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096A - 소재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096A
KR20160139096A KR1020150072916A KR20150072916A KR20160139096A KR 20160139096 A KR20160139096 A KR 20160139096A KR 1020150072916 A KR1020150072916 A KR 1020150072916A KR 20150072916 A KR20150072916 A KR 20150072916A KR 20160139096 A KR20160139096 A KR 2016013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orkpiece
pinch roll
poi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611B1 (ko
Inventor
황지성
박민규
박주일
박홍기
백승만
이황배
임순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61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소재 안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재 안내장치는: 하부핀치롤과, 하부핀치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핀치롤과, 하부핀치롤과 상부핀치롤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와 접하며, 제1지점에 위치 시 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고, 제2지점에 위치 시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소재안내대와, 소재안내대를 제1지점과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안내장치{METERIAL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소재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맨드릴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16464호(2007.05.03. 등록, 발명의 명칭: 열연 스트립의 권취선단 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방 또는 하방에 위치한 맨드릴측으로 소재를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는 소재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는: 하부핀치롤; 상기 하부핀치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핀치롤; 상기 하부핀치롤과 상기 상부핀치롤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와 접하며, 제1지점에 위치 시 상기 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고, 제2지점에 위치 시 상기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소재안내대; 및 상기 소재안내대를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재안내대는,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하향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향안내부는, 상기 소재가 권취되는 맨드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맨드릴과 상기 하부핀치롤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접선과 접하는 제1접점; 상기 하부핀치롤 상에 위치되고, 상기 맨드릴과 상기 하부핀치롤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접선과 접하는 제2접점; 및 상기 하부핀치롤 상에 위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소재와 접하는 제3접점;을 통과하는 원호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재안내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안내부와 연속된 상면을 이루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연장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신축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축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연장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 상기 실린더부재를 상기 소재안내대와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소재안내대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신축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재안내대의 이동을 설정 경로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소재안내대의 상부가 상기 소재와 접하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소재안내대의 하부가 상기 소재와 접하는 상기 제2지점과, 상기 제2지점과 수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3지점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에 의하면, 이동장치를 이용해 소재안내대의 위치를 제1지점, 제2지점 등으로 가변시키면서 소재를 하부핀치롤과 상부핀치롤의 전방에 위치한 맨드릴측으로 안내하거나, 하부핀치롤과 상부핀치롤의 하방에 위치한 맨드릴측으로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소재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1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2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3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이동부의 형상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의 소재안내대의 길이 변화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소재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1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2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를 이용해 제3두께의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이동부의 형상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의 소재안내대의 길이 변화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1)는 하부핀치롤(10), 상부핀치롤(20), 소재안내대(30), 이동장치(40), 가이드레일(50)을 포함한다.
롤러테이블(4)은 소재(2)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맨드릴(3)은 롤러테이블(4)의 하측에 소재(2)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은 롤러테이블(4)상의 소재(2)를 맨드릴(3)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이 세트를 이루어 복수개의 맨드릴(3)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부핀치롤(20)은 하부핀치롤(10)의 전방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테이블(4) 상에서 전방으로 이송 중인 소재(2)는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2)는 소재안내대(30)의 상부 또는 하부와 접하게 되고, 전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된다.
소재(2)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소재안내대(30)의 하부와 접하게 되면, 그 하방에 위치하는 맨드릴(3)측으로 하향 안내된다. 소재(2)가 소재안내대(30)의 평탄한 상부와 접하게 되면, 그 전방에 위치하는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측으로, 즉 전방의 다른 맨드릴(3)측으로 안내된다.
소재안내대(30)는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2)를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안내하거나 하방으로 안내하는 장치로, 이동장치(3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안내대(30)는 본체부(31), 수평안내부(32), 하향안내부(33), 연장부(35), 신축이동부(37)를 포함한다.
본체부(31)는 소재(2)와의 접촉력을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이동장치(40)와 연결된다.
수평안내부(32)는 본체부(31)의 상부에 평탄하게 형성된다. 수평안내부(3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테이블(4)의 상단부, 즉 소재(2)의 전방 이송경로(pass line)와 수평선 상에 위치되거나 그 하측에 위치 시,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2)는 수평안내부(32)에 의해 하단지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2)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는 소재안내대(30)의 위치를 제1지점(P1)이라 한다.
하향안내부(33)는 본체부(31)의 하부에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하향안내부(33)가 소재(2)의 전방 이송 경로를 가로막도록 위치 시,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2)는 하향안내부(33)와 접하여 하방의 맨드릴(3)측으로 안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향안내부(33)는 제1접점(A), 제2접점(B), 제3접점(C)을 통과하는 원호(圓弧, arc)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제1접점(A)은 맨드릴(3)과 하부핀치롤(10)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접선(T) 중 맨드릴(3)과 접하는 접점이고, 제2접점(B)은 하부핀치롤(10)과 접하는 접점이다. 제3접점(C)은 하부핀치롤(10)의 외면부 중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소재(2)와 접하는 상단부, 즉 소재(2)의 이송경로와 하부핀치롤(10)간의 접점에 해당된다.
제1접점(A), 제2접점(B), 제3접점(C)은 모두 반경(R)인 원호 상에 위치되고, 하향안내부(33)는 반경(R)에 해당되는 곡률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전방으로 수평이동 중인 소재(2)는 제3접점(C)에서 하향안내부(33)와 하부핀치롤(10)의 사이로 진입된 후 하향안내부(33)와 접하게 되고, 하향안내부(33)의 곡면을 타고 도 2의 원호와 나란하거나 중첩되는 경로를 따라 맨드릴(3)측으로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31) 중 하부핀치롤(10)과 마주하는 일단부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의 상부간섭방지부(34a)가 형성된다. 수평방향으로 안내 중인 소재(2)의 단부가 본체부(31)와 접촉 시, 상부간섭방지부(34a)를 타고 수평안내부(32)측으로 원활하게 수평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31) 중 하부핀치롤(10)과 마주하는 일단부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의 하부간섭방지부(34b)가 형성된다. 하향 안내 중인 소재(2)의 단부가 본체부(31)와 접촉 시, 하부간섭방지부(34b)를 타고 하향안내부(33)측으로 원활하게 하향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35)는 본체부(31)의 타단부에 수평안내부(32)와 연속된 상면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수평방향으로 이송 중인 소재(2)는 본체부(31)와 연장부(35)를 연속하여 하단지지된 상태로 전방으로 안내된다.
신축이동부(37)는 연장부(35)를 본체부(31)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즉 본체부(31)와 연장부(35)가 함께 형성하는 수평방향 길이를 신축조절하는 장치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이동부(37)는 가이드바(38)와 탄성가압부재(39)를 포함한다.
가이드바(38)는 양단부가 본체부(31)와 연장부(25)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연장부(35)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탄성가압부재(39)는 본체부(31)와 연장부(35)의 사이에 설치되고, 연장부(35)를 본체부(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탄성가압부재(39)로 코일스프링을 적용하고 가이드바(38)의 둘레에 끼워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두께를 가지는 소재(2)를 하방으로 안내하게 되는 소재안내대(30)의 위치를 제2지점(P2)이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두께보다 두꺼운 제2두께를 가지는 소재(2)를 하방으로 안내하게 되는 소재안내대(30)의 위치를 제3지점(P3)이라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두께보다 두꺼운 제3두께를 가지는 소재(2)를 하향으로 안내하게 되는 소재안내대(30)의 위치를 제4지점(P4)이라 한다.
소재안내대(30)가 제1지점(P1)에 위치 시 소재안내대(30)는 하부핀치롤(10)의 전방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소재(2)는 소재안내대(30)와 상부핀치롤(2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소재안내대(30)가 제2지점(P2)에 위치 시 소재안내대(30)는 상부핀치롤(20)의 전방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소재(2)는 소재안내대(30)와 하부핀치롤(1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소재(2)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경우, 소재(2)의 전방 안내 시에는 소재(2)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부핀치롤(20)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소재(2)의 전방 안내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소재(2)의 하방 안내 시에는 소재(2)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부핀치롤(20)과 소재안내대(30)를 함께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소재(2)의 하방 안내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부핀치롤(20)은 하부핀치롤(10)의 전방측에서 그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지점(P2)은 제1지점(P1)의 전방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3지점(P3)은 제2지점(P2)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4지점(P4)은 제3지점(P3)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제3지점(P3)과 제4지점(P4)은 제2지점(P2)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3지점(P3)은 제2지점(P2)과 제4지점(P4)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소재안내대(30)의 연장부(35)가 롤러테이블(4)과 접촉되거나 그 해제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소재안내대(30)는 하부핀치롤(10)과 롤러테이블(4)간의 이격간격에 해당되는 수평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2)는 하부핀치롤(10)과 소재안내대(30)의 사이, 소재안내대(30)와 롤러테이블(4)의 사이로 그 단부가 유입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재안내대(30)가 하부핀치롤(10)과 롤러테이블(4)간의 이격간격에 해당되는 수평방향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롤러테이블(4)과 간섭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5)는 롤러테이블(4)과의 접촉력에 밀려 본체부(31)측으로 자연히 탄성이동되고, 소재안내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축소되는 변형을 하게 된다.
연장부(35) 중 롤러테이블(4)과 접하는 부분에는 롤러접촉부(36)가 형성된다. 롤러접촉부(36)는 롤러테이블(4)의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테이블(4)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롤러테이블(4)과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다. 소재안내대(30)가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이동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 시, 롤러접촉부(36)는 롤러테이블(4)과 미끄럼접촉 또는 구름접촉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되거나, 후방을 향해 하향 이동된다.
이동장치(40)는 소재안내대(30)를 설정 위치, 예를 들어 제1지점(P1), 제2지점(P2), 제3지점(P3), 제4지점(P4) 중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40)는 실린더부재(41), 회동지지부(42), 힌지연결부(43), 가이드이동부(44)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그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을 한다. 회동지지부(42)는 실린더부재(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실린더부재(41)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적용할 수 있다. 힌지연결부(43)는 실린더부재(41)의 하부를 소재안내대(30)와 힌지연결한다. 가이드이동부(44)는 실린더부재(41)의 신축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이동되는 부분으로, 소재안내대(30)와 연결된다.
가이드레일(50)은 소재안내대(30)의 이동을 설정 경로로 가이드하는 장치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50)은 제1지점(P1), 제2지점(P2), 제2지점(P2)과 수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3지점(P3), 제4지점(P4)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50)은 경사레일부(51)와 수직레일부(52)를 포함한다.
경사레일부(51)는 제1지점(P1)으로부터 제1지점(P1)의 전방 상측에 위치되는 제2지점(P2)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경사레일부(51)는 일정한 경사 각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정한 곡률의 곡선을 이루어 연장될 수도 있다. 수직레일부(52)는 경사레일부(51)의 전방부에 연속하여 연결되고, 제2지점(P2)으로부터 제4지점(P4)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소재안내대(30)를 도 3, 도 4, 도 5, 도 6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이동부(44)는 가이드레일(50)을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P1), 제2지점(P2), 제3지점(P3), 제4지점(P4)에 대응되는 지점을 연속하여 통과하게 된다.
가이드이동부(44)는 가이드레일(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즉 소재안내대(30)를 수평되게 지지, 유지할 수 있도록, 도 7 상에서 그 상단부와 하단부는 경사레일부(51)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경사레일부(51)에 위치된 상태에서 경사레일부(51)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면접촉된다.
또한, 가이드이동부(44)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는 수직레일부(52)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수직레일부(52)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레일부(52)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면접촉된다. 가이드이동부(44)가 제2지점(P2)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이드이동부(44)의 하단부는 경사레일부(51)의 저면부에 면접촉되고, 좌측단부는 수직레일부(52)의 좌측면부에 면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이동부(44)는 평행사변형, 마름모꼴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2개의 단부가 가이드레일(50)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임의의 회전이 구속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이동부(44)를 이용해 소재안내대(30)의 수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안내장치(1)에 의하면, 이동장치(40)를 이용해 소재안내대(30)의 위치를 제1지점(P1), 제2지점(P2) 등으로 가변시키면서 소재(2)를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전방에 위치한 맨드릴(3)측으로 안내하거나, 하부핀치롤(10)과 상부핀치롤(20)의 하방에 위치한 맨드릴(3)측으로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소재 안내장치 2 : 소재
3 : 맨드릴 4 : 롤러테이블
10 : 하부핀치롤 20 : 상부핀치롤
30 : 소재안내대 31 : 본체부
32 : 수평안내부 33 : 하향안내부
34a : 상부간섭방지부 34b : 하부간섭방지부
35 : 연장부 36 : 롤러접촉부
37 : 신축이동부 38 : 가이드바
39 : 탄성가압부재 40 : 이동장치
41 : 실린더부재 42 : 회동지지부
43 : 힌지연결부 44 : 가이드이동부
50 : 가이드레일 51 : 경사레일부
52 : 수직레일부 A : 제1접점
B : 제2접점 C : 제3접점
P1 : 제1지점 P2 : 제2지점
P3 : 제3지점 P4 : 제4지점
T : 접선

Claims (8)

  1. 하부핀치롤;
    상기 하부핀치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핀치롤;
    상기 하부핀치롤과 상기 상부핀치롤의 사이를 통과한 소재와 접하며, 제1지점에 위치 시 상기 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고, 제2지점에 위치 시 상기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소재안내대; 및
    상기 소재안내대를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안내대는,
    상기 이동장치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하향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안내부는,
    상기 소재가 권취되는 맨드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맨드릴과 상기 하부핀치롤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접선과 접하는 제1접점;
    상기 하부핀치롤 상에 위치되고, 상기 맨드릴과 상기 하부핀치롤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접선과 접하는 제2접점; 및
    상기 하부핀치롤 상에 위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소재와 접하는 제3접점;을 통과하는 원호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안내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안내부와 연속된 상면을 이루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연장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신축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연장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
    상기 실린더부재를 상기 소재안내대와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소재안내대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신축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안내대의 이동을 설정 경로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소재안내대의 상부가 상기 소재와 접하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소재안내대의 하부가 상기 소재와 접하는 상기 제2지점과, 상기 제2지점과 수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3지점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안내장치.
KR1020150072916A 2015-05-26 2015-05-26 소재 안내장치 KR10170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16A KR101701611B1 (ko) 2015-05-26 2015-05-26 소재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16A KR101701611B1 (ko) 2015-05-26 2015-05-26 소재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96A true KR20160139096A (ko) 2016-12-07
KR101701611B1 KR101701611B1 (ko) 2017-02-02

Family

ID=5757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16A KR101701611B1 (ko) 2015-05-26 2015-05-26 소재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456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엔트리 가이드 장치
KR20210034974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경로 변경장치 및 이를 갖춘 권취설비
KR20210050733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에스컴텍 복합소재 구조강화용 z-피닝 수동 삽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61B1 (ko) * 2018-08-07 2019-11-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제품 권취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955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권취장치
KR20140056918A (ko) *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955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권취장치
KR20140056918A (ko) *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유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456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엔트리 가이드 장치
KR20210034974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경로 변경장치 및 이를 갖춘 권취설비
KR20210050733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에스컴텍 복합소재 구조강화용 z-피닝 수동 삽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611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611B1 (ko) 소재 안내장치
KR100806775B1 (ko) 싱글타입 언코일러
RU25855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деления образцов полос металла.
EP3127629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hot-rolled coil spring
JP2008514429A (ja) 長手方向に溶接された中空形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SE527722C2 (sv) Förfarande för att rullforma en hattprofil och rullformningsmaskin
WO2010043611A1 (en) Drawing and/or straightening unit for oblong metal products, such as bars, round pieces or metal wire
CN102971096A (zh) 拉伸弯曲矫直设备
US9056345B2 (en) Method and profiling installation for roll forming a sheet metal
KR101368259B1 (ko) 소재 권취장치
KR20040044977A (ko) 금속 루핑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벤딩 장치
CN106944660B (zh) 一种用于加工硅钢片卷状原料的送料剪切装置
CN105215223B (zh) 一种整卷薄板卷料卷桶同步进给送料的方法和装置
CN216037650U (zh) 一种传送带生产线换辊接续装置
CN108136468B (zh) 用于制造具有基本上平行的带边缘的金属带的方法和设备
JP6382872B2 (ja) コイル繰出し装置及び方法
CN107107140B (zh) 用于卷取及展开热轧棒材的装置
EP0442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widthwise bend in an end portion of a hot-rolled sheet-shaped product
US812258A (en) Automatic bending-machine.
KR101523965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20120136851A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RU23903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авки широких горячекатаных полос и способ их правки
JP5135537B2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
KR101490615B1 (ko) 선재 연연속압연 가이드장치
US20240091837A1 (en) Drawing and straightening unit for metal products, and correspo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