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67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67A
KR20140000667A KR1020137005817A KR20137005817A KR20140000667A KR 20140000667 A KR20140000667 A KR 20140000667A KR 1020137005817 A KR1020137005817 A KR 1020137005817A KR 20137005817 A KR20137005817 A KR 20137005817A KR 20140000667 A KR20140000667 A KR 2014000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light source
scanning
las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히꼬 지까오까
Original Assignee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8Laser speckle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4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쌍방향의 선 순차 주사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스펙클 노이즈를 유효하게 저감시키면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한다. 레이저 제어부는, 순방향 주사 시에는, 파형 패턴 GPT, BPT를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파형 패턴을 설정한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는, 역방향 주사 시에는, 순방향 주사 시의 파형 패턴을,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파형 패턴을 설정한다. 파형 패턴 RPT, GPT, BPT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 및 구동 종료 타이밍을 갖는다. 화소 표시 기간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개시 타이밍까지의 오프 기간과, 구동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화소 표시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오프 기간은, 시간축 상에서 비대칭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광의 주사에 의해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3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적색, 청색, 녹색의 각 성분의 레이저광을 합성한 컬러 광을 주사 미러에 의해 반사시켜, 투사면 위에 투영함으로써, 이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레이저 프로젝터가 개시되어 있다. 주사 미러는 2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미러 고유의 공진 주파수에서 미러의 편향각을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투사면 위에서의 어떤 수평 라인에서 한 방향으로 레이저 스폿을 진행시키고(순방향 주사), 다음의 바로 아래의 수평 라인에서 역방향으로 레이저 스폿을 되돌린다(역방향 주사)고 하는 쌍방향의 선 순차 주사가 교대로 반복되어, 투사면 위에 1 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레이저 프로젝터에서는, 레이저광 고유의 코히렌스성(가간섭성)에 기인하여, 스펙클 노이즈라 불리는 미소한 반점 형상의 깜빡거림이 문제로 된다. 스펙클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종래부터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로서, 특허문헌 2에는 레이저 광원의 완화 진동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는 사각형의 파형 패턴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구동시킨다. 레이저 광원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상승하는 타이밍에서 완화 진동을 개시하고, 그 후의 온 기간에서 완화 진동을 계속한다. 이 온 기간은, 완화 진동이 수렴되는 시간과 동등, 또는 그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온 기간의 전역에 걸쳐 레이저 광원의 출력 레벨이 불안정하게 변동하여, 레이저광의 코히렌스가 저하되므로, 스펙클 노이즈가 저감된다.
그런데,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3개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합성하여 컬러 광으로 하고 있으므로, 각 레이저 광원의 광축은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레이저 광원 등의 물리적인 부착 정밀도에 기인하여, 각 색 성분의 레이저 광원의 광축이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아, 투사면 위에서의 레이저광의 투사 위치(투사 스폿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3에는, 레이저 광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상승시키는 타이밍, 즉 레이저광의 출사 개시 타이밍을 위치 어긋남의 양에 따라서 색 성분마다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754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95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02017호 공보
그러나,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시간적으로 보정하는 특허문헌 3은, 모든 주사선을 한 방향으로 선 순차 주사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쌍방향의 선 순차 주사에의 적용에 대해서는 어떠한 것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순방향 주사시(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주사시)에, 적색 성분의 투사 스폿에 대하여 청색 성분의 투사 스폿이 주사 지연 방향(좌측)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주사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 청색 성분의 출사 개시 타이밍을 적색 성분의 출사 개시 타이밍보다도 늦추면, 청색 성분의 위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역방향 주사시(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주사시)에서도, 순방향 주사와 마찬가지로, 청색 성분의 출사 개시 타이밍을 늦추게 되면, 청색 성분의 위치 어긋남이 오히려 증대되게 된다. 왜냐하면, 역방향 주사 시에는, 순방향 주사시와는 달리,적색 성분의 투사 스폿에 대하여 청색 성분의 투사 스폿이 시간 진행 방향(좌측)으로 어긋나기 때문이다.
따라서,본 발명의 목적은, 쌍방향의 선 순차 주사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스펙클 노이즈를 유효하게 저감시키면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은, 제1 레이저 광원과, 제2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 주사부와, 레이저 제어부를 갖고,레이저광을 투사면에 투영함으로써,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레이저 광원은, 제1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제2 레이저 광원은, 제1 레이저광과 합성해야 할 제2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레이저 주사부는, 순방향 주사와, 순방향 주사와는 역방향의 역방향 주사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제1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을 투사면 위에 투사한다. 레이저 제어부는, 순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지연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느리게 하고, 역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진행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한다.
여기에서, 제1 발명에서, 레이저 제어부는, 순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느리게 하고, 역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제2 레이저광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발명은, 제1 레이저 광원과, 제2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 주사부와, 레이저 제어부를 갖고,레이저광을 투사면에 투영함으로써,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레이저 광원은, 제1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제2 레이저 광원은, 제1 레이저광과 합성해야 할 제2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레이저 주사부는, 순방향 주사와, 순방향 주사와는 역방향의 역방향 주사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제1 레이저광과, 제2 레이저광을 투사면 위에 투사한다. 레이저 제어부는, 순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까지의 제1 오프 기간과,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화소 표시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2 오프 기간이 시간축 상에서 비대칭으로 설정된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제1 파형 패턴을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킨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 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함과 함께,역방향 주사 시에는,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2 발명에서, 제1 오프 기간 및 제2 오프 기간에서는, 표시 계조에 구애받지 않고, 레이저 광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바이어스 전류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제1 레이저 광원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1 구동 기간은, 제2 레이저 광원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2 구동 기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제1 레이저 광원 및 제2 레이저 광원은, 1 화소의 표시 기간을 규정하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구동 개시 타이밍 및 구동 종료 타이밍을 가지므로, 레이저 광원의 완화 진동이 화소마다 행해진다. 이 완화 진동에 의해, 레이저광의 코히렌스가 저하되므로, 스펙클 노이즈가 저감된다. 또한, 순방향 주사 시에는,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지연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늦게 함으로써, 순방향 주사에서의 제2 레이저 광원의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한편, 역방향 주사 시에는,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진행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함으로써, 역방향 주사에서의 제2 레이저 광원의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순방향 주사 및 역방향 주사의 쌍방에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제1 레이저 광원 및 제2 레이저 광원은,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구동 개시 타이밍 및 구동 종료 타이밍을 가지므로, 레이저 광원의 완화 진동이 화소마다 행해진다. 이 완화 진동에 의해, 레이저광의 코히렌스가 저하되므로, 스펙클 노이즈가 저감된다. 또한, 순방향 주사 시에는, 제1 오프 기간과, 제2 오프 기간이 시간축 상에서 비대칭으로 설정된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제1 파형 패턴을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킨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제1 파형 패턴과, 제2 파형 패턴으로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전후로 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방향 주사에서의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한편, 역방향 주사 시에는,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므로, 제1 레이저 광원 및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은, 순방향 주사시와는 반대로 된다. 따라서, 역방향 주사에서의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이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순방향 주사 및 역방향 주사의 쌍방에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레이저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직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픽셀 단위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행하였을 때에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화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서브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의 파형 패턴의 확대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계측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계측기에 의한 계측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의 파형 패턴의 확대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레이저광과 화소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 레이저 프로젝터(1)는, 레이저 광원(2a 내지 2c)과, 각종 광학 소자(3 내지 5)와, 주사 미러(6)와, 각종 구동·제어 유닛(7 내지 11)을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프로젝터(1)는, 적색, 청색, 녹색의 각 성분의 레이저광을 합성한 다음에, 스크린이나 벽 등의 투사면 A에 투영함으로써, 영상 신호에 따른 컬러 화상을 투사면 A 위에 표시한다. 레이저 프로젝터(1)는, 지향성이 매우 높은 레이저광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투사면 A까지의 거리에 따른 포커스 조정이 불필요하다고 하는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각각의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은, 레이저 드라이버(11)로부터 개별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광원(2a)으로부터는 청색 성분(B), 레이저 광원(2b)으로부터는 녹색 성분(G), 레이저 광원(2c)으로부터는 적색 성분(R)과 같이, 특정한 파장의 레이저광이 출사된다. 다이크로익 미러(3, 4)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광만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것을 반사함으로써,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으로부터 출사된 각 색 성분의 레이저광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레이저 광원(2a, 2b)으로부터 출사된 청색 성분 및 녹색 성분의 레이저광은, 광로 상류 측의 다이크로익 미러(3)에서 합성된 다음, 광로 하류 측의 다이크로익 미러(4)로 출사된다. 이 출사된 합성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에서 레이저 광원(2c)으로부터 출사된 적색 성분의 레이저광과 더 합성되고, 목표로 되는 최종적인 컬러 광으로서 출사된다. 이 출사된 컬러 광은, 렌즈(5)를 통해 레이저 주사부의 일례로서의 주사 미러(6)에 입사된다.
주사 미러(6)는, 자신에게 입사된 컬러 광을, 자신의 편향각(위상)에 따라서 반사하여 투사면 A 위에 투사한다. 이 주사 미러(6)는, 투사면 A의 수평 방향 X 및 수직 방향 Y에 대응한 이차원적인 자유도를 가지며, 그 이차원적인 변위에 대응한 선 순차 주사에 의해, 투사면 A 위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 선 순차 주사는, 투사면 A 위에서의 어떤 수평 라인에서 한 방향으로 레이저 스폿 p를 진행시키고, 다음의 수평 라인에서 역방향으로 레이저 스폿 p를 되돌리는 것의 반복에 의해, 1 프레임 내에서 연속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 순차 주사는, 어떤 수평 라인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순방향)으로 주사하고, 다음의 수평 라인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역방향)으로 주사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순방향을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하고, 역방향을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하여도 된다. 주사 미러(6)에는, 그 구동 방법에 따라서 몇 개의 타입이 존재하며, 그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 타입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한 것이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며, 장치 전체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 및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다. 미러의 주사를 전자 구동으로 행하는 경우의 동작 원리는, 대체로 이하와 같다.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미러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회전축을 통해 기판에 부착되어 있다. 수평 주사용의 코일에 구동 전류가 흐른 경우, 이 코일에 대응한 영구 자석과의 사이에 전자력이 발생하고, 이 전자력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미러가 한쪽의 회전축을 따라서 요동한다(수평 주사). 또한, 수직 주사용의 코일에 구동 전류가 흐른 경우, 이 코일에 대응한 다른 영구 자석과의 사이에 전자력이 발생하고, 이 전자력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미러가 다른쪽의 회전축을 따라서 요동한다(수직 주사). 수평/수직 주사용의 구동 전류는, 미러의 치수, 재료의 밀도, 견고함 등에 의해 특정되는 고유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이 공진 주파수에서 미러를 이차원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가장 큰 편향각에서 미러가 연속적으로 진동한다. 또한, 전자 구동형 미러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83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필요하면 참조하길 바란다. 또한, 전자 구동형 주사 미러 중에는, 수평 주사만을 공진 주파수 구동으로 행하고, 수직 주사에 대해서는 DC 구동(전류의 레벨에 의해 위상을 제어하는 것)으로 행하는 타입도 존재하며, 이 타입을 주사 미러(6)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주사 미러 드라이버(7)는, 주사 미러(6)에 구동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주사 미러(6)를 구동시킨다. 그와 함께,주사 미러 드라이버(7)는, 주사 미러(6)의 현재 위치(위상)를 검출한다. 이 검출된 위치 정보는, 위치 검출 신호로서 주사 미러 제어부(8)에 통지된다. 주사 미러(6)의 위치 검출은, 예를 들면, 상술한 미러와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2축)에 비틀림 센서를 설치하고, 미러의 편향각과 연동하는 회전축의 비틀림 각을 비틀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미러(6)의 근방에 수광 소자(포토다이오드 등)를 배치하고, 미러의 편향각과 연동하는 반사광의 위치를 수광 소자에서 검출함으로써, 주사 미러(6)의 위치를 검출하여도 된다.
주사 미러 제어부(8)는, 주사 미러(6)에 입사되는 레이저광이 소정의 화상 영역을 소정의 주파수에서 주사하도록, 주사 미러(6)를 제어한다. 이 제어는, 주사 미러 제어부(8)가 주사 미러 드라이버(7)에 구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주사 미러 제어부(8)는, 주사 미러 드라이버(7)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수평 동기 신호 HSNC 및 수직 동기 신호 VSNC를 생성하고, 이들을 영상 처리부(9)로 출력한다.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사 타이밍은, 주사 미러(6)의 위상 제어와 동기하여 행할 필요가 있고, 이 동기를 취하기 위해 수평/수직 동기 신호 HSNC, VSNC가 이용된다. 즉, 본 레이저 프로젝터(1)에서는, 주사 미러(6)의 구동이 주체로 되고, 내부 생성된 수평/수직 동기 신호 HSNC, VSNC에 기초하여 주사 미러(6)의 구동과 동기하도록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이 종동적으로 구동된다.
영상 처리부(9)는,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입력 영상 신호(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동기 신호에 의해 규정된 타이밍에서, 프레임 버퍼(도시생략)에 수시로 기입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9)는, 주사 미러 제어부(8)로부터 공급된 수평/수직 동기 신호 HSNC, VSNC에 의해 규정된 타이밍에서,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레이저 제어부(10)에 전송한다.
레이저 제어부(10)는, 영상 처리부(9)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화소에 관한 구동 전류 Id와, 이에 적용해야 할 파형 패턴 PT를 색 성분마다 결정한다. 각각의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은, 색 성분마다 설정된 구동 전류 Id 및 파형 패턴 PT에 기초하여, 레이저 드라이버(11)를 통해서 개별로 제어·구동된다.
도 2는, 레이저 제어부(10)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 레이저 제어부(10)는, 메모리(10a)와,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와, 구동 전류 설정 회로(10c)를 갖는다. 메모리(10a)는, 레이저 제어부(10)에서 이용되는 각종 정보, 특히, 파형 패턴을 색 성분마다 규정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에 레이저광을 출사시키기 위한 파형 패턴 PT를 설정한다. 구동 전류 설정 회로(10c)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정보와, 색 성분마다 준비된 구동 전류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시해야 할 계조 데이터 D에 따른 구동 전류 Id를 생성·출력한다. 이 구동 전류 테이블에는, 각각의 계조에서 설정해야 할 전류 레벨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것을 참조함으로써, 표시해야 할 계조 데이터 D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 Id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어떤 화소의 색 성분마다 특정된 구동 전류 Id 및 파형 패턴 PT는, 그 화소의 표시 기간의 개시 타이밍에서, 레이저 드라이버(11)로 출력된다.
레이저 드라이버(11)는, 각각의 색 성분에 관하여, 레이저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파형 패턴 PT를 이용하여 구동 전류 Id를 변조하고, 변조된 구동 전류를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으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은, 표시해야 할 계조에 따른 출력 레벨의 레이저광을 파형 패턴 PT에 따라서 출사한다. 각 색 성분의 출사광을 합성한 최종적인 컬러 광은, 레이저광의 출사와 동기하여 위치 제어되는 주사 미러(6)에 유도되어, 투사면 A 위의 원하는 화소 위치에 투사된다.
도 3은,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레이저 광원(2a 내지 2c) 등의 물리적인 부착 정밀도에 기인하여,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의 광축이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아, 투사 스폿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B의 레이저광은, G의 레이저광에 대하여 수평 방향 X로 -1픽셀, 수직 방향 Y로 +1픽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R의 레이저광은, G의 레이저광에 대하여 수평 방향 X로 약 +1.2픽셀, 수직 방향 Y로 -1픽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다.
도 4는,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각 색 성분의 투사 스폿의 위치적 관계는 불변이므로, 이들의 위치 어긋남은, 선 순차 주사에 의해 투사면 A 위에 표시되는 1 프레임의 화상의 위치 어긋남으로 되어, 화질의 저하로 직결된다. 이와 같은 화질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레이저 제어부(10)는, 구동 전류 Id를 변조하는 파형 패턴 PT를 색 성분마다 개별로 설정하고, 색 성분 간에서의 투사 스폿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메모리(10a)에는, 픽셀(화소) 단위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화소 보정용 데이터와, 1픽셀보다 작은 분해능의 서브 픽셀 단위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레이저 제어부(10)는, 영상 데이터와,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계조에 따른 구동 전류 Id와 함께, 이 구동 전류 Id의 변조에 적용하는 파형 패턴 PT를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한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의 보정과,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한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나누어 설명한다.
도 5는, 수직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계조 데이터 D(RD, GD, BD)에서의 Line의 뒤 첨자는, 영상 데이터에서의 수평 라인의 행수(Y 좌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구동 전류 설정 회로(10c)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동기 신호 HSNC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 주사 기간의 정수배로, 각 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RD GD, BD의 표시 타이밍을 보정한다. 도 3의 예로 설명하면, 청색 성분의 투사 스폿 B는, 녹색 성분의 투사 스폿 G에 대하여 1수평 라인만큼 앞서고 있으므로(Y 방향으로 +1), 청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BD의 표시 타이밍을 녹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GD의 표시 타이밍보다도 1수평 주사 기간만큼 빠르게 한다. 또한, 적색 성분의 투사 스폿 R은, 녹색 성분의 투사 스폿 G에 대하여 1수평 라인만큼 늦으므로(Y 방향으로 -1), 적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RD의 표시 타이밍을 녹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GD의 표시 타이밍보다도 1수평 주사 기간만큼 느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어떤 수평 주사 기간에서, 적색 성분은 R_Line0, 녹색 성분은 G_Line1, 청색 성분은 B_Line2와 같이, 색 성분마다 서로 다른 수평 라인을 대상으로 한 주사가 동시 병행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각 색 성분의 투사 스폿 R, G, B의 Y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미리 예측한 다음, 색 성분마다 서로 다른 수평 라인의 주사를 행하면, Y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시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의 (a), (b)는, 도 5의 영역 A, B에 해당하는 기간에서의 도트 클럭 DCLK, 파형 패턴 PT(RPT, GPT, BPT) 및 계조 데이터 D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계조 데이터 D에서의 RGB의 뒤의 첨자는, 영상 데이터에서의 Y 좌표를 나타내고, X의 뒤의 첨자는, X 좌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구동 전류 설정 회로(10c)는, 순방향 주사시(주사 방향이 X축 플러스 측일 때)에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트 클럭 DCLK에 의해 규정되는 화소 표시 기간의 정수배로, 각 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RD, GD, BD의 표시 타이밍을 보정한다. 도 3의 예로 설명하면, 청색 성분의 투사 스폿 B는, 녹색 성분의 투사 스폿 G에 대하여 1화소만큼 늦으므로(X 방향으로 -1), 청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BD의 표시 타이밍을 녹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GD의 표시 타이밍보다도 1화소 표시 기간만큼 느리게 한다. 또한, 적색 성분의 투사 스폿 R은, 녹색 성분의 투사 스폿 G에 대하여 1화소 표시 기간만큼 앞서고 있으므로(X 방향으로 +1), 적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RD의 표시 타이밍을 녹색 성분의 계조 데이터 GD의 표시 타이밍보다도 1화소 표시 기간만큼 빠르게 한다. 이것에 의해, 어떤 화소 표시 기간에서, 적색 성분은 R0_X1-1, 녹색 성분은 G1_X1, 청색 성분은 B2_X1+1과 같이, 색 성분마다 서로 다른 화소를 대상으로 한 주사가 동시 병행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각 색 성분의 투사 스폿 R, G, B의 X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미리 예측한 다음에, 색 성분마다 서로 다른 화소의 주사를 행하면, X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시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직/수평 방향에서의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의 보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87225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필요하면 참조하길 바란다.
도 7은, 픽셀 단위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행하였을 때에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화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R의 레이저광은, G의 레이저광에 대하여 수평 방향 X로 약 +1.2픽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의 보정에서는, R의 레이저광에서의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할 수는 없다(도 7의 (a) 참조). 따라서,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형 패턴 PT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제어부(10)는,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고 있다(도 7의 (b) 참조).
도 8은,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서브 픽셀 단위로 보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순방향 주사 시에는, R의 레이저광에서의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서,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형 패턴 GPT, BPT를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설정한다. 즉,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는, 각 파형 패턴 PT 중,어느 파형 패턴을 반전시킬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역방향 주사 시에는, 순방향 주사시의 파형 패턴 PT를, 각각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설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역방향 주사 시에는, 파형 패턴 GPT, BPT에 따라서 레이저 광원(2c)으로부터 출사되는 R의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파형 패턴 RPT에 따라서 레이저 광원(2a, 2b)으로부터 출사되는 G, B의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형 패턴 PT의 구동 기간(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기간)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각 파형 패턴 PT를 단위 주기의 반복에 의해 생성하고 있으므로, 도트 클럭 DCLK로부터의 생성이 용이하여, 회로 설계상 유리하다.
도 9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의 파형 패턴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의 위쪽의 파형 패턴은, 순방향 주사시의 파형 패턴 GPT, BPT이며, 아래쪽의 파형 패턴은, 순방향 주사시의 파형 패턴 RPT이다. 각 파형 패턴 PT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 및 구동 종료 타이밍을 갖는다. 그리고, 화소 표시 기간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개시 타이밍까지의 오프 기간과, 구동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화소 표시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오프 기간은, 시간축 상에서 비대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프 기간에서는, 구동 전류 Id는 표시 계조에 구애받지 않고, 레이저 광원(2a 내지 2c)의 바이어스 전류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구동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화소 표시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오프 기간은, 다음 화소 표시 기간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에 대비한다고 하는 의미도 있지만, 인접한 화소간에서의 혼색을 억제하는 블랭킹으로서의 의미도 있다. 이와 같은 파형 패턴 PT를,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키면,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전후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파형 패턴 GPT, BPT를 반전시킴으로써 순방향 주사 시에는, 파형 패턴 RPT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파형 패턴 GPT, BPT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설정하고 있다. 한편, 역방향 주사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 패턴 PT는, 각각 시간축 상에서 반전되고 있으므로, 파형 패턴 RPT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파형 패턴 GPT, BPT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늦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레이저 제어부(10)는, R의 레이저광에서의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 패턴 PT의 구동 기간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순방향 주사 시에는, 파형 패턴 RPT에서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파형 패턴 GPT, BPT에서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설정하고, 역방향 주사 시에는, 파형 패턴 RPT에서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파형 패턴 GPT, BPT에서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늦게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변경한 경우에서도 주사 방향에서의 1화소의 폭을 유지할 수가 있어,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10은,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계측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모리(10a)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보정용 데이터 및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는,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계측함으로써 결정된다.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은, 예를 들면, 레이저 프로젝터(1)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광로 상에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 PD를 설치하고, 광검출기 PD로부터 출력되는 광검출 신호와, 레이저 프로젝터(1)로부터 출력되는 스타트 신호에 기초하여,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계측하는 계측기 MI를 이용하여 계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레이저 프로젝터(1)는, 광검출기 PD를 통과하도록 수평 방향 X 또는 수직 방향 Y로 주사하고, 주사 미러(6)가 소정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RGB 중,어느 하나의 레이저광을 출사시킴과 함께,계측기 MI에 스타트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계측기 MI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광검출기 PD에서 레이저광이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계측한다.
도 11은, 계측기에 의한 계측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1의 (a)는, 수직 방향 Y에서의 각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의 계측 결과이며, 도 11의 (b)는, 수평 방향 X에서의 각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의 계측 결과이다. 그리고, 계측기 MI에서 계측된 각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trv, tgv, tbv, trh, tgh, tbh)에 기초하여, 화소 보정용 데이터 및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를 결정하여 메모리(10a)에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는,우선,계측기 MI에서 계측된 각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량을 픽셀 단위로 스케일링한다. 다음으로,RGB의 레이저광 중,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레이저광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량을 산출함으로써 화소 보정용 데이터 및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수직 방향 Y에 대해서는, 서브 픽셀 단위의 보정을 행하지 않으므로, 사사오입 등으로 위치 어긋남량을 사사오입하여 화소 보정용 데이터만을 결정한다. 또한, 수평 방향 X에 대해서는, 서브 픽셀 단위의 보정을 행하므로, 각 위치 어긋남량을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 정수부에 의해 화소 보정용 데이터를 결정하고, 소수부에 의해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를 결정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는, 각 파형 패턴 PT 중,어느 파형 패턴을 반전시킬지를 정하고 있다. 반전시키는 파형 패턴 PT에 의해 서브 픽셀 단위의 보정 결과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는, 각 위치 어긋남량의 소수부에 기초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파형 패턴 PT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구동 개시 타이밍 및 구동 종료 타이밍을 가지므로, 레이저 광원의 완화 진동이 화소마다 행해진다. 이 완화 진동에 의해, 레이저광의 코히렌스가 저하되므로, 스펙클 노이즈가 저감된다. 또한, 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형 패턴 GPT, BPT를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설정하고, 역방향 주사 시에는, 순방향 주사시의 파형 패턴 PT를, 각각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켜 설정한다. 따라서,순방향 주사 및 역방향 주사의 쌍방에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의 파형 패턴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파형 패턴 PT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가변으로 하고, 구동 개시 타이밍을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로서 메모리(10a)에 기억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그 이외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파형 패턴 설정 회로(10b)는, 메모리(10a)로부터 판독된 서브 화소 보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방향 X의 위치 어긋남에 따른 파형 패턴 PT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2의 최상단의 파형 패턴 PTN1은, 화소 표시 기간을 t로 하였을 때에 도트 클럭 DCLK의 상승 타이밍으로부터 0.125t 후에 구동 개시 타이밍을 갖는 파형 패턴이다. 또한, 파형 패턴 PTN2 내지 5는, 파형 패턴 PTN1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0.125t 간격으로 구동 개시 타이밍을 늦춘 파형 패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 패턴 PTN1 내지 5에서의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기간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구동 종료 타이밍은 가변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1화소의 휘도는, 전류 레벨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 표시 기간에서의 전류 레벨과 구동 기간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파형 패턴 PTN1 내지 5의 구동 기간이 짧아지면 레이저광의 휘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구동 기간과 전류 레벨과의 곱이 동일하게 되도록 PTN1 내지 5의 전류 레벨에 계수를 곱함으로써 레이저광의 휘도를 보상하여도 된다.
도 13은, 투사면 위에 표시되는 레이저광과 화소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투사면 A 위에 표시되는 레이저광은, 주사 미러(6)에 의한 주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이저 스폿으로 된다. 그리고, 주사 미러(6)에 의한 주사가 행해지면, 이 스폿이 투사면 A 위를 이동하여 화소로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화소의 60%를 주사 미러(6)에 의한 주사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스폿은 화소의 40%), PTN1 내지 5의 0.125t 간격의 구동 개시 타이밍의 지연을 픽셀 단위로 스케일링하면,도 12의 괄호 안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75 픽셀 간격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펙클 노이즈를 유효하게 감소할 수 있다. 그와 함께,레이저 제어부(10)는, 0.0075 픽셀 간격의 서브 픽셀 단위의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쌍방향의 순차 주사에서, 투사 스폿의 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승 타이밍에서 하강 타이밍까지의 온 기간을 화소 표시 기간 내에 1개만 갖는 파형 패턴 PT를 설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화소 표시 기간 내에 복수의 온 기간을 갖는 파형 패턴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구동 개시 타이밍은, 화소 표시 기간 내의 최초의 상승 타이밍이며, 구동 종료 타이밍은, 화소 표시 기간 내의 최후의 하강 타이밍이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광원의 완화 진동의 시간 총합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스펙클 노이즈를 더욱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짝수 라인과, 홀수 라인에서 주사 방향이 서로 다른 선 순차 주사에 의해, 투사면 A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주사 미러(6)를 레이저 주사부의 일례로서 하였지만, 레이저 주사부는, 주사 미러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레이저 주사부는, 2 이상의 라인마다 주사 방향의 다른 주사에 의해, 투사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단위 주기의 반복에 의해, 파형 패턴 PT를 설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파형 패턴 PT로서 주기성이 없는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색 성분(RGB)의 합성광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동일한 색 성분의 레이저광을 합성하는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레이저광을 투사면에 투영함으로써, 투사면 위에 화상(1화소에 의해 구성된 것도 포함함)을 계조 표시하는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레이저 프로젝터
2a 내지 2c: 레이저 광원
3, 4: 다이크로익 미러
5: 렌즈
6: 주사 미러
7: 주사 미러 드라이버
8: 주사 미러 제어부
9: 영상 처리부
10: 레이저 제어부
10a: 메모리
10b: 구동 전류 설정 회로
10c: 파형 패턴 설정 회로
11: 레이저 드라이버

Claims (5)

  1. 레이저광을 투사면에 투영함으로써, 상기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제1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제1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1 레이저광과 합성해야 할 제2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제2 레이저 광원과,
    순방향 주사와, 상기 순방향 주사와는 역방향의 역방향 주사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1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을 상기 투사면 위에 투사하는 레이저 주사부와,
    상기 순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지연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상기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느리게 하고, 상기 역방향 주사 시에는, 상기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에 대하여 주사 진행 방향으로 투사 위치가 어긋난 상기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을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하는 레이저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제어부는, 상기 순방향 주사 시에는, 상기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느리게 하고, 상기 역방향 주사 시에는, 상기 화소 표시 기간 내에서, 상기 제2 레이저광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을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레이저광을 투사면에 투영함으로써, 상기 투사면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제1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제1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1 레이저광과 합성해야 할 제2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제2 레이저 광원과,
    순방향 주사와, 상기 순방향 주사와는 역방향의 역방향 주사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1 레이저광과, 상기 제2 레이저광을 상기 투사면 위에 투사하는 레이저 주사부와,
    상기 순방향 주사 시에는, 화소 표시 기간의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레이저 광원의 구동 개시 타이밍까지의 제1 오프 기간과, 레이저 광원의 구동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화소 표시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2 오프 기간이 시간축 상에서 비대칭으로 설정된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상기 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파형 패턴을 시간축 상에서 반전시킨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상기 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함과 함께,상기 역방향 주사 시에는, 상기 제2 파형 패턴에 따라서,상기 제1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1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파형 패턴에 따라서, 상기 제2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제2 레이저광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프 기간 및 상기 제2 오프 기간에서는, 표시 계조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레이저 광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바이어스 전류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광원에서의 상기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1 구동 기간은, 상기 제2 레이저 광원에서의 상기 구동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구동 종료 타이밍까지의 제2 구동 기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05817A 2010-09-07 2011-08-31 화상 표시 장치 KR20140000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9720A JP2012058371A (ja) 2010-09-07 2010-09-07 画像表示装置
JPJP-P-2010-199720 2010-09-07
PCT/JP2011/004878 WO2012032740A1 (ja) 2010-09-07 2011-08-31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67A true KR20140000667A (ko) 2014-01-03

Family

ID=4581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817A KR20140000667A (ko) 2010-09-07 2011-08-31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62960A1 (ko)
EP (1) EP2615602A1 (ko)
JP (1) JP2012058371A (ko)
KR (1) KR20140000667A (ko)
CN (1) CN103098116A (ko)
TW (1) TW201229984A (ko)
WO (1) WO2012032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9494A1 (ja) * 2012-06-01 2013-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投影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3054676B1 (en) * 2015-02-09 2019-04-03 Trilite Technologies GmbH Apparatus for projecting a picture element
CN106997152B (zh) * 2016-01-26 2019-11-26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扫描反射镜监测系统及方法、调焦调平系统
CN109788263A (zh) * 2018-12-20 2019-05-21 歌尔股份有限公司 投影设备及图像数据处理方法
CN112771853B (zh) * 2020-06-29 2022-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微机电扫描镜的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系统
CN112040213B (zh) * 2020-09-11 2021-09-14 梅卡曼德(北京)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成像扫描信号同步的调制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195B2 (ja) * 2001-05-28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3021800A (ja) * 2001-07-10 2003-01-24 Canon Inc 投射型表示装置
JP2005340526A (ja) * 2004-05-27 2005-12-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79391B2 (ja) * 2005-07-14 2009-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光走査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40010A (ja) * 2005-11-17 2007-06-0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KR101065065B1 (ko) * 2005-12-14 2011-09-15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039326A (ja) * 2009-08-12 2011-02-24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9984A (en) 2012-07-16
US20130162960A1 (en) 2013-06-27
EP2615602A1 (en) 2013-07-17
CN103098116A (zh) 2013-05-08
WO2012032740A1 (ja) 2012-03-15
JP2012058371A (ja)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7880B2 (ja) 画像表示装置
US9075246B2 (e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laser light scanning with a variation in scanning speed
US8625082B2 (en) Display apparatus
US7978387B2 (en) Laser projector
JP6024332B2 (ja) 画像表示装置
CN101893812B (zh) 激光投影仪
KR20140000667A (ko) 화상 표시 장치
JPWO2004031832A1 (ja) 光走査装置、像の位置の較正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609014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3047656A1 (ja) 画像投影装置および光軸ずれ補正方法
JP5609370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702519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36569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50685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63998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5292380A (ja) コヒーレント光を用いるディスプレイ
JP2016105176A (ja) 画像表示装置
JP2013072989A (ja) 走査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13105108A (ja) 画像投影装置
JP200530922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