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91A -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91A
KR20140003491A KR1020137019138A KR20137019138A KR20140003491A KR 20140003491 A KR20140003491 A KR 20140003491A KR 1020137019138 A KR1020137019138 A KR 1020137019138A KR 20137019138 A KR20137019138 A KR 20137019138A KR 20140003491 A KR20140003491 A KR 2014000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formation
energy
corona
corona discharge
resona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669B1 (ko
Inventor
존 안쏘니 버로우즈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filed Critical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4000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23/00Other ignition
    • F02P23/04Other physical ignition means, e.g. using laser 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8Interface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8Interface circuits
    • F02D2041/286Interface circuits comprising means for signal processing
    • F02D2041/288Interface circuits comprising means for signal processing for performing a transformation into the frequency domain, e.g. Fourier trans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1Electric spark ignition installations without subsequent energy storage, i.e. energy supplied by an electrical oscil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주파수 모니터를 포함하고 있고, 진동 주기의 변화는 아크 형성의 개시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구동 회로와 코로나 점화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진동하는 구동 회로에서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단계;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RC FORMATION IN A CORONA DISCHARGE IGNITION SYSTEM}
본 발명은 대체로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은 교류 전압과 전류를 제공하여, 고전위 전극과 저전위 전극을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반전시켜서 아크 형성을 어렵게 하고 코로나 방전의 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시스템은 고 라디오 주파수 전압 전위로 충전되어 강한 라디오 주파수 전기장을 연소실에 발생시키는 중심 전극을 가진 코로나 점화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기장은 연소실 내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일부분을 이온화시키고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시키기 시작하여, 연료-공기 혼합물의 연소를 촉진시킨다. 상기 전기장은 연료-공기 혼합물이 유전 특성(dielectric property)을 유지하고 저온 플라즈마(non-thermal plasma)라고도 하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공기 혼합물 중의 이온화된 부분은 불꽃면(flame front)을 형성하고, 이 불꽃면은 자발 착화(self-sustaining)하여 연료-공기 혼합물의 나머지 부분을 연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장이 연료-공기 혼합물이 모든 유전 특성을 잃지 않도록 제어되어, 전극과 접지된 실린더 벽, 피스톤, 금속 외피, 또는 점화기의 다른 부분의 사이에 열플라즈마(thermal plasma)와 전기 아크를 발생시킨다. 전기 아크, 또는 아크는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시스템의 점화시의 견고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한 가지 예는 프린(Freen)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제6,883,5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구동 회로 및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진동하는 구동 회로에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단계;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상기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주파수 모니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는 아크 형성의 개시를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의 개시를 검출하는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이 아크 형성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코로나 방전이 통상적으로 보다 양호한 에너지 효율 및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아크 형성은 통상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하면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을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의 다른 블록도이고;
도 3은 상기 시스템의 코로나 점화기에 제공된 에너지의 예시적인 공진 주파수 및 진동 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20)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점화 시스템에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에너지를 전달하며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구동 회로(22); 상기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코로나 방전(20)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24);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주파수 모니터(2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는 아크 형성의 개시를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방법은 구동 회로(22)와 코로나 점화기(24)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방법은 진동하는 구동 회로(22)에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것;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에너지 공급원(28), 인에이블 신호(30), 구동 회로(22), 주파수 신호(32), 코로나 점화기(24), 주파수 모니터(26), 그리고 피드백 신호(34)를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아크발생을 검출하는데 사용된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복잡한 디지털 구성요소, 교정(calibration), 또는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매우 빨라서 수 나노초 또는 수 마이크로초 내에 아크 형성의 개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전류를 직접 측정하거나 임피던스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내연엔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사용된다. 내연엔진은 통상적으로 연료와 공기의 가연성 혼합물을 수용하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록 및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다. 코로나 점화기(24)는 실린더 헤드에 수용되어 있으며 연소실 속으로 뻗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코로나 팁(36)을 가진 중심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에너지 공급원(28)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으며 에너지를 구동 회로(22) 그리고 궁극적으로 코로나 점화기(24)에 공급한다. 상기 중심 전극은 에너지 공급원(28)으로부터 고 라디오 주파수 전압으로 에너지를 받아들인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중심 전극은 100,000 볼트 이하의 전압, 5 암페어 이하의 전류, 그리고 0.5 내지 2.0 메가헤르쯔의 주파수로 에너지를 받아들인다. 그 다음에 상기 중심 전극은 라디오 주파수 전기장을 연소실로 방출하여 연료-공기 혼합물의 일부를 이온화시키고 연소실 내에 코로나 방전(20)을 제공한다. 코로나 점화기(24)는 통상적으로 중심 전극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38)를 포함하고 있고, 절연체(38)와 중심 전극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외피(4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22)의 구성요소들과 코로나 점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코로나 점화 시스템은 에너지가 공진 주파수로 코로나 점화 시스템을 통하여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동 회로(22)는 트리거 회로(42),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44), 제1 스위치(46), 제2 스위치(48), 변압기(50), 전류 센서(52), 로우패스필터(54), 그리고 클램프(56)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회로(22)에 제공된 에너지는 코로나 점화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공진 주파수로 진동한다. 도 2는 에너지가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신호(57)로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또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에너지 흐름의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 유닛(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컨트롤러(58)는 통상적으로 차동 증폭기(44)를 켜는(turn on) 인에이블 신호(30)를 제공한다. 그 다음에 트리거 회로(42)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30)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코로나 점화기(24)로나 코로나 점화기(24)로부터 흐르는 에너지의 전압과 주파수의 진동을 개시시킨다. 트리거 회로(42)는 트리거 신호(59)를 발생시키고 이 트리거 신호(59)를 차동 증폭기(44)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서 진동을 개시시킨다. 상기 시스템은 공진 주기를 가지며, 트리거 신호(32)는 통상적으로 공진 주기의 절반보다 짧다.
차동 증폭기(44)는 트리거 신호(32)을 받자마자 활성화된다. 그 다음에 차동 증폭기(44)는 양의(positive) 입력부(60)에서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이 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이 에너지를 제1 출력부(62)와 제2 출력부(63)로 전달한다.
구동 회로(22)의 제1 스위치(46)는 차동 증폭기(44)의 제1 출력(62)에 의해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되어, 에너지를 에너지 공급원(28)으로부터 코로나 점화기(24)로 인도한다. 상기 스위치(46, 48)는 BJT, FET, IGBT, 또는 다른 적절한 타입으로 될 수 있다.
구동 회로(22)의 변압기(50)는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변압기 입력부(64)와 에너지를 에너지 공급원(28)으로부터 코로나 점화기(24)와 전류 센서(52)로 전달하는 변압기 출력부(66)를 포함하고 있다. 변압기(50)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1차 권선(68)과 2차 권선(70)을 포함하고 있다. 에너지 공급원(28)으로부터 나온 에너지는 먼저 1차 권선(68)을 통하여 흐르고, 이로 인해 에너지가 2차 권선(70)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코로나 점화기(24)의 구성요소들은 함께, 공진 회로 또는 동조 회로(tuned circuit)라고도 하는, 상기 시스템의 LC 회로를 제공한다. 전류 센서(52)에서 공진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는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전류 센서(52)는 통상적으로 저항기이고 변압기(50)의 출력부와 코로나 점화기(24)에서의 전류 에너지를 측정한다. 변압기(50)의 출력부의 전류 에너지는 통상적으로 코로나 점화기(24)에서의 전류 에너지와 동일하다. 그 다음에 전류 센서(52)는 상기 에너지를 로우패스필터(54)로 전달한다. 로우패스필터(54)는 원치 않는 주파수를 제거하고 전류 에너지에 위상 변이(phase shift)를 제공한다. 상기 위상 변이는 통상적으로 180도 이하이다.
클램프(56)는 로우패스필터(54)로부터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전류 에너지에 대해 신호 조정(signal conditioning)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조정은 전류 에너지를 구형파(square wave)와 안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클램프(56)는 상기 에너지를 차동 증폭기(44)의 음의 입력부(72)로 전달한다.
코로나 점화 시스템의 주파수 모니터(26)는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하는 트리거 신호(32)의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다. 도 1 및 도 2는 공진 주파수를 구동 회로(22)로부터 주파수 모니터(26)로 전달하는 주파수 신호(74)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방법은 통상적으로 코로나 점화기(24)로 또는 코로나 점화기(24)로부터 제공된 전압 또는 전류의 진동 주파수를 얻는 것에 의해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구형파로 변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2는 클램프(56)와 차동 증폭기(44)의 사이에 배치된 주파수 모니터(26)를 나타내고 있지만, 주파수 모니터(26)는 상기 시스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모니터(26)는 도 1 및 도 2에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전류 센서(52)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상기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 있다. 주파수 모니터(26)는 통상적으로 차동 증폭기(44)의 입력부(60, 72) 또는 출력부(62, 63)에서의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한다. 그러나, 대체 실시형태로서 주파수 모니터(26)는 에너지 공급원(28)과 변압기(50)의 사이, 변압기(50)와 코로나 점화기(24)의 사이, 변압기(50)와 전류 센서(52)의 사이, 전류 센서(52)와 로우패스필터(54)의 사이, 그리고 로우패스필터(54)와 클램프(56)의 사이의 에너지 신호(32)로부터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거나 얻을 수 있다. 주파수 모니터(26)는 또한 다른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엔진으로부터의 접지 복귀 루프(ground return loop)(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의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구동 회로(22)에 근접하게 배치된 자기적 또는 전기적 픽업(magnetic or electrical pickup)(도시되어 있지 않음)이나 구동 회로(22)에서 적절하게 선택된 도체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코로나 점화 시스템의 작동 동안에는, 차동 증폭기(44)의 입력부(60, 72) 및 출력부(62, 63)로 전달된 에너지 및 차동 증폭기(44)의 입력부(60, 72) 및 출력부(62, 63)로부터 전달된 에너지는, 동작 주파수라고도 하는, 공진 주파수상태이다. 도 3은 구동 회로(22)가 t=0의 시간에 이미 진동하고 있는 경우의 점화시 동안의 도 2의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는 일정 기간에 걸쳐서 구동 회로(22)를 통하여 흐르는 에너지의 전압 또는 다른 파라미터의 변화이다. 상기 공진 주파수는 복수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포함하는 구형파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는 두 개의 인접한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또는 두 개의 인접한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과 동일하다.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는 두 개의 인접한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두 개의 인접한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간격, 또는 임의의 순서로 있는 인접한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간격을 구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코로나 점화 시스템이 코로나 방전(20)을 제공하고 있을 때, 진동의 주기는 일정 기간 동안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진동의 주기는 도 3에서 참고번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진동의 주기는 또한 아크 형성의 개시후 일정 기간 동안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아크 형성의 개시전과 개시후에 진동의 주기는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 코로나 방전(20)의 띠(streamer)가 실린더 블록, 금속 외피(40), 또는 다른 접지된 구성요소에 도달할 때와 같이, 코로나 방전(20)이 아크 방전으로 전환될 때, 진동의 주기의 변화가 일어난다.
진동 주기의 변화는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 발생하고 단 한 번 발생한다. 상기 변화는 도 3에서 참고번호 2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크 형성의 개시는, 도 3에서 참고번호 300으로 표시된, 진동 주기의 변화시에 구형파의 상승 에지에서 확인될 수 있다. 아크 형성의 개시는 진동 주기의 변화시에 구형파의 하강 에지에서 확인될 수도 있다. 진동 주기의 변화는 진동 주기의 기간의 적어도 10%, 통상적으로 적어도 15%의 변화이다. 또한, 진동 주기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10%만큼 증가한다. 한 가지 예의 측정에 있어서, 참고번호 100에서의 진동 주기는 약 1.04US(965kHz)이고 참고번호 200에서의 기간은 약 1.7US(588kHz)이다. 다른 예에서는, 코로나 방전(20)이 발생하는 동안 그리고, 예를 들면, 참고번호 100에서의 진동 주기까지 그리고 이 진동 주기를 포함하여, 아크가 형성될 때까지 각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0.5 내지 1.5 마이크로초이다. 그러나, 본 예에서, 구형파들 중의 한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 예를 들면 참고번호 200에서 0.5 내지 1.0 마이크로초만큼 증가한다.
아크 형성이 개시된 직후에,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정상값으로 복귀하고 변화된 진동 주기 전이며 아크 형성의 개시 전의 진동 주기인 참고번호 100에서의 기간과 다시 대략 동일하게 된다. 아크 형성의 검출은 공진 주파수의 단일 변화에 의해 확인되고, 이 검출 방법은 매우 신속하다. 상기 변화는 통상적으로 아크발생의 제1 싸이클에서 발생하고 전자적인 검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시스템은 재설정가능한 타이머(resettable timer),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또는 프로그램가능한 디지털 솔루션(programmable digital solu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진동 주기의 변화가 주파수 모니터(26)에 의해서 확인되면, 피드백 신호(34)가 엔진 컨트롤 유닛의 컨트롤러(58)로 보내질 수 있으므로, 엔진 컨트롤 유닛은 아크 형성에 대응하는 선택권을 가진다.
명백히, 상기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영역 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5)

  1.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구동 회로와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진동하는 구동 회로에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자마자 아크 형성의 검출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상기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는 적어도 10%의 진동 주기의 증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들 중의 단 하나의 진동 주기에 있어서의 증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단계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 또는 출력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얻는 단계는 코로나 점화기로 또는 코로나 점화기로부터 제공된 전압 또는 전류의 진동 주파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를 구형파로 변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7.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으로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
    상기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코로나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점화기; 그리고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주파수 모니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는 아크 형성의 개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코로나 점화기가 코로나 방전을 제공할 때에는 상기 진동 주기가 10% 미만으로 변하고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는 상기 진동 주기가 10% 이상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 상기 진동 주기가 15% 이상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주파수 모니터가 상기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자마자 아크 형성의 개시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의 공진 주파수는 각각 하나의 진동 주기를 가진 복수의 구형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아크 형성의 개시 전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동안은 0.5 내지 1.5 마이크로초이고, 상기 복수의 구형파 중의 하나의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아크 형성의 개시시에는 0.5 내지 1.0 마이크로초만큼 증가하고, 상기 복수의 구형파의 진동 주기는 상기 하나의 구형파 직후의 아크 형성의 개시 전의 진동 주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구동 회로 및 상기 코로나 점화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원, 입력부에서 상기 에너지를 받아들여서 출력부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차동 증폭기, 상기 에너지의 흐름을 상기 에너지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코로나 점화기로 인도하는 상기 차동 증폭기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 상태로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파수 모니터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출력부에서의 에너지로부터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13.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공진 주파수로 상기 시스템을 통하여 흐르는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는 복수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의 상기 상승 에지에서 아크 형성의 개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는 복수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의 진동 주기의 변화의 상기 하강 에지에서 아크 형성의 개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KR1020137019138A 2011-04-04 2012-04-04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20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1452P 2011-04-04 2011-04-04
US201161471448P 2011-04-04 2011-04-04
US61/471,448 2011-04-04
US61/471,452 2011-04-04
PCT/US2012/032034 WO2012138674A1 (en) 2011-04-04 2012-04-04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rc formation in a corona discharge igni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91A true KR20140003491A (ko) 2014-01-09
KR101920669B1 KR101920669B1 (ko) 2018-11-21

Family

ID=45955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17A KR101924359B1 (ko) 2011-04-04 2012-04-04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 아크 형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7019138A KR101920669B1 (ko) 2011-04-04 2012-04-04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17A KR101924359B1 (ko) 2011-04-04 2012-04-04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에서 아크 형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60067B2 (ko)
EP (2) EP2694799B1 (ko)
JP (2) JP5873165B2 (ko)
KR (2) KR101924359B1 (ko)
CN (2) CN103597202B (ko)
WO (2) WO2012138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5329B2 (en) * 2008-12-05 2014-08-26 Advanced Energy Industries, Inc. Delivered energy compensation during plasma processing
US10170895B2 (en) 2009-05-08 2019-01-01 Tenneco Inc.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US9413314B2 (en) 2009-05-08 2016-08-09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DE102010055570B3 (de) * 2010-12-21 2012-03-15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2104642B4 (de) 2012-05-30 2015-10-1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Brennraums eines taktweise arbeitenden Verbrennungsmotors
US9466953B2 (en) * 2012-12-21 2016-10-11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Intra-event control strategy for corona ignition systems
WO2014149661A1 (en) * 2013-03-15 2014-09-25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DE102013105682B4 (de) * 2013-06-03 2015-02-26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3111062B4 (de) * 2013-10-07 2017-03-16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Anregungsfrequenz eines Schwingkreises einer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3111806B3 (de) * 2013-10-25 2015-01-15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ronazündeinrichtung und Koronazündeinrichtung
WO2015089369A1 (en) * 2013-12-12 2015-06-18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ntrol system for corona ignition power supply
DE102014103414B3 (de) * 2014-03-13 2015-05-13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Korona-Zündsystem eines taktweise arbeitenden Verbrennungsmotors
MY192328A (en) * 2014-10-30 2022-08-17 Univ Northwest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6491907B2 (ja) * 2015-03-06 2019-03-27 株式会社Soken 内燃機関用の点火装置
JP6566718B2 (ja) * 2015-05-21 2019-08-28 株式会社Soken 内燃機関用の点火装置
JP6139747B1 (ja) 2016-05-10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装置
JP6246300B1 (ja) 2016-11-14 2017-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火装置
US10907606B2 (en) * 2017-11-09 2021-02-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gni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572B2 (ko) * 1974-02-12 1979-08-29
JPS5634964A (en) * 1979-08-31 1981-04-07 Nippon Soken Inc Ignition device
JPS60132075A (ja) * 1983-12-21 1985-07-13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63180B2 (ja) * 1985-04-10 1994-01-1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63181B2 (ja) * 1985-08-29 1994-01-1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点火装置
JPS62107272A (ja) * 1985-10-31 1987-05-18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5144207A (en) * 1989-05-12 1992-09-01 Brunson Robert L Circuit and method for igniting and operating an arc lamp
JPH04143457A (ja) * 1990-10-04 1992-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点火装置の電流制限回路
US5568801A (en) 1994-05-20 1996-10-29 Ortech Corporation Plasma arc ignition system
JP3477852B2 (ja) * 1994-11-04 2003-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Igbt駆動回路および点火装置
US5654868A (en) * 1995-10-27 1997-08-05 Sl Aburn, Inc. Solid-state exciter circuit with two drive pulses having indendently adjustable durations
US5845488A (en) * 1996-08-19 1998-12-08 Raytheon Company Power processor circuit and method for corona discharge pollutant destruction apparatus
JPH1137030A (ja) 1997-07-14 1999-02-09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装置
KR100464902B1 (ko) * 2001-02-12 2005-01-05 (주)에스이 플라즈마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
US6883507B2 (en) 2003-01-06 2005-04-26 Eta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sustaining a corona electric discharge for igniting a combustible gaseous mixture
FR2859831B1 (fr) 2003-09-12 2009-01-16 Renault Sa Bougie de generation de plasma.
ES2968856T3 (es) * 2005-04-19 2024-05-14 Knite Inc Método y aparato para hacer funcionar un elemento de encendido de chispa móvil a alta presión
DE102005036968A1 (de) 2005-08-05 2007-02-15 Siemens Ag Plasma-Zünd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006027204B3 (de) 2006-06-12 2007-11-22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rennvorganges in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8121462A (ja) * 2006-11-09 2008-05-29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装置
FR2913297B1 (fr) 2007-03-01 2014-06-20 Renault Sas Optimisation de la generation d'une etincelle d'allumage radio-frequence
JP5082530B2 (ja) * 2007-03-23 2012-1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点火制御装置
FR2914530B1 (fr) 2007-03-28 2014-06-20 Renault Sas Pilotage optimal a la frequence de resonance d'un resonateur d'un allumage radiofrequence.
CN101910615A (zh) * 2008-01-08 2010-12-08 日本特殊陶业株式会社 等离子流火花塞点火控制
CN104791171B (zh) * 2008-07-23 2018-05-18 博格华纳公司 点燃可燃的混合物
FR2934942B1 (fr) 2008-08-05 2010-09-10 Renault Sas Controle de la frequence d'excitation d'une bougie radiofrequence.
CN102137888B (zh) 2008-08-29 2013-07-17 纳幕尔杜邦公司 用于飞机发动机的复合材料部件
AT507748A1 (de) 2008-12-16 2010-07-15 Ge Jenbacher Gmbh & Co Ohg Zündeinrichtung
DE102009013877A1 (de) 2009-03-16 2010-09-23 Beru Ag Verfahren und System zum Zünden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einer Verbrennungskammer, insbesondere in einem Verbrennungsmotor durch Erzeugen einer Korona-Entladung
FR2943739B1 (fr) 2009-03-24 2015-09-04 Renault Sas Procede d'allumage d'un melange de comburant pour moteur thermique
EP2427652B1 (en) 2009-05-08 2021-08-11 Federal-Mogul Ignition LLC Corona ignition with self-turning power amplifier
CN102803707A (zh) * 2009-06-29 2012-11-28 大发工业株式会社 火花点火式内燃机的控制方法以及点火火花塞
JP2011043140A (ja) * 2009-08-24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点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内燃機関
WO2011100516A2 (en) * 2010-02-12 2011-08-18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Intentional arcing of a corona igniter
DE102010045044B4 (de) 2010-06-04 2012-11-29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Verfahren zum Zünden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einer Verbrennungskammer, insbesondere in einem Verbrennungsmotor, durch Erzeugen einer Korona-Entladung
DE102010045168B4 (de) 2010-09-04 2012-11-29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Zündanlage und Verfahren zum Zünden von Brennstoff in einem Fahrzeugmotor durch eine Koronaentladung
DE102010062304A1 (de) 2010-12-01 2012-06-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Nebenschlüssen an einer Elektrodenspitze einer Korona-Zündvorrichtung und eine Korona-Zünd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176A (ko) 2014-03-19
CN103597202B (zh) 2016-05-18
CN103443446B (zh) 2016-08-10
US20120249163A1 (en) 2012-10-04
CN103443446A (zh) 2013-12-11
EP2694800B1 (en) 2020-01-22
EP2694799B1 (en) 2018-01-17
US9181920B2 (en) 2015-11-10
EP2694799A1 (en) 2014-02-12
WO2012138676A1 (en) 2012-10-11
JP5873165B2 (ja) 2016-03-01
JP6085292B2 (ja) 2017-02-22
US8760067B2 (en) 2014-06-24
JP2014517183A (ja) 2014-07-17
JP2014513760A (ja) 2014-06-05
EP2694800A1 (en) 2014-02-12
CN103597202A (zh) 2014-02-19
KR101924359B1 (ko) 2018-12-03
WO2012138674A1 (en) 2012-10-11
US20120249006A1 (en) 2012-10-04
KR101920669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669B1 (ko)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아크 형성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050222B2 (en) Concurrent method for resonant frequency detection in corona ignition systems
US10263397B2 (en) Active-control resonant ignition system
JP5208194B2 (ja) 給電デバイス及び高周波式点火デバイス
US9413314B2 (en)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JP5873709B2 (ja) 高周波プラズマ生成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高周波プラズマ点火装置。
JP2009008100A (ja) 可燃性の気体混合物に点火するための、コロナ放電を生成し持続させるための点火システムと点火方法
KR20090027229A (ko) 내연 기관의 연소 과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EP2971752A1 (en)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CA2856543C (en) Active-control resonant ignition system
KR102394538B1 (ko) 자가-튜닝 전력증폭기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기
JP2017110497A (ja) 点火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