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642A -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642A
KR20130132642A KR1020137026582A KR20137026582A KR20130132642A KR 20130132642 A KR20130132642 A KR 20130132642A KR 1020137026582 A KR1020137026582 A KR 1020137026582A KR 20137026582 A KR20137026582 A KR 20137026582A KR 20130132642 A KR20130132642 A KR 20130132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uminance distribution
target
target optical
later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173B1 (ko
Inventor
슈 오노자키
노리유키 가와니시
도모히로 고누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3013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대상 광섬유(2)의 측방으로부터 대상 광섬유(2)에 광을 조사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는 촬상 유닛(12)과,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대상 광섬유(2)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대상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20)를 구비한다. 참조 휘도 분포는, 참조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촬상 유닛(12)으로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한 휘도 분포이다

Description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DISTINGUISHING METHOD}
본 발명은, 광섬유의 융착(融着)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방전 가열 조건은,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각각의 광섬유에 대한 최적의 방전 가열 조건은, 미리 융착 접속기의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다. 융착 접속하는 광섬유의 종류가 기지이면, 조작자는, 융착 접속 작업 시에,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등록된 방전 가열 조건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대상이 되는 광섬유의 종류가 불명한 경우도 있다. 광섬유의 직경은 약 125㎛이며, 코어 직경도 10㎛ 이하로 가늘다. 육안으로 가는 광섬유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상, 융착 접속기에 의해 대상 광섬유의 종류가 자동으로 판별된다.
정편파(定偏波) 광섬유에 있어서, 대상의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측정한 측방의 촬상 화상을 측정하고, 회전각에 대한 광투과량의 관계로부터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정편파 광섬유에서는 코어에 비(非)축대칭인 응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투과상의 휘도 특성이 광의 입사 방향에 의존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1으로 제안된 방법은, 정편파 광섬유 밖에 적용할 수 없다.
일반적인 광섬유에 있어서, 대상 광섬유의 측방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도 분포 파형을 참조 파형과의 사이에서 대조함으로써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참조 파형으로서, 미리 참조 광섬유에 의해 측정된 휘도 분포 파형이 융착 접속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34145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67597호 공보
그러나, 광섬유는 비원형이며, 편심을 가진다. 따라서, 광섬유의 휘도 분포 파형은 측정 방향에 따라 변화한다. 융착 접속기에 기억된 참조 파형은, 통상, 일방향으로부터 측정된 휘도 분포가 사용된다. 또한, 대상의 광섬유도, 일방향으로부터 휘도 분포가 측정된다. 측정 방향에 따라, 측방 투과광의 휘도 분포가 상이하므로, 판별로 실패할 우려가 있다.
또한, 대상의 광섬유가 미등록인 경우, 판별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는, 휘도 분포가 유사한 광섬유로 오판별될 가능성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의 종류 판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의하면, 대상 광섬유의 측방으로부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照射)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 유닛과,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대상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대상 휘도 분포가,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등록부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는 융착 접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대상 광섬유의 측방으로부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는 스텝과,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정하는 스텝과, 대상 휘도 분포가,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광섬유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의 종류 판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광섬유의 휘도 분포의 촬상 방향 의존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촬상 방향에서의 휘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에 의해 얻어지는 보정 휘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융착 접속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판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비교예에 의한 광섬유의 판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와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留意)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융착 접속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心線)(1, 3), 유지 기구(機構)(6a, 6b), 제어 유닛(10), 촬상 유닛(12), 융착 유닛(16), 데이터베이스(30), 입력 장치(32), 및 출력 장치(34)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10)은, 판별부(20), 조건 설정부(22), 등록부(24), 및 내부 메모리(26)를 구비한다. 촬상 유닛(12)은, 광원(13) 및 촬상 카메라(14)를 구비한다. 융착 유닛(16)은, 융착 제어부(17) 및 방전 전극(18a, 18b)을 구비한다.
광섬유 심선(1, 3)은, 각각의 단부의 외피를 제거하여 광섬유(2, 4)가 노출되어 있다. 광섬유(2, 4)의 각각의 광축을 동일선 상에 맞추어 단면(端面)이 서로 대향하도록, 광섬유 심선(1, 3)이 유지 기구(6a, 6b)에 각각 유지된다.
촬상 유닛(12)의 광원(13) 및 촬상 카메라(14)는, 광섬유(2, 4)의 측방, 예를 들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광섬유(2, 4)의 대향하는 단면을 협지(sandwich)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광원(13)은, 광섬유(2, 4)의 단부의 측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촬상 카메라(14)는, 광섬유(2, 4)의 측방 투과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광원(13)과 촬상 카메라(14)의 배치는, 광섬유(2, 4)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방향이어도 된다. 촬상 유닛(12)은, 광섬유(2, 4)의 광축에 수직으로 자른 단면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 설치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광섬유(2)를 판별의 대상 광섬유로서 설명한다.
융착 유닛(16)의 방전 전극(18a, 18b)은, 광섬유(2, 4)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광섬유(2, 4)의 대향하는 단면을 협지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융착 제어부(17)는, 대향하여 배치된 광섬유(2, 4)를 융착하기 위하여, 방전 전극(18a, 18b)의 방전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0)의 판별부(20)는, 촬상 유닛(12)에 의해 촬영된 광섬유(2)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광섬유(2)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를 작성한다. 작성한 휘도 분포를,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광섬유(2)의 종류가 판별된다. 예를 들면, 비교의 결과, 광섬유(2)의 휘도 분포가, 참조 휘도 분포의 허용 범위 내이면, 광섬유(2)가 참조 광섬유와 같은 종류인 것으로 판정된다.
참조 휘도 분포는, 미리 참조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한 휘도 분포이다. 작성된 참조 휘도 분포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있다. 참조 휘도 분포는, 도 1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로 작성해도 되고, 휘도 분포가 측정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여 작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유닛(12)에 의해 촬상 방향(A, B)으로부터 참조 광섬유(2A)의 측방 투과상이 촬상된다. 촬상 방향(A, B)의 각각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판별부(20)에 의해 작성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의 사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조 광섬유(2A)의 코어 및 클래드의 편심에 기인하는 변동이 생긴다. 그래서, 참조 광섬유(2A)를 회전시키고, 촬상 유닛(12)에 의해 복수의 촬상 방향으로부터 참조 광섬유(2A)의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한다.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판별부(20)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휘도 분포에 대하여, 코어 및 클래드의 편심 보정 및 휘도의 평균화 처리 등을 행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이 보정된 참조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조건 설정부(22)는, 판정된 광섬유(2)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에 미리 저장된 융착 조건을 판독하고, 융착 제어부(17)에 전달한다. 융착 조건으로서는, 방전 전극(18a, 18b)간 거리, 방전 전력, 방전 시간 등이 정해진다.
등록부(24)는, 보정 휘도 분포의 특징량이, 판별부(2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모든 참조 특징량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광섬유(2)를 새로운 참조 광섬유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출력 장치(34)에 표시하게 한다. 표시된 메시지에 따라, 작업자가 입력 장치(32)를 조작하여 광섬유(2)의 등록이 선택된 경우, 등록부(24)는, 광섬유(2)를 회전시키면서 촬상 유닛(12)에 의해 복수의 새로운 측방 투과상을 촬상시킨다. 복수의 새로운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판별부에서 작성된 복수의 휘도 분포가 평균화되어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된다.
내부 메모리(26)는, 제어 유닛(10)에서의 처리나 연산에 있어서, 처리 중이나 연산 도중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10)은,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CPU)의 일부로서 구성하면 된다. 판별부(20), 조건 설정부(22), 및 등록부(24)는, 각각 전용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되고,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의 CPU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실질적으로 등가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데이터베이스(30)는, 종류가 기지의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 및 참조 광섬유에 대한 융착 조건을 저장한다. 참조 광섬유로서, 싱글 모드(SM), 분산 시프트(DSF), 비례 분산 시프트(NZ-DSF, 이하 NZ라고 함), 멀티 모드(MM) 등의 광섬유가 사용된다.
입력 장치(32)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기기를 가리킨다. 입력 장치(32)로부터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대응하는 키 정보가 제어 유닛(10)에 전달된다. 출력 장치(34)는, 모니터 등의 화면을 가리키고, 액정 표시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 센스(EL) 패널 등이 사용 가능하다. 출력 장치(34)는, 제어 유닛(10)에 의해 처리되는 휘도 분포 등의 데이터나 판별 결과, 또는 미등록 광섬유의 등록 수순 등을 표시한다.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로 사용하는 참조 휘도 분포는,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참조 광섬유(2A)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코어 및 클래드의 편심에 기인하는 휘도 분포의 변동을 보정하고 있다. 따라서, 광섬유(2)의 종류를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에서는, 대상의 광섬유(2)의 휘도 분포가, 참조 휘도 분포의 허용 범위 내에서는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작업자는 출력 장치(34)의 표시로부터, 광섬유(2)의 종류가 판별 불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이한 종류의 광섬유를 잘못하여 설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광섬유(2)를 새로운 광섬유와 바꾸면 된다. 또한, 작업자가, 광섬유(2)가 미등록으로 등록을 요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새로운 참조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판별 방법 및 융착 접속 방법을, 도 5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판정 대상을 광섬유(2)로서 설명하지만, 광섬유(4)에 대해서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스텝 S100에서, 광섬유 심선(1, 3)의 일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광섬유(2, 4)를 노출시킨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의 유지 기구(6a, 6b)에 광섬유 심선(1, 3)을, 광섬유(2, 4)의 단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다.
스텝 S101에서, 촬상 유닛(12)에 의해, 광섬유(2)의 측방 투과상이 촬영된다. 촬영된 측방 투과상은, 제어 유닛(10)에 전달된다.
스텝 S102에서, 제어 유닛(10)의 판별부(20)에 의해,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광섬유(2)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가 작성된다. 스텝 S103에서, 판별부(20)에 의해, 작성된 휘도 분포가, 미리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된다. 스텝 S104에서, 광섬유(2)의 휘도 분포가, 참조 휘도 분포의 허용 범위 이내이면, 광섬유(2)가 참조 광섬유와 같은 종류인 것으로 판별되고,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 조건 설정부(22)에 의해, 판정된 광섬유(2)와 광섬유(4)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에 미리 저장된 융착 조건이 판독된다. 판독된 융착 조건은, 융착 제어부(17)에 전달되고, 스텝 S106에서, 융착 유닛(16)에 의해 광섬유(2, 4)의 융착 접속 작업이 실시된다.
스텝 S104에서, 광섬유(2)의 휘도 분포가,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모든 참조 휘도 분포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출력 장치(34)에, 예를 들면, 「미등록 광섬유」라고 표시하게 한다.
스텝 S107에서, 작업자에 의해, 등록이 필요한지의 여부 판단된다. 등록을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텝 S108에서, 광섬유(2)를 회전시키면서, 촬상 유닛(12)에 의해 복수의 측방 투과상이 촬영된다.
스텝 S109에서, 판별부(2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휘도 분포가 작성된다. 복수의 휘도 분포의 사이에서 평균화 처리를 행하여,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가 작성된다.
스텝 S110에서, 판별부(20)에 의해 작성된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는, 입력 장치(32)의 주사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된다.
스텝 S107에서, 작업자가, 광섬유(2)가 잘못하여 설치된 것이며 등록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일단 작업을 종료하고, 새로운 광섬유와 바꾼다.
그리고, 전술한 설명에서는, 광섬유(2)의 종류 판별에 있어서, 광섬유(2)는 일방향으로부터 측방 투과상이 촬영되어 있다. 그러나, 광섬유(2)를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촬영한 측방 투과상을 사용하여 종류의 판별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광섬유(2)를 회전시키면서, 촬상 유닛(12)에 의해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영한다. 판별부(20)에 의해, 촬영한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복수의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복수의 휘도 분포의 사이에서 평균화 처리를 행하여, 참조 휘도 분포와 비교하기 위한 광섬유(2)의 대상 휘도 분포를 작성한다. 따라서, 대상 휘도 분포는, 참조 휘도 분포와 마찬가지로, 광섬유(2)의 코어나 클래드의 편심에 기인하는 변동이 보정되어 있다. 그 결과, 광섬유(2)의 종류를 더욱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판정 방법에 의한 실시예로서, 도 6에 각종 종류의 광섬유의 판정 결과를 나타낸다. 판별 대상의 광섬유(대상 광섬유)는, 회전시키지 않고 일방향으로부터 측방 투과상이 촬영되어 있다. 도 6의 표에 나타낸 SM1 및 SM2는, 상이한 사양의 SM 광섬유이다. 마찬가지로, NZ1, NZ2 및 NZ3은, 상이한 사양의 NZ 광섬유이다. 또한, 도 7에는, 비교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섬유에 대하여, 참조 광섬유 및 대상 광섬유 양쪽 모두 회전시키지 않고 일방향으로부터의 측방 투과상을 사용하여 작성한 휘도 분포를 사용하여 판별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6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SM 및 NZ 광섬유에 관하여는 정해(正解) 판별율이 91%∼94%이며, 고정밀도로 판정되어 있다. 또한, MM 광섬유에서는, 정해 판별율이 100%로 정확하게 판정되어 있다.
한편, 도 7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SM 광섬유에 관하여 정해 판별율이 69%∼70%이며, NZ 광섬유에 관하여는 정해 판별율이 49%∼55%이며, 정밀도가 저감된다. MM 광섬유에 관해서도, 정해 판별율이 71%이며, 오판별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판별 방법에서는,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는,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촬상된 측방 투과상을 사용하여 코어 및 클래드의 편심에 기인하는 휘도 분포의 변동이 보정되어 있다. 따라서, 광섬유의 종류를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대상 광섬유가 미등록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작업자가 등록을 요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복수 방향으로부터의 휘도 분포로부터 평균화된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광섬유로서 데이터베이스(30)에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사용한 융착 접속기에서는, 광섬유(2, 4)는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기구(6a, 6b)에 설치된 회전 기구(8a, 8b)에 의해 광섬유(2, 4)를 회전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회전 기구(8a, 8b)에 의해, 광섬유(2, 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측방 투과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32)의 조작에 의해, 작업자가 광섬유(2, 4)를 임의의 회전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참조 광섬유나 대상 광섬유를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측방 투과상을 촬영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기재했지만, 이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 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관계되는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광섬유의 종류를 판정하여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대상 광섬유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照射)하여 측방 투과상(透過像)을 촬상(撮像)하는 촬상 유닛;
    상기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대상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융착(融着) 접속기.
  2.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측방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는 촬상 유닛; 및
    상기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대상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휘도 분포는, 상기 참조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촬상 유닛으로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상기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한 휘도 분포인, 융착 접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대상 광섬유의 등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등록부는, 상기 대상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촬상 유닛으로 복수의 새로운 측방 투과상을 촬상시키고, 상기 복수의 새로운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판별부에서 작성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하여 상기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하는, 융착 접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대상 광섬유를 회전시켜 촬상된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하여 작성되는, 융착 접속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주위에 상기 대상 광섬유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더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7.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측방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는 스텝;
    상기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를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정하는 스텝; 및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광섬유 판별 방법.
  8. 대상 광섬유의 광축과 직교하는 측방으로부터 상기 대상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는 스텝; 및
    상기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휘도 분포 작성하고, 미리 등록된 참조 광섬유의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대상 광섬유의 종류를 판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참조 휘도 분포는, 상기 참조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상기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한 휘도 분포인, 광섬유 판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참조 휘도 분포의 데이터의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대상 광섬유의 휘도 분포를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할 것인지를 작업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광섬유 판별 방법.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대상 광섬유의 등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대상 광섬유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새로운 측방 투과상을 촬상하고, 상기 새로운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하여 상기 새로운 참조 휘도 분포로서 등록하는 광섬유 판별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휘도 분포가, 상기 대상 광섬유를 회전시켜 촬상된 복수의 측방 투과상으로부터 작성된 복수의 휘도 분포를 평균화하여 작성되는, 광섬유 판별 방법.
KR1020137026582A 2011-09-02 2012-06-12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 KR10155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1908A JP5303618B2 (ja) 2011-09-02 2011-09-02 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判別方法
JPJP-P-2011-191908 2011-09-02
PCT/JP2012/064982 WO2013031329A1 (ja) 2011-09-02 2012-06-12 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判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642A true KR20130132642A (ko) 2013-12-04
KR101552173B1 KR101552173B1 (ko) 2015-09-10

Family

ID=4775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582A KR101552173B1 (ko) 2011-09-02 2012-06-12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3157B2 (ko)
EP (1) EP2752695B1 (ko)
JP (1) JP5303618B2 (ko)
KR (1) KR101552173B1 (ko)
CN (1) CN103460094B (ko)
WO (1) WO2013031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5542B (zh) * 2013-12-11 2016-01-20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基于pc的光纤端帽熔接控制装置
CN104515672B (zh) * 2014-12-31 2018-11-2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光纤种类识别方法
JP6421348B2 (ja) * 2015-01-23 2018-11-1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CN108496102B (zh) * 2016-01-25 2020-07-31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调心装置及调心方法
JP6719246B2 (ja) * 2016-03-25 2020-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計測方法、計測装置、リソグラフィ装置及び物品の製造方法
CN109196396B (zh) * 2016-05-17 2020-03-03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熔合条件提供系统
JP7028615B2 (ja) * 2017-11-21 2022-03-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条件提供システム
WO2021210161A1 (ja) * 2020-04-17 2021-10-21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融着接続システム、及び光ファイバを融着接続する方法
WO2022138244A1 (ja) * 2020-12-22 2022-06-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方位推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部品の製造方法
EP4318064A1 (en) 2021-03-31 2024-02-07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Fusion splic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844B2 (ja) * 1994-10-13 2001-05-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定偏波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SE506956C2 (sv) * 1995-10-24 1998-03-09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bestämma vinkelläget för en optisk axiell asymmetri, samt användning av förfarandet respektive anordningen
JP4367597B2 (ja) * 2000-12-05 2009-11-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装置および融着接続方法
JP3744812B2 (ja) * 2001-04-26 2006-02-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定偏波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JP2003057481A (ja) * 2001-06-06 2003-02-2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およ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法
JP3756940B2 (ja) * 2001-07-02 2006-03-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異種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および異種光ファイバの接続部分の加熱処理装置
US6954737B2 (en) 2001-11-05 2005-10-11 Johnsondiverse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 management for facility maintenance
US6960035B2 (en) * 2002-04-10 2005-11-01 Fuji Photo Film Co., Ltd. Laser apparatus, exposure head, exposure apparatus,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method
EP1567898B1 (en) 2002-12-05 2007-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usion temperature calibration
JP4102707B2 (ja) * 2003-05-19 2008-06-18 株式会社フジクラ 定偏波光ファイバ自動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定偏波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005817A (ja) * 2004-06-21 2006-01-05 Sony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システム
JP2006184467A (ja) * 2004-12-27 2006-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加熱強さ検出方法及び融着接続方法並びに融着接続装置
JP2009223580A (ja) * 2008-03-14 2009-10-01 Omron Corp 優先対象決定装置、電子機器、優先対象決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2695A1 (en) 2014-07-09
WO2013031329A1 (ja) 2013-03-07
EP2752695B1 (en) 2016-05-11
CN103460094A (zh) 2013-12-18
KR101552173B1 (ko) 2015-09-10
US20140044339A1 (en) 2014-02-13
JP2013054192A (ja) 2013-03-21
JP5303618B2 (ja) 2013-10-02
US8903157B2 (en) 2014-12-02
CN103460094B (zh) 2016-06-29
EP2752695A4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642A (ko) 융착 접속기 및 광섬유 판별 방법
CN102834712B (zh) 带树脂覆膜的钢板的表面检查方法及其表面检查装置
US6702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sion-splicing polarization maintaining optical fibers
WO2020065815A1 (ja) 材料試験機
JP6421348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TW201400800A (zh) 圖案相位差濾光片的檢查裝置以及檢查方法
EP1478958B1 (en) Pm fiber alignment
WO2012077542A1 (ja) ガラス基板
JP2005128016A (ja) 検査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261730A (ja) 光ファイバの観察方法および観察装置
EP2918966A1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edge det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JP2006184467A (ja) 光ファイバ加熱強さ検出方法及び融着接続方法並びに融着接続装置
JP2007327824A (ja) 端子リード検査方法
JP4785041B2 (ja) 被測定線状体の外径測定方法
JP2001305372A (ja) 光ファイバのコア測定装置,融着接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焦点位置設定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の識別方法
TWI647660B (zh) 條狀區域檢測裝置、條狀區域檢測方法及其程式的記錄媒體
JP7469207B2 (ja) 器具検出方法および器具検出システム
WO2021149745A1 (ja) フランジ間測定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測定サーバー
JP5279477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取り付け方法
JPH1114853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方法
KR101995746B1 (ko) 편광시트 재검사방법
KR101587560B1 (ko) 차량용 광각 렌즈 모듈의 검사 장치
JP2005195399A (ja) 偏波面保持光ファイバの偏波面光学主軸決定方法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04045128A (ja) 校正基準器、該校正基準器を用いた画像検査装置校正のため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検査装置校正方法
JP2007322142A (ja) 基板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