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984A -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984A
KR20130120984A KR1020127031854A KR20127031854A KR20130120984A KR 20130120984 A KR20130120984 A KR 20130120984A KR 1020127031854 A KR1020127031854 A KR 1020127031854A KR 20127031854 A KR20127031854 A KR 20127031854A KR 20130120984 A KR20130120984 A KR 2013012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kates
door
cabin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헨셀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12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은 도어 드라이브(3) 상의 확장 스케이트들(4)을 이용하여 작동하고, 확장 스케이트들(4)은 액세스 레벨에 인접한 영역에 진입할 때 리프트 통로 도어를 록킹해제한다. 구체적인 특징으로서, 리프트 캐빈 도어 드라이브 상의 확장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캐빈(1)에 대해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되어, 리프트 통로의 상단에 있는 리프트 통로 헤드와 접촉하는 어떤 경우에도 스케이트들(4)은 조절 가능한 거리에 걸쳐 플렉시블하고, 리프트 캐빈(1)이 리프트 통로 헤드(2)로부터 이격된 후 스케이트들(4)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확장 스케이트들(4)은 각자의 가이드들(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확장 스케이트 구조 자체에 마운팅된다. 이 경우, 확장 스케이트들(4)은 인장 스프링들(9)에 의해 최상부 이동 위치에서 지지되고, 리프트 통로 헤드와 충돌에 따라 상부에서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인장 스프링들(9)의 힘에 저항하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이 릴리스된 후, 확장 스케이트들(4)은 인장 스프링들(9)에 의해 최상부 이동 위치에 복귀한다.

Description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LIFT SHAFT DOOR UN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에 따른 확장 스케이트들을 이용하여 리프트 통로 도어들을 록킹해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확장 스케이트들은 상단 및 바닥에서 내부를 향해 약간 굽은, 즉, 서로를 향해 약간 굽은 단부들을 가진 금속 레일들이다.
이들 두 스케이트들은 리프트 캐빈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므로, 리프트 캐빈 도어와 함께 운행되고 리프트 캐빈 위 상방으로 돌출된다. 스케이트들은 두 개의 연결 섀클에서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섀클들은 그 중심이 마운팅되어, 각각의 경우에 마운팅 플레이트 상의 축핀에 대해서 피봇가능하다. 이에 따라, 평행사변형이 형성되어 스케이트들은 서로 멀어지는 반시계방향으로 확장되는 동시에, 스케이트들을 연결하는 섀클들이 피봇된다. 이러한 확장 전에, 스케이트들은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반대편에 다른 높이로 놓여지며, 좌측 스케이트는 우측 스케이트보다 약간 높게 놓여진다. 이러한 확장의 경우, 섀클들의 좌측에 배치된 스케이트는 우측에 배치된 스케이트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피봇되고, 우측에 배치된 스케이트는 좌측에 배치된 스케이트로부터 반대로 우측 상방을 향해 피봇된다.
가장 최근의 리프트 드라이브 구조들은 단지 240 cm의 최소 통로 헤드 높이만을 허용한다. 이는 최상층 바닥에서부터 리프트 통로 헤드의 바닥, 즉, 리프트 통로의 실링부까지의 치수를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곳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캐빈 도어는 210 cm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오버트래벌(over travel)을 고려하면, 최상층에서 캐빈 위의 약 10 cm의 공간이 필요하다. 리프트 도어 드라이브를 위해 약 15 cm 추가적인 높이가 요구된다. 따라서, 최상부 일반 리프트 위치에서 약 5 cm 이하의 여유만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공간은 안전 버퍼로서 필요하다. 큰 하중이 걸린 리프트가 최상층에서 정확하게 층 높이로 정지한 후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캐빈은 운반 케이블들의 탄성 때문에 몇 cm 더 상승할 수도 있다. 구동과 관련된 이유들로 인해 일반적인 최상부 위치보다 리프트가 몇 cm 더 운행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여유가 필요하다. 이때에도, 리프트 통로 헤드 아래에 에어갭이 있어야만, 리프트 캐빈이 리프트 통로 헤드와 충돌하는 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어 드라이브에 포함되는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을 위한 확장 스케이트들은 리프트 캐빈 상의 부품 중 상부로 가장 많이 돌출하는 부품이다. 어떠한 이유로 리프트가 일반적인 최상부 위치에서 조금 더 운행한다면, 확장 스케이트들의 상단부들이 리프트 통로 천장과 충돌하여, 결과적으로 휘어서 작동하지 않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하나 또는 두 개의 약간 굽은 레일들 또는 이러한 스케이트들 때문에 전체 리프트 설비가 고장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초래하게 된다. 리프트 캐빈 안에 사람들이 갇힐 수도 있고, 수리 및 구조팀을 불러야 할 수도 있고, 리프트를 현장에서 수리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몇 시간이 걸릴 수 있고, 리프트 운전자 및 이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 스케이트들의 형태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은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 상의 확장 스케이트들을 포함하고, 확장 스케이트들은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케이트들이 의도치 않게 리프트 통로 헤드와 접촉한다면 조절가능한 거리에 걸쳐 플렉시블해지고, 리프트 캐빈이 리프트 통로 헤드로부터 이격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이 도시되며, 그 구조와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리프트 통로 헤드 및 확장 스케이트들 상부의 부족한 여유 공간과 관련된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어 드라이브 및 확장 스케이트 형태의 관련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이 구비된 리프트 캐빈의 상단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은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의 확장 스케이트들에 의해 록킹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 상태에서의 리프트 통로 도어의 도어 록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4는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의 확장 스케이트들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해제 상태에서의 리프트 통로 도어의 도어 록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캐빈(1)은 자신의 최상부 위치, 즉, 리프트 통로(7)에서의 최상부 액세스 레벨(5)에 정지한다. 도시된 리프트 통로 헤드(2)는 최상층에 위치한다. 리프트 통로 헤드(2)는 최상부 액세스 레벨(5)에서 260 cm의 높이에 위치한다. 리프트 캐빈(1)의 상단 우측, 즉, 리프트 캐빈의 상단 도어(26) 측 상에 도어 드라이브(3)가 제공된다. 도어 드라이브는 두 개의 확장 스케이트(4)를 포함하고, 일 측에서 봤을 때 그 중 하나가 도면에서처럼 도시된다. 점선으로 나타낸 리프트 통로 헤드(6)는 최상부 액세스 레벨(5)에서 240 cm의 높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은 감소된 리프트 통로 헤드(6)의 하부 경계 상부로 돌출한다. 리프트 통로 헤드(6)가 실재한다면, 확장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통로 헤드(6)와 충돌하여 변형된다. 그러면, 변형된 확장 스케이트들(4)이 전체 리프트 설비를 손상시켜 고장을 야기하고 불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정지시간에 따른 비효율과 더불어, 리프트를 다시 정상 작동시키기 위해 많은 경비가 요구된다.
그러나, 매우 낮은 리프트 통로 헤드들과, 도시된 바와 같은 210 cm 높이의 리프트 도어들이 구비된 높은 리프트 캐빈들에 대한 설치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제까지 이러한 요구는 확장 스케이트들에 문제를 일으키고, 제한된 상황에서 리프트 통로 헤드 상의 확장 스케이트를 손상시켰다. 리프트 도어 드라이브(3)는 리프트 캐빈 (1) 상에서 약 15 cm의 추가적인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210 cm의 원래 높이에 15 cm를 더해, 최상부 액세스 레벨(5)에서 225 cm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캐빈(1) 위 최상층의 오버트래벌(overtravel)에 대비해 약 10 cm 높이가 더 추가되어 235 cm의 높이가 된다. 이러한 공차는 임의의 손상에 대처하기에는 너무 작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대처하는 것이다.
해결책은 확장 스케이트들(4)이 플렉시블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리프트 통로 헤드(6)와 충돌할 때 확장 스케이트들(4)은 플렉시블하게 되어 리프트 캐빈(1)의 하방향 이동 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설계에 입각한 리프트 도어 드라이브 상에서의 확장 스케이트들(4)을 도시한다. 리프트 캐빈 (1), 특히, 리프트 캐빈 (1)의 도어 측이 도시된다. 도면은 리프트 캐빈 (1)의 좌측 상부 가장자리만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어 드라이브는 톱니 벨트(8)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카운터 폴(counter pawl)(13)로부터 폴(pawl)(12)이 분리됨에 따라 도어 드라이브가 릴리스되면 톱니 벨트(8)는 롤러들 상에서 측방으로 가이드되는 리프트 도어를 전후방으로 드래그한다. 리프트가 액세스 레벨에서 정지했을 때만, 또는 적어도 액세스 레벨 직전에서 정지하려고 할 때만, 즉, 리프트 운행의 마지막 단계에서만 리프트 도어 및 리프트 통로 도어는 개방될 수 있어야 한다.
리프트 도어들을 위한 리프트 모터는 리프트 캐빈 도어들뿐만 아니라 각각의 엑세스 레벨에서 리프트 통로 도어들을 개방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트 캐빈 도어와 이에 관련된 리프트 통로 도어가 단일 부품이나 다수 부품에 포함되어 일측으로만 개방되거나, 리프트 캐빈 도어와 리프트 통로 도어를 이루는 두 개의 단일 부품 또는 다수 부품의 날개들이 중간에서부터 서로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서 양 측으로 개방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드라이버 구조체가 작동하고, 드라이버 구조체에 의해 리프트 통로 도어들은 이동하는 리프트 캐빈 도어들을 따라서 이동되어 통로 도어 또는 통로 도어들을 개폐한다. 따라서, 리프트 통로 도어들은 전용 드라이브들을 갖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리프트 캐빈 도어 또는 리프트 캐빈 도어들이 통로 도어 또는 통로 도어들을 열고, 각각의 액세스 레벨에서 각자의 리프트 통로 도어들을 이동시켜 닫는데 있어서, 한 개의 전기 모터만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리프트 통로 도어 기준으로 올바른 위치에서 리프트 캐빈이 있을 때에만 가능하게 된다.
리프트 통로 도어들은 기본적으로 잠겨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리프트 통로 도어들은 외부에서 열리지 않게 되어, 비어있는 리프트 통로로의 추락사고를 막을 수 있다.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 상의 확장 스케이트들(4)의 형태로 제공되는 리프트 캐빈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은 리프트 캐빈 도어 및 각각의 엑세스 레벨에서 리프트 통로 도어들을 록킹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두 개의 확장 스케이트들(4)은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 배열되고, 상단의 양방향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들(1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확장 스케이트들(4)의 양단, 즉, 상하단은 서로를 향해 경사진다. 더욱이, 가이드들(11) 및 이에 따른 확장 스케이트들(4)은 핀들(16, 17)에 대해 피봇 가능한 연결 섀클(shackle) (14, 1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들(11) 및 이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되는 스케이트들(4)은 두 섀클(shackle) (14, 15)에 대응하는 핀들(16, 17)의 피봇 축들에 대해, 즉, 각각의 가이드(11)에 도시된 두 개의 양방향 곡선 화살표를 따라 피봇 가능하다. 따라서, 왼쪽 가이드(11)와 그에 대응하는 스케이트(4)는 오른쪽 상방 시계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고, 이와 동시에 오른쪽 가이드(11)와 그에 대응하는 스케이트(4)는 왼쪽 하방 시계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도시된 상태에서, 스케이트들은 서로에게 가능한 최대 거리로 이격되어 확장되고, 이어, 리프트가 운행되어 액세스 레벨에 도착하면,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고 통로 도어의 폴과 연동되어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을 록킹해제한다. 따라서, 스케이트들은 리프트 캐빈이 액세스 레벨에 완전히 도착하기 이전에도 작동할 수 있는 길이로 설계되어, 리프트 통로 도어는 록킹해제될 수 있고, 리프트 캐빈이 아래에서부터 또는 위에서부터 이동하다 정지를 위한 작동 중에도 리프트 통로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리프트 캐빈의 일반 운행 중에, 즉, 액세스 레벨들을 벗어난 상태에서, 스케이트들(4)은 함께, 즉, 도시된 양방향 곡선 화살표를 따라 끝단 위치들에서 피봇된다. 도어 개방 모터가 작동하자마자 상부 연결 섀클(14) 및 그 연장부(23)를 통해 스케이트들(4)은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데, 이는 미리 선택된 액세스 레벨에 인접한 영역에 리프트가 도착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 개의 스케이트들(4)은 근접한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에서 이동 후, 서로 이격되면서 확장된다. 이 때, 스케이트들(4)은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 상에 마운팅되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롤러(19, 20) 사이에 위치한다. 서로 이격되며 확장되는 스케이트들(4)과 이에 따라 가압되어 서로 간에 이격되는 두 롤러(19, 20)에 의해, 두 롤러(19, 20)가 부착되는 피봇 플레이트(18)가 그 연장편(24)과 함께 도면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면서, 도 3의 위치에서 도 4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한다. 이에, 연장편(24) 상의 폴(21)이 폴(22) 밖으로 피봇되고, 이에 따라,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이 록킹해제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체적인 특징으로서, 리프트 캐빈 도어 록킹 메카니즘의 두 개의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캐빈에 대해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스케이트들(4)은 각자의 가이드 (1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지는 않지만 하방으로는 약간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11)와 가이드(11)에 의해 이동하는 스케이트(4)의 하단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9)이 장착되어 가이드(11)의 내부에서 스케이트(4)를 그 최상단 위치로 지속적으로 당겨 올린다. 스케이트(4)가 의도치 않게 리프트 통로의 상단에서 리프트 통로 헤드와 접촉한다면, 스케이트(4)는 조정 가능한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인장 스프링(9)이 당겨진다. 리프트 캐빈 (1)이 리프트 통로 헤드로부터 다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행되자마자, 스프링(9)은 스케이트(4)를 원래 위치로 당겨서 복귀시킨다.
도 3은 리프트 통로 도어의 상부 영역에서, 즉, 리프트 통로 상에서, 특히, 리프트 통로 도어의 록킹 상태에서의 록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메카니즘은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의 바로 반대편에, 즉, 도 2의 도면 용지의 전면이 도 3과 4의 도면 용지의 전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반대편에, 즉,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리프트 통로 도어 상의 록킹 메카니즘은 두 개의 롤러 (19, 20)을 이동시키는 피봇 플레이트 (18), 바닥 우측의 롤러(19), 및 상방으로 연장된 레버(25) 상에 위치하는 상단 좌측의 롤러(20)를 포함한다. 피봇 플레이트(18)는 측방의 연장편(24)까지 좌측으로 연장되고, 연장편(24)은 바닥부에 폴(21)을 가지며, 폴(21)은 관찰자의 관측 방향으로 전방으로 각진 형태다. 도시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폴(21)은 리프트 통로 도어에 고정된 폴(22)과 기계적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고정폴(22)과 연결되는 리프트 통로 도어는 록킹되고, 폴(21)의 미세한 움직임 안에서만 고정폴(22)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해제를 위해서, 확장 스케이트들(4)이 인접한 상태에서 리프트 통로 도어와 마주보는 리프트 캐빈의 상측을 넘어 이동하는 데, 초기에는, 리프트 캐빈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부터 또는 위에서부터 피봇 플레이트 (18)의 두 롤러(19, 20) 사이에 위치한다. 처음에 스케이트들(4)의 경사진 단부들이 롤러(19, 20)를 지나 이동한 후, 두 스케이트(4)는 연장부(23)와 상부 연결 섀클(14)를 통해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확장된다. 이에, 롤러(19, 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피봇 플레이트(18)에 대한 토크를 생성함에 따라, 피봇 플레이트(18)는 도 4의 곡선 화살표 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피봇된다. 이에, 폴(21)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반대측 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됨에 따라, 리프트 통로 도어는 록킹해제되고 측방이동을 위해 릴리스된다.
도 4는 개방 상태의 동일한 록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두 롤러(19, 20)와 그 사이의 확장 스케이트들(4)에 의해 피봇 플레이트(18)는 하방 반시계방향으로 몇 도의 각도 범위에서 피봇되어 폴(21)은 반대측 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통로 도어는 록킹해제되고 리프트 도어 드라이브 상의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따라서 열리거나 다시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에서 필수적인 것은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의 스케이트들(4)이 리프트 캐빈 (1)에 대해서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되고, 스케이트들이 리프트 통로의 상단에서 리프트 통로 헤드와 접촉할 경우 스케이트들의 변형을 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이트들 각각은 확장 스케이트 구조체 자체, 즉,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서 가이드(1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운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설명한 바와 같이, 최상부 이동 위치에 지지된, 스프링이 장착된 스케이트들은 리프트 통로 헤드와의 충돌에 따라 상부에서 스케이트들의 상단부들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서 스프링들의 힘에 저항하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단부들이 릴리스된 후 스프링들에 의해 최상부 이동 위치에 복귀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방법으로, 자체가 리프트 캐빈(1) 상에 마운팅된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 전체 확장 스케이트 구조체가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플렉시블하도록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전체 확장 스케이트 구조체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이 의도치 않게 리프트 통로 헤드에 접촉하는 경우, 전체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스프링력에 저항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 배치된 확장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캐빈에 대해서 조정가능한 거리에 걸쳐 플렉시블하다. 리프트 캐빈 (1)이 리프트 통로 헤드에 이격되게 이동하면서, 마운팅 플레이트(10)와 확장 스케이트들(4)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구조는 마운팅 플레이트(10)가 전용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운팅되고 동시에 최상부 이동 위치에서 스프링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10)에 부착된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과 리프트 통로 헤드와의 충돌에 따라 상부에서 상단부들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는 스프링들의 힘에 저항하며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의 릴리스 후,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스프링들의 힘에 의해 최상부 이동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두 경우 모두, 사용된 스프링들은 스틸 인장 스프링(9), 스틸 압축 스프링, 쿠션 스프링, 컵 스프링, 가스 압력 스프링, 유압 스프링과 같이, 최적의 설계에 따라 어느 스프링이든 사용 가능하다. 변형예로서의 적합화된 구조체들에는,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단순한 판 스프링들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 스프링들은 리프트 캐빈 (1)과 스케이트들(4) 사이에서, 또는 리프트 캐빈 (1)과 마운팅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작동된다. 또한, 유리 섬유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도 적절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리프트 캐빈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 캐빈이 액세스 레벨로 운행할 때 리프트 통로 도어 상의 폴(21)이 구비된 피봇 플레이트(18) 상의 롤러들(19, 20) 사이로 이동하는 동시에 롤러들(19, 20)을 서로 멀어지도록 밀면서 피봇 플레이트(18)를 피봇시키고 폴(21)을 해제시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을 록킹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는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의 확장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캐빈 (1)에 대해서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되어, 확장 스케이트들(4)이 의도치 않게 리프트 통로의 상단에 위치한 리프트 통로 헤드(2, 6)와 접촉한다면, 조절 가능한 거리에 걸쳐 확장 스케이트들(4)이 플렉시블해지고, 리프트 캐빈(1)이 리프트 통로 헤드(2)로부터 이격된 후 확장 스케이트들(4)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 캐빈 도어의 스케이트들(4)은 리프트 캐빈(1)과 관련하여 플렉시블하도록 설계되고,
    스케이트들(4)은, 가이드(11)를 따라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리프트 캐빈에 단단히 부착된 마운팅 플레이트(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운팅되고, 동시에, 스프링(9) 장착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스케이트들(4)은 최상부 이동 위치에 지지되고, 리프트 통로 헤드(2, 6)와의 충돌에 따라 상부에서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들(9)의 힘에 저항하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의 릴리스 후 스프링들(9)에 의해 상기 최상부 이동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확장 스케이트들(4)은 마운팅 플레이트(10)에 부착되고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스프링력에 저항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리프트 캐빈에 부착되어,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단부들이 예기치 않게 리프트 통로 헤드(2, 6)에 접촉한다면 마운팅 플레이트(10)와 그에 따라 마운팅 플레이트(10)에 배치된 확장 스케이트들(4)이 조절 가능한 거리에 걸쳐 플렉시블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리프트 캐빈이 상기 리프트 통로 헤드로부터 이격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 메카니즘의 마운팅 플레이트(10)는 리프트 캐빈(1)과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운팅되고, 동시에,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장착되어 최상부 이동 위치에 지지되고, 마운팅 플레이트(10)에 단단히 부착된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기 상단부들에 리프트 통로 헤드(2, 6)와의 충돌에 따라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확장 스케이트들(4)의 상기 상단부들의 릴리스 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9)에 의해 상기 최상부 이동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9)은 스틸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틸 압축 스프링, 쿠션 스프링, 또는 컵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은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력 스프링 또는 유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일 측의 리프트 캐빈(1)과 타 측의 스케이트들(4)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틸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일 측의 리프트 캐빈(1)과 타 측의 스케이트들(4)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10) 사이에서 효과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일 측의 리프트 캐빈(1)과 스케이트들(4)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작동하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캐빈(1)의 도어 드라이브(3) 상에 확장 스케이트들(4)이 구비된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KR1020127031854A 2010-05-07 2011-05-01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KR201301209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04/10 2010-05-07
CH00704/10A CH702569B1 (de) 2010-05-07 2010-05-07 Liftschachttür-Entriegelung.
PCT/CH2011/000095 WO2011137545A1 (de) 2010-05-07 2011-05-01 Liftschachttür-entriege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84A true KR20130120984A (ko) 2013-11-05

Family

ID=4321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854A KR20130120984A (ko) 2010-05-07 2011-05-01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130105249A1 (ko)
EP (1) EP2566802B1 (ko)
JP (1) JP2013528545A (ko)
KR (1) KR20130120984A (ko)
CN (1) CN103079983B (ko)
AU (1) AU2011250620A1 (ko)
BR (1) BR112012028085A2 (ko)
CA (1) CA2797884A1 (ko)
CH (1) CH702569B1 (ko)
DE (1) DE202010008630U1 (ko)
DK (1) DK2566802T3 (ko)
ES (1) ES2435017T3 (ko)
MX (1) MX2012012906A (ko)
MY (1) MY159132A (ko)
PL (1) PL2566802T3 (ko)
RU (1) RU2012144267A (ko)
SG (1) SG184949A1 (ko)
WO (1) WO2011137545A1 (ko)
ZA (1) ZA2012092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2346B2 (en) * 2018-10-12 2022-05-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2886B2 (en) * 2010-05-17 2016-04-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CN103318736B (zh) * 2013-07-05 2015-01-07 波士顿电梯(苏州)有限公司 一种电梯轿门的安全锁定机构
CN104098011B (zh) * 2014-06-27 2016-08-17 朝闻电梯装备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集成轿门锁功能的电梯门刀装置
CN105173999B (zh) * 2015-10-21 2017-01-25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伸缩门刀
CN107381305B (zh) * 2017-08-07 2023-03-03 宁波力隆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门刀结构
ES2880755T3 (es) 2018-04-19 2021-11-25 Gomis Rabassa Juan Ramon Dispositivos macho y hembra para el acople entre una puerta de cabina y una puerta de rellano en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de puertas deslizantes
US11040858B2 (en) *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6557B2 (en) 2018-05-01 2021-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0852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ntrol to address abnormal passenger behavior
US11155444B2 (en) 2018-05-01 2021-10-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34548B2 (en) * 2018-05-01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EP3566995B1 (en) * 2018-05-09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CN109761128B (zh) * 2018-12-24 2024-06-21 西子电梯科技有限公司 一种多轿厢斜行升降机
CN113307132B (zh) * 2021-05-25 2022-09-02 天津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天津市特种设备事故应急调查处理中心) 安全电梯
CN115676568A (zh) 2021-07-27 2023-02-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联锁组件及电梯系统
US11760604B1 (en) 2022-05-27 2023-09-19 Otis Elevator Company Versatile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14818A (en) * 1946-08-01 1948-12-23 Melbourne Dewhurst Improvements in operating mechanism for lift gates
US3738454A (en) * 1971-07-12 1973-06-12 Dover Corp Jam proof door clutch
US5139112A (en) * 1990-10-31 1992-08-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lock
JPH0687588A (ja) * 1992-08-27 1994-03-29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用ドアロック装置
US5538106A (en) * 1994-04-08 1996-07-23 Otis Elevator Company Rotationally stiff elevator car door coupling
FI101284B1 (fi) * 1995-09-13 1998-05-29 Kone Oy Järjestely hissin automaattiovien avaamisessa ja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FR2823495B1 (fr) * 2001-04-13 2004-08-20 Otis Elevator Co Dispositif de couplage entre les portes de cabine et les portes palieres d'un ascenseur, avec securite d'ouverture
ITMI20042249A1 (it) * 2004-11-19 2005-02-19 Sematic Italia Spa Scivolo attivo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US7398862B2 (en) * 2006-06-02 2008-07-15 The Peelle Company Ltd. Car door lock
CN201062182Y (zh) * 2007-04-23 2008-05-21 苏州易升电梯部件有限公司 电梯轿门锁装置
WO2011072891A1 (de) * 2009-12-16 2011-06-23 Thyssenkrupp Elevator Ag Vorrichtung zur mitnahme einer schachttür durch eine fahrkorbtür
EP2794453B1 (de) * 2011-12-21 2015-05-20 Inventio AG Kabinentür-schachttür-kupp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2346B2 (en) * 2018-10-12 2022-05-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209234B (en) 2014-03-26
RU2012144267A (ru) 2014-06-20
AU2011250620A1 (en) 2012-11-01
CN103079983A (zh) 2013-05-01
EP2566802A1 (de) 2013-03-13
DE202010008630U1 (de) 2010-11-25
WO2011137545A9 (de) 2012-10-18
CN103079983B (zh) 2015-02-11
WO2011137545A1 (de) 2011-11-10
US20130105249A1 (en) 2013-05-02
SG184949A1 (en) 2012-11-29
EP2566802B1 (de) 2013-09-11
CH702569B1 (de) 2011-07-29
ES2435017T3 (es) 2013-12-18
MY159132A (en) 2016-12-15
DK2566802T3 (da) 2013-12-16
PL2566802T3 (pl) 2014-02-28
JP2013528545A (ja) 2013-07-11
MX2012012906A (es) 2012-12-17
BR112012028085A2 (pt) 2016-08-02
CA2797884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0984A (ko) 리프트 통로 도어 록킹해제 메카니즘
CN106414295B (zh) 设置有安全设施布置的电梯,和安全设施
US10589964B2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US8162108B2 (en)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JP4664370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58393B1 (en) Retractable stop for low overhead elevators
US20140020986A1 (en)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090026402A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EP3450379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6030209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68602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266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16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390491B2 (en) Device for unlocking a landing door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5981628B1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200031629A1 (en) Elevator car apron
JP6026624B1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286134B2 (en)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JP2017119578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10114423A1 (en) Elevator Safety System with Bar to Prevent Shaft Entry
WO2010040888A1 (en) Elevator arrangement
JP2017088369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