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923A -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923A
KR20130127923A KR20130052601A KR20130052601A KR20130127923A KR 20130127923 A KR20130127923 A KR 20130127923A KR 20130052601 A KR20130052601 A KR 20130052601A KR 20130052601 A KR20130052601 A KR 20130052601A KR 20130127923 A KR20130127923 A KR 2013012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vice
locking
support
latch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319B1 (ko
Inventor
키스만 에버하드
Original Assignee
수스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스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수스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세탁기의 세탁 유닛 또는 기계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는, 상기 프릭션 댐퍼(9)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부(17)로서, 상기 세탁 유닛(2)에 또는 상기 기계 프레임(4)에 두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21)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서포트 벽(22)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12)에 장착하기 위한, 핀 길이방향 축(23)을 갖는 핀(24)으로서, 상기 서포트 벽(2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핀(24)을 포함하는 서포트부(17), 및 상기 서포트부(17)에 대해 상기 프릭션 댐퍼(9)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피봇 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서포트부(17)에 피봇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킹부(18)로서, 패스닝 요소(33)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는 상기 세탁 유닛(2) 또는 상기 기계 프레임(4)에 대해 상기 패스닝 요소(3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세탁 유닛(2) 또는 상기 기계 프레임(4)에서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는 상기 패스닝 요소(33)에 의해 잠금해제된다.

Description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FRICTION DAMPER ON A WASHING MACHINE}
독일 특허출원 DE 10 2012 208 084.8의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 유닛 또는 기계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1 709 233 B1에는 서포트와, 이와 협동하는 서포트 바디를 구비한 이러한 종류의 커플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플링 장치를 개선시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세탁기의 세탁 유닛 또는 기계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로서,
a. 상기 프릭션 댐퍼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부로서,
i. 상기 세탁 유닛 및 상기 기계 프레임 중 하나에 두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와,
ii.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서포트 벽과,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에 장착하기 위한, 핀 길이방향 축을 갖는 핀으로서, 상기 서포트 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는 서포트부, 및
b. 상기 서포트부에 대해 상기 프릭션 댐퍼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서포트부에 피봇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킹부로서, 패스닝 요소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세탁 유닛 및 상기 기계 프레임 중 하나에 대해 상기 패스닝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d. 상기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세탁 유닛 및 상기 기계 프레임 중 하나에서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패스닝 요소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커플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커플링 장치를 두 부분으로 구성하고, 로킹부가 로킹 피봇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포트부에 피봇 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플링 장치는 그 자체가 회전가능하다. 이 회전가능성은, 세탁기에 대해 커플링 장치에 의해 패스닝되는 댐퍼가, 하우징과 램이 중간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예컨대 램 및/또는 하우징이 중간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둥글지 않은 윤곽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로킹부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피봇 운동될 수 있다. 로킹 위치에 있어서, 서포트부의 서포트 플레이트는 패스닝 요소에 의해 세탁 유닛 또는 세탁기의 기계 프레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로킹 위치에서, 커플링 장치는 세탁기에 대해 확실하게 그리고 신뢰성있게 패스닝된다. 동시에, 프릭션 댐퍼는 서포트부의 핀의 커플링 개구부에 유지 및 로킹된다. 언로킹 위치에 있어서, 세탁 유닛 또는 기계 프레임의 서포트 플레이트는 패스닝 요소에 의해 잠금해제된다. 이것은, 언로킹 위치에서 서포트 플레이트가 세탁기에 고정될 수 없고, 구체적으로는 탈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언로킹 위치에서는, 예컨대 로킹부와 더불어 서포트부를 분해할 수 있다. 특히, 세탁기에 있어서의 조립 및 분해와 관련하여 커플링 장치의 취급이 간소화된다.
로킹부에 형성되어 당해 로킹부를 피봇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레버는 측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직각으로 연장하는 커플링 장치는,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특히, 수동으로, 구체적으로는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커플링 장치를 기동시킬 수 있다. 측방향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로킹 피봇 축에 직각으로 배향된 레버가 로킹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로킹부에 수동으로 피봇 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다.
로킹부가 특히 플라스틱인 제1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진 커플링 장치를,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특히 대량으로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대량 생산되는 세탁기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세탁기에서의 댐퍼의 신속하고 저렴한 조립이 가능하다. 특히, 로킹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특히 사출 성형법으로 생산된다. 사출 성형에 의해 로킹부를 생산하면, 다양한 상이한 설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기능적 요소를 로킹부에 집적시킬 수 있다. 로킹부는 일체로 생산된다. 이렇게 하면, 로킹부의 내재적 안정도가 높다. 예컨대 이전의 조립 단계에서 로킹부를 함께 짜맞출 필요가 없다. 또한, 커플링 장치 그리고 특히 그 조립체의 생산이 이와 같이하여 간소화된다.
서포트부가 특히 플라스틱인 제2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진 커플링 장치는, 서포트부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장치의 복잡하지 않은 조립체의 간소화된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체형 서포트부의 내재적 안정성 및 강성이 증가된다. 서포트부는 특히 사출 성형법으로 특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면, 사출 성형법으로 로킹부를 생산하는 것과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여기서는 이를 참조한다.
더욱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옥시메틸렌으로, 로킹부와 서포트부가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진 커플링 장치는, 개선된 흡음 거동을 갖는다. 커플링 장치를 형성하는 두 개의 부분들이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음 방출이 감소되고, 특히 구조적 소음이 감소된다. 두 개의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들이 회피된다.
서포트 플레이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는, 세탁기에 대한, 구체적으로는 세탁 유닛 또는 기계 프레임에 대한 서포트부의 개선된 패스닝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고정 돌출부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이 돌출부들에 의해 서포트 플레이트가 로킹 위치에서 세탁기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압박된다. 두 개의 고정 돌출부는, 커플링 장치 및 댐퍼에 의해 형성된 조립군의, 상기 조립군을 장착하기 위해 세탁기에 제공된 홀더에 대한 위치 및 비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보강용 리브를 제공하여, 서포트 플레이트 그리고 서포트부의 강체성 및 안정성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서포트부를 거치는 프릭션 댐퍼에 의해 구조적 소음의 전달이 감소된다.
서포트 플레이트에 제공된 리세스에 패스닝 요소가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는, 서포트부의 로킹부와의 유리한 조립체를 제공한다. 서포트 플레이트의 리세스에 패스닝 요소가 배치되기 때문에, 그 리세스가 피봇 마운트로서 이용된다. 리세스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된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윤곽을 가지며 열쇠 구멍의 형태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윤곽은 서포트 플레이트의 에지를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패스닝 요소가 서포트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세스의 윤곽은, 적어도 일부의 섹션에서는 만곡된 섹션을 가지며 또한 삽입 섹션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삽입 섹션의 폭은 만곡 섹션의 직경보다 작다.
패스닝 요소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직각으로 배향된 방향을 따른 축방향 고정을 위한 축방향 패스닝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는, 서포트부에의 로킹부의 확실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패스닝 요소가 축방향 패스닝을 가지므로, 로킹부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직각인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변위되기는 불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로킹부가 서포트부에 유지되어 있는 예비조립 상태에서 세탁기에 커플링 장치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장치를 예비장착된 프릭션 댐퍼와 함께 세탁기 내로 삽입하여 거기에 고정하고 로킹할 수 있다.
로킹 위치에서 서포트부(17)에 대해 로킹부를 래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는, 로킹 위치에 있어서 서포트부에 대한 로킹부의 확고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커플링 장치가 로킹 위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이것은 로킹 위치에 있어서 래칭된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에 의해 보장된다.
또한, 특히 핀 클램프에 배치된 제1 래칭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로킹 위치에서의 상기 제1 래칭 요소는 핀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1 래칭 리세스에 래칭되어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는, 핀 길이방향 축을 따른 핀에 대한 프릭션 댐퍼의 축방향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래칭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제2 래칭 요소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2 래칭 리세스에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는, 로킹이 확고한 정도를 높게 보장한다. 로킹 위치에서 제2 래칭 요소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배치된 제2 래칭 리세스 내에 래칭되기 때문에, 커플링 장치의 안정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로킹부의 열림이 방지된다.
제2 래칭 요소가 특히 로킹 위치에서 수동으로 기동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래칭 텅 상의 래칭 돌출부로서 구성된 커플링 장치는, 래칭된 배치로부터 제2 래칭 요소의 배치의 수동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래칭 요소는 탄성을 갖는 래칭 텅에 커플링된 래칭 돌출부를 포함한다. 래칭 텅은 수동으로 기동될 수 있어서 래칭 돌출부가 제2 래칭 리세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특히, 래칭 텅은, 로킹 위치에서 래칭 텅이 서포트 플레이트로부터 측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돌출하고,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로킹 피봇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래칭 텅을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핀 클램프와 함께 로킹 피봇 축에 편심으로 배치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핀 클램프는 핀을 적어도 복수의 섹션에서 둘러싸고, 또한 언로킹 위치에서의 상기 핀 클램프는 상기 핀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는, 로킹 위치에 있어서 서포트부에의 로킹부의 추가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핀 클램프를 포함하는, 로킹 피봇 축에 편심으로 배치된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로킹 위치에서 핀 클램프와 함께 상기 핀을 적어도 일부 둘러싼다. 이 경우에 핀 클램프는 특히 C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C자형의 개구부는 핀의 외경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는 로킹 위치에서 핀에 대해 로킹된다. 언로킹 위치에서는, 핀 클램프가 핀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하여, 특히 핀에 대한 프릭션 댐퍼의 조립이 기능하게 된다. 핀 클램프는 핀에 대한 프릭션 댐퍼의 추가적인 축방향 고정을 보장한다.
서포트 플레이트를 향하는, 패스닝 요소의 하부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용 챔퍼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는, 세탁기에서의 패스닝 요소의 간소화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는 또한, 세탁기의 리세스에서 패스닝 요소의 배치의 증대된 강도를 제공하였다.
패스닝 요소가 볼트 길이방향 축을 갖는 베이어넷 볼트인 커플링 장치는, 세탁기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의 복잡하지 않으면서 또한 신뢰성있는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로킹 요소의 볼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90°회전은 서포트부에 대해 베이어넷 볼트로서 구성된 패스닝 요소를 로킹하기에 충분하다.
세탁기에 있어서의 조립 및 분해와 관련하여 커플링 장치를 개선시켜 커플링 장치의 취급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상세 및 특징을, 도면을 참조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통해 제공한다.
도 1은, 기계 프레임과 세탁 유닛 사이에 각각 배치된 두 프릭션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언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프릭션 댐퍼가 커플링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확대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커플링 장치의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도 2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서포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로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드럼 세탁기(1)는, 상응하는 하우징(3)을 구비한 진동 세탁 유닛(2)을 포함한다. 하우징(3) 내에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는 세탁 드럼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진동 세탁 유닛(2)은, 헬리컬 텐션 스프링(6)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기계 프레임에 지지된 세탁기 하우징(6)에 현가되어 있다. 텐션 스프링(6)은 한편으로는 세탁 유닛(2)의 상부에 확보된 눈구멍(eyelet)(7)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텐션 스프링(6)은, 세탁기 하우징(5)의 프로파일 파이프(8)에 형성된 눈구멍에 현가되어 있다. 세탁 유닛(2)은 자유롭게 진동하도록 현가되거나 지지되어 있다. 세탁 유닛(2)은, 텐션 스프링(6) 대신에, 예를 들어 EP 0 108 217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계 프레임(4) 상의 소위 스프링 레그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세탁 유닛(2)과 기계 프레임(4) 사이에는, 프릭션 댐퍼(9)가 배치된다. 이 종류의 프릭션 댐퍼(9)는 예컨대 EP 0 336 176 B1으로부터 공지이다. 프릭션 댐퍼(9) 각각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 밖으로 가이드되는 램(ram)(11)을 포함한다. 램(11)과 하우징(10) 각각은 중간의 길이방향 축(20)에 직각으로 배향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램(11)은 상기 중간의 길이방향 축(20)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10)에 관해 회전 불가능하다. 하우징(10)과 램(11) 양방 각각은, 고무 슬리브(13) 형태의 조인트 부시(bush)가 삽입되는 커플링 개구부(12)를 자유단에 갖는다. 커플링 장치(14)에 의해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프릭션 댐퍼(9)들이 부착되고, 따라서 각각의 프릭션 댐퍼(9)는 세탁 유닛(2)에 대해 회전의 축(15)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 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의 커플링 장치(14)에 의해 기계 프레임(4)에 대해 프릭션 댐퍼(9)들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프릭션 댐퍼(9)는 커플링 장치(14)에 의해 세탁 유닛(2)에 대해 고정되고, 다른 프릭션 댐퍼(9)는 커플링 장치(14)에 의해 기계 프레임(4)에 대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의 축(15)은, 드럼 회전의 축(16)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커플링 장치(14)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플링 장치(14)는 프릭션 댐퍼(9)들을 장착하기 위한 서포트부(17)를 포함한다. 또한, 커플링 장치(14)는, 서포트부(17)에 로킹 피봇 축(19)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 운동가능하게 커플링된 로킹부(18)를 포함한다. 로킹부(18)는 서포트부(17)에 프릭션 댐퍼(9)를 로킹하기 위해 이용된다. 동시에, 로킹부(18)는 세탁 유닛(2)에 대해 커플링 장치(14)를 고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세탁기(1) 내에 설치된 프릭션 댐퍼(9)의 위치에 있어서, 중간의 길이방향 축(20)은 로킹 피봇 축(19)과 일치한다. 프릭션 댐퍼(9)의 중간의 길이방향 축(20)은 회전의 축(15)에 직각이 되도록 특히 배향된다.
로킹부(1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언로킹 위치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커플링 장치(14)의 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피봇 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서포트부(17) 상에서 피봇 운동될 수 있다.
이하, 서포트부(17)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포트부(17)는 본질적으로 U자형으로 구성된다. 서포트부(17)는 프릭션 댐퍼(9)를 장착 및 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서포트부(17)는, 세탁 유닛(2)의 하우징(3) 상에 지지되기 위해 평면형으로 특히 구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1)를 포함한다. 또한, 서포트부(17)는, 서포트 플레이트(21)로부터 직각으로 그리고 특히 수직으로 연장하는 서포트 벽(22)을 구비한다. 서포트 벽(22)에는, 핀 길이방향 축(23)을 갖는 핀(24)이 형성된다. 핀(24)은 프릭션 댐퍼(9)의 커플링 개구부(12)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핀(24)은 서포트 벽(22)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서포트 플레이트(21)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평행하게, 핀 길이방향 축(23)이 배치된다. 핀(24)은, 핀 길이방향 축(23)에 직각으로 배향된 환형의 단면을 갖는다. 서포트 벽(22)으로부터 외면하는 전방 섹션에는, 프릭션 댐퍼(9)의 커플링 개구부(12) 내로의 핀(24)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두 원추체 형상의 삽입 표면이 제공된다. 서포트부(17)는, 예컨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부터 일체로 만들어진다.
핀(24)으로부터 외면하는 서포트 플레이트(21)의 상부측(25)에는, 두 개의 직사각형 고정 돌출부(26)가 제공된다. 고정 돌출부(26)들은 서포트 플레이트(21)에 강체적으로(rigidly)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대한 서포트부(17)의 고정을 개선시킬 수 있다. 고정 돌출부(26)들은 세탁기(1) 상에서 커플링 장치(14)의 위치 및 비회전을 고수하는데 이용된다. 상부측(25)에 의해, 서포트부(17)는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대해 압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한다. 로킹 피봇 축(19)에 직각인 평면에서, 고정 돌출부(26)들 각각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돌출부(26)들에 대해 다른 단면들도 가능하다.
서포트 플레이트(21) 및/또는 서포트 벽(22)에는, 서포트부(17)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플레이트 페인(pane) 또는 벽 평면에 제각기 직각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보강용 리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플레이트(21)에는 제2 래칭 리세스(27)가 제공된다. 제2 래칭 리세스(27)는 서포트 플레이트(21)를 완전히 관통한다. 상부측(25)에 대해 폐색되도록 제2 래칭 리세스(27)를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부측(25) 반대편에 배치된 하부측(28)으로부터 제2 래칭 리세스(27)는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2 래칭 리세스(27)의 에리어에서, 서포트 플레이트(21)는 둥글거나 평탄한 에지(54)를 갖는다.
또한, 서포트 플레이트(21)에는 본질적으로 열쇠 구멍 형상의 리세스(29)가 제공된다. 리세스(29)는, 두 개의 나란한 측벽(30)과 이들 측벽(30)을 서로 연결하는 만곡 섹션(32)을 포함하는 삽입 섹션(31)을 갖는다. 삽입 섹션(31)의 폭 B는 두 마주하는 측벽(30)의 수직 간격에 상당한다. 삽입 섹션(31)의 폭 B는 만곡 섹션(32)의 직경보다 작다.
이하에서는, 로킹부(18)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로킹부(18)는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갖는 베이어넷 볼트 형태의 패스닝 요소(33)를 포함한다. 베이어넷 볼트(33)는 회전 플레이트(35)에 배치되며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따라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한다. 로킹부(18)는,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부터 일체로 만들어진다.
패스닝 요소(33)는 회전 플레이트(35)의 상부측(36)에 형성된다. 회전 플레이트(35)의, 상부측(36) 반대편에 배치된 하부측(37)에는, 회전 플레이트(35)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고정 플레이트(38)가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38)는 로킹부(18) 상에서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대해 편심되어 제공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38)는 본질적으로 C자형의 핀 클램프(39)를 포함하고, 그 "C"자의 개방 폭 W은 당해 "C"자의 라운드 섹션(57)의 직경보다 작다. 특히, 상기 개방 폭 W은 핀(24)의 핀 직경 DZ보다 작다. "C"자의 라운드 섹션(57)에는, 핀(24)에 배치된 상응하는 제1 래칭 리세스(41)에 래칭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제1 래칭 요소(40)가 제공된다. 제1 래칭 리세스(41)는, 핀(24)의 아웃터 실린더 케이싱 표면에 슬롯 같은 개구부로서 제공된다. 제1 래칭 리세스(41)는, 핀 길이방향 축(23)에 평행하게 배향된 길이방향 배향을 갖는다. 상기 길이방향 배향에 직각으로, 슬롯은 폭 BS를 갖는다. 제1 래칭 요소(40)는, 슬롯 폭 BS보다 작은 폭 BR을 갖는다. 제1 래칭 리세스(41) 내로의 제1 래칭 요소(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C"자의 개구부와 면하는 제1 래칭 요소(40)의 전방측에는, 삽입 프랭크(flank)(42)가 제공된다. 회전 플레이트(35)와 면하는 상부측에, 제1 래칭 요소(40)는 접촉 표면(58)을 갖는다.
로킹부(18)에는 레버(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43)는 로킹 피봇 축(49)을 중심으로 하는 로킹부(18)의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레버(43)는 직각으로, 구체적으로는 로킹 피봇축(19)에 직각으로 연장한다.
베이어넷 볼트(33)는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직각으로 배향된 둥근 단면 형태를 갖는다. 베이어넷 볼트(33)는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따라 패스닝 섹션(45)이 부착된 회전 섹션(44)을 갖는다. 회전 섹션(44)은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직각으로 배향된 제1 직경 D1을 갖는다. 패스닝 섹션(45)은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직각으로 배향된 제2 직경 D2을 가지며, 이 제2 직경은 제1 직경 D1보다 크다. 특히, D2 ≥ 1.05 ·D1.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따라, 공지의 베이어넷 섹션(46)이 패스닝 섹션(45)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어넷 섹션(46)은, 본질적으로,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베이어넷 웨브(web)(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베이어넷 웨브(47)는, 당해 베이어넷 웨브(47)의 하측에 배치된 삽입 챔퍼(48)를 각각 포함한다. 삽입 챔퍼(48)는 회전 플레이트(35)의 상측(36)에 면한다.
로킹부(18)는, 회전 플레이트(35)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래칭 요소(49)를 포함한다. 제2 래칭 요소(49)는, 삽입 경사부(51)를 갖는 래칭 돌출부(50)로서 구성된다. 래칭 돌출부(50)는 탄성을 갖는 래칭 텅(tongue)(52)에 배치된다. 래칭 텅(52)의 탄성을 갖는 구성은, 그것이 회전 플레이트(35)를 통과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롯에 직각으로 배향되고 또한 당해 슬롯의 일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조인트(53)가 형성된다. 래칭 텅(52)은 스프링 조인트(53)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피봇 운동될 수 있다. 삽입 경사부(51)로부터 외면하는, 래칭 돌출부(50)의 후방측에, 제2 래칭 요소(49)가 도시하지 않는 파지 섹션을 가질 수 있어서, 제2 래칭 요소(49)는, 대응하는 제2 래칭 리세스(27)에 래칭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즉 커플링 장치(14)가 로킹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회전 섹션(44)에는, 로킹 피봇 축(19)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어레스팅 리브(59)가 제공된다. 어레스팅 리브(59)는, 회전 섹션(44)의 아웃터 실린더 케이싱 표면에서 로킹 피봇 축(19)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어레스팅 리브(59)는, 회전 섹션(44)의 에리어에서 반경방향 돌출부를 의미한다. 어레스팅 리브(59)에 의해, 제1 직경 D1이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어레스팅 리브(59)는, 당해 어레스팅 리브(59)의 윤곽(contour)이 패스닝 섹션(45)의 실린더 케이싱 표면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어레스팅 리브(59)는, 서포트부(17) 상에서의 로킹부(18)의 회전시에, 회전 섹션(44)의 반경방향 두터움으로 인해, 추가적인 저항을 나타내도록, 회전 섹션(44) 상에서 그 원주방향 위치에 대해 배치된다. 어레스팅 리브는 서포트부(17) 상에서 로킹부(18)의 추가적인 어레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 장치(14) 및 그 위에 고정된 댐퍼(9)로 구성된 전체 어셈블리군의 이송 중에, 커플링 장치(14)가 확실하게 로킹된다. 어레스팅 리브는 도 2에 해체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커플링 장치(14)를 형성하기 위한 서포트부(17)에의 로킹부(18)의 조립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킹부(18)는, 서포트부(17)의 서포트 플레이트(21) 상의 리세스(29)의 삽입 섹션(31)의 에리어에서 패스닝 요소(33)와 함께 배치된다. 회전 섹션(44)의 에리어에서 패스닝 요소(33)의 제1 직경 D1은 삽입 섹션(31)의 폭 B보다 크다. 서포트부(17)가 제조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탄성 재료 거동에 기초하면, 회전 섹션(44)을 갖는 패스닝 요소가 리세스(29)의 만곡 섹션(32)에 배치될 때까지, 리세스(29) 내로 삽입 섹션(31)을 따라 회전 섹션(44)을 갖는 패스닝 요소를 삽입할 수 있다. 만곡 섹션(32)의 직경 D은 회전 섹션(44)의 제1 직경 D1에 본질적으로 대응한다. 로킹부(18)는 서포트 플레이트(21)의 리세스(29)에서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 운동가능하게 패스닝 요소(33)의 회전 섹션(44)과 커플링된다. 커플링 장치(14)의 조립후 배치에 있어서, 서포트부(17)의 로킹 피봇 축(19)과 로킹부(18)의 볼트 길이방향 축(34)은 일치한다.
패스닝 섹션(45)의 제2 직경 D2은 리세스(29)의 만곡 섹션(32)의 직경보다 크다. 이것은, 환형의 어깨부(55)가 회전 섹션(44)과 패스닝 섹션(45) 사이에서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따라 배치된 상태의 패스닝 요소(33)가, 서포트 플레이트(21)의 상측부(25) 위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어깨부(55)는 서포트 플레이트(21)에 직각인 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따라 패스닝 요소(33)를 축방향으로 장착하기 위한 축방향 패스닝을 형성한다.
패스닝 요소(33)가 서포트부(17)의 서포트 플레이트(21)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회전 섹션(44) 상의 로킹부(18) 때문에, 로킹부(18)는 서포트부(17)에 신뢰성있게 그리고 또한 피봇 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이하,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대한 커플링 장치(14)의 조립 및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계 프레임(4)에 대한 커플링 장치(14)의 조립은 유사한 방식으로 행해지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는, 언로킹 위치에 있는 커플링 장치(14)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우징(3)에 대한 커플링 장치(14)의 패스닝은, 특히 도 3에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서포트부(17)가 하우징(3)에 서포트 플레이트(21)와 함께 놓여지고, 이에 의해 고정 돌출부(26)가 이를 위해 구비된 하우징(3)의 리세스들에 결합한다. 동시에, 로킹부(18)의 패스닝 요소(33)가, 서포트부(17)의 서포트 플레이트(21)에서의 리세스(29)를 통과하고 하우징(3)에 이를 위해 구비된 리세스를 통과한다. 이 배치에서, 커플링 장치(14)는 로킹 피봇 축(19)을 따라 프릭션 댐퍼(9)와 고정되지 않는다.
서포트부(17)에 대한 로킹부(18)의 로킹, 및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대한 커플링 장치(14)의 동시적인 고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언로킹 위치로부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로킹 위치로 커플링 장치(14)를 변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로킹부(18)는 서포트부(17) 상의 로킹 피봇 축(19)을 중심으로 90° 만큼 약간 피봇 운동된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수동으로, 구체적으로는 공구의 사용없이 레버(43)를 기동함으로써 가능하다.
언로킹 위치에서, 패스닝 요소(33)에 의해 세탁 유닛(2)의 하우징(3) 상의 서포트 플레이트(21)가 잠금해제된다. 이것은, 커플링 장치(14)의 예비장착 배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장치(14)가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이를 위해 제공된 리세스 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언로킹 위치에서, 로킹부의 고정 플레이트(38), 그리고 이에 의해 핀 클램프(39)는 핀(24)과 이격되어 배열된다.
서포트부(17)에서의 로킹부(18)의 피봇 운동 중에, 우선, 핀 클램프(39)는 "C"자의 개구부의 에리어를 유지한다. 핀 클램프(39)의 개구 폭 W이 핀 직경 DZ보다 작고, 또한 로킹부(18)를 만드는 재료의 탄성 재료 특성 때문에, 핀 클램프(39)는 핀(24)에 대해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슬롯 형상의 제1 래칭 리세스(41) 내로, 제1 래칭 요소(40)가 핀 길이방향 축(23)에 관해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래칭 요소(40)의 제1 래칭 리세스(41) 내로의 삽입은 삽입면(42)에 의해 촉진된다. 제1 래칭 요소(40)는, 핀 길이방향 축(23)에 평행하게 배향된 상측 대향면(60)에 접촉면(58)이 로킹 피봇 축(19)을 따라 배치되도록 라운드 섹션(57)에 위치된다. 핀(24)의 제1 래칭 리세스(41) 내로의 제1 래칭 요소(40)의 삽입 중에, 접촉면(58)은 대향면(60)에 대향하여 놓인다. 접촉면(58)은 대향면(60)을 상방으로 누르고, 따라서 핀(24)은 도 2의 도면에 따른 시계 방향으로 핀 길이방향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핀(24)은 "C"의 라운드 섹션(57)에 대해 압박된다.
이것은, 서포트부(17)에 로킹부(18)를 로킹할 때, 핀(24)이 라운드 섹션(57)에 클램핑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플링 장치(14)의 안정성이 전체적으로 증가된다. 이에 의해, 커플링 장치(14)는 로킹 피봇 축(19)의 스트레스로부터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다. 특히, 그러한 스트레스가 "C"자의 개구부에 의해 전적으로 흡수되어야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핀 클램프(39)에서 핀(24)의 추가적인 고정이 보장된다.
로킹 위치에 있어서, 로킹부(18)의 고정 플레이트(38)와 서포트부(17)의 서포트 벽(22)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핀 길이방향 축(23)에 제각기 직각으로 배열된다. 서포트 벽(22)과 고정 플레이트(38) 사이에는, 커플링 개구부(12)를 구비한 프릭션 댐퍼(9)가 커플링 장치(1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38) 및 서포트 벽(22)의 양방은, 핀(24)에 대한 프릭션 댐퍼(9)의 축방향 고정을 보장한다.
동시에, 로킹부(18)의 변위는 제2 래칭 요소(49)가 이를 위해 제공된 제2 래칭 리세스(27) 내로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경우, 제2 래칭 요소(49)의 래칭 돌출부(50)는, 서포트 플레이트(21) 상의 삽입 경사부(51)의 에리어에, 특히 여기에 제공된 평탄 에지(54)에 우선 접촉하게 된다. 로킹부(18)의 피봇 운동 후에, 스프링 조인트(53) 둘레의 제2 래칭 요소(49)가 래칭 텅(52)으로서 구성되므로, 제2 래칭 요소(49)는 하방으로, 즉 서포트 플레이트(21)에서 떠나서 눌려진다. 피봇 운동을 완료한 후, 래칭 돌출부(50)를 갖는 제2 래칭 요소(49)는 이를 위해 제공된 래칭 리세스(27)에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14)의 로킹 위치에 있어서, 로킹부(18)는 서포트부(17)에 신뢰성을 갖고서 고정된다. 이것은, 특히, 핀(24)에 유지된 핀 클램프(39), 제1 래칭 리세스(41) 내로 로킹된 제1 래칭 요소(40), 및 제2 래칭 리세스(27) 내로 로킹된 제2 래칭 요소(49)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커플링 장치(14)는 다중 고정 패스닝 시스템(multiply securing fastening system)을 구비한다.
또한,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커플링 장치(14)는, 세탁 유닛(2)의 하우징(3)에 신뢰성을 갖고서 유지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어넷 웨브(47)들을 갖는 패스닝 요소(33)가, 상기 웨브들이 하우징(3)에 있어서의 리세스에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3)에 배치된다. 베이어넷 웨브(47)들은 하우징(3)의 리세스들 뒤에서 파지하고, 이에 의해 로킹 피봇 축(19)을 따른 커플링 장치(14)의 축방향 고정을 확립한다. 베이어넷 볼트(33)는, 특히, 베이어넷 웨브(47)의 하부측(56)으로부터 회전 플레이트(35)의 상부측(36)까지 볼트 길이방향 축(34)에 평행하게 정렬된 거리가, 세탁 유닛(2)의 하우징(3) 및 서포트부(17)의 서포트 플레이트(21)의 벽 두께의 합보다 작은 베이어넷 웨브(47)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세탁 유닛(2) 상의 커플링 장치(14)의 고정성은, 로킹 위치에 있어서 베이어넷 웨브(47)들과 회전 플레이트(35) 사이에 하우징(3)과 서포트 플레이트(21)가 클램핑되므로 추가적으로 증대된다(도 5 참조). 이것은, 하우징(3)과 서포트 플레이트(21)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어넷 볼트(33)의 하측부(56) 또는 회전 플레이트(35)의 상부측(36)에 패시브(passive) 반력이 작용함을 의미한다. 베이어넷 회전 클로저(closure)는 자기 체결식(self-locking)으로 구성된다.

Claims (20)

  1. 세탁기의 세탁 유닛 및 기계 프레임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커플링 장치(14)는,
    a. 상기 프릭션 댐퍼(9)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부(17)로서,
    i. 상기 세탁 유닛(2) 및 상기 기계 프레임(4) 중 하나에 두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21)와,
    ii.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서포트 벽(22)과,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개구부(12)에 장착하기 위한, 핀 길이방향 축(23)을 갖는 핀(24)으로서, 상기 서포트 벽(2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핀(24)을 포함하는 서포트부(17), 및
    b. 상기 서포트부(17)에 대해 상기 프릭션 댐퍼(9)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피봇 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서포트부(17)에 피봇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킹부(18)로서, 패스닝 요소(33)를 포함하는 로킹부(18)를 포함하고,
    c.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는 상기 세탁 유닛(2) 및 상기 기계 프레임(4) 중 하나에 대해 상기 패스닝 요소(33)에 의해 고정되고,
    d. 상기 언로킹 위치에서, 상기 세탁 유닛(2) 및 상기 기계 프레임(4) 중 하나에서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는 상기 패스닝 요소(33)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를 피봇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로킹부(18)에 형성된 레버(43)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43)는 상기 로킹 피봇 축(19)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를 피봇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로킹부(18)에 형성된 레버(43)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43)는 상기 로킹 피봇 축(19)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는 제1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17)는 제2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17)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 및 상기 서포트부(17)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8) 및 상기 서포트부(17)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holding projection)(26)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요소(33)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에 제공된 리세스(29)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요소(33)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에 직각으로 배향된 방향(34)을 따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축방향 패스닝(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부(17)에 대해 상기 로킹부(18)를 래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40, 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핀 클램프(39)에 배치된 제1 래칭 요소(40)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래칭 요소(40)는 상기 핀(24)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1 래칭 리세스(41)에 래칭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2 래칭 요소(49)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래칭 요소(49)는 서포트 플레이트(21)에 배치된 대응하는 제2 래칭 리세스(2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 요소(49)는 수동으로 기동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래칭 텅(tongue)(52) 상의 래칭 돌출부(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 요소(49)는 상기 로킹 위치에서 기동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래칭 텅(52) 상의 래칭 돌출부(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핀 클램프(39)와 함께 상기 로킹 피봇 축(19)에 편심으로 배치된 고정 플레이트(38)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위치에서의 상기 핀 클램프(39)는 적어도 복수의 섹션에서 상기 핀(24)을 둘러싸고, 상기 언로킹 위치에서의 상기 핀 클램프(39)는 상기 핀(2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1)를 향해 면하는, 상기 패스닝 요소(33)의 하부측(56)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용 챔퍼(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요소는 볼트 길이방향 축(34)을 갖는 베이어넷 볼트(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KR1020130052601A 2012-05-15 2013-05-09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KR101945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208084 DE102012208084B3 (de) 2012-05-15 2012-05-15 Anlenk-Vorrichtung zum Anlenken eines Reibungs-Dämpfers an eine Waschmaschine
DE102012208084.8 2012-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923A true KR20130127923A (ko) 2013-11-25
KR101945319B1 KR101945319B1 (ko) 2019-02-07

Family

ID=4819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601A KR101945319B1 (ko) 2012-05-15 2013-05-09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5460B2 (ko)
EP (1) EP2664704B1 (ko)
KR (1) KR101945319B1 (ko)
CN (1) CN103422322B (ko)
DE (1) DE102012208084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7270B2 (ja) * 2013-09-12 2017-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5040347A (zh) * 2015-07-11 2015-11-11 晋江市池店镇筱秋电工机械专用设备设计工作室 一种双重避震合金洗衣机
TR201816405T4 (tr) * 2016-04-14 2018-11-21 Aksistem Elektromekanik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Bir amortisörün bir tambura monte edilmesine yönelik geliştirilmiş bir braket.
FI11915U1 (fi) * 2017-11-22 2018-01-05 Abb Oy Sähkökytkimen vääntökahva
TR201906632A2 (ko) 2019-05-03 2020-11-23 Arcelik A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146A (en) * 1952-10-08 1958-03-25 Aeroquip Corp Coupling with sliding seal plates
US2849777A (en) * 1956-04-18 1958-09-02 Slater N Co Ltd Mounting clamp for torsional dampers
US3219373A (en) * 1963-03-25 1965-11-23 Wayne N Sutliff Rod coupler
US3157291A (en) * 1963-09-06 1964-11-17 Amsted Ind Inc Rotary coupler
US3262661A (en) * 1964-04-30 1966-07-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Damp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s
US3385541A (en) * 1965-07-17 1968-05-28 Philips Corp Resilient supports for rotating machine parts
DE3237759A1 (de) * 1982-10-12 1984-04-12 Fritz Bauer + Söhne oHG, 8503 Altdorf Schwingungsfaehige abstuetzung fuer trommelwaschmaschinen
US4618171A (en) * 1983-08-18 1986-10-21 Dover Corporation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5111924A (en) * 1984-06-12 1992-05-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Torque transmitting and torsion damping apparatus for use in motor vehicles
DE3538973A1 (de) * 1985-11-02 1987-05-14 Bauknecht Hausgeraete Waschmaschine
DE3811742A1 (de) 1988-04-08 1989-10-19 Bauer Fritz & Soehne Ohg Reibungsdaempfer
DE3928141C1 (en) * 1989-08-25 1990-08-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De Acceleration friction damper system - uses inertia weight to clamp friction surfaces onto moving rod
DE4105763A1 (de) * 1991-02-23 1992-08-27 Suspa Compart Ag Anlenkung eines schwingungsdaempfers fuer eine waschmaschine
DE4420934B4 (de) * 1993-06-19 2004-11-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9746281B4 (de) * 1996-10-24 2007-10-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IT1296508B1 (it) * 1997-11-25 1999-06-25 Cima Comp It Molle Acciaio Dispositivo per l'ancoraggio di un ammortizzatore in macchine lavabiancheria e procedimento per l'ancoraggio del suddetto
EP0949373A1 (de) * 1998-03-10 1999-10-13 SUSPA COMPART Aktiengesellschaft Reib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Waschmaschinen mit Schleudergang
DE19921152A1 (de) * 1999-05-07 2000-11-09 Suspa Compart Ag Anlenk-Vorrichtung zur Anlenkung eines Reibungsdämpfers an einem Maschinengestell einer Waschmaschine
CN2646179Y (zh) * 2003-08-01 2004-10-06 张永辉 滚筒洗衣机
DE102004003924A1 (de) * 2004-01-27 2005-08-11 Suspa Holding Gmbh Anlenk-Vorrichtung zur Anlenkung eines Reibungsdämpfers einer Waschmaschine
DE502005005261D1 (de) * 2004-03-03 2008-10-16 Suspa Holding Gmbh Anlenk-vorrichtung zur anlenkung eines schwingungsdämpfers an einem waschaggregat und/oder einem maschinengestell einer waschmaschine
CN1724752A (zh) * 2004-07-19 2006-01-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减震器的铰链结构
US20080128034A1 (en) * 2006-12-01 2008-06-05 Dixon Valve And Coupling Company Handle Lever Locking Mechanism for Dry Disconnect Coupler
KR101369319B1 (ko) * 2007-06-11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5689709B2 (ja) * 2011-02-18 2015-03-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及び、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6833A1 (en) 2013-11-21
US9115460B2 (en) 2015-08-25
EP2664704B1 (de) 2014-10-22
KR101945319B1 (ko) 2019-02-07
CN103422322B (zh) 2016-07-06
DE102012208084B3 (de) 2013-05-23
EP2664704A1 (de) 2013-11-20
CN103422322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7923A (ko) 세탁기에 대해 프릭션 댐퍼를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EP1209398B1 (en) Clip arrangement for releasably fastening an object to at least one line
EP1888375B1 (en) Automobile cable/conduit retainer
KR101447637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US20070272806A1 (en) Pipe hanger
KR200473913Y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09113863A (ja) スタッドに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JP5282334B2 (ja) 自動車のマットの固定装置
JP5207438B2 (ja) 自動車のマットの固定装置
CN108457054B (zh) 衣物处理装置的箱体组件、固定件和衣物处理装置
WO2012026484A1 (ja) 容器保持装置
KR101836139B1 (ko) 시트 커버링 조립체
JP2006525163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
US7150438B2 (en) Holder for a body and a fastening assembly associated with said holder
KR100638301B1 (ko) 벨트 연결구
KR200467458Y1 (ko) 창문손잡이의 조립구조
JP3749076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409958B1 (ko) 세탁물 건조기용 도어 래치
JP6215070B2 (ja) 引っ掛け具及び扉
CN201153922Y (zh) 用于家用器具的构件上的软管管道的固定装置
ES2376863B1 (es) Lavadora.
JP6722139B2 (ja)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ヤ
KR200441056Y1 (ko) 온수 분배기의 체결구조
JP2017172804A (ja) 配線・配管材支持具及び固定部材
JP5478573B2 (ja) 車両用フロア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