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919A - 혼련기 - Google Patents

혼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919A
KR20130121919A KR1020137017542A KR20137017542A KR20130121919A KR 20130121919 A KR20130121919 A KR 20130121919A KR 1020137017542 A KR1020137017542 A KR 1020137017542A KR 20137017542 A KR20137017542 A KR 20137017542A KR 20130121919 A KR20130121919 A KR 20130121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drop door
chamber
knead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366B1 (ko
Inventor
지로 아가와
다카시 모리베
슈이치 하나다
히로키 다테미
가즈히토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 B29B7/26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from the underside in mixers having more than one rotor and a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하면서,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소형화함으로써, 비용를 저감할 수 있는 혼련기를 제공한다.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 내에 투입된 상기 고무를 혼련하는 혼련용 로터와, 상기 챔버의 하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챔버의 상기 하부를 개방 가능한 드롭 도어와, 복수의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챔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 타 단부에 마련된 접촉면이, 상기 드롭 도어에 마련된 피접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를 회전시키는 가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이다.

Description

혼련기{KNEADER}
본 발명은 고무 재료 등을 혼련하는 혼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혼련기가 구비하는 드롭 도어 보지 구조와 관련된 것이다.
본 원은 2012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041770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고무 등을 혼련하는 밀폐식 혼련기에는, 혼련실로부터 피혼련물을 배출하는 드롭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드롭 도어 보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220456 호에는 유압 제어 장치의 드롭 제어 회로에 의해 드롭 도어를 개폐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에서는, 래치 장치의 래치가 드롭 도어에 대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를 유압 실린더로 드롭 도어측에 진입시키고, 래치의 경사면을 드롭 도어의 경사면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드롭 도어를 혼련기 측으로 밀어올려, 혼련실과 드롭 도어의 밀폐성을 보지하고 있다. 또한, 재료의 혼련 후에는, 래치를 유압 실린더로 드롭 도어측으로부터 퇴피시켜 드롭 도어를 개방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220456 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에서는, 드롭 도어의 경사면에 래치를 마찰 접촉으로 진입시키기 때문에, 드롭 도어의 로크 작동의 반복에 수반하여, 드롭 도어의 경사면 및 래치의 경사면이 마모하기 쉬워, 혼련실과 드롭 도어 사이의 밀폐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에서는, 재료를 혼련할 때의 반력에 대하여, 래치를 드롭 도어에 가압하는 로크시 및 래치를 드롭 도어로부터 퇴피시키는 언로크시의 작용력을 강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하면서,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소형화함으로써, 혼련기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롭 도어 보지 기구와 드롭 도어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여 마모를 억제하는 동시에, 혼련실과 드롭 도어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의 혼련기(이하 "본 발명의 혼련기"라 칭함)는, 고무가 투입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챔버 내에 투입된 상기 고무를 혼련하는 혼련용 로터와, 상기 챔버의 하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챔버의 상기 하부가 개방 가능하게 구성된 드롭 도어와, 복수의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챔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 타 단부에 마련된 접촉면이, 상기 드롭 도어에 마련된 피접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를 회전시키는 가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의 보지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혼련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공간 절약화로 연결되는데다가, 혼련기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혼련기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련기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링크 부재가, 상기 접촉면이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피접촉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드롭 도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와 드롭 도어 사이의 마찰이 저감되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과 드롭 도어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 및 드롭 도어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롭 도어가 마모되어도 링크 기구가 작동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와 드롭 도어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드롭 도어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련기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다른 링크 부재가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드롭 도어의 회전 중심 주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촉면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혼련실(3) 내에서 혼련된 재료가 혼련실(3) 외부로 취출될 때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를 퇴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혼련된 재료가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혼련기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인 제 1 링크 부재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 단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3 링크 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의 보지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서,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련기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인 제 1 링크 부재와,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 단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3 링크 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 기구의 타 단부가 상기 챔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의 보지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서,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련기에 의하면,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의 보지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드롭 도어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혼련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공간 절약화가 가능한데다가, 혼련기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련기에 의하면, 드롭 도어 보지 기구를 드롭 도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와 드롭 도어와의 사이의 마찰이 저감되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과 드롭 도어와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혼련기(1)는, 챔버(2)와, 챔버(2)의 내부에 마련된 혼련실(3)과, 혼련실(3)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혼련용 로터(4, 5)를 구비하는 밀폐식의 혼련기이다. 또한, 한 쌍의 혼련용 로터(4, 5)는 동일 혹은 유사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혼련용 로터(4, 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혼련용 로터(4, 5)의 각각의 외표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날개부(6, 7)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6, 7)는, 예를 들면, 혼련용 로터(4, 5)의 축선(8, 9)에 대하여 나선 형상으로 비틀려 형성된다.
혼련기(1)의 상부에는, 혼련실(3)에 연통하며 고무 원료 등의 혼련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10)와, 호퍼(10)에 투입된 혼련 재료를 혼련실(3)에 압입하는 플로팅 웨이트(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혼련기(1)의 하부에는, 혼련된 재료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드롭 도어(12)와, 드롭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한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롭 도어(12)는, 회전 중심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드롭 도어(12)에는, 피접촉면(18)이 형성되어 있다. 피접촉면(18)은, 피접촉면(18)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축(24) 주위의 접선(L1)에 대하여, 피접촉면(18)의 법선(L2)이 외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즉, 피접촉면은(18)은 하측을 향한 면이며, 회전 중심축(24)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부터 중심측(도 3의 지면에 있어서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이다.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는 복수의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는 제 1 링크 부재(14), 제 2 링크 부재(15), 및 제 3 링크 부재(16)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부재(14)의 일 단부(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와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는, 제 2 가동부(20)을 거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와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는 제 3 가동부(21)를 거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가동부(20)는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과 접촉하는 접촉면(17)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면(17)은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에 고정되어 마련되어도 좋다.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은, 제 1 링크 부재(14)의 일 단부(14a)의 회전에 따라,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즉, 접촉면(17)이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접촉면(17)에 있어서는, 제 1 가동부(19) 주위의 접선(L3)과 피접촉면(18)의 법선(L2)이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15)는,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 2 링크 부재(15)는, 접촉면(17)이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링크 부재(15)의 축선(L4)과 피접촉면(18)이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15)는, 그 축선(L4)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 도어(12)의 회전 중심축(24) 주위의 접선(L1) 방향에 대하여,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링크 부재(15)와 제 3 링크 부재(16)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접촉면(17)이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링크 부재(15)의 축선(L4)과 제 3 링크 부재(16)의 축선(L5)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혼련기(1)에 있어서, 호퍼(10)를 거쳐서 투입된 혼련 재료는 플로팅 웨이트(11)에 의해서 혼련실(3) 내에 압입된 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혼련용 로터(4, 5)의 사이, 및 혼련용 로터(4, 5)와 혼련실(3)의 내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 작용에 의해서 혼련된다. 그리고, 혼련된 재료는, 혼련실(3)의 저부에 마련된 드롭 도어(12)를,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를 작동시켜 개방함으로써 혼련실(3) 외부로 취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작동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재료를 혼련하기 전에 있어서, 혼련실(3)에 대해 드롭 도어(12)를 로크할 때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롭 도어(12)를 로크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를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제 2 가동부(20)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와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는, 제 2 가동부(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와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가 실린더 로드(22)의 축선 상을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는 제 2 가동부(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링크 부재(14)의 일 단부(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의 회전에 따라서,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면,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하면, 드롭 도어(12)가 혼련실(3)에 가압되어, 드롭 도어(12)와 혼련실(3)의 밀폐성이 보지된다.
다음에, 재료를 혼련한 후에 있어서, 혼련실(3)에 대한 드롭 도어(12)의 로크를 해제할 때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드롭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를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퇴피시키면, 제 2 가동부(20)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구동한다.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와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는 제 2 가동부(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와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가 실린더 로드(22)의 축선 상을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는 제 2 가동부(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링크 부재(14)의 일 단부(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의 회전에 따라서,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눌려진다.
제 2 링크 부재(15)의 일 단부(15a)와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으로부터 이격한다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으로부터 이격하면, 혼련실(3)에 대한 드롭 도어(12)의 로크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에 의하면, 제 1 링크 부재(14)의 타 단부(14b)에 마련된 접촉면(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접촉면(18)에 접촉하여 드롭 도어(12)와 혼련실(3)의 밀폐성이 보지된다. 그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접촉면(17)과 드롭 도어(12)의 피접촉면(18) 사이의 마찰이 저감되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3)과 드롭 도어(12)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접촉면(17)과 드롭 도어(12)의 피접촉면(18)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에 의하면, 접촉면(17)이, 제 1 링크 부재(14)의 일 단부(14a)의 회전에 따라,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12)의 보지력이 증폭되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드롭 도어(12)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혼련기(1)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혼련기(1)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혼련기(1)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에 의하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의 접촉면(17)이 마모하여도 링크 기구가 작동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와 드롭 도어(12)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되지 않아, 드롭 도어(12)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에 의하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는, 제 2 링크 부재(15)가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 도어(12)의 회전 중심축(24) 주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촉면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3) 내에서 혼련된 재료가 혼련실(3) 외부로 취출될 때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를 퇴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혼련된 재료가 드롭 도어 보지 기구(13)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는, 제 2 링크 부재(15)에, 제 1 링크 부재(14)와 제 2 링크 부재(15) 사이에 개재하는 스토퍼(2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25)를 마련함으로써, 축선(L4)과 축선(L5)을 직선 형상으로 보지하고, 축선(L4)과 축선(L5)이 유압 실린더(23)를 예각으로 하는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스토퍼(25)는 제 1 링크 부재(14)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가 가장 연장되었을 때에, 축선(L4)과 축선(L5)이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유압 실린더(23)가 마련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3)를 이와 같이 마련함으로써, 축선(L4)과 축선(L5)을 직선 형상으로 보지하고, 축선(L4)과 축선(L5)이 유압 실린더(23)를 예각으로 하는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b)에,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스토퍼(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26)를 마련함으로써, 축선(L4)과 축선(L5)을 직선 형상으로 보지하고, 축선(L4)과 축선(L5)이 유압 실린더(23)을 예각으로 하는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스토퍼(26)는, 제 3 링크 부재(16)의 일 단부(16a)에, 제 2 링크 부재(15)의 타 단부(15a)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는 제 1 링크 부재(114), 제 2 링크 부재(115), 및 제 3 링크 부재(116)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부재(114)의 일 단부(1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와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는 제 2 가동부(120)를 거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와 제 3 링크 부재(116)의 일 단부(116a)는 제 3 가동부(121)를 거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링크 부재(116)의 타 단부(116b)는 챔버(2)의 하면에 제 4 가동부(122)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는,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과 접촉하는 접촉면(117)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가동부(120)는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과 접촉하는 접촉면(117)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면(117)은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에 고정되어 마련되어도 좋다.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은, 제 1 링크 부재(114)의 일 단부(114a)의 회전에 따라,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즉, 접촉면(117)이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접촉면(117)에 있어서는, 제 1 가동부(119) 주위의 접선(L11)과 피접촉면(18)의 법선(L12)이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은,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즉, 접촉면(117)과 피접촉면(18)이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피접촉면(18)과 접촉면(117)의 제 1 가동부(119) 주위의 접선(L13)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115)는,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 도어(12)의 회전 중심축(24) 주위의 접선(L11) 방향에 대하여,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혼련기(101)에 있어서, 호퍼(10)를 거쳐서 투입된 혼련 재료는, 플로팅 웨이트(11)에 의해서 혼련실(3) 내에 압입된 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혼련용 로터(4, 5)의 사이, 및 혼련용 로터(4, 5)와 혼련실(3)의 내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 작용에 의해서 혼련된다. 그리고, 혼련된 재료는, 혼련실(3)의 저부에 마련된 드롭 도어(12)를,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를 작동시켜 개방함으로써 혼련실(3) 외부로 취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작동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재료를 혼련하기 전에 있어서, 혼련실(3)에 대하여 드롭 도어(12)를 로크할 때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드롭 도어(12)를 로크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를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제 2 가동부(120)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와 제 3 링크 부재(116)의 일 단부(116a)는 제 2 가동부(1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와 제 3 링크 부재(116)의 일 단부(116a)가 실린더 로드(22)의 축선 상을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는 제 2 가동부(1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링크 부재(114)의 일 단부(1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의 회전에 따라,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가 드롭 도어(12)측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면,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접촉하면, 드롭 도어(12)가 혼련실(3)에 가압되어, 드롭 도어(12)와 혼련실(3)의 밀폐성이 보지된다.
다음에, 재료를 혼련한 후에 있어서, 혼련실(3)에 대한 드롭 도어(12)의 로크를 해제할 때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드롭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23)의 실린더 로드(22)를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퇴피시키면, 제 2 가동부(120)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구동한다.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와 제 3 링크 부재(116)의 일 단부(116a)는 제 2 가동부(1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와 제 3 링크 부재(116)의 일 단부(116a)가 실린더 로드(22)의 축선 상을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는 제 2 가동부(120)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링크 부재(114)의 일 단부(114a)는, 챔버(2)의 하면에, 제 1 가동부(119)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링크 부재(115)의 타 단부(115b)의 회전에 따라서,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눌려진다.
제 2 링크 부재(115)의 일 단부(115a)와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가 드롭 도어(12)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눌려지면,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으로부터 이격한다.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으로부터 이격하면, 혼련실(3)에 대한 드롭 도어(12)의 로크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에 의하면, 제 1 링크 부재(114)의 타 단부(114b)에 마련된 접촉면(117)이 드롭 도어(12)에 마련된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하고, 드롭 도어(12)와 혼련실(3)의 밀폐성이 보지된다. 그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접촉면(117)과 드롭 도어(12)의 피접촉면(18) 사이의 마찰이 저감하여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3)과 드롭 도어(12)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접촉면(117)과 드롭 도어(12)의 피접촉면(18)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에 의하면, 접촉면(117)이, 제 1 링크 부재(114)의 일 단부(114a)의 회전에 따라, 피접촉면(18)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접촉면(18)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링크 기구에 의해 드롭 도어(12)의 보지력이 증폭되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드롭 도어(12)에 대한 가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혼련기(101)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혼련기(101)의 유지 보수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혼련기(101)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에 의하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의 접촉면(17)이 마모하여도 링크 기구가 작동하기 때문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와 드롭 도어(12) 사이의 밀폐성이 저하하지 않으며, 드롭 도어(12)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기(101)에 의하면,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는, 제 2 링크 부재(115)가 피접촉면(18)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롭 도어(12)의 회전 중심부(24) 주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촉면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혼련실(3) 내에서 혼련된 재료가 혼련실(3) 외부로 취출될 때에,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를 퇴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혼련된 재료가 드롭 도어 보지 기구(113)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혼련기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각 구성 부재의 모든 형상이나 편성 등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가동부(20, 120)를 드롭 도어(12)측에 대해 진퇴시키는 기구로서 유압 실린더(23)를 채용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압 실린더(23) 대신에, 예를 들면, 공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등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유압 실린더(23) 대신에, 예를 들면, 제 2 가동부(20, 120)를 드롭 도어(12)측에 대해 진퇴시키는 스프링 구조를 구비하는 기구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유압 실린더(23) 대신에, 예를 들면, 제 1 링크 부재(19, 119)와 제 2 링크 부재(20, 120), 및 제 2 링크 부재(20, 120)와 제 3 링크 부재(21, 121)를 각각 회전 모터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기구를 채용하여도 좋다.
혼련기의 드롭 도어 보지 기구의 장기 수명화 및 소형화에 의해, 혼련기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1, 101 : 혼련기 2 : 챔버
3 : 혼련실 4, 5 : 혼련용 모터
6, 7 : 날개부 10 : 호퍼
11 : 플로팅 웨이트 12 : 드롭 도어
13, 113 : 드롭 도어 보지 기구 14, 114 : 제 1 링크 기구
15, 115 : 제 2 링크 기구 17 : 접촉면
18, 118 : 피접촉면 19, 119 : 제 1 가동부
20, 120 : 제 2 가동부 21, 121 : 제 3 가동부
22 : 실린더 로드 23 : 유압 실린더
122 : 제 4 가동부

Claims (5)

  1. 고무가 투입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챔버 내에 투입된 상기 고무를 혼련하는 혼련용 로터와,
    상기 챔버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챔버의 상기 하부가 개방 가능하게 구성된 드롭 도어와,
    복수의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챔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타 단부 측에 마련된 접촉면이, 상기 드롭 도어에 마련된 피접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된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를 회전시키는 가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링크 부재가, 상기 접촉면이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피접촉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다른 링크 부재가 상기 피접촉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드롭 도어의 회전 중심 주위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접촉면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인 제 1 링크 부재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 단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3 링크 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하나의 링크 부재인 제 1 링크 부재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상기 타 단부에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의 일 단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 부재와, 상기 제 2 링크 부재와 상기 제 3 링크 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 기구의 타 단부는 상기 챔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련기.
KR1020137017542A 2012-02-28 2012-11-29 혼련기 KR101509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1770A JP5791545B2 (ja) 2012-02-28 2012-02-28 混練機
JPJP-P-2012-041770 2012-02-28
PCT/JP2012/080897 WO2013128735A1 (ja) 2012-02-28 2012-11-29 混練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919A true KR20130121919A (ko) 2013-11-06
KR101509366B1 KR101509366B1 (ko) 2015-04-07

Family

ID=4908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542A KR101509366B1 (ko) 2012-02-28 2012-11-29 혼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791545B2 (ko)
KR (1) KR101509366B1 (ko)
CN (1) CN103402719B (ko)
DE (1) DE112012000769B4 (ko)
TW (1) TWI501813B (ko)
WO (1) WO20131287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727A (ko) * 2019-03-08 2020-09-16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양극재 제조를 위한 분말원료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분말원료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5436B2 (ja) * 2013-10-15 2017-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混練機
US9700860B2 (en) * 2015-02-05 2017-07-1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Technology Corporation Mixer provided with floating weight moving mechanism
JP6751008B2 (ja) * 2016-11-21 2020-09-02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混練状態判定システム、混練状態判定装置、混練状態判定システムの操作画面、および混練状態判定補助システム
CN107336373A (zh) * 2016-12-19 2017-11-10 东莞市昶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式气氛保护钛合金密炼机
CN107053509B (zh) * 2017-03-13 2019-06-18 佛山市宏尔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pvc透明膜生产的密炼设备
CN106827284B (zh) * 2017-03-13 2019-03-12 佛山唯尔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台布生产的顶部出料的密炼机
CN107186926B (zh) * 2017-07-27 2019-04-23 临沂启泰橡胶有限公司 橡胶粉研磨装置
RU2721131C1 (ru) * 2019-07-18 2020-05-18 Дунгуань Сити Чанфэн меканикал технолоджи Ко., Лтд. Смеситель нового типа из титанового сплава с атмосферной защито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241A (en) * 1918-09-17 1920-03-04 Fernley Hope Banbury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Kneading or Mixing Rubber and other Heavy Plastic Material.
US3135440A (en) 1962-07-20 1964-06-02 Farrel Birmingham Co Inc Discharge door operating mechanism for rubber mixers and the like
JPS5814945U (ja) * 1981-07-24 1983-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混練機の原料排出扉の固定装置
JP2724051B2 (ja) 1991-03-27 1998-03-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混練機のオリフィス装置
US5492403A (en) 1995-03-13 1996-02-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Drop door control for internal mixer
JPH091545A (ja) * 1995-06-16 1997-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ゴム混練機の運転方法
JP3137894B2 (ja) * 1996-01-31 2001-02-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式混練機
JPH09220456A (ja) * 1996-02-19 1997-08-26 Kobe Steel Ltd 密閉式混練機におけるラッチ装置
JPH10193342A (ja) * 1997-01-10 1998-07-28 Kobe Steel Ltd 密閉式混練機におけるドア開閉機構
JP3620944B2 (ja) * 1997-02-18 2005-02-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型混練機のダストストップ装置
US8047701B2 (en) * 2005-07-26 2011-11-01 Kobe Steel, Ltd. Batch mixer
CN200957641Y (zh) * 2006-10-24 2007-10-10 益阳橡胶塑料机械集团有限公司 密炼机锁紧装置
JP5356046B2 (ja) * 2009-01-13 2013-12-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式混練機及びその監視方法
PL2810756T3 (pl) * 2009-01-13 2016-09-30 Zamknięty mieszalnik wsadu
CN101659090A (zh) * 2009-07-21 2010-03-03 大连橡胶塑料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密炼机新型受力封闭的锁紧机构
JP4625143B1 (ja) 2010-08-20 2011-02-02 藤雄 野城 アスベスト含有壁の解体方法及び該解体方法に用いるアスベスト含有壁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727A (ko) * 2019-03-08 2020-09-16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양극재 제조를 위한 분말원료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분말원료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0769T5 (de) 2013-11-14
DE112012000769B4 (de) 2019-05-16
TW201343257A (zh) 2013-11-01
KR101509366B1 (ko) 2015-04-07
CN103402719B (zh) 2016-01-20
TWI501813B (zh) 2015-10-01
JP5791545B2 (ja) 2015-10-07
JP2013176884A (ja) 2013-09-09
WO2013128735A1 (ja) 2013-09-06
CN103402719A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1919A (ko) 혼련기
US10370883B2 (en) Apparatus for window
CN103002830A (zh) 电动牙刷
KR101564805B1 (ko) 혼련 장치
US20070175729A1 (en) Retractable stop assembly
CN1745192A (zh) 带有一装料锁及相应装置的涂敷机
CN101792059B (zh) 一种阻链器及包括该阻链器的煤炭输送机械
CN102287096B (zh) 双盖门互锁机构
CN104153659B (zh) 一种人员闸门联锁机构
CN102672931B (zh) 一种注塑机机械保险机构
CN106181620A (zh) 一种用于板材表面的安全加工装置
CA2612527A1 (en) Engine clutch actuator
ITTO20130716A1 (it) Vasca per macchina impastatrice
JP2017517657A (ja) ギア要素の回転軸の距離を保護する為の駆動ユニット
AU2006100826A4 (en) A fluid pump
CN204081751U (zh) 一种人员闸门联锁机构
CN104442319B (zh) 用于车辆的开放式车顶构造
CN116446872B (zh) 一种多自由度矿产开采装置
CN213568751U (zh) 一种耐磨层可拆的耐磨辊
CN203757356U (zh) 一种高混机的安全保护装置
JP6294634B2 (ja) 電気転てつ機用回路制御器
RU80181U1 (ru) Привод распашных ворот
CN103402716A (zh) 工具机系统
CN106078379A (zh) 一种可调节板材加工设备
CN106271919A (zh) 一种板材表面处理用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