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21U -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21U
KR20140003321U KR2020120010886U KR20120010886U KR20140003321U KR 20140003321 U KR20140003321 U KR 20140003321U KR 2020120010886 U KR2020120010886 U KR 2020120010886U KR 20120010886 U KR20120010886 U KR 20120010886U KR 20140003321 U KR20140003321 U KR 20140003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lange
fixing
shaf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선
김종명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321U/ko
Publication of KR20140003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일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고안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SWING TYPE LIFTING LUG DEVICE}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통해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서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해 리프팅 러그(Lifting Lug)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리프팅 러그 장치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리프팅 러그 설계하중, 소요판 두께, 보강 리브 및 용접부의 응력 등을 계산해서 설계 및 제작된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 장치에 관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07789호(2005년 1월 21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4402호(2010년 4월 29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등 다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 장치 중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중량물을 회전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중심축(1)의 상단에 외팔보 형태의 암(2)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암(2)의 선단에 와이어나 후크를 걸 수 있도록 러그(3)가 형성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선박의 기관실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거나, 주변에 장애물이 설치된 경우, 원활하게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없어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중량물을 매달기 전에는 러그(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지만, 중량물을 매단 상태에서는 러그(3)와 암(2)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중심축(1)과 러그(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러그(3)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적용되는 경우, 선박의 유동이나 중량물의 움직임에 의해 예기치 못한 회전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암(2)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중량물이 매달려있지 않은 경우, 리프팅 러그장치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07789호(2005년 1월 21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4402호(2010년 4월 29일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암을 회전시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심축과 러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서 유동이 발생하거나 중량물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리프팅 러그 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일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은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내부에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 상기 제1 수평부재의 하부에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경사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1 경사부재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플랜지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랜지와 고정플랜지에는 상기 제1 회전부를 제2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록킹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과 제1 수직부재에는 각각 와이어가 묶이는 제1 및 제2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 제1 수평부재 및 제1 경사부재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내부에 결합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직부재,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경사부재 및 상기 제2 수평부재와 제2 경사부재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량물이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의 하부에는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중량물에 연결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수평부재와 제2 경사부재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의 하단과 제2 결합부재의 상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와 대응되도록 상부 및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축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축의 하단에는 결합볼트 및 상기 결합볼트를 결합축 내부에 고정하는 설치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결합축 하단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마련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중량물과 연결된 로프나 와이어, 또는 후크를 제2 회전부의 설치부재에 마련된 걸림고리에 묶거나 걸어서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결합수단의 하부에 마련된 고리부재에 로프나 와이어를 연결해서 제1 및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중심축과 결합수단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각각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가 선박의 기관실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거나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부를 회전운동시켜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에 설치된 중량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록킹수단을 이용해서 제1 회전부를 고정함으로써 제1 회전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회전부와 록킹수단에 각각 고리를 형성해서 와이어의 양단을 묶어 록킹수단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록킹수단이 지지플랜지 및 고정플랜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록킹수단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수단 및 제2 회전부의 고리부재와 걸림고리에 연결된 와이어를 지지구조물에 고정해서 제1 및 제2 회전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유동 또는 중량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회전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선박 내부 장치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러그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러그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벽면에 설치되는 중심축(10), 중심축(1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20) 및 제1 회전부(20)의 일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30)를 포함한다.
중심축(1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체의 벽면에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에 의해 선체의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는 각각 단면이 'ㄱ' 형상인 앵글(angle)을 이용해서 제작되고,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의 수평면에는 중심축(1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20)는 내부에 중심축(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21), 제1 수직부재(21)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22), 제1 수평부재(22)의 하부에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경사부재(23) 그리고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부재(211)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근접하게 지지플랜지(21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플랜지(211)는 제2 고정부재(12)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플랜지(13) 상에 안착되어 제1 수직부재(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플랜지(211)와 고정플랜지(13)에는 제1 회전부(20)를 제2 고정부재(1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록킹수단(14)이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수단(14)은 볼트나 핀으로 마련되고, 록킹수단(14)의 상단과 제1 수직부재(21)의 하부에 각각 와이어가 묶이는 제1 및 제2 고리(15,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제1 수직부재와 록킹수단에 각각 고리를 형성해서 와이어의 양단을 묶어 록킹수단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록킹수단이 지지플랜지 및 고정플랜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록킹수단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제1 회전부(20)는 제1 수직부재(21),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판(26)과 지지판(26)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6) 및 지지부재(27)는 제1 수직부재(21),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 사이에서 발생하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소시켜 제1 회전부(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는 제1 회전부(20)와 제2 회전부(30)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결합수단(4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재(24)의 하단과 제2 결합부재(25)의 상단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할 제2 회전부(30)의 제2 수직부재(31) 상하단에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311,312)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결합수단(4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직부재(31), 제2 수직부재(31)의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32), 제2 수평부재(32)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경사부재(33) 및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량물이 설치되는 설치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부재(31)는 결합수단(40)에 의해 제1 회전부(20)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결합수단(40)의 결합축(41)이 삽입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직부재(31)의 상하단에는 각각 제1 회전부(20)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와 대응되도록 상부 및 하부 플랜지(311,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는 각각 파이프를 이용해서 제작될 수 있다.
설치부재(34)는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설치부재(34)의 하부에는 설치플레이트(35)가 마련되며, 설치플레이트(35)의 하면에는 걸림고리(3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고리(36)는 중량물에 연결된 로프나 와이어, 또는 후크가 걸리는 부분이다.
이와 함께, 제2 회전부(30)는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7)는 제2 수평부재(32) 및 제2 경사부재(33) 사이에서 발생하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소시켜 제2 회전부(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수단(4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20)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와 제2 회전부(30)의 제2 수직부재(31)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축(41) 및 결합축(41)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축(41)의 상단에는 제1 결합부재(24)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플랜지(43)가 설치되고, 결합축(41)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44) 및 결합볼트(44)를 결합축(41) 내부에 고정하는 설치플레이트(45)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볼트(44) 및 설치플레이트(45)는 각각 설치플레이트(45)의 상면 및 결합축(41) 하부의 내주면에 용접 작업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플랜지 부재(42)는 제2 결합부재(25)의 하단에 접촉하고 결합축(41)의 결합볼트(44)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결합축(41) 하단에 고정되는 플랜지(46)와 플랜지(46)의 하면에 마련되는 고리부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47)는 와이어나 로프가 묶이는 부분으로, 작업자는 고리부재(47)에 묶인 로프나 와이어를 이용해서 제1 회전부(20)를 회전시키거나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및 제2 회전부를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제2 회전부의 선단에 중량물을 설치해서 중량물 이동시 결합수단을 중심으로 제2 회전부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선박의 기관실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주변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제1 회전부(20) 및 제2 회전부(30)를 조립한다.
즉, 제1 회전부(20)의 제1 수직부재(21),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를 용접 작업에 의해 접합하고, 제1 수평부재(22)와 제1 경사부재(23)의 선단에 각각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를 접합한다.
이때, 제1 수직부재(21),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 사이 공간에 지지판(26)과 지지부재(27)를 설치하여 제1 회전부(20)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 제2 회전부(30)의 제2 수직부재(31), 제2 수평부재(32) 및 제2 경사부재(33)를 용접 작업에 의해 접합하고,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23)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부재(34)를 접합한다.
이때,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 사이의 공간에 지지플레이트(37)를 설치하여 제2 회전부(3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제1 회전부(20)와 제2 회전부(30)를 결합수단(40)을 이용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한다.
즉, 제1 회전부(20)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와 제2 회전부(30)의 제2 수직부재(31) 상하단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311,312)를 서로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 수직부재(31)의 상부에서 제2 수직부재(31) 내부의 공간으로 결합수단(40)의 결합축(41)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와 제2 수직부재(31)를 관통한 결합축(41)의 하단에 플랜지 부재(42)를 결합한다.
이때, 결합축(41)의 하단에 설치된 결합볼트(44)를 플랜지 부재(42)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시킨 후, 너트를 체결해서 결합축(41)과 플랜지부재(42)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부(20,30)는 각각 결합수단(40)의 결합축(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부(20,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 상하로 배치한 후, 용접 작업에 의해 접합하거나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한다.
그리고 제1 회전부(10)의 제1 수직부재(21)를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1 수직부재(21)의 상부에서 제1 수직부재(21) 내부에 마련된 삽입공간으로 중심축(10)을 삽입한다.
그러면, 중심축(10)의 하단은 제1 고정부재(11), 제1 수직부재(21) 및 제2 고정부재(12)를 관통해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회전부(20,30)는 각각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축 결합되어 중심축(1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 고안은 중량물과 연결된 로프나 와이어, 또는 후크를 제2 회전부의 설치부재에 마련된 걸림고리에 묶거나 걸어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결합수단의 하부에 마련된 고리부재에 로프나 와이어를 연결해서 제1 및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중심축과 결합수단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각각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가 선박의 기관실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거나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결합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부를 회전운동시켜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에 설치된 중량물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미사용시 또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회전부(20) 및 제2 고정부재(12)의 지지플랜지(211)와 고정플랜지(13)에 형성된 고정공을 통해 록킹수단(14)을 삽입해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록킹수단을 이용해서 제1 회전부를 고정함으로써 제1 회전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결합수단 및 제2 회전부의 고리부재와 걸림고리에 연결된 와이어를 지지구조물에 고정해서 제1 및 제2 회전부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유동 또는 중량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의 회전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선박 내부 장치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중심축 11,12: 제1, 제2 고정부재
13: 고정플랜지 14: 록킹수단
15: 제1 고리 20: 제1 회전부
21: 제1 수직부재 211: 지지플랜지
212: 제2 고리 22: 제1 수평부재
23: 제1 경사부재 24,25: 제1, 제2 결합부재
241,251: 제1, 제2 결합플랜지
26: 지지판 27: 지지부재
30: 제2 회전부 31: 제2 수직부재
311,312: 상부, 하부 플랜지
32: 제2 수평부재 33: 제2 경사부재
34: 설치부재 35: 설치플레이트
36: 걸림고리 40: 결합수단
41: 결합축 42: 플랜지 부재
43: 안착플랜지 44: 결합볼트
45: 설치플레이트 46: 플랜지
47: 고리부재

Claims (11)

  1.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는 중심축(10),
    상기 중심축(1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20) 및
    상기 제1 회전부(20)의 일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 회전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10)은 선체의 벽면이나 지지구조물에 상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11,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20)는
    내부에 상기 중심축(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21),
    상기 제1 수직부재(21)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 수평부재(22),
    상기 제1 수평부재(22)의 하부에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경사부재(23)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211)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12)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플랜지(13)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21)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21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랜지(211)와 고정플랜지(13)에는 상기 제1 회전부(20)를 제2 고정부재(12)에 고정하는 록킹수단(14)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4)과 제1 수직부재(21)에는 각각 와이어가 묶이는 제1 및 제2 고리(15,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20)는 상기 제1 수직부재(21), 제1 수평부재(22) 및 제1 경사부재(23)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판(26)과
    상기 지지판(26)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30)는
    내부에 결합수단(4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직부재(31),
    상기 제2 수직부재(31)의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 수평부재(32),
    상기 제2 수평부재(32)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경사부재(33) 및
    상기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량물이 설치되는 설치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34)의 하부에는 설치플레이트(35)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35)의 하면에는 중량물에 연결되는 걸림고리(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30)는 상기 제2 수평부재(32)와 제2 경사부재(33)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24)의 하단과 제2 결합부재(25)의 상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재(31)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결합플랜지(241,251)와 대응되도록 상부 및 하부 플랜지(311,3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24,25)와 제2 수직부재(31)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축(41) 및
    상기 결합축(41)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41)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24)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플랜지(43)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축(41)의 하단에는 결합볼트(44) 및
    상기 결합볼트(44)를 결합축(41) 내부에 고정하는 설치플레이트(45)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42)는 상기 제2 결합부재(25)의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결합축(41) 하단에 고정되는 플랜지(46)와
    상기 플랜지(46)의 하면에 마련되는 고리부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KR2020120010886U 2012-11-26 2012-11-26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KR20140003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86U KR20140003321U (ko) 2012-11-26 2012-11-26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86U KR20140003321U (ko) 2012-11-26 2012-11-26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1U true KR20140003321U (ko) 2014-06-05

Family

ID=5244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86U KR20140003321U (ko) 2012-11-26 2012-11-26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04U (ko) * 2015-08-24 2017-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크레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04U (ko) * 2015-08-24 2017-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크레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86862Y (zh) 一种楼板吊装机
JP6070039B2 (ja) 玉掛け用吊り治具
JP5700446B2 (ja) 筒体用反転治具及び筒体の反転方法
WO2010085156A1 (en) Device of fairlead, and use thereof
JP3198322U (ja) 天秤および吊具
KR20140003321U (ko) 회전형 리프팅 러그 장치
JP2007022789A (ja) 吊り治具および竪管施工方法
JP7193374B2 (ja) 台棒の取付金具及び当該取付金具を使用した台棒の取り付け方法
JP5160121B2 (ja) 既製杭に取り付ける杭保持具、既製杭の連結埋設方法
JP2021105267A (ja) セントル基枠の吊下具、セントル基枠及びセントル基枠の吊下方法基枠
CN210744602U (zh) 一种输电线路架空地线单挂双线夹的更换装置
JP3204833U (ja) 吊りピース付きコラム切梁
JP2000355483A (ja) クレーン仕様パワーシャベルのフックセット
CN110440196B (zh) 适用于吊机臂架的桅杆灯支架
JP3225269U (ja) 吊りピース
CN208378254U (zh) 舷吊
JP2745322B2 (ja) 鉄塔用鋼管の吊り金具
JP3162625U (ja) 屋根上作業用安全金具
JP2017190201A (ja) 吊り具
JP2021102516A (ja) 管状物用の吊り治具
JP5976177B1 (ja) 足場用吊り具
JP3201780U (ja) 岸壁又は船舶用簡易梯子
JP7404861B2 (ja) 管材降下装置及び管材の連結方法
CN109626204B (zh) 塔筒的溜尾吊具
JP3212405U (ja) 電柱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