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07B1 -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07B1
KR101659007B1 KR1020090105631A KR20090105631A KR101659007B1 KR 101659007 B1 KR101659007 B1 KR 101659007B1 KR 1020090105631 A KR1020090105631 A KR 1020090105631A KR 20090105631 A KR20090105631 A KR 20090105631A KR 101659007 B1 KR101659007 B1 KR 10165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haft
ice tray
refrigerator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886A (ko
Inventor
김봉진
윤영훈
오승환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07B1/ko
Priority to EP10827043.0A priority patent/EP2494287B1/en
Priority to US12/912,225 priority patent/US8516844B2/en
Priority to PCT/KR2010/007360 priority patent/WO2011052959A2/en
Publication of KR2011004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복수의 셀이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젝터와,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빙장치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설치시 폭방향 점유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Figure R1020090105631
냉장고, 제빙장치, 아이스 트레이, 이송유닛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장치의 폭방향을 따른 설치 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제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는 고내 공간 활용을 위해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장치는, 내부에 소정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복수의 셀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해내는 이젝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셀에 대응되게 상기 샤프트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이젝터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얼음을 수납할 수 있게 아이스 뱅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에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이젝터를 배치하고, 이빙 시 이젝터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의 측부로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을 수납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아이스 뱅크를 아이스 트레이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배치하여야만 한다. 이에 기인하여, 제빙장치의 폭방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뱅크를 냉동실도어에 설치할 경우 도어의 후방측, 즉 냉동실측으로 제빙장치 및/또는 아이스 뱅크가 돌출되어 고내 공간(냉동실)에 식품 수납시 식품과 간섭이 발생되어 식품 수납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도어에 제빙실을 형성하고, 이 제빙실의 내부에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뱅크를 수납하는 경우, 제빙실의 두께가 증가되어 고내 공간이 줄어 들 수 있다.
또한, 제빙장치를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이들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을 때, 아이스 트레이의 물이 아이스 트레이의 외부로 흘러넘치게 될 수 있다. 물이 흘러 넘칠 경우 하측의 아이스 뱅크로 유입되어 아이스 뱅크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서로 달라붙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장치의 설치 폭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스 트레이의 외부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장치의 설치 폭을 줄일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복수의 셀이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하는 이젝터; 및 상기 셀에서 분리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 측에 돌출되는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와 반대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 및 상기 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구동부는 상기 핑거가 셀을 경유하여 회동하게 정,역 회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 및 상기 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스크류샤프트;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크류핀; 및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핀은 반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빙시 상기 스크류핀이 상기 샤프트의 상측을 향하게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을 차단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덮개의 외측에 배치되게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의 얼음 배출측에 배치되어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일 측에 배치되어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얼음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얼음을 수납하는 아이스 뱅크를 아이스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제빙장치의 설치 폭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빙장치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에 설치할 때, 제빙장치가 냉동실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냉동실에 식품 수납시 식품과 제빙장치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를 냉장실도어에 형성된 제빙실에 설치할 때, 제빙실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냉장실을 그만큼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 개구를 차단하는 덮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의 외부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폐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설치될 때, 아이스 트레이의 내부의 물이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빙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이송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7의 이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12는 도 3의 이젝터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상기 냉장고 본체(110) 또는 상기 도어(125,13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빙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120,130)은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을 총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상기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장치(150)는 상기 냉장실도어(125)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20)을 개폐할 수 있게 냉장실도어(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에는 상기 냉장실도어(125)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0)에는 상기 냉동실(130)을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35)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후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동실(130) 및/또는 냉장실(120)을 냉각시킬 수 있게 냉동사이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방열되는 응축기,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에는 제빙실(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은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의 후단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의 후단에는 상기 제빙실(14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제빙실도어(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도어(145)는 상기 제빙실(140)의 개구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동실(130)에서 만들어진 냉기를 상기 제빙실(140)에 제공할 수 있게 측벽냉기덕트(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28)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28) 중 하나는 냉기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는 냉기가 복귀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140)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고의 제빙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150)는, 복수의 셀(cell)(152)이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151)와, 상기 셀(152)에 형성된 얼음(160)을 분리하는 이젝터(191)와, 분리된 얼음(160)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로부터 만들어져 낙하하는 얼음(160)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게 아이스 뱅크(1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8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즉 얼음(160)이 낙하하는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181)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직하방에 설치할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151)의 폭방향으로 아이스 뱅크(181)가 돌출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빙장치(150)의 설치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81)는 상향 개구된 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81)의 일 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로부터 낙하하는 얼음(160)을 상기 아이스 뱅크(181)의 내부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가이드(185)는 상기 아이스 뱅크(181)의 상부 일 측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185)는 상기 아이스 뱅크(181)의 제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181)와 일체(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내부에 셀(152)에 의해 서로 구획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셀(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셀(152)은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 및/또는 냉기의 공급이 신속하게 될 수 있어 제빙 및 이빙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를 가열하여 이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54)는 전원 공급시 발열하는 전기히터(1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일 측에는 상기 셀(152)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급수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59)는 관(pip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각 셀(15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측벽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셀(152)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측방으로 흘러넘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덮개(1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에 공급된 물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덮개(171)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171)는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171)의 외측에 배치되는 리브(162)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162)는 상기 덮개(171)의 하단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물이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덮개(171)에는 상기 리브(162)와 맞물림(계합)되게 맞물림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175)는 계단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셀(152)의 내부에 만들어진 얼음(160)을 분리할 수 있게 이젝터(191)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젝터(19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셀(15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191)는, 샤프트(193); 상기 샤프트(193)의 일 측에 돌출되는 플레이트(194); 상기 샤프트(193)의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194)와 반대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195); 및 상기 샤프트(19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구동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에는 상기 샤프트(1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샤프트지지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의 일 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긴 판상의 플레이트(1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의 타 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핑거(195)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핑거(195)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각 셀(152)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셀(152)의 내부를 경유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핑거(195)는 그 사이에 셀(152)의 격벽(153)이 삽입될 수 있게 서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94) 및 핑거(195)는 서로 반대로 돌출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는 상기 샤프트(193)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구동력을 제 공하는 샤프트구동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구동부(211)는 상기 콘트롤박스(16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의 일 단은 상기 콘트롤박스(161)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구동부(21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샤프트구동모터(213)와, 상기 샤프트구동모터(213)의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19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15)은 서로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216,2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215)의 기어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이외에, 벨트 및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체인 및 체인스프로킷휠을 포함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구동부(211)는 정,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203)와, 상기 샤프트(203)의 양 측에 서로 반대로 돌출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핑거(205)를 구비하게 이젝터(20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20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젝터(201)의 샤프트구동부(211)는 정, 역회전 할 필요없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길이방향으로 얼음(160)을 이송하는 이송유닛(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30)의 일 측에는 이송된 얼음(160)이 배출될 수 있게 얼음배출구(157)가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얼음배출구(157)는 구성에 따라서 상기 덮개 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배출구(157)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 측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230)은, 스크류샤프트(231);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에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크류핀(235); 및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샤프트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3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19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류샤프트(231)는 상기 이젝터(191)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샤프트(231)는 상기 스크류핀(235)의 회전반경 이상의 높이차를 두고 상기 이젝터(191)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젝터(191)에 의해 각 셀(152)로부터 분리된 얼음(160)이 상기 이젝터(19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30)은 상기 덮개(17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 또는 상기 덮개(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단에 상기 스크류샤프트(2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샤프트지지부(15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의 외면에는 축선방향으로 얼음(160)을 이송할 수 있게 복수의 스크류핀(2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핀(2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P)를 가지고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핀(235)의 피치(P)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셀(152)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핀(235)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이젝터(191)에 의해 해당 셀(15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이젝터(191)의 위로 이동되는 얼음(160)이 상기 스크류핀(235)에 간섭됨이 없이 이젝터(19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핀(235)의 회전방향을 따라 선단 및 후단 사이의 축선방향의 폭(W)은 상기 스크류핀(235)의 피치(P)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1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160)은 상기 스크류핀(235)의 피치(P)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연속으로 회전할 경우 각 얼음(160)은 각 스크류핀(235)에 의해 1피치(P)씩 이동되어 차례로 얼음배출구(157)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240)는 상기 콘트롤박스(16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의 일 단은 상기 콘트롤박스(161)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24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241)와,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241)의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4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45)은 서로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246,2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45)의 기어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벨트 및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 거나, 체인 및 스프로킷휠을 포함하여 동력전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150)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2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비(PCB)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제빙모드 등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모드선택부(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제빙모드 선택시, 제빙 및 이빙 과정을 제어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구동모터(213), 전기히터(154), 및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241)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드선택부(251)에 의해 제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급수부(159)를 통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로 물이 공급된다. 급수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151)의 각 셀(152)의 내부에는 얼음(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의 물이 얼어 얼음(160)이 형성되면, 상기 전기히터(154)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전기히터(15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셀(152)의 내벽과 접촉된 얼음(160)의 경계면이 융해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각 셀(152)의 내부의 얼음(160)의 표면이 융해될 정도의 온도가 되거나 또는 융해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샤프트구동모터(213)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191)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191)가 회전되면 각 핑거(195)는 해당 셀(152)의 내부로 진입하여 해당 셀(152)의 내부에 만들어진 얼음(160)을 가압 하면서 회전한다. 이에 의해 각 셀(152)의 내부의 얼음(160)은 해당 셀(152)의 내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된다.
분리된 얼음(160)은 해당 셀(152), 덮개(171)의 내면, 및 상기 이젝터(191)의 플레이트(194)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152)로부터 분리된 얼음(160)은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이 핑거(195)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은 플레이트(194)가 위치하고, 외측은 덮개(171)에 의해 차단되므로, 해당 셀(152)로 다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가 180도를 회전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얼음(160)은 180도 회전된 이젝터(191), 즉 핑거(195) 및 플레이트(194)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젝터(191)가 180도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241)를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각 스크류핀(235)이 회전하고, 각 스크류핀(235)의 선단부는 상기 이젝터(191)의 상면에 올려진 얼음(160)의 일 측을 가압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얼음(160)은 상기 스크류샤프트(231)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1회전을 하면 상기 각 얼음(160)은 상기 스크류핀(235)의 1피치(P)만큼 이동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31)가 연속으로 회전하면 상기 얼음(160)이 상기 얼음배출구(157)를 통해 연속으로 배출된다. 상기 얼음배출구(157)를 통해 배출된 얼음(160)들은 상기 아이스 뱅크(181)의 내부에 수납 저장된다.
한편, 얼음(160)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241)를 제어하여 상기 스크류핀(235)이 상측에 위치(초기위치)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2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구동모터(213)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191)가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빙장치가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냉장고의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제빙장치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아이스 트레이의 상단에 이젝터의 상측으로 상향 연장되게 측벽부를 형성하고, 일 측벽부에 얼음배출구를 형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아이스 트레이의 측벽을 이젝터가 설치되는 높이로 형성하고 덮개의 하단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각 변부를 향해 하향 연장되게 측벽부를 형성하고, 이 덮개에 하향 연장된 측벽부에 얼음배출구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 및 스크류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지지부 및 스크류샤프트지지부는 덮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 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빙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이송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7의 이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12는 도 3의 이젝터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장실
125 : 냉장실도어 130 : 냉동실
140 : 제빙실 145 : 제빙실도어
150 : 제빙장치 151 : 아이스 트레이
152 : 셀 153 : 격벽
154 : 전기히터 155 : 측벽부
160 : 얼음 161 : 콘트롤박스
162 : 리브 171 : 덮개
181 : 아이스 뱅크 185 : 아이스 가이드
191 : 이젝터 193 : 샤프트
194 : 플레이트 195 : 핑거
213 : 샤프트구동모터 230 : 이송유닛
231 : 스크류샤프트 235 : 스크류핀
241 : 스크류샤프트구동모터 250 : 제어부
251 : 모드선택부

Claims (16)

  1. 상향 개구된 복수의 셀이 구비되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셀의 상측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고, 회전 시 상기 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하여 상측으로 밀어 올려 상면에 상기 얼음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상측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크류샤프트 및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스크류핀을 구비하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상기 셀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젝터의 상면에 올려 놓여 지지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낙하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상의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와 반대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 및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구동부는 상기 핑거가 셀을 경유하여 회동하게 정,역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판 형상의 복수의 핑거; 및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트레이는 상기 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셀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핀은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스크류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빙시 상기 스크류핀이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상측을 향하게 상기 스크류샤프트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을 차단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에 의해 지지된 얼음이 이송될 수 있게 빈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단부에는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덮개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게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한 폭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트레이보다 상기 얼음배출구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4.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제1항의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본체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105631A 2009-10-26 2009-11-03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31A KR101659007B1 (ko) 2009-11-03 2009-11-03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10827043.0A EP2494287B1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2/912,225 US8516844B2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CT/KR2010/007360 WO2011052959A2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31A KR101659007B1 (ko) 2009-11-03 2009-11-03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86A KR20110048886A (ko) 2011-05-12
KR101659007B1 true KR101659007B1 (ko) 2016-09-22

Family

ID=4436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631A KR101659007B1 (ko) 2009-10-26 2009-11-03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7544A2 (en) * 1999-10-08 2001-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assembly
US20060086135A1 (en) * 2004-10-26 2006-04-27 Guolian Wu Water spillage management for in the door ic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290B1 (ko) * 2003-05-28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KR100565621B1 (ko) * 2003-09-19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7544A2 (en) * 1999-10-08 2001-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assembly
US20060086135A1 (en) * 2004-10-26 2006-04-27 Guolian Wu Water spillage management for in the door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86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9902B1 (en) Apparatus for storing 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074804B2 (en) Refrigerator
RU2552044C2 (ru) Льдогенератор и холодильник с таким льдогенератором
KR101907166B1 (ko) 냉장고
KR101551167B1 (ko) 냉장고
KR101665545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2494287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KR2010009216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423166B2 (en) Refrigerator
EP2476977A2 (en) Ice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60149070A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US20080155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CN109716047B (zh) 冰箱和制造用于冰箱的螺旋推运器的方法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721760B1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236771B1 (ko) 제빙기의 얼음 분리 저장 장치
US8015837B2 (en) Ice bank of refrigerator
KR10165900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900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13205A (ko)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1798557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110045386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