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657A -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657A
KR20130125657A KR1020120049347A KR20120049347A KR20130125657A KR 20130125657 A KR20130125657 A KR 20130125657A KR 1020120049347 A KR1020120049347 A KR 1020120049347A KR 20120049347 A KR20120049347 A KR 20120049347A KR 20130125657 A KR20130125657 A KR 2013012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nector
wire
strand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657A/ko
Publication of KR2013012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변환 장치 및 인쇄회로기판(PCB)에 센서와이어 또는 전원선 등의 연선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으로 통전 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신뢰도 높은 부품의 결속방안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 및 미숙련자에 의해 발생되는 제조상의 불량의 원인을 사전에 차단/배제함으로써 제품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고, 이전의 불완전 여지를 포함한 공정을 통한 제품의 제작과정을 한차원 높은 공정/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구현하는 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전력전자제품과 인쇄회로기판이 통전되도록 하는 전선인 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선와이어가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solidarity of the Stranded Wir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전력변환 장치 및 인쇄회로기판(PCB)에 센서와이어 또는 전원선 등의 연선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으로 통전 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신뢰도 높은 부품의 결속방안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 및 미숙련자에 의해 발생되는 제조상의 불량의 원인을 사전에 차단/배제함으로써 제품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고, 이전의 불완전 여지를 포함한 공정을 통한 제품의 제작과정을 한차원 높은 공정/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구현하는 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의 실장/납땜의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력변환장치에서 필요한 기능 및 구성을 위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의 탑 실크(PCB Top silk)에 구현된 항목/형상에 맞추어 부품을 올려놓는다. 이때 인쇄회로기판(PCB)에 마련된 납땜용 관통공(Hole)에 부품의 리드가 알맞은 위치에 실장이 된다.
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부품들은 기능상의 요구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에서 필요한 부품(와이어 등)을 관련 규격에 맞추어 구현한다. 그리고 연속납땜공정을 거쳐 전력변환장치가 요구되는 부품들(PCB Ass'y 등)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에서 필요한 부품들을 실장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직접 납땜 등을 하여 결속시킬 수도 있지만, 인쇄회로기판에 일체화된 부품이 아닌 이격된 부품으로 전선 등을 활용하여 별도의 납땜으로 실장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연선와이어로 잘 구부려지지만 강도가 낮고 구부러진 형태에서 고정이 되지 않으므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내입된 후 납땜을 위해서는 고정되지 않아 이탈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에서 각 부품의 실장에 따른 결속과정의 편의성 및 결속력은 각 부품의 납땜을 위해 마련된 리드와 인쇄회로기판(PCB)의 납땜용 관통공(Hole)과의 관계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리드의 크기에 비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PCB Hole)의 크게 되면 부품이 설계자의 의도에 맞지 않은 위치에 놓이게 되는 불량이 된다. 이와는 반대로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PCB Hole)이 작게 되면 상기 리드를 끼워넣기 어려워 부품을 쉽게 실장할 수 없으므로 양산성이 떨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기능구현을 위해 와이어 등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PCB Hole)에 관련 부품(특히 와이어)을 결속하기 위해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많은 공정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연선 와이어(여러 가닥의 가는 동선을 일정방향으로 꼬여져 있는 전선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전기/전력제품에 사용되고 있음)를 사용할 경우, 연선 와이어의 재료의 특성(Copper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연성/전성이 좋음)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PCB Hole)에 모든 동선이 끼워지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일부의 동선이 관통공(PCB Hole)에 끼워지지 못하고 나오거나, 일부가 휨 등으로 인해 불량의 여지로 남게 된다. 이런 불량은 전력변화장치의 기능저하 또는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도한 관통공(PCB Hole)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 납땜 공정이 어렵고, 납땜 작업시간이 길어져, 양산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아울려 사용되는 연선와이어의 절연을 위해 적용된 피복이 납땜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피복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서 녹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고, 이는 제품의 기능/신뢰성에 지대한 영향을 가하는 전기적 절연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기에 치명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변환장치에 설치되는 전류센서(Current Sensor)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때, 인쇄회로기판과 연선와이어의 통전 결속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으로 연선와이어의 말단에 커넥터를 구비하여 내입시키고 납땜작업을 간단하고 깔끔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연선와이어의 말단을 내입 결속시키고 납땜하는 작업을 개선함으로써 오작동 및 기능저하의 원인을 제거하고, 작업의 숙련도를 낮추어 작업시간의 단축화를 실현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기능상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선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결속되는 과정에서 연선와이어 말단의 피복이 납땜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녹아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상의 불량요소를 해결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 및 전기적 절연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전력전자제품과 인쇄회로기판이 통전되도록 하는 전선인 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선와이어가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 및 상기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원선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센서와이어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납땜부는 제1커넥터납땜부 및 제2커넥터납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는 각각 제1커넥터납땜부 및 제2커넥터납땜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결속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와이어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센서와이어의 말단을 보호하고, 센서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핀; 및 상기 커넥터핀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내입되어 걸림 결합된 후 납땜에 의해 통전 결속되는 커넥터납땜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연선와이어를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내입시켜 납땜 결속시키는 경우, 연선와이어 동선의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동선의 휨이나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PCB Hole)에서 빠짐 등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숙련 정도에 따른 불량 정도의 차이가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하며, 공정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으며, 부품 및기능의 완성도를 향상시켜 전력변환장치의 신뢰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인쇄회로기판 관통공(PCB Hole)의 최적화를 통해 납땜공정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으며 공정상의 열로 인해 발생되는 부품의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관통공(Hole)의 크기를 작게 설계함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아트워크(PCB Art-work) 상의 공간적 제한을 해결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화된 전기적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력변환장치에 설치되는 전류센서(Current Sensor)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때, 인쇄회로기판과 연선와이어의 통전 결속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으로 연선와이어의 말단에 커넥터를 구비하여 내입시키고 납땜작업을 간단하고 깔끔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연선와이어의 말단을 내입 결속시키고 납땜하는 작업을 개선함으로써 오작동 및 기능저하의 원인을 제거하고, 작업의 숙련도를 낮추어 작업시간의 단축화를 실현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기능상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선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결속되는 과정에서 연선와이어 말단의 피복이 납땜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녹아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상의 불량요소를 해결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 및 전기적 절연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연선와이어의 결속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연선와이어의 결속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센서와이어의 결속을 도시한 입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서 센서와이어가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와이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분야에서 활용되는 인쇄회로기판에의 연선와이어가 납땜 결속되는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전력변환장치에서 필요한 기능 및 구성을 위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PCB Top silk)에 구현된 항목 및 형상에 맞추어 부품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에서 구현이 되어야 하는 기능을 위해 필요한 부품(연선와이어 등)을 필요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연선와이어의 결속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에 설치되는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30)은 연선와이어로 형성된 전원선(50) 및 센서와이어(40)에 의해 납땜 결속된다.
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관통공들(31a, 31b)을 포함하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은 전원선(50)이 내입 관통되는 전원선 관통공(31a) 및 센서와이어(40)가 내입 관통되는 센서와이어 관통공(31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50)은 상기 전원선관통공(31a)에 말단이 내입되어 관통된 후 납땜부(41)에서 납땜에 의해 견고히 통전 결속되고, 상기 센서와이어(40)는 상기 센서와이어관통공(31b)에서 말단이 내입되어 관통된 후 납땜부(42)에서 납땜에 의해 견고히 통전 결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연선와이어(40, 50)의 인쇄회로기판(30)에의 납땜 결속은 그 말단이 연성이 있고, 관통공에 내입 관통되기 어려울 뿐더러 관통시킨 후에도 납땜작업이 불편하다. 그리고, 상기 연선와이어(40, 50)의 말단에 있는 피복이 납땜작업에 의해 녹아 인쇄회로기판에 흘러내리는 경우 제품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선와이어(40, 50)의 특징에 의한 불량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510, 420)를 채용한다. 그리고 연속납땜공정을 거쳐 전력변환장치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30); 및 상기 전력전자제품과 인쇄회로기판(30)이 통전되도록 하는 전선인 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관통공(31a, 31b)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선와이어가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50); 및 상기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30)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40);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센서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전력변환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기 센서와이어(40)가 인쇄회로기판(30)과 전류센서를 통전 연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0)에서 전류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선와이어는, 단부가 각각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되므로 말단을 제외한 전선부가 인쇄회로기판(30) 상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는 전선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선와이어가 감기는 지지본체(1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에 상기 지지본체(10)의 중앙 관통공에는 연선와이어가 내입 관통되어 감김으로써 말단을 제외한 전선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선와이어 중 전원선(50)은 지지본체(10)의 중앙 관통공을 통과하여 자유로운 유동을 구속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와이어(40)는 상기 지지본체(10)의 관통공을 통해 내입된 후 지지본체(10)의 상부에 다수회 감김으로써 전선부가 좀더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원선(50)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1커넥터(510) 및 상기 센서와이어(40)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2커넥터(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510) 및 제2커넥터(420)가 인쇄회로기판(30)의 관통공(31a, 31b)에 내입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납땜 고정되는 납땜부는 제1커넥터납땜부(511) 및 제2커넥터납땜부(4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510)는 상기 제1커넥터납땜부(511)에서 전원선(50)이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420)는 상기 제2커넥터납땜부(421)에서 센서와이어(40)가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통전 결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선와이어(40, 50)로 인해 발생되는 불량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커넥터(510, 420)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때 적용되는 커넥터는 연선와이어의 굵기 및 인쇄회로기판(PCB)의 납땜 정도에 따라 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31a, 31b)에 맞는 걸림 형상으로 끼워졌을 때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커넥터 말단에 후크핀의 형상을 채용하여, 재료의 특성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가진 부품의 연선와이어 말단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관통공에 내입 걸림 결속함으로써, 상기 연선와이어는 납땜공정 전에 인쇄회로기판(PCB)의 일정위치에 반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납땜공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연선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PCB) 상의 회로를 최종적으로 통전 연결하여 전력변환장치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30); 및 상기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30)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4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와이어(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관통공(31b)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42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와이어(40)가 상기 커넥터(42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0)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420)는, 상기 센서와이어의 말단을 보호하고, 센서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하우징(423);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핀(425); 및 상기 커넥터핀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내입되어 걸림 결합된 후 납땜에 의해 통전 결속되는 커넥터납땜부(421);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423)은, 도 4 내지도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센서와이어의 말단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재에 의해 감싸진 부위로써, 센서와이어(40)의 말단 피복이 납땜에 의해 녹는 것을 보호하고 이로써 센서와이어(40)와 인쇄회로기판(30)의 납땜 결속이 매우 간단하고 깔끔하게 작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커넥터하우징(423)은 인쇄회로기판(30)의 관통공(31b)에 센서와이어(40)의 말단을 쉽게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핀(425)은, 앞선 실시예에서 본 것처럼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관통공(31b)에 내입된 후 걸림으로써 반고정된 상태로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센서와이어(40)가 연선와이어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와이어(40)의 말단은 커넥터(420)가 형성되어 센서와이어(40)를 인쇄회로기판(30)에 납땜 결속하는 경우 커넥터하우징(423)에 의해 피복이 벗겨져 녹아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지지 본체 30 : 인쇄회로기판(PCB)
31a, 31b : 관통공 40 : 센서와이어
41 : 전원선 납땜부 42 : 센서와이어 납땜부
50 : 전원선
510 : 제1커넥터 511 : 제1커넥터 납땜부
420 : 제2커넥터 421 : 제2커넥터 납땜부
423 : 제2커넥터하우징 425 : 제2커넥터 핀

Claims (8)

  1. 전력전자제품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력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전력전자제품과 인쇄회로기판이 통전되도록 하는 전선인 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선와이어가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선와이어가 감기는 지지본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선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 및
    상기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원선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센서와이어의 말단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납땜부는 제1커넥터납땜부 및 제2커넥터납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는 각각 제1커넥터납땜부 및 제2커넥터납땜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선와이어는 전류센서와 인쇄회로기판을 통전 연결하는 센서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와이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와이어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선와이어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고정 결속시키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핀;
    상기 센서와이어 또는 전원선의 말단에서 상기 커넥터핀을 고정 결합하는 커넥터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핀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내입되어 걸림 결합된 후 납땜에 의해 통전 결속되는 커넥터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KR1020120049347A 2012-05-09 2012-05-09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KR20130125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47A KR20130125657A (ko) 2012-05-09 2012-05-09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47A KR20130125657A (ko) 2012-05-09 2012-05-09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57A true KR20130125657A (ko) 2013-11-19

Family

ID=4985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347A KR20130125657A (ko) 2012-05-09 2012-05-09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9165A (zh) * 2017-10-24 2018-04-2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电源线的固定结构及电机
CN108663559A (zh) * 2017-03-27 2018-10-16 株式会社田村制作所 电流检测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3559A (zh) * 2017-03-27 2018-10-16 株式会社田村制作所 电流检测器
CN107949165A (zh) * 2017-10-24 2018-04-2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电源线的固定结构及电机
CN107949165B (zh) * 2017-10-24 2020-05-1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电源线的固定结构及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422B2 (en) Solder containment brackets
JP4650948B2 (ja) スルーホールのはんだ付け構造
JP2016178633A (ja) パワーフィルター
US20130337697A1 (en) Adapter For Plated Through Hole Mounting Of Surface Mount Component
JP6033164B2 (ja) 端子、電子制御装置
KR20130125657A (ko) 연선와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결속 개선을 위한 구조
JP2004530303A (ja) マウントされる接触スリーブ管を含むプリント回路基板
US9485850B2 (en)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281138A (ja) 配線基板
CN108449885B (zh) 一种在单面印刷线路板上实现双面焊接元器件的方法
CN211090145U (zh) 电路板及电子设备
JP2017139394A (ja) 電子回路基板とfpcの電気接続構造および方法
CN103917044B (zh)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造方法
CN209748929U (zh) 多样化装配印刷线路板
EP2381751A1 (en) Auxiliary board joining structure
JP5973070B2 (ja) 回路アッセンブリ
JP4618195B2 (ja) 電子部品のプリント配線板への取付け方法
CN220796410U (zh) 磁性器件、电源装置以及计算设备
CN218070238U (zh) 一种pcb组件
KR101141903B1 (ko) 연결 패턴부를 구비하는 저항구조
CN202839988U (zh) 一种用于二极管的空心连接件
JP3133087U (ja) ジャンパー線保持具
KR101228528B1 (ko) 전기 통전 부품 및 제조 방법
KR200457128Y1 (ko) 반도체 통전 테스트장치
JP3012948U (ja) Bga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