 카페오일 글리코시드(Caffeoyl glycoside), 포티아시드(Forthiaside), 수센소시드(Susensoside), 악테오시드(Acteoside), 비리디시마시드(Viridissimaside), 아세틸오레아놀릭산(Acetyloleanolic acid), 베투린(Betulin), 비리디시믹산(Viridissimic acid), 오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베투릭산(Betulinic acid), 루틴(Rutin), 우솔릭산(Ursolic acid) 등이다.
상기 연교 추출물은 건조된 연교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4∼30℃에서 3∼20일간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교 추출물은 연교를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교 추출물을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항노화, 항염, 청열해독, 해열소염 등이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유효성분으로서, 밀싹 새싹추출물, 브로콜리 새싹추출물, 유채 새싹추출물, 콩싹 새싹추출물, 잇꽃 새싹추출물 및 클로브 새싹추출물로 구성된 새싹추출물과, 회화나무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자목련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및 차나무 잎 새순추출물로 구성된 새순추출물을 함유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추출물은 밀싹 새싹추출물, 브로콜리 새싹추출물, 유채 새싹추출물, 콩싹 새싹추출물, 잇꽃 새싹추출물 및 클로브 새싹추출물을 1~5 : 1~5 : 1~5 : 1~5 : 1~5 : 1~5의 중량비로 함유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순추출물은 회화나무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자목련 꽃봉오리 새순추출물 및 차나무 잎 새순추출물을 1~5 : 1~5 : 1~5의 중량비로 함유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새싹추출물과 새순추출물이 1~2 : 1~2의 중량비로 함유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의 총 중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은 열수, C1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온침으로 추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제조된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이거나,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인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 조성물은
    알로에 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0072130A 2012-07-03 2012-07-03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30A KR101420211B1 (ko) 2012-07-03 2012-07-03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30A KR101420211B1 (ko) 2012-07-03 2012-07-03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63A true KR20140004463A (ko) 2014-01-13
KR101420211B1 KR101420211B1 (ko) 2014-07-17

Family

ID=5014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30A KR101420211B1 (ko) 2012-07-03 2012-07-03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21B1 (ko) 2016-02-23 2016-10-24 주태영 브로콜리 새싹을 이용한 기능성 차와 그의 제조방법
KR101965391B1 (ko) 2018-04-17 2019-04-03 주태영 설포라판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2484A (ko) * 2018-04-20 2019-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692B1 (ko) * 2021-01-26 202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827A (ko) * 1997-12-17 1999-07-05 서경배 여드름에 효과가 있는 천연 향료를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060025630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WO2009084742A2 (ja) * 2009-03-30 2009-07-09 Shiseido Company, Ltd. 線維芽細胞増殖剤
KR20110092971A (ko) * 2010-02-11 2011-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21B1 (ko) 2016-02-23 2016-10-24 주태영 브로콜리 새싹을 이용한 기능성 차와 그의 제조방법
KR101965391B1 (ko) 2018-04-17 2019-04-03 주태영 설포라판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2484A (ko) * 2018-04-20 2019-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211B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kherjee et al. Phytochemic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cucumber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82272B1 (ko)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677466B1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7464A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9764A (ko) 구기자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02783A2 (ko) 닥나무를 포함하는 천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hingra et al. Review on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lant Calendula officinalis Linn.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035A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7A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50116301A (ko) 피지 억제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유카, 보골지 및 비단풀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