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440A -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440A
KR20130143440A KR1020120067001A KR20120067001A KR20130143440A KR 20130143440 A KR20130143440 A KR 20130143440A KR 1020120067001 A KR1020120067001 A KR 1020120067001A KR 20120067001 A KR20120067001 A KR 20120067001A KR 20130143440 A KR20130143440 A KR 20130143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rain
vehicle
handle bar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035B1 (ko
Inventor
박준석
김원규
최웅철
정재일
고재윤
김정용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0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장치에서는 배터리장착부(12) 내부의 배터리안착공간(15) 바닥에 배수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를 향해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의 출구와 연결되게 내부에 배수유로(52)가 형성된 손잡이바아(50)가 차량(10)의 차실(31)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배터리장착부(12)가 지지되는 보강부재(32)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섀시프레임에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차실(31)을 관통하여 섀시프레임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에서부터 외부까지 물을 배출하는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바아(50)가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장착부(12)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Drain apparatus of battery mounting por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배터리의 장착을 위한 배터리장착부에서 강수 등에 의해 발생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석연료의 고갈 염려 등으로 인해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거나, 내연기관과 모터를 병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배터리의 충전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차량의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에서는 차량의 상부에 배터리 장착부를 두고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의 상부에 배터리장착부를 두게 되면, 비나 눈이 오거나, 세차의 과정 등에서 배터리장착부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배터리에 물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조설계를 하기는 하지만,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장착부 내부로 물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상부에 눈이 쌓여 있다가, 배터리장착부를 배터리 교체를 위해 개방하였을 때, 배터리장착부 내부로 들어가고, 배터리 사용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녹아 배터리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배터리로 물이 전달되었을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상부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에어컨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래에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별도의 호스를 두어, 응축수를 차체의 인너패널과 아웃패널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응축수를 인너패널과 아웃패널 사이의 공간을 통해 호스를 사용하여 배출하게 되면 인너패널과 아웃패널 사이에 설치된 다른 부품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호스는 차량의 상부측에서 차량의 옆부분을 통해 연장되어야 하므로 그 길이가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36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차체 내의 전장부품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짧은 거리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부품을 활용하여 배터리장착부 내부로 유입된 물을 차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활용하여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배터리안착공간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배터리안착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배터리안착공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서 전달된 물을 전달받아 물을 배수하는 배수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 외부로 상기 배수유로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고 상기 차체 내부의 차실을 통과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바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구의 입구에는 메쉬망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바닥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바닥을 하부로 돌출되게 가공하여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바아는 상단부가 상기 차체 상부의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하단부가 상기 차체가 설치되는 섀시프레임 측에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바아에 형성된 배수유로의 입구는 상기 배터리장착부가 안착되는 보강부재와 인너패널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수구의 출구와 대응된다.
상기 배수유로의 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바아는 상단부가 상기 차체 상부를 구성하는 인너패널과 보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의 출구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바아와 상기 보강부재에 동시에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손잡이바아로 전달하는 결합브라켓이 상기 손잡이바아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장착부 내부의 물을 차량의 차실 내부를 관통하여 섀시프레임측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손잡이바아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수유로를 통해 배출하므로, 차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부품등에 영향을 전혀 주지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차실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손잡이바아의 내부에 배수유로가 있으므로, 배수를 위한 경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배수가 신속하게 되고,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는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배수유로가 있는 손잡이바아를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므로 배터리장착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차량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손잡이바아가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차량에서 차량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차량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하는 것이 좋다. 즉, 배터리가 방전되면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해서 차량을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상부에 배터리장착부(12)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외관을 구성하는 장착케이스(14)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안착공간(15)에 배터리(16)를 교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외관을 구성하는 장착케이스(14)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는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딩도어를 사용하여 개폐한다. 상기 장착케이스(14)의 내부에는 배터리안착공간(15)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에는 바닥판(18)이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면부호 19는 방진구로서 상기 바닥판(18)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판(18) 상에는 배터리(20)가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바닥판(18)에 장착되는 구체적인 구성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배터리(20)는 교체가능한 것으로,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다수개의 배터리팩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 내부 바닥에는 배수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 바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의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22)를 향해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배수구(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만들어지는 것이 좋은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구(22)는 상기 장착케이스(14)에 드로잉작업을 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배수구(2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케이스(14)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2)의 입구에는 메쉬망(24)이 설치된다. 상기 매쉬망(24)은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배수구(22)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쉬망(24)은 상기 배수구(22)의 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10)은 버스인데, 일반적으로 버스의 경우 섀시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30)가 설치된다. 상기 차체(30)의 내부에는 탑승자들을 위한 공간인 차실(31)이 형성된다. 상기 섀시프레임에는 차량(10)의 주행과 관련된 대부분의 구성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30)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체(30)에는 차체(30)의 유지를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보강부재(32)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32)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빔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상기 보강부재(32)의 형상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2)는 상기 차체(30)에 대해 차량(10)의 길이방향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 등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차체(30)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32)의 위치와 갯수 등은 차체(3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2)에 고정되게 인너루프패널(34)과 아웃루프패널(36)이 설치되어 차체(30)의 상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너루프패널(34)은 차실의 천정을 형성하고, 상기 아웃루프패널(36)은 차량(10)의 지붕을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인너루프패널(34)이나 아웃루프패널(36)에는 차량(10)의 내외장을 위한 내외장재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아웃루프패널(36)은 상기 배터리장착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일부가 제거되거나, 배터리장착부(12)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장착부(12)에 있는 구성과 차체(30)나 섀시프레임쪽에 있는 구성과의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인너루프패널(34)과 아웃루프패널(36)에 연결되어서는 차량의 상부 양측을 형성하는 인너코너패널(38)과 아웃코너패널(40)이 상기 보강부재(32)에 고정되어 소정 간격을 가지게 된다. 상기 인너코너패널(38)과 아웃코너패널(40)은 각각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차량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인너코너패널(38)과 아웃코너패널(40)이 곡면이 아니어도 되고, 상기 인너루프패널(34) 및 아웃루프패널(36)과 각각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인너코너패널(38)과 아웃코너패널(40)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보강부재(32)에는 윈도우프레임(42)이 설치되어 윈도우글래스(4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프레임(42)은 상기 인너코너패널(38)과 아웃코너패널(40)측과 연결되고 차량(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도시되지 않음)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차체(30)의 차실(31) 내부에 덕트(46)가 상기 인너코너패널(38)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덕트(46)는 차량(10)의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가 유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덕트(46)에는 상기 차실(3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4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차실(31)을 상하로 관통하여 손잡이바아(50)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차실(31) 내에 있는 탑승객이 안전을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바아(50)외에도 상기 차실(31) 내부의 천정에는 손잡이설치바아(54)가 천정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설치바아(54)에는 링형상의 손잡이(56)가 달려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섀시프레임측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손잡이바아(50)의 상단은 상기 인너루프패널(34)에서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이 전달되어 오는 보강부재(32) 부분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바아(50)의 하단은 상기 섀시프레임 측에 안착되도록 하여,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하게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손잡이바아(50)의 내부에는 배수유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유로(52)는 상기 손잡이바아(5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유로(52)를 통해 물이 흘러 섀시프레임 측으로 전달되어 차량(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바아(50)의 배수유로(52) 입구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22)의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바아(50)의 상단은 상기 인너루프패널(34)에 장착되므로 상기 인너루프패널(34)과 상기 보강부재(32)에는 관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들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로(52)와 배수구(22)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유로(52)와 배수구(22)가 소정 거리 떨어져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도 5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바아(50)의 상단을 연장하여, 상기 인너루프패널(34)과 보강부재(32) 등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22) 출구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바아(50)가 인너루프패널(34)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받도록 결합브라켓(50')을 반드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브라켓(50')은 상기 손잡이바아(50)와 상기 보강부재(32)측에 모두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서 하중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배수유로(52)와 배수구(22)의 출구를 별도의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관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배수유로(52)와 상기 배수구(22)사이에서 직접 물이 전달될 수 있어 주변으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차량(10)의 사용중에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빗물이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스며들거나, 눈이 차량(10)의 배터리장착부(12)의 슬라이딩도어 상면에 있다가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들어가 녹을 수 있다. 또한, 고압 세차를 하는 도중에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물이 들어가거나,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이 개방된 상태에서 부주의에 의해 물이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들어간 물은 신속하게 배출되어야 배터리(20)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으로 전달된 물은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22)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 전체가 상기 각각의 배수구(2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배수구(2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수구(22)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배터리안착공간(15)의 바닥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구(22)는 배터리안착공간(15) 바닥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어 있어, 물은 상기 배터리안착공간(15)의 내부로 전달되면 바로 상기 배구수(22)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물론, 차량(10)의 급출발이나 급정지 시에는 관성의 작용에 의해 경사를 거슬러 이동할 수도 있으나, 다른 부품에 영향을 줄 정도는 되지 않는다.
그리고, 차량(10)이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측 모서리의 배수구(22)를 향해 이동하던 물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반대쪽 모서리에 배수구(22)가 있으므로 배터리안착공간(15)에서의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22)로 전달된 물을 상기 메쉬망(24)의 거치면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상기 배수구(22)를 통과한 물은 상기 손잡이바아(50)의 배수유로(52)로 전달된다. 상기 손잡이바아(50)의 배수유로(52)는 그 하류부가 상기 섀시프레임 측을 통해 차량(10)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유로(52)로 들어간 물은 차량(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중력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력에 의해 물의 이동이 매우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고, 차실(31) 내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 그 길이가 최단으로 될 수 있어 신속하게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이 안착되는 보강부재(32)를 상기 손잡이바아(50)가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바아(50)는 섀시프레임에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해당되는 보강부재(32)에 장착된 인너루프패널(34)을 지지함에 의해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지만, 상기 손잡이바아(50)의 상단이 직접 상기 배터리장착부(12)를 지지하여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체(30)의 상부 구성이 보강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인너패널과 아웃패널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즉, 손잡이바아(50)를 통해 배수를 할 수 있고, 손잡이바아(50)가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다.
도시된 상기 배터리장착부(12)의 하중이 상기 차체(30)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바아(50)를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배수유로(52)의 활용이 가능한 정도만 손잡이바아(50)를 사용하면 된다.
10: 차량 12: 배터리장착부
14: 장착케이스 15: 배터리안착공간
18: 바닥판 19: 방진구
20: 배터리 22: 배수구
24: 메쉬망 30: 차체
32: 보강부재 34: 인너루프패널
36: 아웃루프패널 38: 인너코더패널
40: 아웃코너패널 42: 윈도우프레임
44: 윈도우글래스 46: 덕트
48: 노즐 50: 손잡이바아
52: 배수유로 54: 손잡이설치바아
56: 손잡이

Claims (9)

  1. 차량의 차체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의 배터리안착공간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장착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배터리안착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배터리안착공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서 전달된 물을 전달받아 물을 배수하는 배수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 외부로 상기 배수유로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고 상기 차체 내부의 차실을 통과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바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구의 입구에는 메쉬망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바닥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터리안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바닥을 하부로 돌출되게 가공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바아는 상단부가 상기 차체 상부의 배터리장착부의 하중을 지지하고 하단부가 상기 차체가 설치되는 섀시프레임 측에 지지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바아에 형성된 배수유로의 입구는 상기 배터리장착부가 안착되는 보강부재와 인너패널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수구의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의 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바아는 상단부가 상기 차체 상부를 구성하는 인너패널과 보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의 출구와 결합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바아와 상기 보강부재에 동시에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손잡이바아로 전달하는 결합브라켓이 상기 손잡이바아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는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KR1020120067001A 2012-06-21 2012-06-21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KR10136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001A KR101366035B1 (ko) 2012-06-21 2012-06-21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001A KR101366035B1 (ko) 2012-06-21 2012-06-21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440A true KR20130143440A (ko) 2013-12-31
KR101366035B1 KR101366035B1 (ko) 2014-02-21

Family

ID=4998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001A KR101366035B1 (ko) 2012-06-21 2012-06-21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2238B2 (en) 2014-10-30 2017-08-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9390521A (zh) * 2017-08-08 2019-02-26 株式会社蓝色能源 蓄电装置、移动体及蓄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0Y2 (ko) * 1985-10-16 1992-01-21
KR19980023821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버스용 루프 로어 필러의 드레인 구조
JP2006027571A (ja) 2004-07-21 2006-02-02 Sugai Sogyo:Kk 小型カート
JP2009154825A (ja)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開口部の防水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2238B2 (en) 2014-10-30 2017-08-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9390521A (zh) * 2017-08-08 2019-02-26 株式会社蓝色能源 蓄电装置、移动体及蓄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035B1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4414B (zh) 具有三件式水箱的机动车辆安排
CN103129626B (zh) 机动车车身的支承结构部件
US8128156B2 (en) Motor vehicle with forward-arched bulkhead
CN104105633B (zh) 用于安装机动车辆的功能元件的多功能支架
RU2690948C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локомотив
CN103569218A (zh) 车辆用电池单元安装结构
CN101941464B (zh) 汽车的车身
KR101366035B1 (ko)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CN205971319U (zh) 一种城际市域车的贯通道
KR101934835B1 (ko)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WO2015056778A1 (ja) 車両前部構造
JP5155214B2 (ja) 跨座型モノレール車両
CN107458469B (zh) 电动汽车的前舱
KR101360926B1 (ko) 차량용 배터리장착부 배수장치
CN105711474A (zh) 可移动多功能修理车
KR20170014313A (ko) 차량용 미세먼지 집진장치
RU162775U1 (ru) Каркас кабины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101549A (zh) 一种轨道车辆空调出风道的安装工艺
CN205465952U (zh) 用于翻转式侧舱门安装的支撑装置
JP5846878B2 (ja) 空気流通装置
CN204037682U (zh) 客车前围多用途护板
CN202923649U (zh) 安装框架及高速动车组
KR101374711B1 (ko)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RU89027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участками воздуховод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сал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2428376A1 (en) Preassembled rear module of a cabin of a heavy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