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251A -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 Google Patents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251A
KR20130135251A KR1020137012100A KR20137012100A KR20130135251A KR 20130135251 A KR20130135251 A KR 20130135251A KR 1020137012100 A KR1020137012100 A KR 1020137012100A KR 20137012100 A KR20137012100 A KR 20137012100A KR 20130135251 A KR20130135251 A KR 2013013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electric
coil
power
turn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윤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3013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06Pivot joint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5Control of electric,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ventilators, electro-driven f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8Rotary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교류 변환기, 상부 코일, 하부 코일 및,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 원리를 적용하여 상부의 전기 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용 터닝 조인트를 구성하여, 전기 굴삭기에서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 중간에도,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 주행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TURNING JOINT FOR ELECTRIC EXCAVATOR}
본 발명은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와 같이 전기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장비에 있어서, 선회 동작을 해야 하는 전기 굴삭기의 특성상 상부의 전원을 하부로 배선 등을 통해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을, 변압기의 원리를 굴삭기 선회부에 적용하여 전원을 하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한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굴삭기 특히, 전기 굴삭기는 선회부에 터닝 조인트라는 부품이 있어 상부의 유압원을 하부로 유압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전달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비가 선회하고 있는 중간에도 하부의 주행용 유압모터에 상부의 유압원을 공급시킬 수 있어 주행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 굴삭기(혹은, 하이브리드 굴삭기)에 있어, 주행모터를 유압식이 아닌 전기모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렇게 되면 기존 유압식 터닝 조인트와 동일한 개념의 전원 전달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선회부에 변압기 원리를 적용하여 상부의 전기 에너지를 하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굴삭기용 터닝 조인트를 구성하여 전기 굴삭기의 선회동작 중간에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는,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직류/교류 변환기,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하는 상부 코일,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달받는 하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주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의 전원을 단속하여 하부체의 주행용 전기모터가 전원을 필요로 할 때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 단속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과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의 사용 전압 범위가 다른 경우, 상부 선회체에 감겨있는 상부 코일의 권선수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의 권선수 조절에 따라 전압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압기 원리를 적용하여 상부의 전기 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용 터닝 조인트를 구성하여, 전기 굴삭기에서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 중간에도,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과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주행용 전기모터의 사용 전압 범위가 다른 경우, 상부 선회체에 감겨있는 상부 코일의 권선수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함으로써 전압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전원 단속 수단을 통해 직류/교류 변환기의 전원을 단속하여 하부체의 주행용 전기모터가 전원을 필요로 할 때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닝조인트를 탑재한 전기식 굴삭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압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02 : 직류/교류 변환기
103 : 상부 코일 104 : 하부 코일
105 : 인버터 106 : 주행용 전기모터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특히,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101), 직류/교류 변환기(102), 상부 코일(103), 하부 코일(104), 인버터(105), 주행용 전기모터(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101)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직류/교류 변환기(102)와,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102)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하는 상부 코일(103),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103)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달받는 하부 코일(104) 및, 상기 하부 코일(104)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주행용 전기모터(106)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인버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추가로, 상부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101)의 전압과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106)의 사용 전압 범위가 다른 경우, 상부 선회체에 감겨있는 상부 코일(103)의 권선수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104)의 권선수를 조절하여 전압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직류/교류 변환기(102)의 전원을 단속하여 하부체의 주행용 전기모터(106)가 전원을 필요로 할 때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소정의 전원 단속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 상부 코일(103)은 상부 선회체에 감겨지고 직류/교류 변환기(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직류/교류 변환기(102)가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101)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키면, 그 직류/교류 변환기(102)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하는 것이다. 즉,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있는 상부 코일(103)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104)에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인해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런 변압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부체에 있는 전기 에너지를 하부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하부 코일(104)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103)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전달받는 것이다. 이렇게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은 인버터(105)로 전달되어 주행용 전기모터(106)의 전원으로 공급된다.
인버터(105)는 하부 코일(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하부 코일(104)이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103)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달받게 된 경우, 그 하부 코일(104)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연결된 주행용 전기모터(106)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직류/교류 변환기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류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킨 다음, 변환된 교류 전기에너지를 상부 코일로 전달한다(S201 ∼ S202).
즉,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직류/교류 변환기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킨 다음, 변환된 교류 전기에너지를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있는 상부 코일로 전달한다.
다음, 상부 코일은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한다.
즉,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있는 상부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에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인해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런 변압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부체에 있는 전기 에너지를 하부로 전달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한 바에 따라 하부 코일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자기 유도로 전달받는다.
그러면, 인버터는 그 하부 코일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연결된 주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렇게 하여, 하부체에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은 인버터에 연결된 주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부 선회체의 회전 중에도 주행용 전기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어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과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주행용 전기모터의 사용 전압 범위가 다른 경우, 상부 선회체에 감겨있는 상부 코일의 권선수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함으로써 전압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전원 단속 수단을 통해 직류/교류 변환기의 전원을 단속하여 하부체의 주행용 전기모터가 전원을 필요로 할 때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변압기 원리를 적용하여 상부의 전기 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용 터닝 조인트를 구성하여, 전기 굴삭기에서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 중간에도,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 주행 동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굴삭기 터닝조인트를 탑재한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굴삭기는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직류/교류 변환기와,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하는 상부 코일,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달받는 하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주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그렇게 하여, 변압기 원리를 적용해 상부의 전기 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용 터닝 조인트를 구성하여, 전기 굴삭기에서도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 중간에도,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압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변압기는 정현파 전원이 접속된 1차측 권선과 부하와 접속된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 측의 정현파 전원으로 인해 시계방향으로 자속이 생성되고 각 코일에는 코일의 권수(N1, N2)와 코일 내 자속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한다. 누설이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양 코일에는 같은 양의 자속이 존재한다. 따라서 1,2차 측에는 코일의 권수에 비례하는 유기기전력(Ep, Es)이 생성된다. 또한, 렌쯔의 법칙에 의해 각 코일에 발생되는 전압은 그 발생원인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기된다. 따라서, 코일1에 유기되는 기전력(Ep)은 정현파 전원과 반대방향이 된다. 2차 측 코일의 경우에는 코일창 안에 생성된 자속에 반대되는 방향의 유기기전력(Es)이 생성된다. 이런 변압기 원리를 본 발명에서는 전기 굴삭기의 터닝 조인트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필요 전원을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굴삭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원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굴삭기(또는, 하이브리드 굴삭기)와 같이 전기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장비에 있어서, 선회 동작을 해야 하는 전기 굴삭기의 특성상 상부의 전원을 하부로 배선 등을 통해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을, 변압기의 원리를 굴삭기 선회부에 적용하여 전원을 하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한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3)

  1.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직류/교류 변환기;
    상부 선회체에 감겨져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에서 변환시킨 교류 성분의 전기에너지를 하부 주행체로 전자기 유도로 전달하는 상부 코일;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상기 상부 코일로부터 전달된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전달받는 하부 코일; 및
    상기 하부 코일에서 전달받은 교류 성분의 기전력을 주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의 전원을 단속하여 하부체의 주행용 전기모터가 전원을 필요로 할 때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 단속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과 하부의 주행용 전기모터의 사용 전압 범위가 다른 경우, 상부 선회체에 감겨있는 상부 코일의 권선수와 하부 주행체에 감겨져 있는 하부 코일의 권선수 조절에 따라 전압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KR1020137012100A 2010-11-25 2010-11-25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KR20130135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396 WO2012070704A1 (ko) 2010-11-25 2010-11-25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251A true KR20130135251A (ko) 2013-12-10

Family

ID=4614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100A KR20130135251A (ko) 2010-11-25 2010-11-25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9532B2 (ko)
EP (1) EP2645533A1 (ko)
JP (1) JP2014505185A (ko)
KR (1) KR20130135251A (ko)
CN (1) CN103222152A (ko)
WO (1) WO2012070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3231B2 (en) 2016-11-14 2021-01-05 Hamm Ag Construction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1005B2 (ja) * 2010-03-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SE542381C2 (sv) * 2012-04-23 2020-04-21 Brokk Ab Elektiskt driven demoleringsrobot och dess kraftförsörjningssystem
EP3158136A4 (en) * 2014-06-17 2018-02-0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power connection device
JP6577300B2 (ja) * 2015-08-27 2019-09-18 国立大学法人茨城大学 磁気浮上姿勢制御装置
DE102016124341A1 (de) * 2016-12-14 2018-06-14 Hamm Ag Baumaschine
JP6760146B2 (ja) * 2017-03-09 2020-09-23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
DE102018206403A1 (de) * 2018-04-25 2019-10-31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anordnung für einen Mobilbagger
JP7063796B2 (ja) * 2018-12-19 2022-05-0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JP2020100997A (ja) * 2018-12-21 2020-07-0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WO2021035477A1 (en) 2019-08-26 2021-03-04 Guangxi Liugong Machinery Co., Ltd. Electric excavator
CN113131624A (zh) * 2021-04-22 2021-07-16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载车转塔无线供电装置
JP2024040557A (ja) * 2022-09-13 2024-03-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給電ユニット及びスイベル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6292A (ja) 1987-04-20 1988-11-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スイベルジヨイント
JPH0767261A (ja) 1993-08-27 1995-03-10 Shikoku Keisoku Kogyo Kk 充電装置
KR950007221A (ko) * 1993-08-31 1995-03-21 김연수 굴삭기 전자제어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JP3828679B2 (ja) * 1999-06-28 2006-10-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US6674836B2 (en) * 2000-01-17 2004-01-06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computer tomography apparatus
JP4165788B2 (ja) * 2000-01-31 2008-10-15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掘削機の掘削方向制御装置用電磁連結装置
JP3859982B2 (ja) * 2001-04-27 2006-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の電力制御装置
JP4712651B2 (ja) 2006-09-11 2011-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回転式接続装置および作業機
US7786622B2 (en) * 2007-03-01 2010-08-3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Juvenile product inductive power transfer
JP4311478B2 (ja) * 2007-05-30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旋回体の駆動装置
KR101248580B1 (ko) * 2008-08-08 2013-03-2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작업장치 보조 구동수단이 구비된 굴삭기
JP5329929B2 (ja) 2008-12-02 2013-10-30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DE202009004071U1 (de) * 2009-03-23 2010-08-12 Liebherr-France Sas, Colmar Antrieb für einen Hydraulikbag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3231B2 (en) 2016-11-14 2021-01-05 Hamm Ag Construc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0704A1 (ko) 2012-05-31
EP2645533A1 (en) 2013-10-02
US20130234507A1 (en) 2013-09-12
JP2014505185A (ja) 2014-02-27
CN103222152A (zh) 2013-07-24
US9349532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251A (ko) 전기식 굴삭기의 터닝조인트
EP2717414B1 (en) Charging system
CN108141063B (zh) 混合感应电力传输系统
JP6212220B2 (ja) 非接触式エネルギー伝送のための装置、及び、非接触式エネルギー伝送のための装置を駆動する方法
WO2015182335A1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WO2015008506A1 (ja) 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4195387A (ja) 給電装置
CN102801328A (zh) 电源装置
EP3006257A1 (en) Control method for charger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WO2015178284A1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CN110352551B (zh) 感应负载的两极性电流控制驱动电路
EP3649007B1 (en) Hybrid charging system
JP2016005393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412515B2 (ja) 電源装置
JP2011050227A (ja) 双方向コンバ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5905216B2 (ja) コンテナヤードおよび給電方法
KR101655415B1 (ko) 고효율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장치
JP2018014794A (ja) 電力変換回路
US10630203B2 (en) Bidirectional power conversion system for single-phase electric load and corresponding power conversion process
CN106160137A (zh) 供电设备
WO2014122774A1 (ja) コンテナヤードおよび給電方法
KR101285768B1 (ko) 전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JP2011521699A (ja) 電気エネルギを非接触で伝送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ガントリのための装置
WO2020174900A1 (ja) 走行中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9157623A1 (en) Hybrid char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