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253A -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 - Google Patents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253A
KR20130133253A KR1020137019304A KR20137019304A KR20130133253A KR 20130133253 A KR20130133253 A KR 20130133253A KR 1020137019304 A KR1020137019304 A KR 1020137019304A KR 20137019304 A KR20137019304 A KR 20137019304A KR 20130133253 A KR20130133253 A KR 2013013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display
configuration
keyboard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530B1 (ko
Inventor
에이미 한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하나의 일반적인 양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힌지를 통해 베이스부에 결합된 바닥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힌지를 사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축에 직교하는 병진 방향으로 베이스부의 키보드 위에서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A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개시 내용이 그 전체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되는 2010년 12월 28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2/979,588의 연속출원이고 이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공지된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수의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메커니즘을 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트리거)과 소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와 소통할 수 있게 하는 키보드, 마우스 디바이스, 터치 스크린 및/또는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내로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하는데 다루기 힘들 수 있고 및/또는 필요한 속도, 정확성 레벨에서 및/또는 필요한 효과를 가진 결과를 만들어낼 수 없다.
하나의 일반적인 양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힌지를 통해 베이스부에 결합된 바닥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힌지를 사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축에 직교하는 병진 방향(translational direction)으로 베이스부의 키보드 위에서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양태에서,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으로 바꿔지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를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하지 않은 가시면(viewable surface)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원위(distal)에 위치되는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근위(proximal)에 있을 수 있으며, 가시면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를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할 수 있다. 방법은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으로 병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일반적인 양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부의 주 평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주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태블릿 구성으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가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키보드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가시면은, 디스플레이부의 주 평면이 베이스부의 주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폐쇄 구성으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있을 때 베이스부를 향하는 제2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키보드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상세는 첨부된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설정된다.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베이스부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도면;
도 2a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태블릿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랩톱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2d는 또 다른 랩톱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2e는 폐쇄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f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바뀐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g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바뀐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
도 3a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 검출 모드와 작동 모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구성 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 변경에 기초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한 세트의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또 다른 세트의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베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단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도면;
도 8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힌지부와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커넥터의 도면.
도 1은 베이스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고, 베이스부(11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2)는 디스플레이 표면(124, 또한 가시면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을 가질 수 있으며, 조명된 물체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은 예를 들어 키보드, 하나 이상의 버튼,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접촉식 터치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2)는 임의의 형태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2)는 예를 들어 접촉식 터치 디바이스, 저항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디바이스,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압력 감응 디바이스, 표면 정전용량식 디바이스, 투영 정전용량식 터치(projected capacitive touch: PCT) 디바이스, 및/또는 등이거나 또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응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1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모방하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베이스부(1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버튼부(126)를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또한 버튼부(126)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단부 상의 상부(128)를 가진다. 베이스부(110)는 전방 단부(116)에 있는 전방부를 가지며, 베이스부(110)의 베이스부(110)의 후방 단부(118)에 있는 후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원위 방향은 베이스부(110)의 후방 단부(118)를 향하며, 근위 방향은 베이스부(110)의 전방 단부(116)를 향한다. 따라서, 전방 단부(116)는 베이스부(110)의 근위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으며, 후방 단부(116)는 베이스부(110)의 원위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122)와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들이 다양한 구성으로 다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회전 및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전형적인 랩톱 컴퓨터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입력 디바이스(1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덮는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태블릿형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22)가 베이스부(110)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구성으로 회전 및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구성에 관계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1뿐만 아니라 나머지 도면들과 관련하여 다음에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버튼부(126)의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특별히,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V1) 또는 반시계 방향(V2)으로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축(L)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와 평행하고(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디스플레이 표면(124)이 베이스부(110)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할 때까지 시계 방향(V1)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달리 만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평탄할 때까지 시계 방향(V1)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20)와 베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표면(124)이 베이스부(110)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도록 공통 평면(또는 서로 평행한(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른 평면들)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가시면)가 이를 따라서 정렬되는 평면(예를 들어, 주 평면)이 베이스부(110)(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의 바닥부 또는 상부)가 이를 따라서 정렬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가 위치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태블릿 구성으로 있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 표면(124)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태블릿 구성은 디스플레이부(120)와 베이스부(110)가 공통의 평면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폐쇄된 구성의 형태로서 특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해당 디스플레이부(120)가 디스플레이 표면(124)가 베이스부(110)를 향하도록 베이스부(110)와 평행(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V2)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평탄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V2)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20)와 베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표면(124)이 베이스부(110)를 향하도록 공통의 평면(또는 서로 평행한(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른 평면들)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0)가 상기된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폐쇄된 구성(또는 디스프레이 다운(display down)을 가진 폐쇄 구성)으로 있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또한 병진 방향으로 베이스부(110)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가 도 1에서 위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전방 단부(116)를 향하여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전진 방향(방향 F)(즉, 근위 방향)으로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후방 단부(118)를 향하여 베이스부(110)에 대해 후진 방향(방향 B)(즉, 원위 방향)으로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베이스부(110)를 따르는 다양한 병진 위치들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 방향으로 특징화될 수 있는 전진 방향과 후진 방향은 축(L)에 직교(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임의의 병진 위치에 있을 때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전방부 위에 배치되는 제1병진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가 있을 때 시계 방향(V1) 또는 반시계 방향(V2)으로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또한,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의 후방부 위에 배치되는 제2병진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가 있을 때 시계 방향(V1) 또는 반시계 방향(V2)으로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임의의 병진 위치에 있을 때 축(L)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20)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에 대해 원위에 배치될 때 및 디스플레이부(120)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에 대해 근위에 배치될 때 디스플레이부(120)가 축(L)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부(120)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또는 그 지정된 부분) 위에 배치될 때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가 덮이도록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 및 병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구성(디스플레이(122)가 베이스부(110)를 향하거나 또는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의 상기 부분이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부품(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다양한 병진 위치들 및/또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활성화(예를 들어 활성/온 상태 또는 동작 상태) 또는 비활성화(예를 들어, 비활성된/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1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제1구성으로부터 제2구성으로 변경될 때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퍼스널 컴퓨팅 랩톱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유선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wi-fi 가능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팅 엔티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예를 들어, 웹 서버), 모바일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e-북 디바이스 및/또는 등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동작 시스템, 루틴 라이브러리 및/또는 등의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다양한 구성의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유사할 수 있다.
도 2a는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는 2개의 연결부(230, 힌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힌지의 부분일 수 있는)를 통해 베이스부(210)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또한 바닥부(226)의 반대편에 있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단부 상의 상부(228)를 가진다. 베이스부(210)는 전방 단부(216)에 있는 전방부를 가지며,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에 있는 후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원위 방향은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를 향하며, 근위 방향은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를 향한다. 따라서, 전방 단부(216)는 베이스부(210)의 근위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으며, 후방 단부(218)는 베이스부(210)의 원위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 커넥터(230)의 힌지부(23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의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Y) 또는 반시계 방향(X)으로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축(R)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커넥터(230)의 각각의 힌지부(23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부(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 상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의 힌지부와 커넥터(230)의 힌지부(232)는 종합적으로 힌지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의(또는 이에 부착된) 힌지부와 커넥터(230)의 힌지부(232)는 종합적으로 힌지를 한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P, 병진 방향(P)으로 지칭될 수 있는)으로 베이스부(210)에 대해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240)를 따르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병진은 가이드(240)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된 커넥터(230)의 슬라이딩부(234)를 통해 수행된다. 방향(P)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를 향하여 베이스부(210)에 대핸 후진 방향(즉, 원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를 따라서 다양한 병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 방향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는 방향(P)은 축(R)에 대해 직교한다(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축(R)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의 종방향 축(또는 가이드를 따라 정렬된 선)에 직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커넥터(230)의 슬라이딩부(234)들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슬롯 또는 그루브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멈춤쇠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를 따라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234)가 이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부재(예를 들어,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23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재 주위에(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234)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병진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예를 들어, 비교적 매끄러운 병진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 휠 또는 볼베어링과 같은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에 대하여 베이스부(210)에서 고정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커넥터와 가이드의 상세한 설명은 도 8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은 예를 들어, 키보드, 하나 이상의 버튼(예를 들어, 볼륜 제어 버튼, 화살표 버턴, 전원 버튼, 기능 키, 무선 통신 활성화/비활성화 버튼),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접촉식 터치패드(하나 이상의 선택 버튼과 관련될 수 있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 표면(224)을 가지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입력 디바이스로소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모방하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구성은 이젤(easel) 구성(또는 이젤 모드로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플레이부(220)가 이젤 상의 캔버스와 유사하게 베이스부(210) 상에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젤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의 전방(예를 들어, 근위에)에 있다. 그러므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이 키보드를 포함하면,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는 키보드에 근접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도록 베이스부(210) 내에서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주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불능, 비동작 상태로 변경,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키보드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움직일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움직일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활성(예를 들어, 가능, 활성화 상태로 유지, 동작 상태로 유지)으로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스크린 능력과 같은, 이젤 구성(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부품의 기능성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파일에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24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다른 길이(예를 들어, 더욱 짧은 길이, 더욱 긴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 베이스부(210)를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한쪽 단부로부터 베이스부(210)의 다른 단부로 연장하는 가이드(240)를 통해 베이스부(210)의 한쪽 단부로부터 베이스부(210)의 다른 단부로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의 절반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단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의 절반보다 적게 가로질러 병진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부(2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마더보드, 메모리(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 및/또는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팅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베이스부(210)에 포함된 컴퓨팅 부품들에 의해 기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와 베이스부(210) 사이의 시그널링(예를 들어, 비디오 신호,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와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발생된 신호)을 취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선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 및/또는 가이드(240)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에 포함된 프로세서)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선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로 도 2a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의 버튼부(226)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베이스부(210)의 전방 에지에(또는 가까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로부터 뒤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젤 구성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가 입력 디바이스(212)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도록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버튼부(226)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 가까이에 있는 위치로 디스플레이부(220)가 병진될 수 없도록 한정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b는 태블릿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에 평행하고(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디스플레이 표면(224)이 도 2b에서의 태블릿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할 때까지 시계 방향(Y)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와 베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 표면(224)이 베이스부(210)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도록 공통의 평면(또는 서로 평행한(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른 평면들)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표면(224)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접근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반시계 방향(X)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주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이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도 2b에서는 보이지 않음)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불능, 비동작 상태로 변경,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키보드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변경될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덮일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전력을 절약하도록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과 같이 다른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일 때(또는 변경될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과 같이 다른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된 상태에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일 때(또는 변경될 때)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변경될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면(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를 통해 수동을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병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b에 도시된 방향(P)을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도 2f 및 도 2g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의 위치로부터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병진시키는 것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c는 랩톱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대해 원위에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20)의 평면(예를 들어, 주 평면)은 베이스부(210)의 평면(예를 들어, 주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 않다.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를 향하여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되거나, 또는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을 향하여 방향(Q)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 방향으로서 특징화될 수 있는 방향(Q)은 축(R)에 직교한다(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축(R)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의 종방향 축(또는 축을 따라서 정렬된 선)에 직교할 수 있다.
비록, 가이드(240)들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 내에 집중된) 주위에서 대략 고르게 이격된 것으로서 도 2c에 도시되었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24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 주위에서 고르게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좌측(252) 또는 우측(25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을 교차할 수 있다(또는 이와 중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변경될 때) 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움직일 때)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주 입력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있으면(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변경될 때)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때 활성화될 수 있다(입력 디바이스(들)(또는 그 부분)이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으면). 또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가 이젤 구성에 있을 때 활성화된 상태에 있으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지정된 지점을 지나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때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키보드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키보드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P)으로 지점(S)를 지나서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때 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로부터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역으로, 키보드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c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Q)으로 지점(S)을 지나서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움직일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로부터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디바이스는 다양한 구성들 사이에서 움직일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기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전자 스위치, 기계식 스위치(예를 들어, 기계식 릴레이), 및/또는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부분들의 하나 이상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전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위치(예를 들어, 선(S)) 및/또는 등을 지나서, 지정된 지점(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의 원위 단부에 있는 위치, 및/또는 근위 단부에 있는 위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정 회전 위치)로의 움직임은 활성화될 수 있는 기계식 스위치, 전기 접촉 등을 사용하여 검출 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선(S)을 따라서 위치된 스위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지점(S)을 지나서 가이드(240)를 따라서 움직일 때 키보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기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응 능력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됨으로써 시차를 둔 형태로(예를 들어, 단계적 형태)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위한 전자 터치패드 디바이스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P)으로 제1지점을 지나서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때 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로부터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P)으로 제2지점(제1지점과 다른)을 지나서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때, 키보드는 활성화될 수 있고(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로부터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활성화된 상태로부터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는 베이스부(220) 이상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가 베이스부(210) 위에 배치되지 않도록,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를 지나서 및/또는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를 지나서 망원경식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따라서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는 베이스부(210)에 근접한 위치로 병진될 수 있거나(방향(Q)으로), 또는 베이스부(210)에 대해 먼 위치로 (방향(P)으로) 병진될 수 있다.
도 2d는 또 다른 랩톱 구성으로 있는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에 포함된 가이드(240)의 원위 단부로 움직인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부터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에 포함된 가이드(240)의 원위 단부로 움직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20)는 방향(P)으로 더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즉, 근위 단부)를 향해 가이드(240)를 따라서 방향(Q)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커넥터(230)의 힌지부(232)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의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Y)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X)으로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축(R)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의 어느 하나 및/또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축(R)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특정 회전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하나 이상의 회전 위치(도 2d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각이진 회전 위치와 같은)(에 있는 멈춤쇠)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과 유사하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임으로서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 및/또는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부터 움직일 때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2e는 폐쇄 구성으로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와 평행하고(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디스플레이 표면(224)이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에서 도시된 바와 같에 베이스부(210)를 향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X)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220)와 베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 표면(224)이 베이스부(210)를 향하도록 공통의 평면(서로에 대해 평행한(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른 평면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224, 도 2d에 도시되고 도 2e에는 도시되지 않음)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접근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부터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시계 방향(Y)으로 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와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도 2e에 모두 도시되지 않음)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도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도 접근 할 수 없기 때문에(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활성화된 상태로부터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컴퓨팅 디바이스(200,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싱 부품)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움직일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이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도 2b에서 보이지 않음)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불능, 비동작 상태로 변경,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키보드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움직일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덮일 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가 베이스부(210)를 향할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가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전력을 절약하도록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병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방향(Q)으로 가이드(240, 도 2e에 도시되지 않음)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및/또는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없도록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결합된다(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및/또는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예를 들어, 래치(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에 부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움직일 때, 래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시계 방향(Y)으로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없도록(예를 들어, 부주의로 회전될 수 없도록)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에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는, 래치가 해제될 때 디스플레이부(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부(220)가 반시계 방향(X)으로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없도록(예를 들어, 부주의로 회전될 수 없도록) 래치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8)에 결합될 수 있도록(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역전 가능한 래치로서 구성되고, 양면 래치로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베이스부(210)의 전방 단부(216)에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를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잇으며, 별도의 래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베이스부(210)의 후방 단부(216)에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를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2f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병진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의 적어도 일부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 위에 더이상 배치되지 않도록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가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방향(Q)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되고 노출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병진될 때 활성화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병진될 때 노출되는 입력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노출된 입력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노출된 입력 디바이스가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응 능력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또는 움직일 때) 비활성화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출된 입력 디바이스(전형적으로 2차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는)는 입력 디바이스가 배제(및/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음으로써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 전형적으로 주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는)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전체 스크린은 노출된 입력 디바이스가 이러한 제어를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 상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장애없이 보여질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접촉식 터치패드는 도 2b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부(220)의 움직임에 의해 노출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접촉식 터치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으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움직일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컴퓨팅 디바이스(22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 능력이 활성화된 상태로 있으면).
도 2c와 관련하여 기술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특정 지점을 지나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때 활성화되거나 비활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됨으로써 시차를 둔 형태로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과 다른 구성으로부터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움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의 버튼부(226)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 도 2f에 도시된) 위에 배치될 때까지 방향(R)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그런 다음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까지 시계 방향(Y)으로 축(R)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g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병진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부(228)의 적어도 일부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 위에 더이상 배치되지 않도록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가 방향(P)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때, 전체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은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방향(Q)으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2g와 관련하여 기술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또는 그 부분)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특저 지점을 지나서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될 때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의 터치 감도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가이드(240)를 따라서 병진됨으로써 시차를 둔 형태로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과 다른 구성으로부터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그런 다음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까지 도 2c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시계 방향(Y)으로 축(R)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f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까지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방향(P)으로 병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 내에서 노출된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키보드 및/또는 터치패드 디바이스(및 관련 선택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g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 단지 키보드(및 터치패드 디바이스가 아닌)만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키보드는 사용자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에 대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지향에 의존하여 회전(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기계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키보드가 가상 키보드이면, 가상 키보드는 사용자 및/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222)에 대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지향에 의존하여 가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커넥터(230)를 통하여).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반시계 방향(X)으로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그러나,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계 방향(Y)으로는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f 및 도 2g에 도시된 구성은 부분적 태블릿 구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부분들은 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다른 부분들에 대하여 이정 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예를 들어, 록킹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제거 가능하게 록킹되며, 하나 이상의 멈춤쇠를 사용하여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기계적 메커니즘(예를 들어, 래치, 노치, 훅, 마찰 끼워맞춤, 가압 끼워맞춤), 전자석과 같은 전자 기계적 메커니즘, 및/또는 등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일정 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의 전방 단부에 있는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의 전방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이젤 구성에서 떨어져 가이드(240)를 따라서 부주의하게 병진될 수 없다(방향(P)으로). 래치는 이젤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컴퓨팅 디바이스(200)를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부(220)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전방 단부(216)로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는 랩톱 구성(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도 2b에 도시된), 및/또는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의 병진 위치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커넥터(230)의 록킹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회전 위치에서(예를 들어, 각진 위치에서, 수직 위치에서) 또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몇 개의 회전 위치 중 하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구성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물리적 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 베이스부(210))의 위치(예를 들어, 상대 위치, 위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와 평행하지 않은 회전 위치를 가질 때(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가 베이스부(210)의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병진 위치를 가질 때(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랩톱 구성으로 있다는 결정을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220)가 베이스부(210)와 평행하지 않은 회전 위치를 가질 때(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 디스플레이부(220)의 바닥부(226)가 베이스부(210)의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대해 근위에 있는 병진 위치를 가질 때(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이젤 구성으로 있다는 결정을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병진 위치는 예를 들어 이를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병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240)와 관련된(예를 들어, 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 기계적 스위치 등으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회전 위치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결합된 커넥터(230)의 하나 이상의 힌지부(232)와 관련된(예를 들어, 이에 결합된) 일련의 전기 접점, 기계적 스위치 등으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듈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설들로 움직일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부터 움직일 수 있지만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23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폐쇄될 수 없도록 가이드(240)를 따르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변경을 기동하도록 구성된 온 스크린 명령(on-screen command)을 사용하여 상기된 하나 이상의 구성 사이를 변경하도록(예를 들어,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구성 파일과 관련될 수 있다. 구성 파일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특정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의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 상태,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파일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을 있을 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22)가 주 입력 디바이스이게 되며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되게 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구성 파일은 컴퓨팅 디바이스(200)가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변경될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특정 입력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야만 하는 것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 파일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20)가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 록킹될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212)에 포함된 특정 입력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되어야만 하는 것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도 3a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구성 검출 모듈(310) 및 활성화 모듈(32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구성 파일(330)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커넥터, 베이스부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물리적 부품은 도시되지 않았다.
구성 검출 모듈(31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특정 구성으로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검출 모듈(310)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활성화 모듈(320)은 구성 파일(330)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활성화(예를 들어, 활성화/온 상태 또는 동작 상태로 변경) 또는 비활성화(예를 들어, 비활성화된/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파일(33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특정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검출 모듈(31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이젤 구성으로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 검출 모듈(31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이젤 구성으로 있다는 표시기를 활성화 모듈(320)로 보낼 수 있다(또는 활성화 모듈(32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화 모듈(32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이젤 구성으로 있다는 표시기에 기초하여 그리고 구성 파일(330)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 파일의 예는 도 3b에 도시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는 구성 파일(350)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파일은 컴퓨팅 디바이스 구성(360)과 관련된 입력 디바이스(370)의 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상태, 활성화된 상태)의 표시기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구성(360)은 이젤 구성(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이젤 구성), 랩톱1 구성(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랩톱 구성), 랩톱2 구성(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 태블릿 구성(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 폐쇄 구성(예를 들어, 도 2e에 도시된 폐쇄 구성), 및 부분 태블릿 구성(예를 들어, 도 2g에 도시된 부분 태블릿 구성)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370)는 키보드(372),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 및 터치스크린 디바이스(37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보드(372)와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도시되지 않음)의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76)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구성 파일(350)은, 키보드(372)와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가 "오프"(OFF)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있어야하고 터치스크린 디바이스(376)가 "온"(ON)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상태로 있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랩톱2 구성으로 있을 때, 구성 파일(350)은, 키보드(370)와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가 "온"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활성화된 상태로 있어야 하고, 터치스크린 디바이스(376)가 "오프"로 비활성화된 상태로 있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서,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구성 파일(350)은, 키보드(372)가 "오프"이고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가 "온"이고, 터치스크린 디바이스(376)가 "온"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있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구성 파일(350)은 키보드(372)가 "온"이고, 접촉식 터치패드 디바이스(374)가 "온" 또는 "오프"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디바이스(376)가 또한 "온" 또는 "오프"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 파일(35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40)에 저장되는 디폴트 구성 파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 파일(35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온" 및 "오프" 상태는 도 3b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370)의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된 상태, 비활성화된 상태)는 입력 디바이스(370)의 상태(또는 상태의 세트)를 기동하도록 구성된 온 스크린 명령을 사용하여 기동될 수 있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여, 구성 검출 모듈(31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물리적 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베이스부)의 위치(예를 들어, 상대 위치, 위치의 조합)에 기초하여 특정 구성으로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검출 모듈(30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가 키보드에 대해 원위에 있는 병진 위치에 있을 때 및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위치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에 평행하지 않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랩톱 구성으로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의 병진 위치는 예를 들어 이를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가 병진할 수 있는 가이드와 관련된 일련의 전기 접점, 기계적 스위치 등으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위치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프레이부에 연결된 힌지부 주위의 일련의 전기 접점, 기계적 스위치 등으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정 지점(예를 들어, 가이드 상의 지점) 및/또는 등을 지나서, 특정 지점(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의 원위 단부에 있는 위치 및/또는 근위 단부에 위치,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회전 위치)로의 움직임은 활성화될 수 잇는 기계적 스위치, 전기 접촉, 및/또는 등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도시된 부품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하드웨어 기반 모듈(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메모리), 펌웨어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모듈(예를 들어, 컴퓨터 코드의 모듈,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의 세트)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검출 모듈(31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실행을 위해 구성된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품들의 기능성은 도 3에 도시된 것들과 다른 모듈 및/또는 부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구성 검출 모듈(310)의 기능성은 구성 검출 모듈(310)과 다른 모듈에 포함되거나, 또는 몇개의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컴퓨팅 디바이스(300)와 같은) 및/또는 다수의 서버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망(WAN) 및/또는 등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브리지, 스위치 및/또는 등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및/또는 전매 프로토콜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에 기초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부퓸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340)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포함된 로컬 메모리이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40)는 컴퓨팅 디바이스(300) 내에 있는 하나 보다 많은 메모리 부품(예를 들어, 하나 보다 많은 RAM 부품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40)는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 내에 있는 비로컬 메모리(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 내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40)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유되는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40)는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측의 서버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와 관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측의 몇 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 변경에 기초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부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성으로부터 제2구성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결정될 수 있다(블록 410). 예를 들어, 구성 검출 모듈(도 3a에 도시된 구성 검출 모듈(310)과 같은)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였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를 따라서(또는 입력 디바이스의 표면을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평행하지 않은 회전 위치는, 디스플레이 표면이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을 때까지 회전될 때 작동되는 스위치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원위에 있는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원위에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의 병진 위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가 입력 디바이스 영역의 원위 단부를 지나서 가이드를 따라서 움직일 때 작동되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의 원위 당부에 있는 스위치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의 활성화 상태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구성으로부터 제2구성으로 움직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변경될 수 있다(블록 420).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포함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는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으로 변경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상태로부터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다양한 구성들 사이의 변경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는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랩톱 구성으로 변경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접촉식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는 태블릿 구성(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부분 태블릿 구성(예를 들어, 도 2f에 도시된 부분 태블릿 구성)으로 변경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한 세트의 가이드(5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팅 디바이스(500)는 베이스부(510)와, 베이스부(5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520)를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20)의 바닥부(526)는 2개의 커넥터(530)를 통하여 베이스부(510)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또한 디스플레이부(520)의 바닥부(526) 반대편에 있는 디스플레이부(520) 단부 상의 상부(528)를 가진다. 베이스부(510)는 전방 단부(516)에 있는 전방부를 가지며, 베이스부(510)의 베이스부(510)의 후방 단부(518)에 있는 후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원위 방향은 베이스부(510)의 후방 단부(518)를 향하며, 근위 방향은 베이스부(510)의 전방 단부(516)를 향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 있을 때 커넥터(530)의 힌지부(532)를 토아ㅎ여 디스플레이부(520)의 바닥부(526)의 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H1)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H2)으로 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520)는 축(H)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가이드(540)를 따라서 원위 방향 또는 근위 방향(이것들은 병진 방향으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으로 베이스부(510)에 대하여 병진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특히, 가이드(540)를 따르는 디스플레이부(520)의 병진은 가이드(540)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530)의 슬라이딩부(534)를 통해 수행된다. 원위 방향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부(520)는 베이스부(510)의 후방 단부(518)를 향하여 베이스부(510)에 대하여 후진 방향으로 움직인다. 근위 방향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부(520)는 베이스부(510)의 전방 단부(516)를 향하여 베이스부(510)에 대해 전진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520)는 베이스부(510)를 따라서 다양한 병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방향과 근위 방향은 축(H)에 직교한다(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축(H)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540)의 종방향 축(또는 가이드를 따라서 정렬된 선)에 직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540)는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베이스부(510)의 좌측(552)(보이지 않음)과 우측(554)에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가이드(540)는 각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베이스부(510)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가이드(540)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원위 방향 및/또는 근위 방향으로 베이스부(210)에 대해 병진될 수 있도록, 커넥터(530)의 슬라이딩부(534)들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슬롯 또는 그루브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540)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534)가 이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부재(예를 들어,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53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재 주위에(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534)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540)는 베이스부(5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520)의 병진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 휠 또는 볼베어링과 같은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1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512)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512)은 예를 들어, 키보드, 하나 이상의 버튼,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접촉식 터치패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디스플레이 표면(524)을 가지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52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5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5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모방)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컴퓨팅 디바이스(600)의 또 다른 세트의 가이드(6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팅 디바이스(600)는 베이스부(610)와, 베이스부(6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620)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20)의 바닥부(626)는 2개의 커넥터(630)를 통하여 베이스부(610)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620)는 디스플레이부(620)의 바닥부(626) 반대편에 있는 디스플레이부(620)의 단부 상의 상부(628)를 또한 가진다. 베이스부(610)는 전방 단부(616) 상의 전방부를 가지며, 베이스부(610)의 베이스부(610)의 후방 단부(618) 상의 후방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원위 방향은 베이스부(610)의 후방 단부(618)를 향하고, 근위 방향은 베이스부(610)의 전방 단부(616)를 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640)는 컴퓨팅 디바이스(600)의 베이스부(610)의 좌측 베이스 부재(652)와 우측 베이스 부재(654) 상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가이드(640)는 서로 향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6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20)에 결합되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고) 축(N)을 따라서 정렬되는 핀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620) 내에 배치된 커넥터(630)의 부분들은 커넥터(630)의 힌지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가이드(640)는 디스플레이부(620) 내에 배치되지 않은 커넥터(630)의 부분(또한 커넥터(630)의 슬라이딩부로서 지칭될 수 있는)이 삽입되는 슬롯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620)는 원위 방향 및/또는 근위 방향으로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20)는 커넥터(630)의 힌지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620)의 바닥부(626)의 축(N)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N1)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N2)으로 축(N)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620)는 축(N)을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유사하게, 베이스부(610)는 입력 디바이스 영역(61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영역(612)은 예를 들어, 키보드, 버튼,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접촉식 터치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20)는 디스플레이 표면(624)을 가지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6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6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622)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모방하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베이스부(710), 디스플레이부(720), 및 단일 가이드(740)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720)의 바닥부(726)는 커넥터(730)를 통하여 베이스부(710)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720)는 또한 디스플레이부(720)의 바닥부(726) 반대편에 있는 디스플레이부(720)의 단부 상의 상부(728)를 가진다. 베이스부(710)는 전방 단부(716)에 있는 전방부를 가지며, 베이스부(710)의 베이스부(710)의 후방 단부(718) 상의 후방부를 가진다.
디스플레이부(720)는 베이스부(710)의 후방 단부(718)를 향하여 원위 방향(S1)으로 가이드(740)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베이스부(710)의 전방 단부(716)를 향하여 근위 방향(S2)으로 가이드(740)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20)는 축(S3)\을 중시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축(S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730)는 축(S3)과 축(S4)을 중심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볼 및 소켓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의 가이드가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베이스부(7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가이드는 가이드의 세트가 상기된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가이드의 세트와 유사하도록 가이드(740)에 평행할 수 있다(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720)의 바닥부(726)는 디스플레이부(720)의 바닥부(726) 상의 추가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추가의 가이드와 결합할 때까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720)는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g와 관련하여 기술된 병진 및 회전과 유사하게 (커넥터(730)와 추가의 커넥터를 통하여) 베이스부(710)에 대하여 병진 및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컴퓨팅 디바이스(800)의 힌지부(832)와 슬라이딩부(834)를 가지는 커넥터(830)의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830)의 힌지부(832)는 컴퓨팅 디바이스(800)의 디스플레이부(820, 점선으로 도시됨)의 내부에 배치된다. 커넥터(130)의 슬라이딩부(834)는 컴퓨팅 디바이스(800)의 베이스부(810, 점선으로 도시됨)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831, 힌지부로서 지칭될 수 있음)은 디스플레이부(830)의 내부에 매립되고, 디스플레이부(820)의 핀(831)은 커넥터(830)의 힌지부(832)에 있는 개구(835)에서 시계 방향(Q1)으로 및 반시계 방향(Q2)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또한, 이 실시예에서, 로드(843)는 베이스부(810)의 내부에 매립되고, 커넥터(830)는 커넥터(830)의 슬라이딩부(834)에 있는 개구(837)를 사용하여 슬롯(841)을 통하여 병진 방향(Q4) 및 병진 방향(Q3)으로 로드(843)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롯(841)과 로드(843)는 각각 또는 종합적으로 가이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820)와 베이스부(810) 사이의 시그널링을 위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커넥터(830) 내에 배치 및/또는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의 이행(implementations)은 디지털 전자 회로망,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행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멀티플 컴퓨터의 동작에 의해 처리하기 위해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에서, 예를 들어 기계-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함 저장 매체,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함 매체) 또는 전파된 신호에서, 유형으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편집된 또는 해석된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로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부품, 서브루틴, 또는 다른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한 사이트에 있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포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에서 처리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기능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전용 로직 회로망, 예를 들어 FPGA(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장치는 이러한 것들로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를 위하여 적절한 프로세서는 예의 방식에 의해 범용 및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억세스 메모리 또는 모두로부터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 마그네토 광학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구현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는, 예의 방식에 의해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로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예를 들어 내장 하드 디스크 또는 외장 하드 디스크; 마그네토 광학 디스크;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전용 로직 회로망에 의해 보충되거나 또는 이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도록, 이행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음극선관(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니터 및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볼을 가지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각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음성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과 기술은 백엔드(back-end) 구성요소(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middleware) 구성요소(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론트엔드(front-end) 구성요소(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과 기술들의 구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브라우저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론트엔드 구성요소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로는 근거리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및 인터넷이 있다.
기술된 이행의 특정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많은 변형, 대체, 변경 및 등가물이 지금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이 실시예들의 범위에 놓이는 것으로서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커버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들이 단지 예의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며, 제한없이 형태 및 상세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들의 임의의 부분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 임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의 기능, 부품들 및/또는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 및/또는 서브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1)

  1.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키보드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 평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주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태블릿 구성으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가시면(viewable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키보드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시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 평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주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폐쇄 구성으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있을 때 베이스부를 향하는 제2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키보드를 덮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이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며 태블릿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움직이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움직일 때 그 주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축에 직교하는 병진 방항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노출되고,
    상기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 및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와 상기 가이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병진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 위에서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태블릿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움직이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또는 폐쇄 구성으로부터 랩톱 구성으로 또는 이젤 구성으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움직이도록 상기 가이드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힌지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키보드에 대해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힌지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키보드에 대해 멀리 위치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병진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부분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일 때 상기 키보드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시면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부분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태블릿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움직이도록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제1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제2위치에서 제거 가능하게 록킹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0. 방법으로서,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으로 움직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를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하지 않은 가시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랩톱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멀리 있는 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가까이 있으며, 상기 가시면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를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한 것인, 상기 검출 단계; 및
    랩톱 구성으로부터 태블릿 구성으로 변경하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폐쇄 구성으로 움직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가시면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 영역을 향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멀리 위치하는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가까이 위치하는 상부를 가지며,
    상기 가시면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부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것인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제1입력 디바이스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이젤 구성으로 움직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대해 가까이 위치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시면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이젤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하지 않은 회전 위치를 가지는 것인 상기 검출 단계; 및
    태블릿 구성으로부터 이젤 구성으로 움직이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 영역에 포함된 제2입력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키보드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가이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힌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를 사용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축에 직교하는 병진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 위에서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베이스부의 키보드에서 먼 제1위치로부터 상기 축과 직교하는 병진 방향으로 베이스부의 키보드에 가까운 제2위치까지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키보드 위에 배치될 때 힌지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노출되는 가시면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태블릿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시면이 상기 키보드의 표면을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하지 않은 평면에 포함될 때 상기 키보드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시면이 상기 키보드의 표면을 따라서 정렬된 평면에 평행하지 않은 평면을 따라서 정렬될 때 상기 키보드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회전 위치로부터 제2회전 위치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키보드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키보드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가시면을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부에 포함된 키보드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상기 가이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축에 직교하는 선을 따라서 정렬되는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에 대해 멀리 있는 제1병진 위치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에 대해 가까이 있는 제2병진 위치로 상기 축에 직교하는 병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병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2병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바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에 대해 멀리 있는 제1제거 가능하게 록킹 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키보드에 대해 가까이 있는 제2제거 가능하게 록킹 가능 위치로 상기 축에 직교하는 병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37019304A 2010-12-28 2011-12-20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 KR101925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9,588 2010-12-28
US12/979,588 US9001504B2 (en) 2010-12-28 2010-12-28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PCT/US2011/066182 WO2012092022A1 (en) 2010-12-28 2011-12-20 A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253A true KR20130133253A (ko) 2013-12-06
KR101925530B1 KR101925530B1 (ko) 2018-12-06

Family

ID=4547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304A KR101925530B1 (ko) 2010-12-28 2011-12-20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01504B2 (ko)
EP (1) EP2659330A1 (ko)
JP (1) JP6025746B2 (ko)
KR (1) KR101925530B1 (ko)
CN (1) CN103460155B (ko)
AU (1) AU2011352861B2 (ko)
WO (1) WO2012092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307A (ko) * 2014-03-29 2019-09-03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기기용 마이크로-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2176B2 (en) 2010-10-01 2015-10-06 Z124 Application display transition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isplays
CN102938988A (zh) * 2011-08-15 2013-02-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铰链结构
US9182935B2 (en) * 2011-09-27 2015-11-10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menu option
TWI462682B (zh) * 2012-01-12 2014-11-21 Wistron Corp 連接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20150234478A1 (en) * 2012-03-02 2015-08-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Application State
US9706089B2 (en) 2012-03-02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8988354B2 (en) * 2012-04-17 2015-03-24 Logitech Europe S.A. Input device for a display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9495124B1 (en) * 2012-06-18 2016-11-15 Crimson Corporation Device for displaying a remote display according to a monitor geometry
CN103513710A (zh) * 2012-06-29 2014-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状态切换的方法及电子设备
TWM448727U (zh) * 2012-08-23 2013-03-11 Dexin Corp 具有支撐板滑動結構的鍵盤
US9477262B2 (en) 2012-09-10 2016-10-25 Google Inc.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lutch mechanism
US20150182196A1 (en) * 2012-09-28 2015-07-02 Hitachi Aloka Medical, Ltd. Portable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TWI510886B (zh) 2012-10-04 2015-12-01 Acer Inc 可降低滑動阻力之電子裝置及其方法
CN103777679B (zh) * 2012-10-17 2017-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降低滑动阻力的电子装置及其方法
CN103838562B (zh) * 2012-11-27 2019-03-0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JP2014109893A (ja) * 2012-11-30 2014-06-12 Toshiba Corp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TWI574157B (zh) * 2012-12-04 2017-03-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系統及其觸碰功能控制方法
CN103901951A (zh) * 2012-12-27 2014-07-0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屏可移动的笔记本电脑
US20140380227A1 (en) * 2012-12-28 2014-12-25 Kar Mun Ng Convertible computing device
JP2014235544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入力制御方法
CN104467894B (zh) * 2013-09-1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装置
CN105531638A (zh) * 2013-09-27 2016-04-2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支撑部件的可拆卸显示部件
TW201517095A (zh) * 2013-10-31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可擕式電子裝置
JP6264857B2 (ja) 2013-11-20 2018-0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型超音波画像診断装置
KR20150077667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73439B1 (ko) * 2015-11-1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20170168596A1 (en) * 2015-12-11 2017-06-15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of displaying input keys and electronic device
CN105511644A (zh) * 2015-12-11 2016-04-20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具有多种人机交互状态的电子设备
US9740240B1 (en) 2016-03-21 2017-08-22 Google Inc. Base with rotating mount that increases friction of rotation when portable computing device is placed onto mount
US20190227691A1 (en) * 2016-10-11 2019-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a touch-sensitive display unit
CN109324665A (zh) * 2018-12-18 2019-02-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860068B2 (en) * 2019-01-31 2020-12-08 Dell Products L.P. Transformative information handling cable management
US10635132B1 (en) * 2019-01-31 2020-04-28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of transformation between clamshell and all-in-one positions
US10585451B1 (en) * 2019-01-31 2020-03-10 Dell Products L.P. Transformative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daptive display arrangement
US10606319B1 (en) * 2019-01-31 2020-03-31 Dell Products L.P. Transformativ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height brake
KR20220034605A (ko) * 2020-09-11 2022-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테이블 장치 및 이의 가상 키보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57A (en) 1989-10-18 1993-07-20 Sharp Kabushiki Kaisha Computer device having detachable keyboard mounted on a rotatable display
JP2526459B2 (ja) * 1991-09-26 1996-08-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クロマトグラフ用デ―タ処理装置
US5548478A (en) 1994-07-25 1996-08-20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hinge
US5708561A (en) 1996-08-13 1998-01-13 Vivek R. Huilgol Portable computer having display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for movement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orientation and to open and close speaker ports
US5805415A (en) 1996-10-03 1998-09-08 Hewlett-Packard Company Detachable flat panel computer display and support
US6483445B1 (en) * 1998-12-21 2002-11-19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US6665173B2 (en) * 1999-12-20 2003-12-16 Wireless Agents, Llc Physical configuration of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6404622B1 (en) 2000-03-30 2002-06-11 Jack Chen Portable computer housing
US6522529B1 (en) 2000-05-22 2003-02-18 Vivek R. Huilgol Rotatable compu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6392877B1 (en) 2000-06-05 2002-05-21 Richard J. Iredale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WO2003021408A2 (en) 2001-08-29 2003-03-13 Danger, Inc. Sliding display apparatus
US7129931B2 (en) 2001-09-14 2006-10-31 Pappas Nicholas J Multipurpose computer display system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US6903927B2 (en) * 2002-12-17 2005-06-07 Nokia Corporation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TW570200U (en) 2003-01-16 2004-01-01 Quanta Comp Inc Display rotation module with fixing switch
US6816365B2 (en) 2003-01-28 2004-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ptop display screen and keyboard mounting structure
US6862171B1 (en) * 2003-08-19 2005-03-01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unit
JP2005149109A (ja) 2003-11-14 2005-06-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7092246B2 (en) 2003-11-18 2006-08-15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splay to a body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US7019964B1 (en) * 2005-01-27 2006-03-28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273372B (en) 2005-04-18 2007-02-11 Aten Int Co Ltd Sliding flat panel display and keyboard module
JP2006331287A (ja) 2005-05-30 2006-12-07 Toshiba Corp 電子機器
JP4483750B2 (ja) * 2005-09-14 2010-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動ヒンジを有する携帯端末
US7215538B1 (en) 2005-10-18 2007-05-08 Shaofen Chen Portable computer with multi-sectioned arms to support display position adjustment and multiple configurations
GB2434274A (en) * 2005-12-29 2007-07-18 Motorola Inc Portable device with operating mode dependent upon form-factor
DE602006009817D1 (de) 2006-10-25 2009-11-26 Htc Corp Elektronische Vorrichtungen mit verschiebbaren und schwenkbaren Mechanismen
US7611113B2 (en) * 2007-01-30 2009-11-03 Invente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0483299C (zh) 2007-02-02 2009-04-29 杨来 便携式计算机
US7646593B2 (en) 2007-02-25 2010-01-12 Vladislava Smejkalova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JP2008250835A (ja) *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CN101896047B (zh) * 2009-05-19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卡止装置
JP5272908B2 (ja) * 2009-06-11 2013-08-28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307A (ko) * 2014-03-29 2019-09-03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기기용 마이크로-힌지
US11639623B2 (en) 2014-03-29 2023-05-02 Intel Corporation Micro-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530B1 (ko) 2018-12-06
WO2012092022A1 (en) 2012-07-05
JP2014502761A (ja) 2014-02-03
JP6025746B2 (ja) 2016-11-16
US20120162889A1 (en) 2012-06-28
US9001504B2 (en) 2015-04-07
CN103460155A (zh) 2013-12-18
CN103460155B (zh) 2020-02-14
EP2659330A1 (en) 2013-11-06
AU2011352861B2 (en) 2015-09-03
AU2011352861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253A (ko)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동성 디스플레이부
KR10219753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력 모드 간의 자동 스위칭
US8885332B2 (en) Electronic device
US9785197B1 (en) Rotatable and extend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US201101542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creen selection method
BRPI0712245A2 (pt) método;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dispositivo eletrÈnico; e módulo de tecla multifuncional para rolagem
JP5663916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009534A (ja) 電子装置及び表示方法
US20150363003A1 (en) Scalable input from tracked object
JP201301589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282949A (ja) 複数コンピュータの操作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9477262B2 (en)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lutch mechanism
US20160191875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system employing interactive input-output capability
US20120313838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811183B2 (en) Device for cursor movement and touch input
KR101879531B1 (ko) 터치패드 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 입력 장치
JP2015125777A (ja) ジェスチャベース入力からタッチ表面への遷移の指示
US201400920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hange method
JP2019124476A (ja) 画像測定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58225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0086079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8902A (ja) タッチパネル式携帯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