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990A -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990A
KR20130137990A KR1020120061739A KR20120061739A KR20130137990A KR 20130137990 A KR20130137990 A KR 20130137990A KR 1020120061739 A KR1020120061739 A KR 1020120061739A KR 20120061739 A KR20120061739 A KR 20120061739A KR 20130137990 A KR20130137990 A KR 2013013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veloping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test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우
김석구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990A/ko
Priority to US13/869,281 priority patent/US9897957B2/en
Publication of KR2013013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09Single transfer point used by plural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6Rotating set of record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순환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화상 농도 제어 방법은,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는 단계,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TONE DENSITY MEAS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패스(multi-path)방식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화상형성장치,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도트 화상형성장치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보다 인쇄품질, 인쇄속도, 인쇄시의 소음 등의 측면에서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도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그림신호로 변조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감광체에 토너를 묻힌 다음, 이 감광체 표면에 묻은 토너를 인쇄용지 측으로 전사시킨 후, 높은 열과 압력으로 인쇄 용지 상의 토너를 정착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최근에는 레이저 방식을 이용하여 컬러까지 구현하는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CMYK의 4가지 색깔의 토너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에는 4개의 노광 유닛과 4개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싱글 패스(Single path)방식과 1개의 노광 유닛과 1개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멀티 패스(Multi-path)방식이 있다.
싱글 패스방식은 칼라 인쇄 시와 흑백 인쇄 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다. 따라서 고속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4개의 노광유닛과 4개의 감광체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진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교적 저속영역에서 동작하는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에는 1개의 감광체와 1개의 노광유닛을 구비하고 각 색상에 대해 노광, 현상, 전사를 반복하여 중간전사벨트 상에 칼라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용지로 전사, 정착시키는 멀티 패스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 현상기를 비롯한 소모품의 경시적인 변화, 현상관련 전압의 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화상의 농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점에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여 현상 변수를 적절히 제어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멀티 패스 방식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벨트 상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농도 센서(CTD Sensor:Color Tone Density Sensor)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각 현상기별로 반복하여 농도 측정을 반복한 후 최종 현상 변수를 결정하였다.
다만, 종래에는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에 현상하는 경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였다. 즉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였다. 이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는 것을,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종래와 같이 테스트 패치 현상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구조와 결부하여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 불필요한 동작이 발생하여, 테스트 패치의 농도 측정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환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은,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는 단계, 상기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며, 상기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할 수 있다.
그리고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상기 감광체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캠 방식 또는 로터리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게 현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된 현상 변수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 상에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 및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하며, 상기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며, 상기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상기 감광체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도 측정부는,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캠 방식 또는 로터리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게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함으로써, 테스트 패치의 농도 측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된 테스트 패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현상기를 순환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현상기를 순환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의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상된 테스트 패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농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감광체(110), 복수의 현상기(120), 농도 측정부(130), 제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멀티 패스 방식일 수 있다.
멀티 패스 방식은 캠 방식, 로터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캠 방식, 로터리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 6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피면 크게, 대전(Charging) , 노광(writing), 현상(Developing), 전사(Transfering), 정착(Fusing)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화상이 인쇄된다. 대전이란, 대전기에 고압(약 7000V 정도)을 인가하여,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해 감광체 표면상에 (-) 전하가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노광이란, (-)전하가 형성된 감광체 표면에 레이저 빔(Laser Beam)을 주사하여 (-) 전하를 글자형태로 소멸시킴으로써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현상이란 (-) 성분을 가진 토너 입자들이 감광체 표면의 잠상부분에 달라붙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전사란, 감광체 및 전사기 사이에 용지가 지나갈 때 전사기에 소정 전사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종이 이면에 (+) 전하를 형성시켜, 드럼표면에 형성된 (-) 토너 입자를 종이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착이란, 종이 위에 형성된 토너를 적당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완전히 융착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 단계를 거치면, 용지상에 화상이 형성되어 출력된다. 이하, 상술한 동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ive : OPC)(110)는 인쇄데이터가 인쇄용지(P)에 인쇄되기 전에 레이저에 의해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이미지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대전부는 감광체(110)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음 전하로 대전시킨다. 노광부(Laser Scanning Unit : LSU)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빔을 변조하여 대전된 감광체(110) 표면에 조사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110) 표면의 노광된 영역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특히 감광체(110)에는 테스트 패치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20)는 감광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 위에 토너 입자을 부착시켜 현상한다. 여기서 복수의 현상기(120)는 Y 현상기, M 현상기, C 현상기, K 현상기부를 포함하여 4개의 현상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현상기(120)는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토너를 현상할 수 있다.
특히 현상부(120)는 테스트 패치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110)에, 테스트 패치를 현상할 수 있다.
농도 측정부(130)는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농도 측정부는 농도 센서(CTD Sensor:Color Tone Density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도 센서는 테스트 패치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테스트 패치에서 반사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농도 센서는 테스트 패치의 농도에 따라 수광부로 입력되는 광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농도 측정부(130)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서, 중간전사 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감광체(110), 복수의 현상기(120), 농도 측정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순서로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순서에서 다른 순서로 바뀌게 될 경우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 여러 색이 겹치는 부분에서 색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화상 농도를 측정해야 하는 시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컬러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 현상기를 비롯한 소모품의 경시적인 변화, 현상관련 전압의 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화상의 농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시점에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여 현상 변수를 적절히 제어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주기적인 시점(예를 들어 100매 인쇄시마다) 또는 특정 시점(예를 들어 전원이 켜지는 경우)을 화상 농도를 측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화상 농도를 측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현상기를 순환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현상기를 순환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의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현상기를 순환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캠 샤프트(210), 포지션 지시 부재(220), 센서부(230), 복수의 캠(231)을 포함한다.
포지션 지시 부재(220)는 캠 샤프트(210)의 홈 위치를 검출하고, 현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그 둘레에 돌출된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 각각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포지션 지시부재(220)의 외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는 구동하고자 하는 현상기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센서부(230)에 블랙(K)지시부가 감지되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캠(231K)의 동작에 따라 블랙(K) 현상기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캠 샤프트(210)가 회전되면, 복수의 캠(231Y,231M,231C,231K)이 순차적으로 4개의 슬라이딩허브(미도시)를 각각에 대응되는 현상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센서부(230)는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출력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홈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출력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현상기(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4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클러치에 의하여 포지션 지시 부재(220)가 회전하는 경우, 센서부(230)는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가 회전에 의하여 감지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후에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다만, 일정 시간 후에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만약 일정 시간 후에 복수의 지시부(221K, 221Y, 221M, 221C)가 감지되지 않아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그 때의 지시부를 시안(C)지시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복수의 지시부 각각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클러치를 동작시켜 포지션 지시 부재(220)를 홈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홈 위치는 시안(C)지시부 및 블랙(K)지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홈 위치가 시안(C)지시부(221C) 및 블랙(K)지시부(221K) 사이에 위치하는 이유는 흑백 인쇄시에 빠르게 블랙(K)현상기를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다만,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포지션 지시 부재(2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홈 위치 감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포지션 지시 부재(220)가 홈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컬러 인쇄 작업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순서로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클러치를 동작시켜, 포지션 지시 부재(22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가장 먼저 센서부(230)에는 홈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블랙 지시부(231K)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블랙(K) 지시부(221K)를 통과시키고, 블랙(K) 지시부에 대응되는 블랙(K) 현상기는 동작시키지 않는다. 그 후, 센서부(230)에는 블랙 지시부(221K) 이후에 위치하는 옐로우(Y) 지시부(221Y)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옐로우(Y) 지시부(221Y)에 대응되는 옐로우(Y)를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현상된 옐로우(Y)는 중간 전사 벨트의 1차 전사될 수 있다. 그 후, 센서부(230)에는 마젠타(M) 지시부(221M)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마젠타(M) 지시부(221M)에 대응되는 마젠타(M)를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현상된 마젠타(M)는 중간 전사 벨트의 1차 전사될 수 있다. 그 후, 센서부(230)에 시안(C) 지시부(221C)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시안(C) 지시부(221C)에 대응되는 시안(C)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현상된 시안(C)는 중간 전사 벨트의 1차 전사될 수 있다. 그 후, 센서부(230)에는 블랙(K) 지시부(221K)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블랙(K) 지시부(221K)에 대응되는 블랙(K)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현상된 블랙(K)는 중간 전사 벨트의 1차 전사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지션 지시 부재(220)를 홈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클러치를 동작시켜 옐로우(Y) 지시부(221Y), 마젠타(M) 지시부(221M), 블랙(K) 지시부(221K)를 거쳐 홈 위치에 포지션 지시 부재(220)를 위치시킨다.
다만, 화상 농도 측정에 사용되는 테스트 패치는 여러 색을 겹친 것이 아닌 단일한 색이기 때문에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화상 농도 측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클러치를 동작시켜, 포지션 지시 부재(22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가장 먼저 센서부(230)에는 홈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블랙 지시부(231K)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블랙 지시부(231K)에 대응되는 블랙(K)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그 후, 센서부(230)에 옐로우(Y) 지시부(221Y)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옐로우(Y) 지시부(221Y)에 대응되는 옐로우(Y)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그 후, 센서부(230)에 마젠타(M) 지시부(221M)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마젠타(M) 지시부(221M)에 대응되는 마젠타(M)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그후, 센서부(230)에 시안(C) 지시부(221C)가 감지되고, 제어부(140)는 시안(C) 지시부(221C)에 대응되는 시안(C) 현상기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테스트 패치가 현상되면, 포지션 지시 부재(220)는 바로 홈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테스트 패치 현상에 있어서, 컬러 인쇄 작업 수행과 동일하게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하였는바, 포지션 지시부(220)의 회전이 더 많아져서 화상 농도 측정에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상기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되는 구간에서, 블랙 지시부(221K)가 홈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 테스트 패치 현상 후에 옐로우 지시부(221Y), 마젠타 지시부(221M), 시안 지시부(221C)가 홈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에 따라 불필요시간이 소요되어서 화상 농도 측정에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함으로써, 화상 농도 측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감광체(110)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멀티 패스 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컬러 인쇄 수행시에는 감광체가 1회전하는 1사이클 동안 감광체(110)상에 한 개의 현상기가 토너의 현상을 수행한다. 그리고 현상된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에 옮겨지고, 이러한 과정을 각각의 현상기마다 반복함으로써,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다만, 테스트 패치는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지, 인쇄를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감광체(110)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대전부, 노광부,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함으로써,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감광체(110)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1사이클 동안의 현상만으로 4가지 색상 모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바, 화상 농도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게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은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참조하면, 현상기의 위치가 색상별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져 있다. 이에 따라 노광부에서 감광체(110)로 노광을 하고 현상기(120)를 이용하여 감광체(110)에 현상을 하는 시간은 색상별로 다르다. 즉 노광부에서 감광체(110)로 노광한 후에 옐로우(Y) 현상기에서 현상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고, 노광부에서 감광체(110)로 노광을 하고 블랙(K) 현상기에서 현상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가장 짧다. 이러한 기구적인 구조 때문에 노광부에서 먼곳에 있는 현상기에서 현상 후 가까운 곳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하는 시간보다 노광부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하고, 먼 곳에 있는 현상기를 현상할 때 더 빠르게 화상을 현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블랙(K) 현상기와 옐로우(Y) 현상기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노광부가 블랙(K) 테스트 패치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체(110)에 형성한 후에 바로 옐로우(Y) 테스트 패치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체(110)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를 옐로우(Y) 테스트 패치 및 마젠타(M)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 마젠타(M) 테스트 패치 및 시안(C)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 시안(C) 테스트 패치 및 블랙(K)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 중 가장 짧게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블랙(K) 테스트 패치에서 옐로우(Y) 테스트 패치 순서로 테스트 패치를 형성함으로써,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 농도 측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종료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테스트 패치 현상을 통한 화상 농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종료 조건은, 화상 농도 측정 횟수 또는 측정된 농도와 기준 농도와의 편차가 기 설정된 기준 이하가 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료 조건이 만족하면, 제어부(140)는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현상 변수는 인쇄 작업 수행이 수행될 때, 현상기의 현상을 위한 변수로 예를 들어, 토너 농도 등 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쇄 작업이 수행되면, 제어된 현상 변수를 이용하여 현상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현상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300)는 인터페이스부(310), 유저 인터페이스부(320), 전원 공급부(330), 제어부(340), 저장부(350), 프린터부(13600), 스캐너부(370)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의 구성은 프린트 기능, 스캔 기능, 복사 기능, 팩스 기능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단순 프린터인 경우 스캐너부(370)를 비롯한 일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버스, 데이터 일시 저장을 위한 버퍼 등과 같은 미도시 구성들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10)는 네트워크 또는 로컬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및 코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310)는 호스트 PC와의 사이에서 로컬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규격으로는, 미국의 IEEE(미국전기전자학회) 802.11규격, 유럽의 하이퍼랜(hyper LAN) 규격, 일본의 MMAC-PC 규격 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선택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부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각종 UI 화면을 제공하여 주고, 사용자는 UI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부(32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선택 명령은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모드 변경, 동작 정지 및 재개 등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330)는 화상형성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공급부(330)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AC_IN), 트랜스포머(transformer), 인버터(inverter), 정류기 등과 같은 소자들을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에 적합한 전위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DC_OUT)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데이터 및 커맨드나,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선택 명령 등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세트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도 2에 설명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PC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쇄 명령이 실행되면, 호스트 PC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해당 문서를 소정의 프린터 언어로 변환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이러한 인쇄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340)는 하프톤 테이블(Halftone Table)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0"과 "1"로 구성된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를 프린터부(3600)로 제공하여 용지 상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린터부(3600)는 프린트 엔진 컨트롤러(361) 및 인쇄 작업에 작용하는 복수 개의 유닛(362-1 ~ 362-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설명한 감광체(110), 복수의 현상기(120), 농도 측정부(130)는 복수 개의 유닛(362-1 ~ 362-n)에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제어부(140)는 프린트 엔진 컨트롤러(36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저 프린트 방식인 경우, 유닛(362-1 ~ 362-n)은 급지부, 대전부, 노광부, 감광체, 복수의 현상기, 전사부, 정착부, 배지부, 농도 측정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엔진 컨트롤러(361)는 각 유닛(362-1 ~ 362-n)을 제어하여, 제어부(340)로부터 제공된 비트맵 이미지대로 인쇄를 수행한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스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스캐너부(370)를 제어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스캐너부(370)는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371), 스캐닝 유닛(373), 스캔 모터부(372), 화상처리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371)는 제어부(340)와 통신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스캐너부(37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스캐닝 유닛(373)은 대상물을 스캐닝하는 역할을 한다. 스캐닝 유닛(373)은 이미지 독취센서, 렌즈,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독취센서로는 CCD 또는 CIS 이미지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미지 독취센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대상물에 조사된 빛의 반사광을 흡수하여 전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서 발생한 전하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검출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화상 처리부(374)로 제공된다.
화상처리부(374)는 스캐닝 유닛(373)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shading) 및 감마 정정(gamma correction), DPI(Dot Per Inch) 변환, 엣지 강조(edge emphasis), 에러 확산(error diffusion), 스케일링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기 지정된 해상도, 스캔 모드, 스캔 영역, 확대 및 축소 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처리한다.
스캔 모터부(372)는 스캐닝 유닛(373) 또는 용지를 이동시켜, 대상물 전체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캔 모터부(372)는, 스캐너의 작동방식이 시트피드 방식인지 플랫베드 방식인지에 따라 이동시키는 매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스캔 모터부(372)는, 시트피트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용지를 이동시키게 되며, 플랫베드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스캐닝 유닛(373)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캔 모터부(372)는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371)는 제어부(340)에서 스캔 커맨드가 전달되면, 스캐닝 유닛(373) 및 스캔 모터부(372)를 구동하여 대상물을 스캔하고, 화상 처리부(2374)를 제어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한편, 저장부(350)는 화상형성장치의 스펙, 사용 상태, 인쇄 데이터, 스캔 데이터, 기 처리된 데이터, 인쇄 이력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저장부(350)는 휘발성 메모리부(351) 및 비휘발성 메모리부(35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351)는 동작에 필요한 임시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호스트 PC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나, 프리 스캔 데이터, 복사를 위해 스캐닝한 데이터 등을 임시로 휘발성 메모리(213)에 저장하여 두고, 해당 작업을 완료한 후 폐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352)에는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이 비휘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서 휘발성 메모리(351) 및 비휘발성 메모리(352)는 각각 1개인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 및 사이즈는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캠 방식의 화상형성장치(600)는 회전하는 감광체(630)의 외주면에 도면의 시계방향 즉, 감광체(630)의 회전방향으로 대전롤러(610), 노광부(620), 4개의 현상기(640Y,640M,640C,640K,), 중간 전사벨트(650), 클리닝부(660) 및 제전롤러(670), 용지(S)를 공급하는 카세트(680)와, 상기 용지(S)를 중간 전사벨트(650)와 접촉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전사롤러(690) 및 상기 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69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칼라 인쇄 수행 동작은 다음과 같다. 노광부(620)에 의해 옐로우(Y)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이 감광체(630)에 주사되어 정점 장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Y현상기(640Y)의 옐로우(Y)색상의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이 감광체(630)에 형성되고, 이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650)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벨트(650)에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 형성이 완료되면, 노광부(620)가 마젠타(M)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감광체(630)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현상기(640M)에 수용된 마젠타(M)색상의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마젠타(M)색상의 토너화상이 감광체(630)에 형성되고, 이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650)로 전사된다. 이 때, 전사벨트(650)에 먼저 형성되어 있는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과 감광드럼(630)으로부터 중간 전사벨트(650)로 전사되기 시작하는 마젠타(M)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중간 전사벨트(650)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노광부(620)으로부터 주사되는 마젠타(M)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의 주사시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시안(C)와 블랙(K)색상에 대해서도 반복하여 중간 전사벨트(650)상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형성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만, 화상 농도 측정해야 하는 시점인 경우, 제어부(140)는 테스트 패치를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도록 복수의 현상부(640Y,640M,640C,640K)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로터리 방식의 화상형성장치(700)는 감광체(730), 감광체(730)에 광을 주사하는 노광부(720), 감광체(7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중간 전사벨트(750) 및 회전하는 터렛(740)이 구비되어 있다. 터렛(turret)(740)에 4개의 현상기(740Y,740M,740C,740K)이 90°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터렛(740)이 90°씩 회전함에 따라 4개의 현상기(740Y,740M,740C,740K)이 순서대로 감광체(720)과 대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칼라 인쇄 수행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옐로우(Y)현상기(740Y)이 감광체(730)과 대면하도록 터렛(740)이 회전되면, 노광부(720)에 의해 옐로우(Y)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이 감광체(730)에 주사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현상기(740Y)에 수용된 옐로우(Y)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이 감광체(730)에 형성되고, 이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750)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벨트(750)에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형성이 완료되면, 마젠타(M)현상기(740M)가 감광체(730)와 대면하도록 터렛(740)이 90°회전하고, 노광부(720)이 마젠타(M)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감광체(730)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현상기(740M)에 수용된 마젠타(M)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마젠타(M)색상의 토너화상이 감광체(730)에 형성되고, 이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750)로 전사된다. 이 때, 중간 전사벨트(750)에 먼저 형성되어 있는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과 감광드럼(730)으로부터 중간 전사벨트(750)로 전사되기 시작하는 마젠타(M)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중간 전사벨트(750)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노광부(720)으로부터 주사되는 마젠타(M)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의 주사시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시안(C)와 블랙(K)색상에 대해서도 반복하여 중간 전사벨트(750)상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형성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로터리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홈 위치는 도 7과 같이 블랙 현상기(740K) 및 시안 현상기(740C)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홈 위치가 블랙 현상기(740K) 및 시안 현상기(740C)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유는 흑백 인쇄시에 빠르게 블랙(K)현상기를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화상 농도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치 현상에 있어서, 컬러 인쇄 작업 수행과 동일하게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하였는바, 터렛(740)의 회전에 의하여 홈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블랙 현상기(740K)는 통과시켰다. 그 후, 옐로우 현상기(740Y), 마젠타 현상기(740M), 시안 현상기(740C), 블랙 현상기(740K)로 현상을 수행한 후, 터렛(740)의 역회전을 수행하여 홈 위치로 복귀시켰다. 따라서 종래에는 현상기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되는 구간에서, 블랙 현상기(740K)가 홈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 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역 회전 하는 시간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어서 화상 농도 측정에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테스트 패치 현상을 위하여 홈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블랙 현상기(740K)부터 순차적으로 현상을 수행하도록 터렛(740)의 회전을 제어하는 바, 화상 농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패치 현상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는 경우, 상술하였듯이, 불필요한 동작을 배제시킴으로써, 화상 농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8을 비교하면, 도 1의 Y 테스트 패치 집합의 처음부터 K 테스트 패치 집합의 마지막까지의 거리는 도 8의 K 테스트 패치 집합의 처음부터 C 테스트 패치 집합의 마지막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테스트 패치를 현상함으로써,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농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농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한다(S901). 그리고,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한다(S902). 그리고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한다(S903).
여기서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일 수 있다.
즉 복수의 현상기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며,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할 수 있다.
또한 현상하는 단계(S901)는,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감광체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할 수 있다.
또한 측정하는 단계(S902)는,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는 캠 방식 또는 로터리 방식일 수 있다.
또한 현상하는 단계(S901)는,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도록 현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농도 측정 방법은 조절된 현상 변수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감광체
120 : 복수의 현상기 130 : 농도 측정부
140 : 제어부

Claims (15)

  1. 순환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는 단계;
    상기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며,
    상기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상기 감광체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캠 방식 또는 로터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도록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현상 변수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농도 제어 방법.
  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 상에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현상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 및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부터 순차적으로 테스트 패치를 감광체 상에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하며, 상기 측정된 농도를 이용하여 현상 변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저 현상 가능한 현상기는 블랙(K)현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컬러 인쇄 작업 수행시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순서로 현상하며,
    상기 테스트 패치 현상시에는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순서로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광체가 1 회전하는 1 사이클 동안 상기 감광체 상에 모든 복수의 현상기의 테스트 패치를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측정부는,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중간전사벨트 또는 감광체에 형성된 테스트 패치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캠 방식 또는 로터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캠 방식인 경우, 블랙(K) 테스트 패치 및 옐로우(Y)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를 현상된 모든 테스트 패치에 포함된 두 개의 테스트 패치간의 거리 중 가장 짧게 현상하도록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61739A 2012-06-08 2012-06-08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KR2013013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39A KR20130137990A (ko) 2012-06-08 2012-06-08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US13/869,281 US9897957B2 (en) 2012-06-08 2013-04-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tone density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39A KR20130137990A (ko) 2012-06-08 2012-06-08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90A true KR20130137990A (ko) 2013-12-18

Family

ID=497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39A KR20130137990A (ko) 2012-06-08 2012-06-08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 농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7957B2 (ko)
KR (1) KR20130137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19A1 (ko) * 2015-11-16 2017-05-26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2473B (zh) 2020-10-27 2023-03-1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37B1 (ko) * 1997-06-16 2000-01-15 윤종용 다색화상 형성장치의 현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819447B1 (en) * 1999-04-08 2004-11-16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memory medium
US6775489B2 (en) * 2001-06-07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density of toner image
US6889015B2 (en) * 2002-07-29 2005-05-03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patch image for optimizing density control factor
JP4464126B2 (ja) * 2003-12-22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画像形成制御方法
JP4760482B2 (ja) * 2006-03-29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676169B2 (en) * 2006-05-22 2010-03-09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ath toner patch sensor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AU2008222318A1 (en) * 2007-03-08 2008-09-12 Contra Vision Ltd. Inkjet printing partially imaged panels with superimposed lay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19A1 (ko) * 2015-11-16 2017-05-26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89035B2 (en) 2015-11-16 2019-05-14 S-Printing Solution Co.,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toner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0095A1 (en) 2013-12-12
US9897957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6436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濃度の調整方法
JP668575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98675A (ja) 画像形成装置
US7538918B2 (en)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gradation control
JP201021301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563122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12915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6437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濃度の調整方法
US87305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lural deflection units and to perform positional shift correction
US100129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1963186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방법, 호스트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제어 방법, 화상 형성 시스템의 화상 형성 방법
US98979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tone density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96830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6226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921489B2 (ja) 画像形成装置
CN101685281A (zh) 成像装置
KR20140070090A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색상 정합 방법, 호스트 장치,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1582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generating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and method of image forming
US2019017923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049969A (ja) 画像読取装置
CN110007573A (zh) 图像形成装置及位置校正方法
US11422495B2 (en) Color registration in real-time
KR10148844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터 제어방법
KR20190009609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JP435546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