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955A - 소재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955A
KR20130120955A KR1020120044208A KR20120044208A KR20130120955A KR 20130120955 A KR20130120955 A KR 20130120955A KR 1020120044208 A KR1020120044208 A KR 1020120044208A KR 20120044208 A KR20120044208 A KR 20120044208A KR 20130120955 A KR20130120955 A KR 20130120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oller
mandrel
roller
contac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259B1 (ko
Inventor
조영원
박영국
임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맨드렐과, 수평방향으로 이송 중인 소재를 맨드렐측으로 하향 벤딩시키는 하향벤딩부와, 하향벤딩부와 맨드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향 벤딩된 소재를 맨드렐의 일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와,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소재를 곡률을 가지게 벤딩하는 원형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권취장치{WINDING APPARATUS FOR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맨드렐 둘레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시키기 위한 소재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1100 ~ 1300 ℃)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3161호(2008.01.03. 등록, 발명의 명칭 : 마그네슘 합금 코일 권취장치 및 그 권취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재의 선단부를 맨드렐의 둘레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는, 소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맨드렐; 수평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소재를 상기 맨드렐측으로 하향 벤딩시키는 하향벤딩부; 상기 하향벤딩부와 상기 맨드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향 벤딩된 상기 소재를 상기 맨드렐의 일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 및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를 곡률을 가지게 벤딩하는 원형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향벤딩부는,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핀치롤; 및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부가 상기 하부핀치롤보다 큰 선속도를 가지고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핀치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패널부는, 상기 하부핀치롤과 상기 원형벤딩부 사이에 상기 맨드렐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하부후방패널; 상기 하부후방패널과 연속된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원형벤딩부와 상기 멘드렐 사이에 연장형성되는 하부전방패널; 상기 상부핀치롤과 상기 원형벤딩부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후방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소재가 통과가능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후방패널; 및 상기 상부후방패널과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원형벤딩부와 상기 멘드렐 사이에 연장형성되는 상부전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형벤딩부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롤러장치; 및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장치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상부접촉롤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접촉롤러장치는, 상기 가이드패널부 하측에 설치되며,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하부실린더에 연동하여 상기 소재에 근접하게 이동되며,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롤러; 및 상기 하부실린더의 로드에 상기 하부접촉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접촉롤러장치는, 상기 가이드패널부 상측에 설치되며,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에 연동하여 상기 소재에 근접하게 이동되며,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후방접촉롤러; 상기 후방접촉롤러와 함께 상기 소재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전방접촉롤러; 및 상기 상부실린더의 로드에 상기 후방접촉롤러와 상기 전방접촉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플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방접촉롤러는, 상기 전방접촉롤러보다 상기 하부접촉롤러와 큰 이격거리를 가지고 상기 전방접촉롤러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소재의 선단부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와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형벤딩부로 소재의 선단부를 맨드렐의 원주형 둘레에 보다 근접한 원형(호형상)으로 벤딩시켜 맨드렐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소재의 선단부를 맨드렐 둘레에 보다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소재의 선단부를 권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하향벤딩부로 소재를 하향 벤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하부접촉롤러와 전방접촉롤러 사이로 소재의 선단부가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원형벤딩부로 소재를 벤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부접촉롤러, 전방접촉롤러, 후방접촉롤러간 상대 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소재의 선단부를 맨드렐의 둘레에 권취시킨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원형벤딩부를 소재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소재의 선단부를 권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하향벤딩부로 소재를 하향 벤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하부접촉롤러와 전방접촉롤러 사이로 소재의 선단부가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원형벤딩부로 소재를 벤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하부접촉롤러, 전방접촉롤러, 후방접촉롤러간 상대 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소재의 선단부를 맨드렐의 둘레에 권취시킨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의 원형벤딩부를 소재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200)는, 맨드렐(240), 하향벤딩부(210), 가이드패널부(220), 원형벤딩부(2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향벤딩부(210)는 수평방향으로 이송 중인 소재(10)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되며, 소재(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간 선속도(線速度)차를 이용해 맨드렐(240)측으로 소재(10)를 하향 벤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향벤딩부(210)는, 하부핀치롤(211)과 상부핀치롤(213)을 포함한다.
하부핀치롤(211)은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되게 위치된다.
상부핀치롤(213)은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소재(10)의 상면에 접촉되게 위치된다.
소재(10)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핀치롤(213)의 외주부의 선속도가, 소재(10)의 저면에 접하는 하부핀치롤(211)의 선속도보다 크면, 소재(10)의 상면부가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부핀치롤(213)을 하부핀치롤(21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면, 상부핀치롤(213)과 하부핀치롤(211)을 동일한 각속도(角速度)로 회전시키더라도 상부핀치롤(213)의 선속도를 하부핀치롤(211)의 선속도보다 크게 구현할 수 있다.
맨드렐(240)측으로 하향 이송된 소재(10)는 원주 형상의 맨드렐(240)의 둘레에 접촉된 상태에서 맨드렐(240)의 회전에 의해 맨드렐(240) 둘레에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이때, 소재(10)의 선단부(11)는 유니트롤장치(250)에 의해 맨드렐(240)의 둘레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맨드렐(240) 둘레에 설치된 복수개의 유니트롤장치(250)와 맨드렐(240)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유니트롤장치(250)는 소재(10)를 맨드렐(240)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소재(10)가 느슨하게 맨드렐(240) 둘레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맨드렐(240)은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연동되어 회전구동되는 샤프트와, 소재(10)를 원형으로 권취가능한 원주 형상의 외면을 이루도록 샤프트 둘레에 설치되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유니트롤장치(250)는 맨드렐(240)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복수개가 맨드렐(24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유니트롤장치(250)는, 실린더(253), 연결링크(252), 유니트롤(251)을 포함한다.
실린더(253)는 고정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와, 실린더부 내부의 유압에 의해 실린더부 내외로 이동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정구조물은 맨드렐(240), 하향벤딩부(210), 가이드패널부(220), 원형벤딩부(230), 유니트롤장치(25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구조물 또는 지면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링크(252)는 맨드렐(240)의 접선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며, 맨드렐(240)로부터 이격된 일측부는 고정구조물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실린더(253)의 로드에 연결된다.
연결링크(252)는 실린더(253)의 로드에 연동되어 맨드렐(240)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유니트롤(251)은 맨드렐(240)과 접하는 연결링크(252)의 맨드렐 접촉부(도면부호 미표기)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린더(253)의 신장 구동 시, 연결링크(252)의 타측부는 맨드렐(240)측으로 회동되며, 유니트롤(251)은 맨드렐(240)에 권취되는 소재(10)에 가압 접촉된다.
가이드패널부(220)는 하향벤딩부(210)와 맨드렐(24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향벤딩부(210)를 통과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핀치롤(211)과 상부핀치롤(213) 사이를 통과하며 하향 벤딩된 소재(10)를 맨드렐(240)의 일측으로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패널부(220)는, 하부후방패널(221), 하부전방패널(222), 상부후방패널(223), 상부전방패널(224)을 포함한다.
하부후방패널(221)은 하부핀치롤(211)과 원형벤딩부(230)의 하부접촉롤러장치(231) 사이에 맨드렐(240)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하부전방패널(222)은 하부후방패널(221)과 연속된 경사면을 이루며 하부접촉롤러장치(231)와 멘드렐(240) 사이에 연장형성된다.
상부후방패널(223)은 상부핀치롤(213)과 원형벤딩부(230)의 상부접촉롤러장치(235)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부전방패널(224)은 상부후방패널(223)과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상부접촉롤러장치(235)와 멘드렐(240) 사이에 연장형성된다.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은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부후방패널(221), 하부전방패널(222)과의 사이에 소재(10)가 통과가능한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소재(10)는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이 이루는 연속된 상부 가이드면과,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이 이루는 연속된 하부 가이드면에 상면 또는 저면이 접촉, 가이드되면서 맨드렐(240)측으로 하향 이동된다.
원형벤딩부(230)는 가이드패널부(220)를 통과하는 평판형의 소재(10)를 곡률을 가지게 벤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벤딩부(230)는, 하부접촉롤러장치(231)와 상부접촉롤러장치(235)를 포함한다.
하부접촉롤러장치(231)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이드패널부(220)를 통과하는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촉롤러장치(231)는 하부실린더(232), 하부접촉롤러(233), 롤러연결구(234)를 포함한다.
하부실린더(232)는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유,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패널부(22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 하측에 설치된다.
하부실린더(232)는 피스톤부가 실린더부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측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장된다.
그리고, 하부실린더(232)는 피스톤부가 실린더부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의 하측으로 이동, 복귀되면서 길이가 축소된다.
하부접촉롤러(233)는 롤러연결구(234)에 의해, 실린더부 외부로 노출된 하부실린더(232)의 피스톤부 단부(이하, '로드'라 한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접촉롤러(233)는 하부실린더(232)의 피스톤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이드패널부(220)를 통과하는 소재(10)측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되며, 소재(10)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회전된다.
도 2, 6을 참조하면, 하부접촉롤러(233)는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이드패널부(220) 내측으로 진입되어, 가이드패널부(220) 내부를 통과하는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롤러연결구(234)는 하부실린더(232)의 로드에 하부접촉롤러(23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롤러연결구(234)의 일측부는 하부실린더(232)의 로드에 연결, 고정된다.
롤러연결구(234)의 타측부는 하부실린더(232)의 로드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고, 하부접촉롤러(233)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부접촉롤러장치(235)는 한 쌍의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이드패널부(220)를 통과하는 소재(10)의 상면에 접촉되고, 소재(10)를 하부접촉롤러장치(231)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접촉롤러장치(235)는 상부실린더(236), 후방접촉롤러(237), 전방접촉롤러(238), 커플연결구(239)를 포함한다.
상부실린더(236)는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유,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패널부(2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 상측에 설치된다.
상부실린더(236)는 피스톤부가 실린더부 외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후방패널(221)과 하부전방패널(222)측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신장된다.
그리고, 상부실린더(236)는 피스톤부가 실린더부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의 상측으로 이동, 복귀되면서 길이가 축소된다.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는 커플연결구(239)에 의해, 실린더부 외부로 노출된 상부실린더(236)의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는 상부실린더(236)에 연동하여 가이드패널부(220)를 통과하는 소재(10)측으로 이동되어 소재(10)의 상면에 접촉되며, 소재(10)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회전된다.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는 함께 소재(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소재(10)를 하부접촉롤러(233)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킨다.
도 2, 6을 참조하면,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는 상부후방패널(223)과 상부전방패널(224)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통과하면서 가이드패널부(220) 내측으로 진입되어, 가이드패널부(220) 내부를 통과하는 소재(10)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커플연결구(239)는 상부실린더(236)의 로드에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커플연결구(239)의 일측부는 상부실린더(236)의 로드에 연결, 고정된다.
커플연결구(239)의 타측부는 상호 이격된 2개소에서 하부접촉롤러장치(23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실린더(236)의 로드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커플연결구(239)의 타측부에는 후방접촉롤러(237)와 전방접촉롤러(238)의 회전축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방접촉롤러(237)는 전방접촉롤러(238)보다 하부접촉롤러(233)와 큰 이격거리를 가지고 전방접촉롤러(238) 상측에 위치된다.
맨드렐(240)측으로 하향 이동 중인 소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접촉롤러(237)와 하부접촉롤러(233) 사이를 먼저 통과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접촉롤러(238)와 하부접촉롤러(233)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0)가 전방접촉롤러(238)와 하부접촉롤러(233)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소재(10)는 후방접촉롤러(237), 하부접촉롤러(233), 전방접촉롤러(238)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소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접촉롤러(237)와의 접촉부(P1), 하부접촉롤러(233)와의 접촉부(P2), 전방접촉롤러(238)와의 접촉부(P3)에 해당되는 3개소에서 하향가압력과 상향가압력을 교대로 받아 호(弧)형상으로 하향 벤딩된다.
그리고, 소재(10)가 후방접촉롤러(237), 하부접촉롤러(233), 전방접촉롤러(238)에 상면과 저면이 접촉, 가압된 상태로 맨드렐(240)측으로 연속하여 하향 이동되면서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으로 연속하여 벤딩된다.
후방접촉롤러(237)와 하부접촉롤러(233)간 이격거리(d1)는, 전방접촉롤러(238)와 하부접촉롤러(233)간 이격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소재(10)의 선단부(11)가 하부접촉롤러장치(231)와 상부접촉롤러장치(235)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소재(10)의 선단부(11)가 후방접촉롤러(237) 또는 하부접촉롤러(233)에 접촉되면, 후방접촉롤러(237) 또는 하부접촉롤러(233)의 구름운동에 의해 후방접촉롤러(237)와 하부접촉롤러(233) 사이로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전방접촉롤러(238)와 하부접촉롤러(233)간 이격거리(d2)가 작을수록 후방접촉롤러(237), 하부접촉롤러(233), 전방접촉롤러(238)와 소재(10)간 접촉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권취장치(200)는, 원형벤딩부(230)로 소재(10)의 선단부(11)를 맨드렐(240)의 원주형 둘레에 보다 근접한 원형(호형상)으로 벤딩시켜 맨드렐(240)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소재(10)의 선단부(11)를 맨드렐(240) 둘레에 보다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재(10) 선단부(11)가 맨드렐(240) 둘레에 원형으로 권취되지 못하고 돌출되어 그 외측에 권취되는 소재(10)의 일부를 긁어 손상시키거나 굴곡시키는 현상(Kink)과, 소재(10)의 선단부(11)가 맨드렐(240) 둘레에 느슨하게 권취되던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소재 11 : 선단부
200 : 소재 권취장치 210 : 하향벤딩부
211 : 하부핀치롤 213 : 상부핀치롤
220 : 가이드패널부 221 : 하부후방패널
222 : 하부전방패널 223 : 상부후방패널
224 : 상부전방패널 230 : 원형벤딩부
231 : 하부접촉롤러장치 232 : 하부실린더
233 : 하부접촉롤러 234 : 롤러연결구
235 : 상부접촉롤러장치 236 : 상부실린더
237 : 후방접촉롤러 238 : 전방접촉롤러
239 : 커플연결구 240 : 맨드렐
250 : 유니트롤장치 251 : 유니트롤
252 : 연결링크 253 : 실린더

Claims (7)

  1. 소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맨드렐;
    수평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소재를 상기 맨드렐측으로 하향 벤딩시키는 하향벤딩부;
    상기 하향벤딩부와 상기 맨드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향 벤딩된 상기 소재를 상기 맨드렐의 일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 및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를 곡률을 가지게 벤딩하는 원형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벤딩부는,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핀치롤; 및
    회전 구동되는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부가 상기 하부핀치롤보다 큰 선속도를 가지고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핀치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부는,
    상기 하부핀치롤과 상기 원형벤딩부 사이에 상기 맨드렐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하부후방패널;
    상기 하부후방패널과 연속된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원형벤딩부와 상기 멘드렐 사이에 연장형성되는 하부전방패널;
    상기 상부핀치롤과 상기 원형벤딩부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후방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소재가 통과가능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후방패널; 및
    상기 상부후방패널과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원형벤딩부와 상기 멘드렐 사이에 연장형성되는 상부전방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벤딩부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롤러장치; 및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패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장치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상부접촉롤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촉롤러장치는,
    상기 가이드패널부 하측에 설치되며,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하부실린더에 연동하여 상기 소재에 근접하게 이동되며,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롤러; 및
    상기 하부실린더의 로드에 상기 하부접촉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롤러장치는,
    상기 가이드패널부 상측에 설치되며, 길이가 신축 조정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에 연동하여 상기 소재에 근접하게 이동되며, 상기 소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후방접촉롤러;
    상기 후방접촉롤러와 함께 상기 소재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측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키는 전방접촉롤러; 및
    상기 상부실린더의 로드에 상기 후방접촉롤러와 상기 전방접촉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플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접촉롤러는,
    상기 전방접촉롤러보다 상기 하부접촉롤러와 큰 이격거리를 가지고 상기 전방접촉롤러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소재의 선단부를 상기 하부접촉롤러와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권취장치.
KR1020120044208A 2012-04-26 2012-04-26 소재 권취장치 KR10136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208A KR101368259B1 (ko) 2012-04-26 2012-04-26 소재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208A KR101368259B1 (ko) 2012-04-26 2012-04-26 소재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55A true KR20130120955A (ko) 2013-11-05
KR101368259B1 KR101368259B1 (ko) 2014-03-12

Family

ID=4985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208A KR101368259B1 (ko) 2012-04-26 2012-04-26 소재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96A (ko) * 2015-05-26 2016-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안내장치
CN107838195A (zh) * 2017-11-30 2018-03-27 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厚规格高强钢卷取设备
CN112139282A (zh) * 2020-09-02 2020-12-2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带钢卷取系统、高强钢卷取方法以及高强钢生产线
US20220193743A1 (en) * 2020-12-23 2022-06-23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Coiling device for a large range of metal strip thicknes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792B1 (ko) * 2022-08-25 2023-11-29 (주)알루텍 배터리케이스용 알루미늄 5052 판재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9859B2 (ja) * 1993-11-26 2002-06-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熱間巻取炉
JPH07155542A (ja) * 1993-12-10 1995-06-20 Mitsui Toatsu Chem Inc 三弗化窒素ガスの除害方法
KR100779711B1 (ko) 2001-07-27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JP5313542B2 (ja) 2008-04-17 2013-10-09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カローゼルリール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96A (ko) * 2015-05-26 2016-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안내장치
CN107838195A (zh) * 2017-11-30 2018-03-27 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厚规格高强钢卷取设备
CN112139282A (zh) * 2020-09-02 2020-12-2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带钢卷取系统、高强钢卷取方法以及高强钢生产线
US20220193743A1 (en) * 2020-12-23 2022-06-23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Coiling device for a large range of metal strip thicknesses
US11904371B2 (en) * 2020-12-23 2024-02-2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Coiling device for a large range of metal strip thickn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259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259B1 (ko) 소재 권취장치
AU733149B2 (en) Coiling machine for hot rolled stock such as strip or sheet
CN205851613U (zh) 一种能够折弯直板和钢管的装置
CN103010993B (zh) 矿用小绞车排绳器
KR101701611B1 (ko) 소재 안내장치
CN105170706A (zh) 一种卷材矫平机
CN108082987A (zh) 一种具有张力控制功能的纠偏型放卷装置
JP5521144B2 (ja) 鋼管の曲げ加工装置及び鋼管の曲げ加工方法
WO2015141702A1 (ja) シュートロールを備えたコイラー装置
KR20170074306A (ko) 스트립 권취 장치
CN105251765A (zh) 一种金属微轧制方法及其装置
KR101578500B1 (ko) 강판의 롤 굽힘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강판의 롤 굽힘 성형 방법
KR101523964B1 (ko) 소재 정렬장치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CN204182729U (zh) 钢板弯折机
JP6793948B2 (ja) パイプ曲げ装置
KR20130120927A (ko) 소재 권취장치
KR101357538B1 (ko) 소재 전면 이물질 제거장치
JP6527500B2 (ja) ピンチロ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帯状体供給装置
KR20130110518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KR101600601B1 (ko) 코일의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CN207325642U (zh) 一种异径偏心夹送辊
CN203409041U (zh) 波纹管式卷板机
KR20110046634A (ko)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US2642113A (en) Apparatus for straightening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