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026A -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026A
KR20100014026A KR1020080075807A KR20080075807A KR20100014026A KR 20100014026 A KR20100014026 A KR 20100014026A KR 1020080075807 A KR1020080075807 A KR 1020080075807A KR 20080075807 A KR20080075807 A KR 20080075807A KR 20100014026 A KR20100014026 A KR 2010001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ucket
ice bucket
refrigerato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475B1 (ko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버킷은, 내부에 얼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방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방출구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와, 축부와 이 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방출구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얼음방출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축선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소요 동력을 줄일 수 있다.
냉장고, 제빙기, 아이스 버킷, 얼음방출장치, 축부, 회전날개

Description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ICE BUC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한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냉장고 중 일부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및/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아이스 버킷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 의 아이스 버킷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0)와,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25) 및 냉장실도어(35)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실(20)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복수의 선반(24)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20)의 내부에는 소정 형태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제빙기(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빙기(40)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기(40)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 및 방출할 수 있게 아이스 버킷(ice bucket)(5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25)에는 상기 냉동실(20)을 개방하지 아니하고 얼음을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dispenser)(27)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27)의 상면에는 상기 아이스 버킷(50)으로부터 방출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7)로 유입될 수 있게 유입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태의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복수의 셀(cell)(42)이 구비된 제빙트레이(tray)(41)와, 상기 제빙트레이(41)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3)와, 상기 제빙트레이(41)에서 생성된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젝터(ejector)(45)와, 상기 제빙트레이(41)에 물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이젝터(45)를 작동시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를 구비한다.
상기 제빙트레이(41)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45)에 의해 분리된 얼음이 미끄러지는 스트립퍼(stripper)(4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젝터(45)는 상기 제빙 트레이(41)의 상측에 배치되는 축(46a)과, 상기 축(46a)에 상기 셀(42)에 대응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아암(arm) 또는 핀(pin)(46b)(이하, "핀"으로 표기함)을 구비한다. 상기 스트립퍼(48)는 상기 핀(46b)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절개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얼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얼음이 방출될 수 있게 방출구(53)가 형성되는 용기본체(51)와, 상기 용기본체(5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얼음을 이송하는 오거(auger)(61)와, 상기 오거(61)의 일 측에 배치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크러시(crush)부(81)를 구비한다.
상기 오거(61)는, 축(63)과, 상기 축(53)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송부(65)를 구비한다. 상기 축(63)의 일 단부에는 상기 오거(61)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동모터(7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63)의 타 측 단부는 상기 크러시부(8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크러시부(81)의 저부에는 상기 방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출구(53)에는 상기 방출구(53)를 개폐할 수 있게 셔터(5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55)는 솔레노이드(solenoid)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57)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크러시부(81)는, 상기 오거(61)의 축(6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가동블레이드(83)와, 상기 가동블레이드(83)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블레이드(83)와 상호 협조적으로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블레이드(85)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블레이드(83) 및 고정블레이드(8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얼음을 이송하는 오거(61)는 나선형의 이송부(65)를 구비하여 얼음을 축선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어, 축선방향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기인하여 아이스 버킷(50)의 두께를 줄이기가 쉽지 아니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부(65)의 나선 영역과 주변 사이에 얼음이 끼이게 되어 구속이 발생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잘 이용하지 아니하는 크러시부(81)가 일률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투입 부품이 증가하여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축선 길이를 더 연장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선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요 동력을 줄일 수 있는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형 이송부의 사용을 배제하여 구속을 억제할 수 있는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얼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방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방출구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방출구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얼음방출장치; 를 포함하는 아이스 버킷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 측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 측을 차단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구동모터수용부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가 상기 방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셔터가 상기 방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비해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에 배치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과 연결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비해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 및 아이스 버킷은 상기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형의 이송부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이송부의 축선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이스 버킷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형 이송부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구속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의 축선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아이스 버킷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이스 버킷을 도어에 설치할 수 있어 냉각실의 활용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방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변형례의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변형례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 상기 냉각실에 배치되는 제빙기(140); 상기 제빙기(1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아이스 버킷(150); 상기 아이스 버킷(150)과 연결되는 디스펜서(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통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만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140)는 통상 냉동실(또는 냉동실도어)에 설치되지만, 냉장고 본체(110)의 구성에 따라 별도의 냉기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냉장실(또는 냉장실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을 구비하며, 상기 제빙기(140)는 상기 냉동실도어(125)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냉동실(120) 및 냉장 실(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의 전면에는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25) 및 냉장실도어(1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20)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선반(124)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25)의 내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복수의 도어포켓(12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도어(125)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제빙기(140)와, 상기 아이스 버킷(150) 및 디스펜서(12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빙기(140)는, 소정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게 복수의 셀(142)이 형성된 제빙트레이(141)와, 상기 제빙트레이(1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셀(142)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젝터(145)와, 상기 제빙트레이(141)에 물이 공급되게 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상기 이젝터(145)에 의해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도록 해당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4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140)는, 소정 형태의 얼음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여 비틀림이 가능하게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를 회전시키되 양 단부의 회전량이 다르게 되도록 상기 제빙트레이를 비틀어지게 구동시키는 트레이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 소위 비틀림 방식의 제빙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1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얼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방출구(159)가 형성된 용기본체(151); 상기 방출구(159)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161); 축부(171)와, 상기 축부(17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날개(173)를 구비하여 상기 방출구(159)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얼음방출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51)는, 상기 냉동실도어(125)의 내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전면부(152a)와, 상기 전면부(152a)와 전후방향으로 대면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상호 협조적으로 얼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부(15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 저부에는 상기 얼음방출장치(17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57)는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 저부면(153)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일 측, 즉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방출구(159)의 전방 측벽에는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가지게 곡면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155)는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 간격을 두고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 반경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이 상기 방출구(159)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 저부면(153)은 상기 얼음방출장치(170)로 얼음이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157)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에는 얼음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스토퍼(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 저부면(153)에는 얼음이 과도하게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스토퍼(15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하측에도 얼음이 끼이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상기 방출구(159)의 일 측에 스토퍼(1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기(140)로부터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로 낙하되는 얼음을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일 단부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안내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58)는 상기 전면부(152a)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안내부(158)의 상부면은 하향 경사지고 저부면은 거의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빙기(140)로부터 얼음 낙하시 후술할 얼음방출장치(170)의 구동모터측으로 얼음(또는 얼음조각(파편))이 접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7)의 저부에는 얼음이 방출될 수 있게 방출구(1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출구(159)에는 상기 방출구(159)를 개폐할 수 있게 셔터(shutter)(1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셔터(161)는 상기 방출구(159)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161)는, 상기 방출구(159)에 비해 큰 크기를 가지는 판상부(163)와, 상기 판상부(16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셔터(161)에는 상기 셔터(161)가 상기 방출구(159)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6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7)은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67)은 상기 셔터(161)의 상면에 놓인 얼음과 상기 회전날개가 접촉될 때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셔터(161)가 개방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프링(167)은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에 의해 얼음이 가압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셔터(161)가 상기 방출구(159)를 개방하게 하고, 상기 방출구(159)를 통해 얼음이 방출되면 셔터(161) 개방시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셔터(161)가 상기 방출구(159)를 차단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얼음방출장치(170)는, 축부(171)와, 상기 축부(17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날개(173)룰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축부(171)는 상기 얼음방출장치(17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5)의 회전축(176)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75)의 회전축(176)은 상기 축부(17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75)의 회전시 상기 축부(171) 및 회전날개(173)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날개(173)의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175)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173) 사이를 차단할 수 있게 연결부(17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얼음이 상기 구동모터(175)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77)는 상기 회전날개(173)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강도를 제고시켜 상기 회전날개(17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7)는 원반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77)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날개(173)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173)의 단부를 연결하는 리브 형태의 연결 부(18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87)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173)의 일 측, 즉 상기 구동모터(175) 측에는 상기 구동모터(175)를 수용할 수 있게 구동모터수용부(17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얼음이 상기 구동모터(175)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수용부(174)는 상기 회전날개(173)의 일 측에 상기 회전날개(173) 사이를 차단하는 원반 형상의 연결부(177)와, 상기 연결부(177)에서 축선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부(178)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날개(173)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에 비해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173)와 수용부(157) 사이에 얼음이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구속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161)의 상면에 접촉되게 배치된 얼음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되어 상기 셔터(161)의 개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1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71)로부터 점진적으로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배치되게 절곡된 곡선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71)로부터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직선상으로 돌출된 바디(195)와, 상기 바디(195)의 단부에서 더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97)를 구비한 회전날개(193)를 구비하게 얼음방출장치(19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날개(193)의 일 측 또는 양 측에는 원반 형상의 연결부(177) 또는 리브 형상의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17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되는 바디(215)와, 상기 바디(215)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7)를 구비한 회전날개(213)를 포함하게 얼음방출장치(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거나 점진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193)의 일 측 또는 양 측에는 원반 형상의 연결부(177) 또는 리브 형상의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빙기(140)로부터 낙하된 얼음은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에 수용/저장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25)의 외부에서 상기 디스펜서(127)의 얼음인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7)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75)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모터(175)가 회전을 개시한다. 상기 구동모터(175)가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용기본체(151)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날개에 얹혀져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57) 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회전하는 상기 얼음방출장치(170)의 회전날개 중 상기 수용부(157)측에 위치한 회전날개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되고, 이때 상기 수용부(157)측의 얼음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의 후방, 즉 오목한 상면에 얹혀 상기 방출구(159)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방출구(159) 상에 위치하게 되면 거의 수직한 상태로 되고, 얼음은 상기 셔터(161)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때, 후속으로 회전되는 후방측 회전날개의 전면부(152a)가 상기 셔터(16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된 얼음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얼음을 하향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날개는 단부영역이 중앙영역에 비해 회전방향의 후방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얼음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상기 얼음이 가압되면 상기 셔터(161)는 하향 회동되어 상기 방출구(159)를 개방하고, 얼음은 상기 방출구(159)를 통해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디스펜서(127)를 통해 상기 냉동실도어(125)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얼음이 방출구(159)를 통해 낙하하게 되면 상기 셔터(161)는 상기 스프링(167)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방출구(159)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얼음방출장치(170)가 회전되는 동안 얼음이 계속해서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127)를 경유해 외부로 인출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아이스 버킷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아이스 버킷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방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변형례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7의 얼음방출장치의 변형례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동실
125 : 냉동실도어 127 : 디스펜서
130 : 냉장실 140 : 제빙기
141 : 제빙트레이 145 : 이젝터
147 : 제어부 150 : 아이스버킷
151 : 용기본체 153 : 저면부
155 : 곡면부 157 : 수용부
159 : 방출구 161 : 셔터
167 : 스프링 170 : 얼음방출장치
171 : 축부 173 : 회전날개
175 : 구동모터 177 : 연결부

Claims (10)

  1. 내부에 얼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방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방출구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방출구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얼음방출장치;
    를 포함하는 아이스 버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 측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방출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 측을 차단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구동모터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방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셔터가 상기 방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비해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버킷.
  8.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에 배치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항의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과 연결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방향에 대해 중앙부에 비해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및 아이스 버킷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75807A 2008-08-01 2008-08-01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069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07A KR101069475B1 (ko) 2008-08-01 2008-08-01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07A KR101069475B1 (ko) 2008-08-01 2008-08-01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026A true KR20100014026A (ko) 2010-02-10
KR101069475B1 KR101069475B1 (ko) 2011-09-30

Family

ID=4208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07A KR101069475B1 (ko) 2008-08-01 2008-08-01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918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43B1 (ko) * 2012-06-12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687Y2 (ko) 1973-06-14 1978-05-02
JP2008014615A (ja) 2006-07-10 2008-01-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アイスディスペンサ
KR100820816B1 (ko)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90060045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918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475B1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6722B1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KR100621700B1 (ko) 얼음공급장치를 갖춘 냉장고
US8925340B2 (en) Ice bank of refrigerator
US7017363B2 (en) Ice supply system of refrigerator
EP2674702B1 (en) Refrigerator
EP2613108B1 (en) Refrigerator
US20060248911A1 (en) Ice dispens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US6973802B1 (en) Ice supply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101189452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24841A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EP2679939B1 (en) Refrigerator
KR101798550B1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KR101798547B1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EP2333462B1 (en) Three forms of ice from a single well
KR101069475B1 (ko) 아이스 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100565616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100713293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구조
KR100781269B1 (ko) 얼음배출장치
KR101714443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20080000128A (ko) 냉장고
KR100201406B1 (ko) 아이스 디스펜서의 취출장치
KR100697415B1 (ko) 냉장고의 얼음 저장 장치
KR10165900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