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91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918A
KR20130138918A KR1020120062435A KR20120062435A KR20130138918A KR 20130138918 A KR20130138918 A KR 20130138918A KR 1020120062435 A KR1020120062435 A KR 1020120062435A KR 20120062435 A KR20120062435 A KR 20120062435A KR 20130138918 A KR20130138918 A KR 2013013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ensioner
chute
tra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076B1 (ko
Inventor
손주현
이동훈
이욱용
김동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76B1/ko
Priority to EP13171247.3A priority patent/EP2674702B1/en
Priority to US13/915,742 priority patent/US9885510B2/en
Priority to CN201310232887.2A priority patent/CN103486811B/zh
Publication of KR2013013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918A/ko
Priority to US15/288,225 priority patent/US201700232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형성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 장치; 및 상기 얼음 이송 장치와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상기 얼음 이송 장치에서 이송되는 얼음의 이송 통로가 되는 아이스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이송 장치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낙하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낙하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와, 얼음이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되거나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상기 이송 부재 쪽으로 역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 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얼음이 끼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잼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30)에 의해 전체적인 외부 형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11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구획된 상방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20,3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2)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도어로 구성되며, 상하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22)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3)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21)에 상기 디스펜서(23)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는 제빙실(4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빙실 도어(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측벽면에는 상기 제빙실(40)로의 냉기 공급 및 제빙실(40)의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냉기 덕트(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기 덕트(50)와 연통하는 냉기 입구(42)와 냉기 출구(43)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42)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제빙실(40)의 내부를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열교환된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43)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상기 냉동실(13)과 구획되는 열교환실(14)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실(14)에는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3)과 냉장실(12) 그리고 상기 제빙실(40)로 공급되어 각각의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50)는 상기 열교환실(14) 및 냉동실(13)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14)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공급 유로(51)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40)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회수 유로(52)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13)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50)를 통한 냉기의 지속적인 순환에 의해 상기 제빙실(40) 내부에서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얼음의 제빙 및 저장이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제공되는 상기 제빙실(40)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부피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20) 배면의 수납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빙을 위한 냉기가 상기 제빙실까지 공급될 수 있어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빙 장치는 냉동실에 구비되고,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만이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도록 하여, 냉장실 도어의 수납 공간을 늘리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빙 장치로부터 아이스 뱅크로 얼음을 이송할 때 얼음 조각들이 엉겨붙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얼음 이송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형성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 장치; 및 상기 얼음 이송 장치와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상기 얼음 이송 장치에서 이송되는 얼음의 이송 통로가 되는 아이스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이송 장치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낙하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낙하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와, 얼음이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되거나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상기 이송 부재 쪽으로 역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 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얼음이 끼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잼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함으로써,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음식물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냉장실 저장 용량이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므로, 제빙을 위하여 냉장실 도어로 강한 냉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며, 그 결과 냉각 효율 향상 및 소비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 내부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므로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제빙실에서 아이스 뱅크로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제빙실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때, 여러 조각의 얼음들이 한 번에 배출되어 서로 부딪혀서 깨지거나 이송 수단에 과부하가 걸려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상기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잼 방지 수단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캐비닛(110)과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는 베리어(111)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13)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200)와, 만들어진 얼음을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를 구성하는 아이스 슈트(340)와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장실(112)의 측벽에 각각 개구부(341,35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1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20)와, 상기 냉동실(113)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로 구성되며, 각각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3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면서 상기 냉동실(1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정수된 물과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배면에는 아이스 뱅크(14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얼음 이송장치(300)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 슈트(340) 및 냉기 덕트(150)와 연결되어, 얼음의 공급 및 냉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상기 디스펜서(123)와 연통되어,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는 얼음이 수용되는 별도의 케이스(14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얼음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오거(143)와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크러셔(crush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부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2) 내측 벽면에 형성된 상기 아이스 슈트(340) 및 냉기 덕트(350)의 개구부(341,351)와 대응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측면에는 에어 홀(344)과 얼음 유입구(3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얼음의 이송 및 결빙 상태 유지를 위한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과 아이스 메이커(200) 및 얼음 이송장치(3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급수원에서 제공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장치로서, 상기 냉동실(113)의 상측 모서리부 근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와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위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에 구비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최단 거리가 될 수 있는 냉동실(113)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 벽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아이스 슈트(340)와 연결되어, 제조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시킨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일측에는 냉기 덕트(350)의 단부가 위치한다.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를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 입구가 노출되며, 상기 냉기 덕트(350)의 입구측에는 송풍팬(353)이 수용된 냉기 흡입부(3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브라켓(250: 도 7 참조)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판 트레이(210)와,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 트레이(220), 상기 하판 트레이(2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240),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 내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내부에는 구 형상 얼음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하향 함몰되는 함몰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221)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장착되어 상기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상기 함몰부(225)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222)와, 상기 트레이 바디(222)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 장착시키는 트레이 커버(226)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안착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트레이 바디(222)의 상기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반구 형상의 상기 함몰부(225)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함몰부(225)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후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1)의 장착을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22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222)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222)는 평면부(224)와 상기 평면부(224)에서 함몰된 상기 함몰부(2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2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구형 셀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구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는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몰부(225)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안착부(221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25)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시 상기 이젝팅 유닛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상기 함몰부(225)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이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부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턱은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부턱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 커버(226)는 상기 트레이 바디(222)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222)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스크류 또는 리벳 등이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 또는 리벳은 상기 트레이 커버(226)와 상기 트레이 바디(222),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상기 트레이 바디(222)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225)의 개구된 상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천공부(226a)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226a)는 다수개의 원형이 서로 연속하여 겹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천공부(226a)를 통해서 상기 함몰부(225)가 노출되며, 상기 하부턱이 상기 천공부(226a)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211)와, 얼음의 성형을 위한 트레이부(21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상기 냉동실(113)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부(212)와는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냉동실(113)와 면접촉에 의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212)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212)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13)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함몰부(225)와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는 서로 형합되어 구 형상의 제빙 공간인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 함몰부(213)의 형상은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부(212)의 후측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축결합되는 축 결합부(21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211a)는 상기 트레이부(212)의 하면 양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와 축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셀 내부의 물을 빠른 속도로 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210)를 가열하는 히터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급수부(21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이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는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231)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상기 탄성부재(231)의 인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판 트레이(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230)의 일단은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에 축결합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21b)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3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31)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하판 트레이가 상판 트레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가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보다 밀착되어 제빙 중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 구비되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어들이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얼음 이송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냉동실(113)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과 냉장실(112) 및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를 지나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5)에 장착되어 고내 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5)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부재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단열을 위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110)의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 사이의 단열재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이빙되는 얼음들이 1차적으로 저장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유닛(33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23)까지 안내하기 위한 아이스 슈트(3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얼음과 이송부재(3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공급되는 얼음이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가 수용되는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의 사이의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320)는 기어 또는 날개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기어 또는 날개차 부분을 얼음을 밀어 올리는 리프터(lifter)라 정의한다.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프터들(321) 사이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구형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321)가 회전하면서 얼음을 밀어 올려 상기 아이스 슈트(340) 쪽으로 밀어낸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전체가 상기 하우징(310)에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에는 구동유닛(330)이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 조합을 통해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가 장착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까지 연장 형성되며, 구형의 얼음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내부 직경은 제빙된 구형의 얼음 직경과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제빙된 얼음이 일렬로 연속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베리어(111)를 관통하여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13) 및 냉장실(1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외측으로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12)과 아이스 슈트(340)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인 케이스(115)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 벽면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단열재에 의해 단열될 수 있게 되며, 고내 측으로도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상단에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아이스 슈트(340)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에서 상기 냉장실(112)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340)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연통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로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덕트(350)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를 냉각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해 상기 냉동실(113)로 복귀될 수 있어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1)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3) 내측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 공급되는 물은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서 구형의 얼음을 형성하게 되며,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 구비되는 히터 또는 이빙을 위한 구성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310)의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으로 제빙된 구형의 얼음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상방으로 공급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재(320)에는 다수의 리프터(321)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321) 사이에는 구형의 얼음이 하나씩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10) 내측으로 유입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프터(321)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된다.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340)에는 제빙된 얼음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의 얼음이 밀려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에서 저장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는 만빙 감지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장치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되는 만빙 감지장치(312)에 의해 아이스 뱅크(140) 및 하우징(310)에는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만빙 감지장치에 의해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가득 찰 때까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얼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얼음이 차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330)의 구동이 시작된다.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340) 하단에 수용된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 하단을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서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얼음도 동시에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 개구부(341)를 통해서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23)로 취출되는 얼음은 구형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개수만큼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에 의해 구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유닛(330)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얼음의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얼음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구형의 얼음은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취출된 개수만큼의 얼음이 항상 상기 아이스 슈트(340)로 공급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가득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10) 내부 또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 얼음이 엉겨붙거나, 이물질 등에 의해 얼음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이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시 설정된 부하 이상의 부하가 걸리게 되며, 상기 구동유닛(330)에 설정된 부하 이상의 부하가 감지될 경우 상기 구동유닛의 모터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의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이송부재(32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얼음들은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내부에 있던 얼음들은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방으로 이동된 얼음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이송부재(320)의 공간에 수용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330)은 정방향 회전 동작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공간에 수용된 얼음들은 차례로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어 다시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얼음 이송 과정에서, 상기 리프터들(3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두 개 이상의 얼음이 투입될 경우, 얼음 간 끼임(jam) 현상이 발생하거나 얼음끼리 부딪혀서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얼음 이송을 위해서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할 때, 상기 이송부재(320)의 리프터들(3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얼음이 하나씩만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잼(jam) 방지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얼음 이송 장치(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20)에 수용되는 이송 부재(320)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아이스 슈트(3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 빈(312)과, 상기 아이스 빈(31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이송 부재(320)가 수용되는 이송 케이스(3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케이스(311)의 일측에 상기 아이스 슈트(340)가 연결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이송 케이스(311)와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슈트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부재(320)를 구성하는 리프터(321)는 다수 개가 상기 이송 부재(3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부재(320)가 회전할 때, 상기 아이스 빈(312)에 있는 얼음이 낙하하여 인접하는 리프터들(321)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진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312)에서 낙하하는 구형 얼음 조각들 중 두 개 이상의 얼음이 상기 인접하는 리프터들(321)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져서 아이스 슈트(340)의 입구 근처에서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잼 방지 수단(400)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잼 방지 수단(400)은, 상기 리프터(321)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텐셔너(tensioner)(410)와, 상기 텐셔너(41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텐셔너(410)는, 상기 아이스 빈(312)의 개구된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리프터(321)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20)는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의 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약간 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20)는 상기 얼음 이송 장치(30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잼 방지 수단(400)은,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부터 다수 개의 얼음 조각이 상기 이송 부재(320)로 낙하할 때, 상기 리프터(321)들 사이의 공간으로 한 개의 얼음이 투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이송 부재(320)가 회전할 때 상기 텐셔너(410)가 다수의 얼음 조각들 중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를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모습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잼 방지 수단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얼음 조각들이 아이스 빈(311)으로부터 낙하하게 되고, 인접하는 리프터들(321) 사이 공간에 다수 개의 얼음 조각이 투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텐셔너(410)가 상기 이송 부재(320)의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얼음들이 상기 텐셔너(410)에 부딪혀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셔너(410)와 상기 리프터(321)의 단부 사이 공간에 두 개의 얼음이 투입되었을 때, 상측에 있는 얼음은 상기 텐셔너(410)에 의하여 다음 공간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는 하나의 얼음만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텐셔너(410)는 상기 얼음 조각들의 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약간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곧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300)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는 이송 부재(320)과,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아이스 슈트(340) 및 잼 방지 수단(50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310)은,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 빈(312)과, 상기 아이스 빈(31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이송 케이스(3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전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아이스 빈(312) 내부에는 오거(auger)(313)가 구비된다. 상기 오거(313)는 상기 이송 부재(32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부재(320)와 한 몸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오거(313)를 구동하는 별도의 구동 모터가 제공되어, 상기 이송 부재(320)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오거(3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빈(312)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이송 부재(320) 쪽으로 안내되고, 상기 이송 부재(3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340)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잼 방지 수단(500)의 구조는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잼 방지 수단(500)은, 다수 개의 사각 판들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셔너(510)와, 상기 텐셔너(5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520)를 포함한다. 상기 텐셔너(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마디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결합체이고, 연결 마디 부분에서 인접하는 판들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텐셔너(510)의 일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3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이송 케이스(31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52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텐셔너(510)의 타단과 상기 이송 케이스(311)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텐셔너(5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 케이스(311)에 고정된다. 상기 잼 방지 수단(500)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텐셔너(510)의 일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3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이송 케이스(3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텐셔너(510)의 내측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 마디'로 정의할 수 있다.
얼음의 이송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텐셔너(510)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이송 부재(3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 쪽으로 이송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의 얼음이 상기 이송 부재(320) 쪽으로 역류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셔너(510)는 회전 마디를 중심으로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꺾이게 된다. 특히,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의 얼음이 역송될 때 이러한 현상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직경이 다른 얼음 조각들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 배열되어 있을 때, 또는 상기 이송 부재(320)의 리프터(321)가 회전하면서 상기 텐셔너(510)에 놓여 있는 얼음을 가압할 때 상기 텐셔너(510)가 휘어지게 된다.
상기 리프터(321)에 의하여 얼음이 가압될 때, 상기 텐셔너(510)의 회전 마디 부분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텐셔너(510)의 내측 부분이 꺾임으로써, 가압되는 얼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되는 얼음은 상기 인접하는 리프터들(321)들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상기 아이스 슈트(340) 쪽으로 다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 쪽으로 다시 상승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 일렬로 접촉 배열되어 있는 얼음들을 밀어 올리면서 잼 상태를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얼음이 상기 인접하는 리프터들(321) 사이 공간으로 들어갈 때, 한 개의 얼음 조각만이 상기 공간으로 들어가므로 얼음 잼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텐셔너(510)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520)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 마디 부분이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일 지점이 회전 마디로 이루어져 꺾이는 구조 또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구조로 이루어지는 텐셔너(510)에 의하면, 상기 이송 부재(320)가 역회전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의 얼음을 이송 케이스(311) 쪽으로 되돌리는 동작에서 얼음의 잼 이나 파손을 방지하는데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는 이송 부재(320)와,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아이스 슈트(340) 및 잼 방지 수단(60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310)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 빈(미도시)과, 상기 아이스 빈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이송 케이스(3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잼 방지 수단(600)은, 이송 부재(320)의 인접하는 리프터들(321) 사이 공간 하부에 제공되는 텐셔너(610)와, 상기 텐셔너(6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텐셔너(610)에 쿠션 기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6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이송 부재(320)의 측면부에는 상기 텐셔너(610)의 양 측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이송 부재(320)의 반경 방향 요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홀(3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텐셔너(610)의 양 측단부가 상기 가이드 홀(322)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텐셔너(610)는 상기 가이드 홀(322)을 따라 상기 이송 부재(320)의 반경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620)는 상기 이송 부재(320)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하는 스프링이며, 상기 텐셔너(610)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잼 방지 수단(600)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은 상기 텐셔너(61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낙하하는 얼음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텐셔너(610)는 상기 탄성 부재(620)의 수축에 따라 상기 이송 부재(320)의 중심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메이커에 구비되는 구형 셀의 반경에 따라 그 크기와 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아이스 메이커의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구형 얼음의 크기와 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아이스 메이커의 규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와 중량의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텐셔너(610)가 가변하도록 함으로써, 얼음이 아이스 슈트(340)의 입구부와 이송 부재(320) 사이에 끼이는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셔너(610)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6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텐셔너(610)는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잼 또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된 얼음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 장치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310)과 이송 부재(320a) 및 아이스 슈트(3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오거(313)가 구비되는 아이스 빈(312)과, 상기 이송 부재(320)를 수용하는 이송 케이스(312)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이송 부재(320a)의 리프터(321a)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부재(320a)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리프터(321a)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자 형태를 이룬다는 것과, 상기 이송 부재(320a)의 회전 중심축 내부에는 단방향 베어링(one-way bearing)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오거(313)가 역회전할 때에는 상기 이송 부재(320a)가 회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 있는 얼음들을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 역송하기 위해서 상기 오거(313)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오거(313)가 역회전하기 전에, 상기 일자형 리프터(321a)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이송 부재(320a)가 정회전을 한 뒤에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오거(313)가 역회전할 때 상기 이송 부재(320a)는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오거(313)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빈(312)의 출구쪽에 몰려 있는 얼음이 반대편으로 역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아이스 빈(312)의 출구쪽이 비면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 쪽으로 안내되었던 얼음들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면서 상기 아이스 빈(312)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 있는 얼음을 아이스 빈(313) 쪽으로 역송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다른 얼음들이 상기 이송 케이스(311)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리프터(321a)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역송 과정에서 리프터(321a)와 이송 케이스(313) 사이 공간에서 얼음이 끼이는 잼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형성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 장치; 및
    상기 얼음 이송 장치와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상기 얼음 이송 장치에서 이송되는 얼음의 이송 통로가 되는 아이스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이송 장치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낙하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낙하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와,
    얼음이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로 이송되거나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상기 이송 부재 쪽으로 역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 부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얼음이 끼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잼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구형 얼음의 상측 절반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반구형 함몰부를 가지는 상판 트레이와,
    상기 구형 얼음의 하측 절반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반구형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상판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판 트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과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슈트와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냉장실의 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 및 상기 냉기 덕트의 개구부들과 각각 연통하는 연통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 빈과,
    상기 아이스 빈의 출구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 부재를 수용하는 이송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의 입구단은 상기 이송 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은 인접하는 리프터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 수단은 상기 리프터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얼음들 중 일부를 밀어내는 텐셔너와,
    상기 텐셔너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 수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와 상기 이송 케이스가 연결되는 부위에 제공되며,
    다수의 플레이트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셔너와,
    상기 텐셔너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의 일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의 바닥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 케이스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텐셔너의 타단과 상기 이송 케이스의 연결 부위에 끼워지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의 중심부에 회전 마디가 형성되고, 상기 텐셔너를 지나는 얼음의 하중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 마디를 중심으로 상기 텐셔너가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 수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와 상기 이송 케이스가 연결되는 부위에 제공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잼방지 수단은,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부에 놓이는 텐셔너와,
    상기 텐셔너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 낙하하는 얼음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상기 텐셔너가 상기 이송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의 측면부에는 상기 텐셔너의 양 측단부가 끼워지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텐셔너의 반경 방향 요동 한계는 상기 안내홀의 반경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 제공되며, 얼음을 상기 이송 케이스 쪽으로 이송하는 오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20062435A 2012-06-12 2012-06-12 냉장고 KR10193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35A KR101932076B1 (ko) 2012-06-12 2012-06-12 냉장고
EP13171247.3A EP2674702B1 (en) 2012-06-12 2013-06-10 Refrigerator
US13/915,742 US9885510B2 (en) 2012-06-12 2013-06-12 Refrigerator
CN201310232887.2A CN103486811B (zh) 2012-06-12 2013-06-13 冰箱
US15/288,225 US20170023287A1 (en) 2012-06-12 2016-10-0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35A KR101932076B1 (ko) 2012-06-12 2012-06-1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918A true KR20130138918A (ko) 2013-12-20
KR101932076B1 KR101932076B1 (ko) 2018-12-24

Family

ID=4857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35A KR101932076B1 (ko) 2012-06-12 2012-06-12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85510B2 (ko)
EP (1) EP2674702B1 (ko)
KR (1) KR101932076B1 (ko)
CN (1) CN1034868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55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회전문 방식의 얼음투출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5001519A (es) * 2015-01-30 2016-07-29 Mabe Sa De Cv Dispositivo automatico de fabricacion de hielo.
KR102573774B1 (ko) 2016-07-13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415353B2 (en) 2017-05-04 2022-08-16 Icebreaker Nordic Aps Ice cube producing and/or dispensing unit
US10712074B2 (en)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KR102418144B1 (ko) * 2017-08-21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0071766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37434B1 (ko) * 2018-10-02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0071821A1 (ko)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냉장고
EP4001800A1 (en) * 2018-11-16 2022-05-25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US11874045B2 (en) 2018-11-16 2024-01-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00057601A (ko) * 2018-11-16 202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11197889B (zh) 2018-11-16 2022-05-06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及冰箱
EP3653964A1 (en) * 2018-11-16 2020-05-20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774155B2 (en) * 2020-03-1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Icemaker assembly
US11796239B2 (en) 2021-05-07 2023-10-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enhancing ice capacity in an ice making applian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497A (ja) * 1999-03-18 2000-09-29 Japan Steel Works Ltd:The 機関砲の弾薬供給機構
JP2001027307A (ja) * 1999-07-14 2001-01-30 Rk Excel:Kk スプロケット
US20060086127A1 (en) *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0820816B1 (ko) *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00014026A (ko) *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37609A (ko) * 2009-10-07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120010924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이송수단을 갖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537A (en) * 1966-10-20 1968-07-02 Market Forge Co Ice dispensing apparatus
JPS5874073U (ja) * 1981-11-13 1983-05-19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角氷取出装置
US5050777A (en) * 1990-01-02 1991-09-24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er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blade auger tha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 baffle opening to prevent wedging of ice bodies therebetween
JP2727280B2 (ja) 1992-09-04 1998-03-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製氷皿の振動装置
WO2006083048A1 (en) * 2005-02-01 2006-08-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81262B1 (ko) 2005-06-17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7101157A (ja) 2005-10-07 2007-04-19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塊搬出装置およびこの氷塊搬出装置を備えた貯氷庫
KR101334576B1 (ko) 2006-09-15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수단
KR100852668B1 (ko) * 2006-11-01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928940B1 (ko) * 2007-12-05 2009-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 장치
US20110094253A1 (en) * 2007-12-26 2011-04-28 Victor Kalashnikov Ice conveyer
KR101683594B1 (ko) * 2009-06-19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 어셈블리
US8516844B2 (en) * 2009-10-26 2013-08-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BRPI0904660A2 (pt) * 2009-11-04 2011-11-16 Whirlpool Sa dispensador de gelo motorizado para refrigeradores
US8844310B2 (en) * 2009-12-14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High capacity ice storage in a freezer compartment
US20110146335A1 (en) * 2009-12-2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10096672A (ko)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012230A (ko)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20120012228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아이스 뱅크를 갖는 냉장고
CN102261780B (zh) 2011-05-09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自动制冰机及具有该自动制冰机的冰箱
US20120291473A1 (en) * 2011-05-18 2012-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er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497A (ja) * 1999-03-18 2000-09-29 Japan Steel Works Ltd:The 機関砲の弾薬供給機構
JP2001027307A (ja) * 1999-07-14 2001-01-30 Rk Excel:Kk スプロケット
US20060086127A1 (en) *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0820816B1 (ko) *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00014026A (ko) * 2008-08-01 201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37609A (ko) * 2009-10-07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120010924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이송수단을 갖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55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회전문 방식의 얼음투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5510B2 (en) 2018-02-06
US20170023287A1 (en) 2017-01-26
KR101932076B1 (ko) 2018-12-24
CN103486811B (zh) 2016-03-30
CN103486811A (zh) 2014-01-01
EP2674702A3 (en) 2014-02-26
EP2674702A2 (en) 2013-12-18
EP2674702B1 (en) 2018-09-26
US20130327082A1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918A (ko) 냉장고
US92391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in freezing compartment and transfer device to ice bank in refrigerating compartment
KR101929517B1 (ko) 냉장고
JP5571746B2 (ja) 冷蔵庫
CN101929774B (zh) 制冰单元和具有所述制冰单元的制冷机
EP2613108B1 (en) Refrigerator
EP2674703B1 (en) Refrigerator
KR20110072506A (ko) 냉장고
KR20130128224A (ko) 냉장고
KR20120012230A (ko) 아이스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20110072393A (ko) 냉장고
KR102173828B1 (ko) 냉장고
KR102278204B1 (ko) 냉장고
KR102138355B1 (ko) 냉장고
KR20080053742A (ko) 냉장고
KR100920983B1 (ko) 냉장고용 아이스 뱅크의 모드 전환장치
KR102191571B1 (ko) 냉장고
KR20090109420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