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985A - 배선 기판 - Google Patents

배선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985A
KR20130126985A KR1020137024642A KR20137024642A KR20130126985A KR 20130126985 A KR20130126985 A KR 20130126985A KR 1020137024642 A KR1020137024642 A KR 1020137024642A KR 20137024642 A KR20137024642 A KR 20137024642A KR 20130126985 A KR20130126985 A KR 2013012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sulating layer
wiring
board
wi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시마즈
타케히코 사와다
타카히로 하야카와
토모아키 아사이
료우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3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4950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3012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92Integral conductive tabs, i.e. conductive parts partly detached from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64Conductor shape
    • H05K2201/0382Continuously deform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7Ta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45Recess in conductor, e.g. in pad or in metallic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5Tool for a process not provided for in H05K3/00, e.g. tool for handling objects using suction, for deforming object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배선 기판(10, 40, 60, 80)은, 배선 패턴(13, 21, 41, 43, 65, 83a, 83b, 83c)과, 배선 패턴이 고정되는 절연층(11, 26, 48, 81)을 갖고, 절연층(11, 26, 48, 81)은 단연(端緣)을 갖는다. 배선 패턴(13, 21, 41, 43, 65, 83a, 83b, 83c)은, 절연층(11, 26, 48, 81)과 접합하는 패턴 접합부(14, 44, 66)와, 패턴 접합부(14, 44, 66, 84)로부터 연이어 설치되고, 절연층(14, 44, 66)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패턴 연설부(15, 45, 67, 85)를 구비한다. 절연층(11, 26, 48, 81) 또는 패턴 접합부(14, 44, 66)는 최외면을 갖는다. 배선 기판에는, 패턴 연설부(15, 45, 67, 85)를 굴곡시킴으로써 패턴 연설부(15, 45, 67, 85)의 일부가 절연층(11, 26, 48, 81) 또는 패턴 접합부(14, 44, 66, 84)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접속 단자(T, T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선 기판{WIRING SUBSTRAT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자 기기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배선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선 기판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의 전원 장치가 존재한다. 이 차량용의 전원 장치에서는, 금속 로드(metal rods)로 이루어지는 하드 와이어(hard wires)를 통하여 파워 기판과 제어 기판을 전기적 접속하면서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혹은, 파워 기판에 커넥터를 형성하고 제어 기판이 커넥터에 삽입되어 파워 기판과 제어 기판이 연결되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프린트 기판 간의 접속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프린트 기판 간의 접속 구조에서는, 제1 프린트 기판은, 절연판과 상하 한 쌍의 랜드(land)와, 상하 한 쌍의 랜드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프린트 기판은, 절연판과, 절연판의 일단연(一端緣)에 돌출 형성된 접전 단자부(plug terminal)를 갖고 있다. 이 접전 단자부는, 제1 프린트 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맞춤 가능한 돌기와, 돌기의 일면측에 형성된 접속 전극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제1 프린트 기판의 관통구멍에 제2 프린트 기판의 접전 단자부를 끼워맞춤하고 나서 하면측의 랜드와 접속 전극 패턴을 땜납 접속함으로써, 제1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제2 프린트 기판이 일정한 교차 각도를 갖고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판의 연결 구조가 존재한다. 기판의 연결 구조에서는, 수(male)와 암(female) 중 어느 한쪽의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다른 한쪽의 기판과의 연결시의 안내가 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의 기판에 가이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절결부가 구비된다. 가이드부를 절결부에 관통시켰을 때에, 수와 암의 커넥터가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로 정해져, 수와 암의 커넥터 접속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프린트 기판의 지지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프린트 기판의 지지 구조에서는, 하측 기판에 실장된 수 커넥터의 양(兩) 측부에는, 각각 두부(head)를 갖는 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상측 기판에 실장된 암 커넥터의 양 측방의, 각 두부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된다. 각 구멍의 지름은, 각각 두부의 크기보다 작고, 두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두부가 구멍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측 기판과 상측 기판과의 착탈 작업을,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338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5746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059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8669호
그러나, 특허문헌 1, 3, 4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기판끼리의 접속이나 위치 결정을 위해 하드 와이어, 커넥터, 가이드 및 돌기 등의 다른 부재를 모두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부품 점수의 증대나 장착 시간이 여분으로 필요해져 배선 기판의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것 외에, 다른 부재를 부착할 스페이스가 기판 등에 필요해져, 배선 기판의 소형화를 방해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판끼리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지만, 한쪽의 기판의 일단연에 돌출 형성된 접전 단자부를 다른 한쪽의 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맞춤하기 때문에, 기판 간에 있어서 일정한 교차 각도를 필요로 하고, 예를 들면, 각각의 기판면이 서로 평행이 되는 바와 같은 양 기판의 위치 결정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다른 부재와의 접속이 가능하여, 접속처의 다른 부재에 대하여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는 배선 기판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기판으로서, 배선 패턴과, 배선 패턴이 고정되는 절연층을 갖고, 절연층은 단연을 갖고, 배선 패턴은, 절연층과 접합하는 패턴 접합부와, 패턴 접합부로부터 연이어 설치되고, 절연층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패턴 연설부(extended portion)를 구비하고, 절연층 또는 패턴 접합부는 최외면을 갖고, 패턴 연설부를 굴곡시킴으로써 패턴 연설부의 일부가 절연층 또는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접속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이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절연층은, 절연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패턴 연설부는 개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속 단자는, 절연층 또는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과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패턴 연설부의 측부는, 접속 단자의 선단(先端)을 향하여 패턴 연설부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패턴 연설부는, 접속 단자의 선단부보다도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廣幅部;wide por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속 단자는, 땜납에 의해 다른 부재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배선 패턴은, 프레스 가공된 도체판이며, 절연층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패턴 연설부의 굴곡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오목부는, 스트라이킹(striking) 또는 쐐기홈(wedge-shaped groov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패턴이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패턴에 실장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속 단자는, 절연층에 고정되는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과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을 연결하는 점퍼선(jumper line)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점퍼선을 구성하는 접속 단자는,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 및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과는 상이한 배선 패턴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가교(bridge over)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과 다른 기판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종(縱)단면도이다.
도 2는 배선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 표시도이다.
도 4a는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b는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c는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배선 기판과 다른 기판과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배선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배선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배선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의 일부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10)은,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고출력 모터의 제어 기판 등에 의해 제어되는 파워 기판이다. 배선 기판(10)은, 케이스체(도시하지 않음) 상에 절연성의 방열 시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배선 기판(1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11)의 표면측에 대하여 판 형상의 표면측 배선 패턴(13)이 접착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절연층(11)의 이면측(裏面側)에 대하여 이면측 배선 패턴(21)이 접착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배선 기판(10)은 절연층(11),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의 일체화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배선 기판(10)은, 접속 단자(T)를 통하여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25)과 접속되어 있다.
배선 기판(10)에 있어서의 절연층(11)은, 유리 클로스(glass-cloth) 등의 심재(core)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경화시켜 구성되어 있다. 절연층(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4.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8㎜로 설정되어 있다. 절연층(11)은, 절연층(11)의 한쪽의 층면(표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층면(이면)으로 개구되는 방형(rectangular) 형상의 개구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개구부(12)는 절연층(11)의 프레스에 의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10)에 이용하는 접착 시트로서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 시트가 채용되어 있으며, 에폭시계 접착제는 다른 접착제와 비교하여 접착성, 열전도성, 절연성이 우수하다. 접착 시트의 두께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착 시트의 접착제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채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접착제로서 실리콘계 접착제를 채용해도 좋고, 유리 섬유(glass-fibers)가 들어있지 않은 프리프레그를 접착제로서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접착 시트뿐만 아니라 도포 타입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연층(11)에 대하여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을 고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은, 소재가 되는 동판(copper plate)의 펀칭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도체판이다. 각 배선 패턴(13, 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의 동판에 소정의 패턴을 펀칭 프레스 가공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大)전류(예를 들면 50∼180A)에 대응 가능한 판 형상의 회로 패턴으로서 소정의 판두께의 금속판이 채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 정의하는 금속판이란, 펀칭 가공이 가능하고, 외력을 가하는 일 없이 형상이 유지 가능한 두께의 판 형상체를 의미한다. 추가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 정의하는 금속판의 개념은, 에칭 가공을 필요로 하는 스스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각 배선 패턴(13, 21)은, 동판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 등의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배선 기판(10)은, 대전류용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아주 약한 전류용(수mA)에 사용해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배선 패턴(13)은, 절연층(11)과 중첩하는 패턴 접합부(14)와, 패턴 접합부(14)로부터 절연층(11)의 개구부(12)측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패턴 연설부(extended portion;15)를 구비하고 있다. 패턴 접합부(14)는 절연층(11)에 대하여 접착 시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이다. 패턴 연설부(15)는, 절연층(11)에 접합되지 않는 비(非)중첩이 되는 부위로서, 굴곡에 의해 표면측 배선 패턴(13)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연설부(15)는, 패턴 접합부(14)측에 연통하는(communicates) 기부(base;16)와, 기부(16)보다도 작은 폭의 선단부(17)를 갖고 있고, 기부(16)와 선단부(17)와의 사이에는 단차(18)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18)는 기판(25)을 지지하고, 배선 기판(10)과 기판(25)과의 소정 거리를 유지한다. 기부(16)는 선단부(17)보다도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에 상당한다. 또한, 기부(16)에 있어서 굴곡되는 부분인 굴곡 예정 개소에는, 스프링 백(spring back) 방지의 형상 보정을 위한 오목부로서의 스트라이킹(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라이킹(20)은 표면측 배선 패턴(13)의 펀칭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다.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선단부(17)의 측부는, 모퉁이부를 모따기한 테이퍼부(19)를 갖는다. 테이퍼부(19)는,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 선단부(17)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기판(25)의 접속처에 대하여 접속 단자(T)를 상대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다.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기부(16)의 길이 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이 상방으로 향하고, 배선 기판(10)의 기판면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측 배선 패턴(13)의 최외면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패턴 연설부(15)의 굴곡은, 절연층(11),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의 일체화의 후에 행해진다. 패턴 연설부(15)의 굴곡 개소를 굴곡 위치(P)로 하면, 패턴 연설부(15)는, 기단(基端)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에서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한다. 무변위 부분은 기부(16)의 일부로 형성되며, 굴곡 변위 부분은 기부(16)의 나머지 부분과 선단부(17)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굴곡 변위 부분의 길이(높이)를 2.0㎜로 하고 있지만, 굴곡 변위 부분의 길이는 배선 기판(10)이나 기판(25)의 조건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선 기판의 기판면을 패턴 접합부가 아니라 절연층이 형성하는 경우, 패턴 연설부의 선단은 절연층의 최외면으로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다음으로, 이면측 배선 패턴(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이면측 배선 패턴(21)은, 접착 시트에 의해 절연층(11)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면측 배선 패턴(21)은, 표면측 배선 패턴(13)과 같이 패턴 연설부를 구비하는 일은 없으며, 절연층(11)의 개구부(12)와 거의 동일 형상의 개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층(11)은 개구부(12)에 면한 단연(edge)을 갖는다. 또한, 표면측 배선 패턴(13)과 이면측 배선 패턴(21)과의 층간 도통을 도모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10)은, 다른 부재인 기판(25)과 접속 단자(T)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기판(25)은, 절연층(26), 표면측 배선 패턴(27) 및 이면측 배선 패턴(28)의 일체화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판(25)에는, 배선 기판(10)의 접속 단자(T)를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29)을 구비하고 있으며, 삽입구멍(29)은 접속 단자(T)를 형성하는 패턴 연설부(15)의 선단부(17)만을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삽입구멍(29)에 삽입된 선단부(17)와 기판(25)과의 간극(gap)에는 땜납(S)이 충전되고 있어, 땜납(S)에 의해 접속 단자(T)와 기판(25)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있다. 땜납(S)을 이용한 접속 단자(T)와 기판(25)과의 고정에 의해 배선 기판(10)과 기판(25)과의 도통 및 기판(25)에 있어서의 표면측 배선 패턴(27)과 이면측 배선 패턴(28)과의 층간 도통이 도모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10)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선 기판(10)의 제조 공정에는, 패턴 성형 공정, 절연층 성형 공정, 접합 공정 및 패턴 굴곡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패턴 성형 공정은,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을 소재가 되는 동판으로부터 프레스 펀칭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이다. 절연층 성형 공정은, 프리프레그를 열경화시켜 절연층(1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접합 공정은, 절연층(11)에 접착 시트를 통하여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을 고정하여, 절연층(11),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공정이다. 패턴 굴곡 공정은, 접합 공정 후에 있어서, 표면측 배선 패턴(13)에 있어서의 패턴 연설부(15)를 굴곡시켜 접속 단자(T)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공정에 앞서 미리 형성된 절연층(11),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을 준비한다. 절연층(11)에 대해서는, 절연층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클로스 등의 심재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형성된 절연층(11)을 펀칭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개구부(12)를 형성한다.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의 소재가 되는 소정의 형상의 동판을 준비한다. 표면측 배선 패턴(13)을 성형하는 패턴 성형 공정에서는, 소재가 되는 동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패턴 접합부(14) 및 패턴 연설부(15)를 갖는 표면측 배선 패턴(13)이 성형된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서는, 표면측 배선 패턴(13)에 있어서, 스프링 백 방지의 형상 보정을 위한 스트라이킹 가공에 따른 스트라이킹(20)과,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기부(16)와 선단부(17)와의 사이의 단차(18)와, 가이드부로서의 모퉁이부를 모따기한 테이퍼부(19)와, 실장 패드인 오목부(23)가 성형된다. 이면측 배선 패턴(21)을 성형하는 패턴 성형 공정에서는, 소재가 되는 동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개구부(22)를 갖는 이면측 배선 패턴(21)이 형성된다.
접합 공정에서는, 절연층(11)의 표면 및 이면에 접착 시트를 접착한 후, 이면측 배선 패턴(21) 상에 절연층(11)을 겹치고, 표면측의 접착 시트 상에 표면측 배선 패턴(13)을 겹쳐,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진공 프레스에 의해 가압한다. 가압에 의해, 절연층(11)의 이면측에 이면측 배선 패턴(21)이 고정되고, 절연층(11)의 표면측에 표면측 배선 패턴(13)이 고정되어, 절연층(11), 표면측 배선 패턴(13) 및 이면측 배선 패턴(21)의 일체화가 도모된 적층체(10A)를 얻는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10A)는 표면 및 이면은 돌기물이 없는 평탄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배선 패턴(13)의 패턴 연설부(15)가 절연층(11)의 개구부(22)측으로 곧게 연이어 설치된 상태에 있고, 스트라이킹(20)의 일부는 개구부(22)측에 위치한다. 패턴 연설부(15)는, 개구부(12)에 면한 절연층(11)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상태에 있다. 실장 패드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의 표면 실장을 행하는 경우, 이 상태에서 마운터(mounter)에 의해 전자 부품이 적층체(10A)에 실장되고, 리플로우(reflow)에 의한 납땜이(soldering)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의 패턴 연설부(15)는 기판면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전자 부품의 표면 실장 공정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적층체(10A)에 전자 부품이 실장된 후, 다음으로, 패턴 굴곡 공정으로 옮긴다.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패턴 연설부(15)를 굴곡시켜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우선, 표면 누름 지그(31)에 의해 스트라이킹(20)을 포함하는 적층체(10A)의 표면을 누름과 함께, 이면 누름 지그(32)에 의해 절연층(11)의 개구부(12)를 제외하는 적층체(10A)의 이면을 누른다. 다음으로, 승강 가능한 펀치(33)를 적층체(10A)의 이면측으로부터 패턴 연설부(15)에 대향시켜, 펀치(33)를 상승시킨다. 상승하는 펀치(33)는 패턴 연설부(15)의 하면과 맞닿지만, 그 후의 펀치(33)의 상승에 의해, 패턴 연설부(15)는 굴곡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연설부(15)는, 펀치(33)의 상승에 의해 표면 누름 지그(31)의 단부를 따르도록 기부(16)의 도중으로부터 굴곡된다. 패턴 연설부(15)는, 기단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부터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하고, 굴곡 변위 부분은 무변위 부분에 대하여 수직으로 굴곡된 부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굴곡 변위 부분의 선단은, 표면측 배선 패턴(13)의 최외면인 표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패턴 연설부(15)의 굴곡 변위 부분의 선단은, 기판(25)과 접속시에 삽입구멍(29)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패턴 연설부(15)가 굴곡됨으로써 접속 단자(T)가 형성되어, 접속 단자(T)를 구비한 배선 기판(10)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배선 기판(10)에 기판(25)을 접속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굴곡된 패턴 연설부(15)는 접속 단자(T)를 구성하고 있다. 기판(25)의 삽입구멍(29)이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기판(25)을 배선 기판(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기판(25)을 배선 기판(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후, 기판(25)을 배선 기판(10)으로 향하여 하강시킨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5)을 하강시킴으로써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은 기판(25)의 삽입구멍(29)에 삽입된다. 또한, 패턴 연설부(15)의 선단과 기판(25)의 삽입구멍(29)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근소하게 벗어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테이퍼부(19)가 기판(25)에 대하여 접속 단자(T)를 상대적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은 기판(25)의 삽입구멍(29)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25)을 배선 기판(10)에 대하여 하강시키도록 했지만, 기판(25)에 대하여 배선 기판(10)을 상승시켜 배선 기판(10)의 접속 단자(T)를 기판(25)의 삽입구멍(29)으로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은 기판(25)의 삽입구멍(29)에 삽입되어도, 기판(25)을 하강시키면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단차(18)가 기판(25)과 맞닿아, 기판(25)의 하강이 규제된다. 단차(18)가 기판(25)과 맞닿음으로써 배선 기판(10)과 기판(25)과의 거리가 설정됨과 함께, 기판(25)은 패턴 연설부(15)에 의해 지지된다. 배선 기판(10)과 기판(25)과의 거리는,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 굴곡 위치(P)에서 단차(18)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연설부(15)와 기판(25)의 삽입공(29)과의 간극에 땜납(S)을 충전한다. 땜납(S)의 충전에 의해 접속 단자(T)와 기판(25)이 물리적으로 고정됨과 함께, 배선 기판(10)과 기판(25)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땜납(S)은 환경면에서 납프리 땜납(lead-free solde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1) 각 배선 패턴(13, 21)과 절연층(11)과의 적층 후에 패턴 연설부(15)를 굴곡시킴으로써, 기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단자(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배선 패턴의 일부를 접속 단자(T)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연설부(15)의 굴곡에 의해 접속 단자(T)를 형성하는 점에서, 접속 단자(T)는 접속처의 기판(25)에 대한 방향의 제약을 받기 어렵다. 굽힘 가공한 접속 단자(T)를 접속함으로써 다른 부품은 불필요하고, 또한, 실장 면적의 증대에 의해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이 가능하다.
(2) 접속 단자(T)는, 기판면인 굴곡 전의 패턴 연설부(15)의 최외면과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고, 접속 단자(T)를 형성하는 패턴 연설부(15)의 선단은 기판면과 직각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선단 위치를 설정하는 자유도가 높아져, 이 기판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기판(25)과 패턴 연설부(15)를 접속하기 쉬워진다.
(3) 패턴 연설부(15)는, 접속처가 되는 기판(25)의 삽입구멍(29)에 대하여 접속 단자(T)를 안내하는 테이퍼부(19)를 갖고 있으며, 테이퍼부(19)는 기판(25)의 삽입구멍(29)에 대하여 접속 단자(T)를 상대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완수한다. 배선 기판(10)과 기판(25)이 근소하게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라도, 테이퍼부(19)가 패턴 연설부(15)를 상대적으로 안내함으로써, 배선 기판(10)은 기판(25)과 접속하기 쉬워진다.
(4) 패턴 연설부(15)는, 접속처가 되는 기판(25)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단차(18)를 갖고 있으며, 단차(18)는 패턴 연설부(15)가 기판(25)과 접속된 상태에서는 기판(25)의 이면과 맞닿아 기판(25)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25)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배선 기판(10)에 있어서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5) 패턴 연설부(15)는 땜납(S)에 의해 기판(25)과 접속되기 때문에, 배선 기판(10)과 기판(25)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패턴 연설부(15)와 기판(25)의 피(被)접속부인 삽입구멍(29)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도, 간극에 땜납(S)이 충전되어, 배선 기판(10)과 기판(25)을 접속할 수 있다.
(6) 굴곡 전의 패턴 연설부(15)에는 스프링 백 방지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 연설부(15)가 굴곡되어도 접속 단자(T)의 스프링 백이 방지된다. 그리고, 오목부는, 패턴 연설부(15)에 있어서의 굴곡 예정 개소의 스트라이킹 가공에 따른 스트라이킹(20)으로,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접속 단자(T)의 스프링 백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7) 배선 패턴(13, 21)과 절연층(11)과의 적층 후에 패턴 연설부(15)를 굴곡시켜 접속 단자(T)를 형성하기 때문에, 접속 단자(T)가 형성되기 전의 적층체(10A)는, 표리면 모두 돌기물이 없는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기판 제조시에 있어서의 적층체(10A)의 조작이나 취급에 알맞아, 배선 기판(10)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8) 배선 패턴(13, 21)이 동판에 의해 형성되고, 배선 패턴(13)에 실장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배선 패턴(13)에 전자 부품을 표면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의 표면 실장 후의 배선 패턴(13)을 굴곡시킴으로써, 전자 부품을 구비한 접속 단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배선 기판에서는, 이면측 배선 패턴이 패턴 연설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패턴 연설부가 굴곡되어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면측 배선 패턴(41)은 절연층(11)의 상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표면측 배선 패턴(41)은 절연층(11)과 중첩되고, 절연층(11)의 개구부(12)와 거의 동일 형상의 개구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측 배선 패턴(41)과 이면측 배선 패턴(43)과의 층간 도통을 도모하는 일이 있다.
이면측 배선 패턴(43)은, 절연층(11)과 중첩하는 패턴 접합부(44)와, 패턴 접합부(44)로부터 개구부(12)로 연이어 설치되는 패턴 연설부(45)를 구비하고 있다. 패턴 접합부(44)는, 이면측 배선 패턴(43)에 있어서 절연층(11)과 접착 시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이다. 패턴 연설부(45)는, 절연층(11)에 접합되지 않는 비중첩의 부위로서, 굴곡에 의해 이면측 배선 패턴(43)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패턴 연설부(45)는, 기단에서 선단까지 일정한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패턴 연설부(45)에 있어서 굴곡이 예정되는 개소인 굴곡 예정 개소에는, 스프링 백 방지의 형상 보정을 위한 오목부로서의 쐐기홈(46)이 형성되어 있고, 쐐기홈(46)은 이면측 배선 패턴(43)의 펀칭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다. 형성 직후의 쐐기홈(46)의 홈 패임 각도는 약 100도이다.
패턴 연설부(45)의 길이 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패턴 연설부(45)의 선단이 상방으로 향하고, 배선 기판(40)의 기판면이며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최외면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패턴 연설부(45)의 굴곡은, 절연층(11), 이면측 배선 패턴(43) 및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일체화의 후에 행해진다. 패턴 연설부(45)의 굴곡 개소를 굴곡 위치(P)로 하면, 패턴 연설부(45)는, 기단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에서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40)은, 다른 부재인 기판(47)과 접속 단자(T)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기판(47)은, 절연층(48), 표면측 배선 패턴(49) 및 이면측 배선 패턴(50)의 일체화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판(47)에는, 배선 기판(10)의 접속 단자(T)를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구멍(52)을 구비한 끼워맞춤 부재(51)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구멍(52)은 접속 단자(T)를 형성하는 패턴 연설부(45)의 선단부를 끼워맞춤 가능하게 하고 있다. 패턴 연설부(45)의 선단부와 끼워맞춤 부재(51)의 끼워맞춤구멍(52)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접속 단자(T)와 기판(47)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기판(47)은 접속 단자(T)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끼워맞춤에 의한 접속 단자(T)와 기판(47)과의 고정에 의해 배선 기판(40)과 기판(47)과의 도통이 도모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배선 기판(40)의 제조 공정에는, 패턴 성형 공정, 절연층 성형 공정, 접합 공정 및 패턴 굴곡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만, 각 공정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면측 배선 패턴(43)에 있어서의 패턴 연설부(45)의 굴곡에 의해 패턴 연설부(45)의 선단측이 상방으로 향하는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표면 누름 지그(53), 이면 누름 지그(54) 및 펀치(55)를 이용한다. 표면 누름 지그(53) 및 이면 누름 지그(54)의 일부는, 패턴 연설부(45)의 기단부 부근을 누르는 구조이다.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표면 누름 지그(53)에 의해 적층체(40A)의 표면과 패턴 연설부(45)의 기단 부근을 누름과 함께, 이면 누름 지그(54)에 의해 적층체(40A)의 이면과 패턴 연설부(45)의 기단 부근을 누른다. 이에 따라, 패턴 연설부(45)가 굴곡되어도, 굴곡 후의 패턴 연설부(45)와 표면측 배선 패턴(49)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패턴 연설부(45)와 표면측 배선 패턴(49)과의 단락(short)이 방지된다. 승강 가능한 펀치(55)를 상승시켜 패턴 연설부(45)를 굴곡시킨다. 패턴 연설부(45)는 표면 누름 지그(53)의 단부를 따르도록 길이 방향의 도중으로부터 굴곡되어 있어, 기단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에서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하고, 굴곡 변위 부분은 무변위 부분에 대하여 수직으로 굴곡된 부위로 되어 있다. 굴곡 변위 부분의 선단은, 기판면이며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최외면인 표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턴 연설부(45)가 굴곡됨으로써 접속 단자(T)가 형성되어, 접속 단자(T)를 구비한 배선 기판(40)이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1), (2), (6),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면측 배선 패턴(43)에 있어서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단자(T)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47)의 피접속부가 끼워맞춤구멍(52)을 구비한 끼워맞춤 부재(51)로서, 접속 단자(T)와 끼워맞춤구멍(52)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배선 기판(40)이 기판(47)과 접속되기 때문에, 땜납을 이용하지 않고 접속 단자(T)와 기판(47)을 접속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배선 기판에서는, 복수의 절연층의 사이에 형성된 내측 배선 패턴에 있어서 접속 단자를 형성하는 패턴 연설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제1, 2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선 기판(60)은, 표면측 배선 패턴(41)과, 이면측 배선 패턴(21)과, 내측 배선 패턴(65)과, 제1 절연층(61)과, 제2 절연층(63)을 구비하고 있다. 표면측 배선 패턴(41)은, 제1 절연층(61)과 중첩하고, 제1 절연층(61)의 개구부(62)와 거의 동일한 개구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면측 배선 패턴(21)은 제2 절연층(63)과 중첩하고, 제2 절연층(63)의 개구부(64)와 거의 동일한 개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배선 패턴(65)은, 제2 실시 형태의 이면측 배선 패턴(43)과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이다. 내측 배선 패턴(65)은, 제1 절연층(61) 및 제2 절연층(63)과 중첩하는 패턴 접합부(66)와, 패턴 접합부(66)로부터 개구부(62, 64)측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패턴 연설부(67)를 구비하고 있다. 패턴 접합부(66)는, 제1 절연층(61)과 제2 절연층(63)과의 사이에 끼워져 접착 시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패턴 연설부(67)는, 제1 절연층(61) 및 제2 절연층(63)과 비중첩의 부위로서, 굴곡에 의해 내측 배선 패턴(65)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패턴 연설부(67)는, 기단에서 선단까지 일정한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패턴 연설부(67)에 있어서 굴곡이 예정되는 개소인 굴곡 예정 개소에는, 스프링 백 방지의 형상 보정을 위한 쐐기홈 가공에 의한 쐐기홈(68)이 형성되어 있고, 쐐기홈(68)은 내측 배선 패턴(65)의 펀칭 프레스 가공시에 형성된다. 쐐기홈(68)은 제2 실시 형태의 쐐기홈(46)과 동일 구성이다.
패턴 연설부(67)의 도중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패턴 연설부(67)의 선단이 상방으로 향하여, 배선 기판(60)의 기판면으로서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최외면인 표면보다 돌출된다. 패턴 연설부(67)의 굴곡은, 제1 절연층(61), 제2 절연층(63), 이면측 배선 패턴(21), 표면측 배선 패턴(41) 및 내측 배선 패턴(65)의 일체화의 후에 행해진다. 패턴 연설부(67)의 굴곡 개소를 굴곡 위치(P)로 하면, 패턴 연설부(67)는, 기단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에서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60)은, 다른 부재인 기판(47)과 접속 단자(T)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기판(47)은 제2 실시 형태의 기판(47)과 동일 구성이다. 기판(47)에는, 피접속부로서의 끼워맞춤구멍(52)을 구비한 끼워맞춤 부재(51)가 형성되어 있어, 패턴 연설부(67)의 선단측과 끼워맞춤 부재(51)의 끼워맞춤구멍(52)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접속 단자(T)와 기판(47)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배선 기판(60)의 제조 공정에는, 패턴 성형 공정, 절연층 성형 공정, 접합 공정 및 패턴 굴곡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만, 접합 공정을 제외하는 각 공정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접합 공정에서는, 이면측으로부터 차례로, 이면측 배선 패턴(21), 제2 절연층(63), 내측 배선 패턴(65), 제1 절연층(61), 표면측 배선 패턴(41)과 겹쳐 쌓은 후,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적층체(60A)를 얻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배선 패턴(65)에 있어서의 패턴 연설부(67)의 굴곡에 의해 패턴 연설부(67)의 선단측이 상방으로 향하는 접속 단자(T)를 형성한다.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표면 누름 지그(69), 이면 누름 지그(70) 및 펀치(71)를 이용한다. 표면 누름 지그(69) 및 이면 누름 지그(70)의 일부는, 패턴 연설부(67)의 기단 부근을 누르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패턴 연설부(67)가 굴곡되어도, 굴곡 후의 패턴 연설부(67)와 표면측 배선 패턴(41)과의 사이에 간극(gap)이 형성되어, 패턴 연설부(67)와 표면측 배선 패턴(41)과의 단락이 방지된다.
패턴 굴곡 공정에서는, 표면 누름 지그(69)에 의해 적층체(60A)의 표면과 패턴 연설부(67)의 기단 부근을 누름과 함께, 이면 누름 지그(70)에 의해 적층체(60A)의 표면과 패턴 연설부(67)의 기단 부근을 누른다. 승강 가능한 펀치(71)를 상승시킴으로써 패턴 연설부(67)가 굴곡된다. 패턴 연설부(67)는 표면 누름 지그(69)의 단부를 따르도록 길이 방향의 도중으로부터 굴곡되어 있고, 기단에서 굴곡 위치(P)까지의 무변위 부분과, 굴곡 위치(P)에서 선단까지의 굴곡 변위 부분을 구비하고, 굴곡 변위 부분은 무변위 부분에 대하여 수직으로 굴곡된 부위로 되어 있다. 굴곡 변위 부분의 선단은, 기판면이며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최외면인 표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턴 연설부(67)가 굴곡됨으로써 접속 단자(T)가 형성되어, 접속 단자(T)를 구비한 배선 기판(60)이 얻어진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1), (2), (6),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측 배선 패턴(65)에 있어서 표면측 배선 패턴(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단자(T)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T)와 끼워맞춤구멍(52)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배선 기판(60)이 기판(47)과 접속되기 때문에, 땜납을 이용하지 않고 접속 단자(T)와 기판(47)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기와 같이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패턴 연설부를 단일로 했지만, 개구부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패턴 연설부는 복수라도 좋다. 또한,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측에 있어서의 패턴 연설부가 배선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다고 했지만, 패턴 연설부의 개구부에 대한 연이어 설치된 방향은 자유로와, 예를 들면, 배선 기판의 폭 방향이라도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층의 개구부를 방형 형상으로 했지만 절연층의 개구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절연층의 개구부는 원형이나 부정형이라도 좋고,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한쪽이 개방된 コ자 형상의 개구부라도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의 배선 패턴으로 형성된 접속 단자의 선단이, 표면측의 기판면(표면측 배선 패턴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했지만, 각 접속 단자의 선단을 이면측의 기판면(이면측 배선 패턴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배선 기판에 있어서는 배선 패턴이 제3 실시 형태보다도 다층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하나의 개구부에 있어서 복수의 배선 패턴으로 각각 접속 단자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배선 기판의 기판면이 패턴 접합부가 아니라 절연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패턴 연설부의 선단은 절연층의 최외면으로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도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의 배선 패턴으로 형성된 접속 단자는 선단측 부위(굴곡 변위 부분)가 기단측 부위(무변위 부분)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굴곡되어 있지만, 반드시 직각의 굴곡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접속 단자는 선단측이 기판면보다도 돌출되면, 선단측 부위가 경사져도 좋고, 또한, 패턴 연설부가 만곡적으로 굴곡되어,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도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기판이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과 접속된다고 했지만, 다른 부재는 기판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 부품의 외, 점퍼 등의 부품이라도 좋고, 접속 단자와의 접속이 가능한 부재이면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층이 개구부를 구비하고, 패턴 연설부가 절연층의 개구부로 연이어 설치된다고 했지만, 절연층의 개구부를 필수로 하는 의미가 아니며, 예를 들면, 패턴 연설부가 절연층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라도 좋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층의 개구부로 선단을 갖는 「외팔보(cantilever)」의 패턴 연설부가 연이어 설치된다고 했지만, 예를 들면, 개구부를 횡가(橫架)하는 「양팔보」의 패턴 연설부(extended portion supported at both ends)라도 좋다. 이 경우, 패턴 연설부의 중심 부근을 압압함으로써, 패턴 연설부의 절곡과 변형에 의해, 중심에 선단을 갖는 접속 단자가 형성된다. 접속 단자의 선단은 절연층 또는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된다.
○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패턴의 개구부는, 절연층의 개구부와 거의 동일 형상으로 했지만, 배선 패턴의 개구부가 절연층의 개구부와 거의 동일 형상인 것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면, 배선 패턴의 개구부의 형상이, 절연층의 개구부의 형상과 상이해도 좋다.
○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T1)는, 절연층(81)에 고정되는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83a)과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83b)을 뛰어 넘어 연결하는 점퍼선을 구성해도 좋다. 접속 단자(T1)에 의해, 배선 패턴(83a)과 배선 패턴(83b)을 뛰어 넘어 이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속 단자(T1)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입설부(standing portions;86)와, 좌우 한 쌍의 입설부(86)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87)와, 수평부(8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부(88)를 갖고 있다. 수평부(87)의 상면에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90)이 올려놓여진다.
배선 기판(80)은, 배선 패턴(83a, 83b, 83c)과, 이 배선 패턴(83a, 83b, 83c)이 고정되는 절연층(81)을 갖고 있다. 배선 패턴(83a, 83b, 83c)은, 프레스 가공된 동판(넓은 의미로는 도체판)으로서, 절연층(81)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배선 패턴(83a, 83b)은, 절연층(81)과 접합하는 패턴 접합부(84)와, 패턴 접합부(84)로부터 연이어 설치되고, 절연층(81)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패턴 연설부(85)를 구비하고, 패턴 연설부(85)를 굴곡시킴으로서 연설부(85)의 일부가 패턴 접합부(84)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접속 단자(T1)를 형성하고 있다.
절연층(81)은, 절연층(81)을 관통하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82a, 82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사각판 형상을 이루는 절연층(81)에 있어서의 하나의 변에 있어서 개구부(사각형의 절결부)(82a, 82b)가 이간(離間)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82a, 82b)에 패턴 연설부(85)의 근원부(기부)가 위치하고, 접속 단자(T1)는, 절연층(81)(또는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과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즉, 점퍼선을 구성하는 접속 단자(T)는, 도 9a에 나타내는 절곡 가공 전의 상태로부터 펀치 등에 의해 평면의 구리 패턴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워 설치되고, 구리 패턴(배선 패턴(83c))을 넘는 점퍼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a-도 8c의 연결부(88)는,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90)에 있어서의 절연층(91)을 관통하여 땜납에 의해 절연층(91)의 상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92)과 납땜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연결부(88)는 접속 단자(T1)의 선단을 향하여 패턴 연설부(85)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갖는다(선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점퍼선을 구성하는 접속 단자(T1)는,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83a) 및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83b)과는 상이한 배선 패턴(83c)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가교되어 있다. 특히 도 8c에 있어서는 접속 단자(T1)의 수평부(87)는 절연층(81)의 표면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층(81)에 고정된 배선 패턴(83c)과는 일정한 거리(H1)만큼 떨어진 상태로 가교되어 있으며, 거리(H1)는 예를 들면 2㎜이다. 이에 따라, 점퍼선(수평부(87))과 배선 패턴(83c)과의 사이의 절연 거리(공간 거리)를 벌어 안전한 전기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점퍼선을 구성하는 접속 단자(T1)와 배선 패턴(83c)을 확실하게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a-도 8c에서는 접속 단자(T1)를 이용하여 배선 기판(80)을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90)에 납땜으로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다른 예가 채용되어도 좋다. 즉, 접속 단자(T1)의 연결부(88)를 기판(90)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수평부(87)의 상면에 기판(90)을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올려놓고, 배선 기판(80)에 기판(90)을 기계적으로 접속해도 좋다(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접속해도 좋음).
또한, 도 8a-도 8c에서는 수평부(87)의 상면에 다른 부재로서의 기판(90)을 올려놓았지만, 기판(90)의 하면에 있어서 수평부(87)의 배치 영역에 배선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수평부(87)와 기판(90)의 하면의 배선 패턴이 쇼트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다른 예가 채용되어도 좋다. 즉, 연결부(88)에는 선단부(101)보다도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100)를 형성하고, 이 광폭부(100)에 기판(90)을 올려놓아도 좋다. 이때, 연결부(88)를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101)로 해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선단부(102)로 해도 좋다.
또한, 도 8a-도 8c에 있어서 점퍼선(수평부(87))의 바로 아래에 배선 패턴(83c)이 위치하지 않는 배선 기판이라도 좋다.

Claims (13)

  1. 배선 기판으로서,
    배선 패턴과,
    상기 배선 패턴이 고정되는 절연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단연(端緣;edge)을 갖고,
    상기 배선 패턴은,
    상기 절연층과 접합하는 패턴 접합부와,
    상기 패턴 접합부로부터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절연층의 단연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패턴 연설부(extended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또는 상기 패턴 접합부는 최외면을 갖고,
    상기 패턴 연설부를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연설부의 일부가 상기 절연층 또는 상기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접속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턴 연설부는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절연층 또는 상기 패턴 접합부의 최외면과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연설부의 측부는, 상기 접속 단자의 선단(先端)을 향하여 상기 패턴 연설부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연설부는, 상기 접속 단자의 선단부보다도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wide por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땜납에 의해 다른 부재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은, 프레스 가공된 도체판이며, 상기 절연층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연설부의 굴곡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스트라이킹(striking) 또는 쐐기홈(wedge-shaped groo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이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에 실장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절연층에 고정되는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과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을 연결하는 점퍼선(jumper line)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선을 구성하는 접속 단자는, 상기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 및 다른 하나의 구획의 배선 패턴과는 상이한 배선 패턴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가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KR1020137024642A 2011-04-19 2012-01-06 배선 기판 KR201301269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315 2011-04-19
JP2011093315A JP2012049504A (ja) 2010-07-30 2011-04-19 配線基板
PCT/JP2012/050139 WO2012144238A1 (ja) 2011-04-19 2012-01-06 配線基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985A true KR20130126985A (ko) 2013-11-21

Family

ID=4704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642A KR20130126985A (ko) 2011-04-19 2012-01-06 배선 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01472A4 (ko)
KR (1) KR20130126985A (ko)
CN (1) CN103444272A (ko)
TW (1) TWI477211B (ko)
WO (1) WO2012144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523B2 (ja) 2019-06-06 2023-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8360A (en) * 1960-10-08 1963-10-29 Hackler Ludwig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ircuits
JPS5285362A (en) * 1976-01-09 1977-07-15 Hitachi Ltd Method of producing connecting terminal of ceramic wiring substrate
JPS63152260U (ko) * 1986-10-23 1988-10-06
JPH0210723U (ko) * 1988-06-30 1990-01-23
JPH03117862U (ko) * 1990-03-16 1991-12-05
JPH05218669A (ja) 1992-01-31 1993-08-27 Nec Eng Ltd プリント基板の保持機構
JPH0878880A (ja) * 1994-07-01 1996-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及び回路装置
JP2000068614A (ja) * 1998-08-20 2000-03-03 Seiko Epson Corp 回路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1057465A (ja) 1999-08-17 2001-02-27 Ricoh Co Ltd プリント基板間の接続構造
JP2008010592A (ja) 2006-06-28 2008-01-17 Nec Access Technica Ltd 基板の連結構造
JP4818218B2 (ja) 2007-07-27 2011-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5279225B2 (ja) * 2007-09-25 2013-09-04 三洋電機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238A1 (ja) 2012-10-26
EP2701472A4 (en) 2014-10-08
CN103444272A (zh) 2013-12-11
EP2701472A1 (en) 2014-02-26
TW201247054A (en) 2012-11-16
TWI477211B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1704B2 (ja) 配線基板
US9693457B2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EP2913897B1 (en) Connector structure,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2013157124A (ja) フラット配線材及びそれを用いた実装体
CN216698775U (zh) 用于将基板连接在一起的电触头及包括其的电学组件
JP5242302B2 (ja) バスバー、このバスバーが搭載されるプリント基板及びこのプリント基板を備える自動車用電装部品
JP5600428B2 (ja) メス型コネクタブロック及びコネクタ
JP4827135B2 (ja) 表面実装クリップ
JP4963281B2 (ja) 電線とプリント基板との接続構造
KR20130126985A (ko) 배선 기판
US20150244088A1 (en) Electrical contacts, fusible members, and methods of attaching electrical contacts to substrates
JP2006164580A (ja) ケーブル付き電気コネクタ
JP6959342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3923475B2 (ja) コネクタ
JP2013197040A (ja) フラット配線材及びそれを用いた実装体
JP4097187B2 (ja) コネクターおよびその実装構造
JP3124813U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4388168B2 (ja) 樹脂成形基板
JP2015109262A (ja) 基板用端子
JP2009117123A (ja) 電線とプリント基板との接続構造
JP5882132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51499A (ja) 立体構造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ループ配線形成方法
JP407009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への電子部品の実装方法及び実装接続部
WO2015151292A1 (ja) プリント配線板ユニット
JP2011243796A (ja) 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