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14A - 비수계 전해질 용액 - Google Patents

비수계 전해질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14A
KR20140003614A KR1020137028291A KR20137028291A KR20140003614A KR 20140003614 A KR20140003614 A KR 20140003614A KR 1020137028291 A KR1020137028291 A KR 1020137028291A KR 20137028291 A KR20137028291 A KR 20137028291A KR 20140003614 A KR20140003614 A KR 2014000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methyl
phosphate
borate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 쉬
쫑이 덩
파스칼 볼로메이
야리 장
Original Assignee
노볼리테 레거시 테크놀로지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113,966 external-priority patent/US723845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1/113,823 external-priority patent/US7255965B2/en
Application filed by 노볼리테 레거시 테크놀로지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볼리테 레거시 테크놀로지즈 엘엘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6/01311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115737A1/en
Publication of KR2014000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BOB)를 리튬 2차 전지의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긴 수명, 높은 용량 유지율, 과충전에 대한 방지와 같은 향상된 전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수계 전해질 용액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본원은, 동일하게 양도되어 함께 계류중인 미국특허 제11/113,823호("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05년 4월 25일자로 출원); 미국특허 제11/113,966호("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ITH MIXED SALTS"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05년 4월 25일자로 출원); 및 미국특허 제11/196,782호("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05년 8월 3일자로 출원)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그 전체로서 원용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비(非)수계 전해액, 및 상기 비수계 전해액을 사용하는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용매; (b) 하나 이상의 이온성 염; 및 (c)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비수계 전해액을 포함하는 2차 전지, 및 특히 염 첨가제를 사용하여, 리튬 및 리튬 이온 충전지용 비수계 전해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전지에 있어서, 안전 문제는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도 중요한 문제이며, 혹독한 사용 조건 하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고(高)에너지밀도의 전지는 소정 형태의 남용, 특히, 재충전하는 동안 정상 구동 전압이 초과되는 과충전 형태의 남용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들 전지에 있어서 안전은 주요 인자이다. 과충전 시에는 캐소드로부터 과량의 리튬이 추출(즉, 전지의 정상 구동 파라미터에서 전하를 수송하는 데 필요한 리튬의 양보다 많은 양의 리튬이 추출됨)되는 한편, 애노드에서는 상기 리튬이 과도하게 삽입되거나, 심지어는 애노드가 리튬 도금된다. 이러한 과충전에 의해 두 전극 모두가 열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에너지 중 다량의 에너지가 저장되기보다는 소산(dissipation)되기 때문에, 과충전에 의해 전지가 과열될 수 있다. 특히, 전해질에 사용되는 카르보네이트 용매는 가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지의 과충전 시, 전지의 과열과 더불어 열 안정성의 감소로 인해 열 폭주(thermal runaway)가 초래될 수 있고, 전지의 폭발 또는 점화의 우려가 있다.
많은 리튬 이온 전지 제조자들은 전지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보다 높은 수준의 보호 장치로서, 전지에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장착해 오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지, 특히 원통형 전지에는 압력 안전 밸브 또는 압력 활성화 차단 장치가 사용된다. 전지의 내부 압력은 정상 구동 조건을 초과하는 소정 압력값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첨가제의 분해 및 과량의 가스 생성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소정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잉 압력에 의해 압력 안전 밸브가 활성화됨으로써, 전지의 단락이 발생한다.
종래의 과충전 방지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은, 소정의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Mao 등의 미국특허 제6,033,797호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과충전 형태의 전지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페닐(biphenyl)을 사용하며, Hamamoto 등의 미국특허 제6,045,945호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과충전 형태의 전지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클로헥실벤젠을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한다. 전술한 두 특허문헌은 그 전체로서 원용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 방향족 화합물 첨가제는 전지 성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 예컨대, 전지의 저항 증가와 같은 영향을 끼친다. 아울러, 이러한 첨가제는 전지의 수명 및 용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전지의 전압이 정상 구동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전지가 단락되도록 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특히 고에너지밀도 전지 중의 과충전 방지용 첨가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바이페닐 및/또는 사이클로헥실벤젠의 농도는 경우에 따라서 5% 정도로 높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첨가제 농도가 높은 경우, 전지 용량 및/또는 사이클 수명과 같은 기타 전지 성능 파라미터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보완하기 위해, 비닐렌 카르보네이트(VC) 및 비닐 에틸렌 카르보네이트(VEC)와 같은 소정의 비닐 화합물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애노드에 양호한 SEI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 첨가제를 고농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닐 첨가제가 캐소드에서 분해되기 시작하여, 전지 성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수 퍼센트 정도의 양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게다가, VC는 고가의 물질이다. 이러한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전해질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함으로써, 전지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전술한 점들을 감안할 때, 2차 전지에 사용되는 과충전 방지용 첨가제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BOB: lithium bis(oxalato)borate]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LiBOB는 그래파이트 애노드에 양호한 SEI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LiBOB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PC)계 전해액이 그래파이트 리튬 이온 전지 시스템에서 상당히 우수한 전지 성능을 나타낸다고 밝혀진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해액(예를 들면, LiPF6-EC-PC계 용액, LiBF4계 용액 등)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LiBOB를 사용하는 경우, 몇 가지 중추적인 작용에 의해 전지의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E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극성이 높은 PC를 첨가하는 경우, EC-PC계 시스템의 공융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저온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리튬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의 과충전 방지 방법, 및 상기 방지 방법을 사용하는 충전지를 제공한다.
적절한 리튬 전해질 염을 예시하면, LiPF6, LiBF4 등을 들 수 있고, 통상적인 용매를 예시하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PC), 디메틸 카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르보네이트(DEC),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EMC), γ-부티로락톤(GBL), 메틸 부티레이트(MB), 프로필 아세테이트(PA), 트리메틸 포스페이트(TM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해액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의 LiBOB의 용도는 2차 전지에서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범위와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구현예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기타 구현예들에 대한 하기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첨가제와 함께 포함되는 증강제 화합물(enhancer compound)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통상적인 과충전 방지용 첨가제의 농도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BOB)는 긴 수명 사이클 및 높은 용량 유지율을 얻기 위한, 우수한 첨가제이다. 특정 이론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약 4.5V의 전압에서 LiBOB의 분해가 개시되어, 캐소드의 표면에서는 불용성 및 비(非)전도성을 가지는 가스(주로 CO2 및 CO)와 고체 염이 생성된다고 여겨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LiBOB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가스에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압력 안전 밸브를 차단시킴으로써, 과충전 조건에서의 전지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계 용매, 용질, 및 킬레이트화 오르쏘보레이트염(chelated orthoborate salt) 및 킬레이트화 오르쏘포스페이트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해액; 애노드; 및 캐소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액, 애노드 및 캐소드를 전지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비(非)수계 전해액, 애노드, 캐소드 및 제1 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2.0 M(몰/L)를 초과하지 않는 농도, 바람직하게는 1.5 M을 초과하지 않는 농도로 존재한다.
용질: 용질은, 전지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전하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온성 성분(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용질은 리튬염을 포함한다. 용질로서 적절한 염을 예시하면, LiPF6, LiBF4, LiClO4, LiAsF6, LiTaF6, LiAlCl4, Li2B10Cl10, LiCF3SO3; LiN(SO2CmF2m +1)(SO2CnF2n +1) 및 LiC(SO2CkF2k+1)(SO2CmF2m+1)(SO2CnF2n+1) (여기서, 각각 k= 1∼10이고, m= 1∼10이며, n= 1∼10임); LiN(SO2CpF2pSO2) 및 LiC(SO2CpF2pSO2)(SO2CqF2q +1) (여기서, p= 1∼10이고, q= 1∼10임); LiPFx(RF)6-x and LiBFy(RF)4-y (여기서, RF는 퍼플루오르화 C1∼C20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르화 방향족 기이고, x= 0∼5이며, y= 0∼3임)를 들 수 있다. 전술한 염들의 조합도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해액 중의 상기 용질의 농도는 약 0.1∼2.5 M이다. 상기 용질의 농도는 0.4∼2.0 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6 M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액은 1.0 M의 LiPF6을 포함한다.
염 첨가제: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는 애노드 표면에서의 고체 전해질 계면(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의 생성을 보조하고, 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온성 물질(염)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염 첨가제는 킬레이트화 오르쏘보레이트염 및 킬레이트화 오르쏘포스페이트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 첨가제의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전이 금속 이온 및 오늄(onium)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 첨가제는 LiBOB이다. 본 발명에서는 LiBOB 대신, 또는 LiBOB에 추가하여, 기타 염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기타 염 첨가제를 예시하면, 리튬 비스(말로네이토)보레이트[LiBMB: lithium bis(malonato)borate)], 리튬 비스(디플루오로말로네이토)보레이트 (LiBDFMB), 리튬 (말로네이토 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MOB), 리튬 (디플루오로말로네이토 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DFMOB), 리튬 트리스(옥살레이토)포스페이트 (LiTOP), 및 리튬 트리스(디플루오로말로네이토)포스페이트 (LiTDFMP)를 들 수 있다.
상기 염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 중에 약 0.001M 내지 약 2M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 첨가제의 농도는 약 0.01 M 내지 약 1.5 M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 M 내지 약 1 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01 M 내지 약 0.7 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 첨가제는 LiBOB이다.
용매: 상기 용매는 상기 용질과 염 첨가제를 용해하는 비(非)수계, 비(非)양성자성, 극성 유기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매로서, 1종 이상의 용매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예시하면, 카르보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락톤, 포스페이트, 5원(five member)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환 화합물, 및 산소 원자를 경유하여 탄소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C1∼C4 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 용매로서는 메틸화, 에틸화 및/또는 프로필화된 락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해액은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하나 이상의 용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절한 용매를 예시하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디부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르보네이트, 메틸 프로필 카르보네이트, 에틸 프로필 카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솔란(1,3-dioxolane),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1,2-디부톡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 포르메이트, 에틸 포르메이트, 프로필 포르메이트, 부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티레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프로필 부티레이트, 부틸 부티레이트, γ-부티로락톤, 2-메틸-γ-부티로락톤, 3-메틸-γ-부티로락톤, 4-메틸-γ-부티로락톤, β-프로피오락톤, δ-발레로락톤,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tritolyl phosphate),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용매 이외에도, 비(非)수계이고, 비(非)양성자성을 가지며, 상기 용질 및 염 첨가제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라면,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약 1∼50 중량%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약 1∼50 중량%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및 약 1∼80 중량% 에틸 메틸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약 1∼50 중량%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약 1∼50 중량%의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및 약 1∼80 중량%의 γ-부티로락톤을 포함한다.
애노드 : 상기 애노드는 탄소, 또는 리튬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는 그래파이트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 금속 애노드를 사용할 수 있다. LiMnO2 및 Li4Ti5O12와 같은 리튬 (혼합)금속 옥사이드(LiMMOs)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로서, 리튬과 전이 금속의 합금, 또는 리튬과 기타 금속(메탈로이드를 포함)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LiAl, LiZn, Li3Bi, Li3Cd, Li3Sb, Li4Si, Li4 .4Pb, Li4 .4Sn, LiC6, Li3FeN2, Li2 .6Co0 .4N, Li2 .6Cu0 .4N,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애노드는, SnO, SnO2, GeO, GeO2, In2O, In2O3, PbO, PbO2, Pb2O3, Pb3O4, Ag2O, AgO, Ag2O3, Sb2O3, Sb2O4, Sb2O5, SiO, ZnO, CoO, NiO, FeO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 옥사이드와 같은 추가적인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 상기 캐소드는 리튬 금속 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캐소드는 하나 이상의 리튬 혼합 금속 옥사이드(Li-MMO)를 포함한다. 리튬 혼합 금속 옥사이드는 Mn, Co, Cr, Fe, Ni, V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타 금속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캐소드에는 하기 리튬 MMO가 사용될 수 있다: LiMnO2, LiMn2O4, LiCoO2, Li2Cr2O7, Li2CrO4, LiNiO2, LiFeO2, LiNixCo1 - xO2 (여기서, 0<x<1), LiFePO4, LiMn0 .5Ni0 .5O2, LiMnxCoyNixO2 (여기서, 0<x,y,z<1이고, x+y+z=1임), 및 LiMc0 .5Mn1 .5O4 (여기서, Mc는 2가의 금속임). 본 발명의 캐소드에는 이러한 옥사이드의 혼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중 하나, 또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양자는 폴리머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아미드 또는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염 첨가제, 전해액 및 전지는 적어도, 계산기, 손목 시계, 보청기, 예컨대, 컴퓨터, 휴대 전화, 게임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도, 및 배터리 전원 공급형 자동차(battery powered vehicle) 및/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수송 용도로서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의 조성물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전해액의 제조: 3:4:3의 부피비로 각각의 용매를 블렌딩하여, 2종의 용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1 용매 혼합물은 EC/GBL/DEC의 블렌드(용매 혼합물 A)이다. 제2 용매 혼합물은 EC/EMC/DEC의 블렌드(용매 혼합물 B)이다. 표 1에 기재된 최종 염의 농도가 얻어지도록, 상기 용매 혼합물의 일부에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LiBF4) 및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BOB) 중 적어도 하나의 염을 첨가하였다. 상기 LiPF6, LiBF4 및 LiBOB의 농도 단위는 몰/리터(M)이다. 표 1에 기재된 전해액 중, 본 발명의 실시예(본 발명에 따름)는 W로, 비교예(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는 C로 표시한다.
(표 1) 전해액:
Figure pat00001
(2) 캐소드의 제조: LiCoO2 (양극 활물질, 90 중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바인더, 5 중량%), 및 아세틸렌 블랙(도전제, 5 중량%)을 1-메틸-2-피롤리돈(NMP)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의 양면에 코팅한 다음, 건조한 후, 압축함으로써 캐소드가 제조되었다.
(3) 애노드의 제조: 개질된 천연 그래파이트(음극 활물질, 95 중량%) 및 PVdF(바인더, 5 중량%)를 NMP에 혼합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생성한 다음, 상기 슬러리를 구리 호일의 양면에 코팅한 다음, 건조한 후, 압축함으로써 애노드가 제조되었다.
(4)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조립: 종래 기술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전술한 각각의 전해액(실시예 1∼6)을 포함하는 각각의 각형 전지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전해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건조 용기 중의 각각의 전지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전지를 완전히 밀봉하였다.
(5) 전지의 테스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전지(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대상으로, (A) 초기 충방전 테스트(용량 확인) 및 (B) 과충전 테스트의 순으로 평가하였다.
A. 용량 확인: 실온에서 정전류 충방전 방법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전지의 초기 충방전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전지를 정전류 하에 0.3C의 속도로, 4.2 볼트(V)로 충전하였다. 전압이 4.2V에 도달하면, 상기 전지를, 컷-오프 전압(cut-off voltage)이 3.0V에 도달할 때까지, 정전류 하에서 1C의 속도로 방전하였다. 전지의 디자인에 따라, 비(非)수계 전해질 2차 전지의 표준 용량(C)을 확인하였다.
B. 과충전 테스트: 상기 각각의 전해액을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에 충전/방전된 각형 전지를 1C의 속도에서 10V로, 또는 3C의 속도에서 5V로 충전하였다. 표 2는 과충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표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본 발명에 따름)는 W로, 비교예(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는 C로 표시하였다.
(표 2) 과충전 테스트 결과:
Figure pat00002
동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추가적인 이점 및 변형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설명 및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4)

  1. 리튬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 방법으로서,
    비(非)수계 용매, 용질 및 염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염 첨가제는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액 중의 상기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의 농도는 1.5 M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질은, LiPF6, LiBF4, LiClO4, LiAsF6, LiTaF6, LiAlCl4, Li2B10Cl10, LiCF3SO3; LiN(SO2CmF2m +1)(SO2CnF2n +1) 및 LiC(SO2CkF2k +1)(SO2CmF2m +1)(SO2CnF2n +1) (여기서 각각, k는 1 내지 10이고, m은 1 내지 10이며, n은 1 내지 10임); LiN(SO2CpF2pSO2) 및 LiC(SO2CpF2pSO2)(SO2CqF2q +1) (여기서, p는 1 내지 10이고, q는 1 내지 10임); LiPFx(RF)6-x 및 LiBFy(RF)4-y (여기서, RF는 퍼플루오르화 C1∼C20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르화 방향족 기이고, x는 0 내지 5이며, y는 0 내지 3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非)수계 용매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디부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르보네이트, 메틸 프로필 카르보네이트, 에틸 프로필 카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퓨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솔란(1,3-dioxolane),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1,2-디부톡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 포르메이트, 에틸 포르메이트, 프로필 포르메이트, 부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티레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프로필 부티레이트, 부틸 부티레이트, γ-부티로락톤, 2-메틸-γ-부티로락톤, 3-메틸-γ-부티로락톤, 4-메틸-γ-부티로락톤, β-프로피오락톤, δ-발레로락톤,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캐소드는, LiMnO2, LiMn2O4, LiCoO2, Li2Cr2O7, Li2CrO4, LiNiO2, LiFeO2, LiNixCo1-xO2 (0<x<1), LiFePO4, LiMn0 .5Ni0 .5O2, LiMnxCoyNixO2 (여기서, 0<x,y,z<1이고, x+y+z=1임), LiMc0 .5Mn1 .5O4 (여기서, Mc는 2가 금속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혼합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캐소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아미드, 멜라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결정질 탄소(crystalline carbon), 리튬 금속, LiMnO2, LiAl, LiZn, Li3Bi, Li3Cd, Li3Sb, Li4Si, Li4 .4Pb, Li4 .4Sn, LiC6, Li3FeN2, Li2 .6Co0 .4N, Li2.6Cu0.4N, Li4Ti5O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질은 LiPF6, LiBF4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非)수계 용매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전해액은,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르보네이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 첨가제는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상기 전해액 중에 약 1.0 M을 초과하지 않는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非)수계 용매는 약 1∼50 중량%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약 1∼50 중량%의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 1∼80 중량%의 디에틸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리튬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 방법으로서,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비(非)수계 전해액, 애노드, 캐소드 및 제1 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는 약 1.0 M을 초과하지 않는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충전 방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이, LiPF6, LiBF4, LiClO4, LiAsF6, LiTaF6, LiAlCl4, Li2B10Cl10, LiCF3SO3; LiN(SO2CmF2m +1)(SO2CnF2n +1) 및 LiC(SO2CkF2k +1)(SO2CmF2m +1)(SO2CnF2n +1) (여기서 각각, k는 1 내지 10이고, m은 1 내지 10이며, n은 1 내지 10임); LiN(SO2CpF2pSO2) 및 LiC(SO2CpF2pSO2)(SO2CqF2q +1) (여기서, p는 1 내지 10이고, q는 1 내지 10임); LiPFx(RF)6-x 및 LiBFy(RF)4-y (여기서, RF는 퍼플루오르화 C1∼C20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르화 방향족 기이고, x는 0 내지 5이며, y는 0 내지 3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28291A 2005-04-25 2006-04-10 비수계 전해질 용액 KR20140003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3,966 US7238453B2 (en) 2005-04-25 2005-04-25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ith mixed salts
US11/113,966 2005-04-25
US11/113,823 2005-04-25
US11/113,823 US7255965B2 (en) 2005-04-25 2005-04-25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US11/196,782 2005-08-03
US11/196,782 US20060236528A1 (en) 2005-04-25 2005-08-03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PCT/US2006/013113 WO2006115737A1 (en) 2005-04-25 2006-04-10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923A Division KR20080000595A (ko) 2005-04-25 2006-04-10 비수계 전해질 용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14A true KR20140003614A (ko) 2014-01-09

Family

ID=4342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291A KR20140003614A (ko) 2005-04-25 2006-04-10 비수계 전해질 용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36528A1 (ko)
KR (1) KR20140003614A (ko)
AT (1) ATE494640T1 (ko)
DE (1) DE602006019405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11A (ko) * 2014-06-30 2016-01-07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64258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6428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410B1 (ko) * 2006-11-20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78450B1 (ko) * 2006-11-22 2007-1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14880B1 (ko) * 2006-11-22 2008-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R2910722B1 (fr) 2006-12-20 2009-03-20 Accumulateurs Fixes Accumulateur au lithium fonctionnant a tres basse temperature
KR100805123B1 (ko) * 2007-02-1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7722994B2 (en) * 2007-03-28 2010-05-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thium-ion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s
KR100953615B1 (ko) * 2007-04-13 201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511128B2 (ja) * 2007-06-07 2014-06-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非水二次電池
US8715865B2 (en) 2007-07-11 2014-05-06 Basf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s and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the same
KR100898291B1 (ko) * 2007-09-12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N101399343B (zh) * 2007-09-25 2011-06-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正极活性物质磷酸铁锂的制备方法
CN101420048A (zh) * 2007-10-26 2009-04-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的制备方法
CN101453019B (zh) * 2007-12-07 2011-0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含磷酸亚铁锂的正极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和正极及电池
CN101471432B (zh) * 2007-12-27 2012-11-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隔膜及其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
CN101494305B (zh) * 2008-01-25 2011-05-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电解液和含有该电解液的电池及电池组
US8088305B2 (en) * 2008-02-22 2012-01-03 Byd Company Limited Lithium iron phosphate cathode material
US8057711B2 (en) * 2008-02-29 2011-11-15 Byd Company Limited Composite compound with mixed crystalline structure
US20090220858A1 (en) * 2008-02-29 2009-09-03 Byd Company Limited Composite Compound With Mixed Crystalline Structure
US8062560B2 (en) * 2008-02-29 2011-11-22 Byd Company Limited Composite compound with mixed crystalline structure
US8052897B2 (en) * 2008-02-29 2011-11-08 Byd Company Limited Composite compound with mixed crystalline structure
US8062559B2 (en) * 2008-02-29 2011-11-22 Byd Company Limited Composite compound with mixed crystalline structure
US8148015B2 (en) * 2008-03-21 2012-04-03 Byd Company Limited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8102972B2 (en) * 2008-06-05 2012-01-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services selective router interface translator
CN101597089A (zh) * 2008-06-06 2009-1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过渡金属氢氧化物及其氧化物和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01640288B (zh) * 2008-07-30 2012-03-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含有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US9099756B2 (en) * 2009-02-17 2015-08-04 Samsung Sdi Co., Ltd. Flame retardant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2823052A (zh) * 2010-03-26 2012-12-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及使用其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03283075B (zh) * 2010-12-28 2016-01-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
US20120251894A1 (en) * 2011-03-30 2012-10-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interface promoters
CN102522590B (zh) * 2011-12-26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水有机电解液、包含它的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和终端通讯设备
US20140322576A1 (en) * 2012-02-29 2014-10-30 Shin-Kobe Electric Machinery Co., Ltd. Lithium Ion Battery
WO2013146054A1 (ja) * 2012-03-29 2013-10-0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928800B2 (ja) * 2012-05-22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5147005A1 (ja) * 2014-03-27 2015-10-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解液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6354982B2 (ja) * 2014-04-24 2018-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35898B2 (en) * 2014-12-17 2020-01-14 Solvay Sa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s comprising lithium malonatoborate and fluorinated solvent
US10910679B2 (en) * 2016-07-19 2021-02-02 Uchicago Argonne, Llc Photo-assisted fast charging of lithium manganese oxide spinel (LiMn2O4) in lithium-ion batteries
US10537137B2 (en) * 2016-11-22 2020-01-21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10911745B (zh) * 2019-11-29 2021-06-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解液及电化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7251T3 (de) * 1990-10-25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Nichtwässrige elektrochemische Sekundärbatterie
US5521027A (en) * 1990-10-25 1996-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secondary electrochemical battery
US5786110A (en) * 1992-06-22 1998-07-28 Arizona Board Of Regents Alkali-metal-ion conducting electrolytes
US5484670A (en) * 1992-06-22 1996-01-16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rizona State University Lithium ion conducting ionic electrolytes
JPH08507408A (ja) * 1993-12-22 1996-08-06 サフト 充電式リチウム電気化学電池用の炭素負極及びその製造法
FR2719161B1 (fr) * 1994-04-22 1996-08-02 Accumulateurs Fixes Générateur électrochimique rechargeable au lithium à anode de carbone.
FR2738396B1 (fr) * 1995-09-05 1997-09-26 Accumulateurs Fixes Anode de generateur electrochimique rechargeable au lithium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844029A (en) * 1995-09-25 1998-12-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arbon amine oxide and hydrocarbon amine oxide stabilizer compositions
US5849432A (en) * 1995-11-03 1998-12-15 Arizona Board Of Regents Wide electrochemical window solvents for use in electrochemical devices and electrolyte solutions incorporating such solvents
US5824433A (en) * 1995-11-13 1998-10-20 Arizona Board Of Regents High conductivity electrolyte solutions and rechargeable cells incorporating such solutions
US5855809A (en) * 1995-11-13 1999-01-05 Arizona Board Of Regents Electrochemically stable electrolytes
CA2163187C (en) * 1995-11-17 2003-04-15 Huanyu Mao Aromatic monomer gassing agents for protecting non-aqueous lithium batteries against overcharge
FR2751135A1 (fr) * 1996-07-12 1998-01-16 Accumulateurs Fixes Electrode de generateur electrochimique rechargeable au lithium
FR2752091B1 (fr) * 1996-08-02 1998-09-04 Accumulateurs Fixes Composition pour electrode positive, procede de preparation
US6001325A (en) * 1996-11-26 1999-12-14 Fmc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ing acids from lithium salt solutions
AU1084599A (en) * 1997-10-15 1999-05-03 Arizona Board Of Regents,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vents for secondary cells
DE19829030C1 (de) * 1998-06-30 1999-10-07 Metallgesellschaft Ag Lithium-bisoxalatobor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111410C1 (de) * 2001-03-08 2002-07-25 Chemetall Gmbh Elektrolyt, enthaltend Lithium-bis(oxalato)borat und dessen Verwendung
US7172834B1 (en) * 2002-07-29 2007-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ditive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chemical cells
US20040151951A1 (en) * 2002-12-17 2004-08-05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based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JP4238645B2 (ja) * 2003-06-12 2009-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US7459237B2 (en) * 2004-03-15 2008-12-02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lithium electrical ce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11A (ko) * 2014-06-30 2016-01-07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64258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6428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6528A1 (en) 2006-10-26
ATE494640T1 (de) 2011-01-15
DE602006019405D1 (de)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614A (ko) 비수계 전해질 용액
EP1875540B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US7255965B2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US7238453B2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ith mixed salts
US8273484B2 (en) Nitrogen silylated compounds as additives in non-aqueous solution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5467189B2 (ja) 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電池
EP1671393B1 (en)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cyclability and/or high temperature safety improved
EP2237360B1 (en) Overcharge protection by coupling redox shuttle chemicals with radical polymerization additives
US20060269845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for electrochemical cells
CN109716578B (zh) 包含双官能膦酸甲硅烷基酯的电化学电池
US20180076483A1 (en) Non-aqueous electrolyte of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KR20180136655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02315A (ko)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19994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50137318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5283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49341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171661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battery
KR20210120196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60063187A (ko)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50032140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50032138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EP4354577A1 (en)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electric apparatus
KR101433662B1 (ko) 이차전지용 전해액과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WO2022203047A1 (ja)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31

Effective date: 201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