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909A -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909A
KR20130138909A KR1020120062421A KR20120062421A KR20130138909A KR 20130138909 A KR20130138909 A KR 20130138909A KR 1020120062421 A KR1020120062421 A KR 1020120062421A KR 20120062421 A KR20120062421 A KR 20120062421A KR 20130138909 A KR20130138909 A KR 2013013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riven
drive
transmiss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512B1 (ko
Inventor
어순기
박종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512B1/ko
Priority to JP2012220948A priority patent/JP6122599B2/ja
Priority to US13/687,399 priority patent/US9175757B2/en
Priority to DE102012111804A priority patent/DE102012111804A1/de
Priority to CN201210551791.8A priority patent/CN103486216B/zh
Publication of KR2013013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06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08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balls or with rollers acting in a similar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0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 F16H15/08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 F16H15/1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in which the axes of the members are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1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40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two members co-operative by means of balls, or rollers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not mounted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25Bridging torque interru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중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차량의 운전중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져서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자동변속기보다 우수한 동력 전달 효율로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동기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과정 중간에도 동력이 단절되는 순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 저하에 의해 마치 차량을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첨단자동차섀시, 골든벨출판사, 김재휘저 87~94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는
상기 동력제공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원판과;
상기 구동원판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원판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으로 연결되는 피동원판과;
상기 구동원판과 피동원판 사이에서 상기 구동원판 및 피동원판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원판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설치된 가동구와;
상기 가동구를 이동시키는 가동구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는
상기 동력제공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원판과;
상기 구동원판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원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피동원판과;
상기 구동원판 및 출력축 사이에서 이들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는 지지원판과;
상기 구동원판과 피동원판 사이 및 상기 피동원판과 지지원판 사이에서, 상기 구동원판 및 피동원판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원판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과의 접촉반경 및 상기 피동원판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지지원판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설치된 가동구와;
상기 가동구를 이동시키는 가동구조절장치와;
상기 지지원판을 상기 가동구를 향해 가압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지지측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단전달기구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기준컨트롤플레이트와 경사컨트롤플레이트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기준컨트롤플레이트와 경사컨트롤플레이트의 상대 회동에 의한 가동구의 이동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엔진 시동시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에서 2단으로 변속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1의 구성도에서 2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 1의 구성도에서 R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1)와; 상기 변속부(1)의 입력축(INPUT)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3)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변속기 변속메커니즘을 가진 변속부(1)에 대하여,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 병렬로 상기 무단전달기구(5)가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변속부(1)의 변속시에 상기 입력축(INPUT)을 우회하여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동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변속중의 동력 단절에 따른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원판(7)과; 상기 구동원판(7)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원판(7)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연결되는 피동원판(9)과;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서 상기 구동원판(7) 및 피동원판(9)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원판(7)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설치된 가동구(11)와; 상기 가동구(11)를 이동시키는 가동구조절장치(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구조절장치(1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 평행하게 중첩되고 상기 구동원판(7)과 동심축을 이루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 및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의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반경가이드홈(15)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그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에서는 항상 상기 반경가이드홈(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사가이드홈(17)을 구비한 구조이다.
따라서, 공지의 모터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로 상기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상기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를 상대 회동시키면, 상기 반경가이드홈(15)과 경사가이드홈(17) 사이의 연통부분이 변화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구(11)가 결과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가동구(11)의 이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판(7)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동구(11)와 접촉된 접촉반경 r1과, 상기 피동원판(9)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동구(11)와 접촉된 접촉반경 r2가 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원판(7)으로부터 상기 가동구(11)를 통하여 상기 피동원판(9)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연속적으로 무단의 변속비를 가지고 변속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입력축(INPUT)과 상기 동력제공장치(3)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2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제공장치(3)는 내연기관인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21)는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23)과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원판(7)은 상기 클러치디스크(25)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에 상기 입력축(INPUT)이 관통하는 중공축을 형성하는 클러치커버(2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구조이다.
즉, 상기 클러치디스크(25)와 플라이휠(23)의 설치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클러치메커니즘과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커버(27)가 상기 구동원판(7)에 엔진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공의 회전축 역할을 아울러 수행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변속기 클러치 메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컴팩트한 파워트레인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러치커버(27)에 구동기어(37)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37)에는 피동기어(39)가 치합되어, 상기 피동기어(39)의 동력이 상기 구동원판(7)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구동원판(7)에는 상기 구동원판(7)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하여 가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측실린더(41)가 연결되고, 상기 피동원판(9)에는 상기 피동원판(9)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어(43)가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동원판(9)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원판(7)의 반대편에는 상기 구동원판(7)에 대응하는 지지원판(45)이 상기 구동원판(7)과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원판(45)과 상기 피동원판(9) 사이에도 상기 지지원판(45) 및 피동원판(9)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지지원판(45)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하는 가동구(1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원판(45)에는 상기 지지원판(45)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하여 가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측실린더(47)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측실린더(41)와 지지측실린더(47)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가동구(11)들을 중앙의 상기 피동원판(9)에 대하여 압착시키거나 서로 동력전달이 불가능하게 이격시킴으로써, 동력 전달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원판(7)은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7)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9)와 동심축을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피동원판(9)은 상기 구동원판(7) 하나에 대하여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각 피동원판(9)에 연결된 전달기어(43)들은 함께 상기 출력축(OUTPUT)의 출력피동기어(51)에 치합된 구조이다.
이에 비하여, 도 10의 실시예는 상기 도 1에 비하여 다른 구성은 거의 동일하지만, 도 1의 실시예에서의 구동측실린더(41)와 지지측실린더(47) 조합이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원판(7)이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원판(7)은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7)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9)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매개기어(49)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동원판(9)은 상기 복수의 구동원판(7)에 공통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동원판(9)의 전달기어(43)는 상기 출력축(OUTPUT)의 출력피동기어(51)에 치합된 구조이다.
또한, 도 11의 실시예를 보면, 상기 도 1이나 도 10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구동원판(7)에는 상기 구동원판(7)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하여 가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측실린더(41)가 연결되고, 상기 피동원판(9)에는 상기 피동원판(9)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어(43)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구동원판(7)이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원판(7)은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7)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9)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매개기어(49)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동원판(9)은 상기 복수의 구동원판(7)에 공통으로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피동원판(9)의 전달기어(43)는 상기 출력축(OUTPUT)의 피동기어(39)에 치합된 구조로서, 도 10의 실시예에서 지지원판(45)과 지지측실린더(47)의 구성이 배제되고, 하나의 피동원판(9)과 전달기어(43)만으로 출력축(OUTPUT)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는 상기 도 1,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지지원판(45)과 지지측실린더(47)를 통해 직접 출력축(OUTPUT)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원판(7)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피동원판(9)과의 사이 및 상기 지지원판(45)과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구(11)의 이동에 따라 변속되어 상기 지지원판(45) 및 지지측실린더(47)를 통하여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측실린더(4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원판(45)과 이격되면서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도그클러치 등과 같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고, 도 10과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들은 거의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동기치합식 변속기구로 상기 변속부(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부(1)는 1단 내지 5단의 변속단 및 R단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후진단인 R단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에서는 생략한 후진아이들러기어(35)를 도 9에서만 표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 5는 엔진 시동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21)와 무단전달기구(5)는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을 상기 시동모터(29)로 크랭킹하여 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INPUT)이나 출력축(OUTPUT)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37)와 피동기어(39)까지만 전달되고 있다.
물론, 상기 시동시에 상기 변속부(1)가 아무런 변속단을 연결시키지 않고 있다면, 상기 클러치(21)는 연결된 상태에서도 시동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21)가 차단되어 있으면, 1-2단동기치합장치(31)로 1단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1단변속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21)를 연결시키면, 차량의 발진과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주행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21)를 통해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전달된 후, 1단변속단기어쌍을 통해 출력축(OUTPUT)으로 1단변속이 이루어지면서 전달되어 차동장치(33)를 통해 구동륜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구동측실린더(41)와 지지측실린더(47)가 서로 후퇴하여 동력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기어(37)와 피동기어(39)를 통한 동력은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7은, 1단변속단으로부터 2단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중간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21)를 차단하면서 상기 구동측실린더(41)와 지지측실린더(47)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서 상기 가동구(11)가 가압된 상태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입력축(INPUT)으로는 차단되어도 상기 구동원판(7)과 가동구(11) 및 피동원판(9)을 통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어 변속중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이 상기 가동구(11)와 함께 형성하는 변속비는 상기 피동원판(9)이 1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부터 2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 조절되게 되는 바, 상기 가동구조절장치(13)를 구동하여 상기 가동구(11)가 상기 구동원판(7) 및 피동원판(9)과 접촉하고 있는 접촉점을 변화시켜 원하는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1단으로부터 2단으로 변속되는 과정에서 클러치(21)에 의해 입력축(INPUT)에 전달되던 토크가 차단됨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의 저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현재변속단과 목표변속단 사이의 부드러운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21)가 차단되고 무단전달기구(5)가 연결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이 상기 구동원판(7)과 가동구(11) 및 피동원판(9)을 통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우회하여 공급되는 동안, 상기 1-2단동기치합장치(31)는 1단을 해제하고 2단으로의 치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2단변속단의 치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클러치(21)를 결합하면서 상기 구동측실린더(41)와 지지측실린더(47)를 후퇴시켜 상기 무단전달기구(5)를 차단하면, 도 8과 같은 2단 주행 상태가 구현된다.
도 8에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21)를 통해 상기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서 2단의 변속단으로 조절되어 상기 차동장치(33)를 통해 구동륜으로 공급되며, 엔진으로부터 상기 피동기어(39)까지 전달된 동력은 상기 무단전달기구(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1단에서 2단으로 변속되는 동안 상기 구동원판(7)과 가동구(11) 및 피동원판(9)에 의한 출력축(OUTPUT)으로의 지속적인 동력 제공은, 이외의 나머지 변속단들 사이의 변속에서도 마찬가지 원리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1단과 2단 사이와 같은 저단 사이의 변속은 물론, 4단과 5단 사이와 같은 고단간의 변속에서도, 심지어는 오버드라이브 변속단에서도,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서는 현재의 변속단과 목표변속단의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맞추면서 동력을 보상해줄 수 있어서, 당해 변속기의 전 변속범위 내에서 변속중의 토크저하가 방지되고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후진시의 동력전달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의 후진아이들러기어(35)를 연결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변속부
3; 동력제공장치
5; 무단전달기구
7; 구동원판(7)
9; 피동원판(9)
11; 가동구(11)
13; 가동구(11)조절장치
13-1; 기준컨트롤플레이트
13-2; 경사컨트롤플레이트
15; 반경가이드홈
17; 경사가이드홈
21; 클러치
23; 플라이휠
25; 클러치디스크
27; 클러치커버
29; 시동모터
31; 1-2단동기치합장치
33; 차동장치
35; 후진아이들러기어
37; 구동기어
39; 피동기어
41; 구동측실린더
43; 전달기어
45; 지지원판(45)
47; 지지측실린더(47)
49; 매개기어
51; 출력피동기어
INPUT; 입력축
OUTPUT; 출력축(OUTPUT)

Claims (12)

  1.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1)와;
    상기 변속부(1)의 입력축(INPUT)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3)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원판(7)과;
    상기 구동원판(7)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원판(7)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연결되는 피동원판(9)과;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서 상기 구동원판(7) 및 피동원판(9)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원판(7)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설치된 가동구(11)와;
    상기 가동구(11)를 이동시키는 가동구조절장치(1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판(7)에는 상기 구동원판(7)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하여 가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측실린더(41)가 연결되고;
    상기 피동원판(9)에는 상기 피동원판(9)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어(43)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동원판(9)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원판(7)의 반대편에는 상기 구동원판(7)에 대응하는 지지원판(45)이 상기 구동원판(7)과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원판(45)과 상기 피동원판(9) 사이에도 상기 지지원판(45) 및 피동원판(9)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지지원판(45)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하는 가동구(1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원판(45)에는 상기 지지원판(45)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하여 가압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측실린더(47)가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판(7)은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7)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9)와 동심축을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피동원판(9)은 상기 구동원판(7) 하나에 대하여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각 피동원판(9)에 연결된 전달기어(43)들은 함께 상기 출력축(OUTPUT)의 출력피동기어(51)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판(7)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원판(7)은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7)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9)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매개기어(49)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동원판(9)은 상기 복수의 구동원판(7)에 공통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동원판(9)의 전달기어(43)는 상기 출력축(OUTPUT)의 출력피동기어(51)에 치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6.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가동구조절장치(13)는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에 평행하게 중첩되고 상기 구동원판(7)과 동심축을 이루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 및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의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반경가이드홈(15)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그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에서는 항상 상기 반경가이드홈(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사가이드홈(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INPUT)과 상기 동력제공장치(3)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장치(3)는 내연기관인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23)과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원판(7)은 상기 클러치디스크(25)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에 상기 입력축(INPUT)이 관통하는 중공축을 형성하는 클러치커버(2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도그클러치에 의해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11.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1)와;
    상기 변속부(1)의 입력축(INPUT)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3)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원판(7)과;
    상기 구동원판(7)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원판(7)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피동원판(9)과;
    상기 구동원판(7) 및 출력축(OUTPUT) 사이에서 이들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는 지지원판(45)과;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 및 상기 피동원판(9)과 지지원판(45) 사이에서, 상기 구동원판(7) 및 피동원판(9) 공통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원판(7)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 및 상기 피동원판(9)과의 접촉반경과 상기 지지원판(45)과의 접촉반경이 동시에 상호 가감되며 변화되도록 설치된 가동구(11)와;
    상기 가동구(11)를 이동시키는 가동구조절장치(13)와;
    상기 지지원판(45)을 상기 가동구(11)를 향해 가압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OUTPUT)에 연결된 지지측실린더(4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동구조절장치(13)는 상기 구동원판(7)과 피동원판(9) 사이 및 상기 피동원판(9)과 지지원판(45) 사이에 평행하게 중첩되고, 상기 구동원판(7)과 동심축을 이루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 및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컨트롤플레이트(13-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의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반경가이드홈(15)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컨트롤플레이트(13-2)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구(11)가 삽입되어 그 운동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에서는 항상 상기 반경가이드홈(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경사가이드홈(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20120062421A 2012-06-12 2012-06-12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83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21A KR101836512B1 (ko) 2012-06-12 2012-06-12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JP2012220948A JP6122599B2 (ja) 2012-06-12 2012-10-03 車両の自動化手動変速機
US13/687,399 US9175757B2 (en) 2012-06-12 2012-11-28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DE102012111804A DE102012111804A1 (de) 2012-06-12 2012-12-05 Automatisiertes Handschaltgetriebe eines Fahrzeuges
CN201210551791.8A CN103486216B (zh) 2012-06-12 2012-12-18 用于车辆的自动手动变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21A KR101836512B1 (ko) 2012-06-12 2012-06-12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909A true KR20130138909A (ko) 2013-12-20
KR101836512B1 KR101836512B1 (ko) 2018-04-19

Family

ID=4962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21A KR101836512B1 (ko) 2012-06-12 2012-06-12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5757B2 (ko)
JP (1) JP6122599B2 (ko)
KR (1) KR101836512B1 (ko)
CN (1) CN103486216B (ko)
DE (1) DE102012111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8025B2 (en) * 2013-09-24 2018-10-02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KR101772830B1 (ko) 2013-09-25 2017-08-29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토크 캠 장치 및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WO2017086803A2 (en) * 2015-11-16 2017-05-26 Per Stensgaard Innovasjon As Dual-mass flywheel concep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902687B2 (en) * 2018-02-01 2021-01-26 Gkn Automotive Ltd. Power transfer unit maintenanc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4239A (en) 1929-03-14 1932-02-09 Boehme Inc H O Power transmission
US2611038A (en) 1946-04-30 1952-09-16 Rca Corp Sound recorder with sound-controlled stylus feed
US2835134A (en) * 1954-07-22 1958-05-20 Fabrications Unicum Soc D Friction-drive speed regulators
US3010330A (en) * 1958-02-19 1961-11-28 Fabrications Unicum Soc D Friction type change speed gears
US4099683A (en) 1977-02-02 1978-07-11 Allied Chemical Corporation Constant pull safety belt retracting mechanism
DE2736929C3 (de) 1977-08-16 1981-04-0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Schaltbares Stirnradgetriebe
US4458558A (en) * 1981-08-05 1984-07-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riable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s
EP0088486A3 (en) * 1982-02-05 1985-05-22 Automotive Products Public Limited Company Rotary transmission
JP2881760B2 (ja) * 1986-12-24 1999-04-12 日本精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と有段変速機とを備えた車両用複合変速機
DE4234629C2 (de) * 1991-10-25 2002-07-18 Volkswagen Ag Stufenloses Getriebe für Kraftfahrzeuge
DE4136455C2 (de) 1991-11-06 1997-02-27 Getrag Getriebe Zahnrad Sechsgang-Zahnradwechselgetriebe
IT1266918B1 (it) 1994-08-09 1997-01-21 New Holland Fiat Spa Cambio di velocita' per un veicolo, particolarmente un trattore agricolo.
JP3449004B2 (ja) * 1994-11-30 2003-09-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動力伝達装置
DE59905424D1 (de) * 1998-03-27 2003-06-12 Bosch Gmbh Robert Antriebs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021025A1 (de) 2000-05-02 2001-11-15 Bosch Gmbh Robert Getrieb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0165097B3 (de) 2000-07-18 2015-07-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sgetriebe
JP2002323105A (ja) * 2000-09-07 2002-11-08 Kanji Tomidokoro 無段変速機に用いる直進往復移動の移動装置と、該移動装置に装填した転動部材並びに該転動部材を介して複数の変速部を摺動連動する連続の変速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7083A (ja) * 2000-09-20 2002-03-26 Tochigi Fuji Ind Co Ltd 動力伝達装置
DE10133919A1 (de) 2001-07-12 2003-0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lektromechanisches Getriebe
JP2004332781A (ja) * 2003-05-01 2004-11-25 Honda Motor Co Ltd 動力伝達装置
KR100569140B1 (ko) 2003-12-10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클러치 변속기
JP2005195115A (ja) 2004-01-08 2005-07-2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
US7513851B2 (en) 2006-09-01 2009-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orque converter clutch slip control
JP4193906B2 (ja) 2007-03-26 2008-1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
KR100951967B1 (ko) 2008-06-23 2010-04-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파워트레인
KR101035247B1 (ko) 2008-10-17 2011-05-1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
EP2345829B1 (en) 2008-11-14 2013-01-09 Honda Motor Co., Ltd. Transmission
JP5195510B2 (ja) * 2009-02-25 2013-05-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常時噛合式変速機
JP2010249303A (ja) * 2009-04-20 2010-11-04 Toyota Motor Corp 常時噛合式の車両用変速機
US8220352B2 (en) 2009-04-23 2012-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clutch transmission
KR20110001326A (ko) 2009-06-30 2011-01-0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 및 그 제어방법
ITBO20090465A1 (it) 2009-07-21 2011-01-22 Ferrari Spa Trasmissione per un veicolo stradale con propulsione ibrida
KR101181897B1 (ko) 2009-08-25 2012-09-11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
JP2011122671A (ja) * 2009-12-10 2011-06-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
RU2010112596A (ru) 2010-03-31 2011-12-10 Джи Эм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 Оперейшнз, Инк. (Us)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трансмиссия (варианты)
DE102011080081A1 (de) * 2010-07-30 2012-02-02 Denso Corporation Fahrzeugleistungsübertragungsvorrichtung
KR101192311B1 (ko) 2010-12-06 2012-10-17 김영재 더미 리드프레임
KR101673628B1 (ko) 2011-09-19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512B1 (ko) 2018-04-19
DE102012111804A1 (de) 2013-12-12
CN103486216A (zh) 2014-01-01
CN103486216B (zh) 2017-09-29
US9175757B2 (en) 2015-11-03
US20130331226A1 (en) 2013-12-12
JP2013257036A (ja) 2013-12-26
JP6122599B2 (ja)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115B2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ssion of hybrid power vehicle
CN105383278B (zh) 具有发动机起动和再生制动模式的动力总成
CN102216649B (zh) 变速器
CN108909426B (zh) 一种双电机耦合行星排式两挡变速驱动桥
CN103189669B (zh) 用于无级变速器的输入离合器组件
EP2280192B1 (en) Power split transmission
KR1015002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US8641573B2 (en) Power transmission unit for vehicle
EP2360044B1 (en)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KR20130138908A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836506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350772B1 (ko) 전기자동차용 2단 변속장치
CN104334923A (zh) 车辆用传动装置
KR10163774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836513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20130138909A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20180003657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CN110145571B (zh) 无动力中断混合动力变速器
CN104334926A (zh) 车辆用动力传递装置
CN103403393A (zh) 手动变速器
CN109383265B (zh) 一种混合动力变速箱结构及其工作方法
KR20150049133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3822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272935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28432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